WO2014088132A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8132A1
WO2014088132A1 PCT/KR2012/010489 KR2012010489W WO2014088132A1 WO 2014088132 A1 WO2014088132 A1 WO 2014088132A1 KR 2012010489 W KR2012010489 W KR 2012010489W WO 2014088132 A1 WO2014088132 A1 WO 20140881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dal
frame
stroller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4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Kim Jung K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Jung Keon filed Critical Kim Jung Keon
Priority to PCT/KR2012/01048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88132A1/ko
Publication of WO20140881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81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06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riage that can be quickly converted to the pedal car, the se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selective power transmission of the pedal wheel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 the stroller In general, the stroller is to be pushed or dragged while the baby is on, it must be easy to operate and durable. In this regard, reference is made to "stroller"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6598).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to provide a baby carriage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verted between the pedal car and the baby carriag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 the baby carriage includes a support bracket, a pedal car frame, a baby carriage frame, and a conversion frame
  • the support bracket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eat seat
  • the pedal car frame is provided with a pedal wheel.
  • the support bracket is hinged to the front side
  • the stroller frame is provided with a stroller wheel is hing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 the conversion frame is hinged rotatably forward and backwar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 the pedal car frame and the stroller frame is hinged to the support plaque to engage with each other, the conversion frame and the stroller frame is hinged to the support plaque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when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conversion frame, The pedal car frame and the stroller frame are unfolded or folded.
  • the pedal car frame is provided with a steering mechanism for steering the pedal wheel via a support frame
  • the steering mechanism is a steering wheel, a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e steering shaft is built-in It includes a shaft housing fixed to the support frame.
  • the pedal car frame has a pair of pedal whee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drive pedal,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edal wheels is connected to the drive pedal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 the steering shaft is coupled to the shaft housing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d through the structure selectively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of the steering handle, the steering shaft is operated independently or dependent o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handle.
  •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pedal wheel and the pedal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dal holes, the rotation plat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pedal plate and formed with a rotating hole, and penetrates the rotating hole And a cover plate surrounding the pedal plate, the rotating plate, and the operating piece, the operating piece having a restraining protrusion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edal hole in a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version between the stroller and the pedal car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while the seat is detach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drive pedal and the pedal wheel is connect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power of the drive pedal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wheel.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a to 3c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to a pedal car.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etachable state of the seating seat in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5a to 5c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roller stee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a to 6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internal operating state of the stee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to 7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between the drive pedal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a to 9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eering state of the pedal wheel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t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1 to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3a to 3c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converting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to a pedal car
  • Figur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view showing the detachable state of the seat seat in the stroller.
  •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pedal car through the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of the switching frame 400.
  • the left side of the figure is defined as the front side
  •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is defined as the rear side.
  •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witching frame 400 is rotated forwar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to a baby carriage (see FIG. 3A), and when the switching frame 400 is rotated backward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dal. To car (see FIG. 3C).
  • FIG. 3A when the switch frame 400 is rotated to the front to convert the stroller into a pedal car, as shown in FIG. 3B, the seating seat 500 is removed from the stroller.
  • FIG. 3C after the switching frame 400 is rotated backward, the seating sheet 500 is removed and mounted on the pedal car.
  • the rotation action of the switching frame 400 implements the rotation action of the pedal car frame 2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when the switching frame 400 is rotated to the rear, by the rotation of the switching frame 400
  • the pedal car frame 2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are unfolded, the pedal car frame may be formed as a whole.
  • the switching frame 400 when the switching frame 400 is rotated forward, the pedal car frame may be rotated by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frame 400. 2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may be folded to form a stroller car as a whole.
  •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seat 500, a support bracket 100, a pedal car frame 200, a baby carriage frame 300, and a conversion frame 400.
  • the seating seat 500 is a seat seated by the infant, it is composed of a seat frame 510, a sun shade 530, a cushion 520 and a seating hole 511.
  • the seat frame 510 is made of a rectangular frame form the overall frame of the seating sheet 500
  • the cushion 520 is provided on the center side of the seat frame 510
  • the sunlight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frame 510 A shade 530 is provided.
  • the mounting holes 511 are provided at opposite sides of the seating sheet 500, and the seating sheet 50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eating groove 110 of the support bracket 100 through the seating hole 511.
  • Support bracket 100 is a drive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frame 400, the pedal car frame 2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the pedal car frame 200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00
  • the hinge is connected, the stroller frame 300 is hing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00, the conversion frame 400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100.
  • the support bracket 100 so that the pedal car frame 2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is expanded or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witching frame 400, the conversion frame 400, pedal car frame 200 and stroller frame
  • the coupling between the 300 is made,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bracket 100 is connected to the pedal car frame 2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is hinged to mesh with each other, the conversion frame 400 and the stroller frame 300 is It is hinged to the support plaques to engage with each other.
  • the support bracket 100 is composed of a pai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sheet 500, for coupling with the seating sheet 500, the seat can be bidirectionally coupled with the seating hole 511 of the seating sheet 500
  • the groove 110 is provided.
  • Figures 5a to 5c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roller stee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6a to 6b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operating state of the stee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s 7a to 7b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between the drive pedal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stroller.
  • the pedal car frame 200 has a pair of pedal cars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00 and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 brackets 100 as a whole.
  • the frame 200 is provided, and the pedal wheel 21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each pedal car frame 200.
  • the pedal car head cover 24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pedal car frame 200, the pedal car head cover 240 is made of a variety of shapes, such as police cars, fire trucks, sports cars, taxis, to the user's taste Therefore, the structure can be selectively mounted.
  • the pedal car frame 200 is provided with a steering mechanism 220 via the support frame 240.
  • the steering mechanism 220 is for steering the pedal wheel 210, the shaft housing 223 fixed to the support frame 240, the steering shaft 222 embedded in the shaft housing 223, the steering shaft
  • the steering wheel 221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222).
  • the steering shaft 22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haft housing 223 so as to be slidable, the structure to transmit the steering force to the pedal wheel 210 via the sub-shaft 223c, the steering wheel (on the top)
  • a locking groove 221a that can be restrained is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222a of the 221
  • an insertion protrusion 222b that can be restrained in the insertion groove 223e of the subshaft 223c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 the sub shaft 223c has an insertion groove 223e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222b of the steering shaft 222 can be inserted, and drives the pedal wheel 210 and the steering bar 225 at the bottom thereof.
  • a steering piece 223d to be connected is provided.
  • the insertion protrusion 222b that can be restrained in the insertion groove 223e of the shaft housing 223 is formed.
  • the insertion protrusion 222b is a sliding housing in the shaft housing 223 as the steering shaft 222 is slid from the insertion groove 223e of the sub shaft 223c when the steering shaft 222 is slid to the uppermost side in the shaft housing 223. 223a and the rotational housing 223b can be pivoted and folded from the fixed housing 223g.
  • the shaft housing 223 is composed of a sliding housing 223a, a rotation housing 223b and a fixed housing 223g.
  • the sliding housing 223a is a portion in whic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teering shaft 222 is performed, and the steering wheel 22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thereof
  • the fixed housing 223g has a subshaft 223c therei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40, and the rotation housing 223b is hinged to the fixed housing 223g while being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liding housing 223a, and the steering shaft 222 and the subshaft are rotated. When the separation between the (223c) the sliding housing (223a) to be folded.
  • the adjustment groove 223f is formed in a "T" shape on one surface of the sliding housing 223a.
  • the adjusting groove 223f is a moving space in which the adjusting switch 224 which limits the movement and the moving angle of the steering shaft 222 is moved, and is locat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of the adjusting switch 224.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eering shaft 222 and the steering wheel 221 are restrained, and whether the steering shaft 222 and the sub shaft 223c are restrained.
  • the locking groove 221a of the steering shaft 222 is the locking protrusion 221 of the steering handle 221. 222a, which is in a restrained state.
  • the steering shaft 222 can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221, and an adjustment groove 223f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22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teering wheel.
  • Figure 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9a to 9b is a view showing the steering state of the pedal wheel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troll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dal car frame 200 has a pair of pedal wheels 210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driving pedal 250.
  • the driving pedal 250 is connected to the pedal wheel 21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230.
  •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230 is installed on any one pedal wheel 210 of the pair of pedal wheels 210,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230 is all installed on the pair of pedal wheels 210 It could be.
  •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230 of the pedal car frame 200 i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edal 250 to the pedal wheel 210, the pedal plate 231, the rotating plate 232, the operating piece 233 and the cover plate 234.
  • the pedal plate 23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of the pedal wheel 210, a plurality of pedal holes (231a) is formed, the connection bracket 235, the fixing pin 236, the operating port 237, It is connected to the pedal wheel 210 via the restraint bracket 238 and the connecting piece 239.
  • the rotating plate 232 is disposed to face the pedal plate 231, and a rotating hole 232a is formed.
  • the operating piece 233 is provided with a restraining protrusion 233a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pedal hole 231a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hole 232a.
  • the cover plate 234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pedal plate 231, the rotation plate 232, and the operation piece 233.
  • the stroller frame 300 is one end is hinged to the support bracket 100, the rear side is made of a pair of stroller frame 30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the support bracket 100 as a whole, each stroller The other end of the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stroller wheel 310. At this time, the stroller frame 300 is supported by the balance frame 320, so that the overall balance is maintained during the conversion operation.
  • the stroller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brake unit 330 for selectively fixing the stroller wheel 310. Since the brake unit 33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brake device for fixing the stroller wheel 310 in a conventional stroll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version frame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ne end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00, it is possible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bracket 100.
  • the switching frame 400 is composed of a main switching frame 400a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00, and a sub switching frame 400b connected to the main switching frame 400 to be retractable.
  • the length of the switching frame 4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 the other end of the switching frame 400 is provided with a handle that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handle is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witching frame 400, it is possible to easily steer the stroller.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at the conversion between the stroller and the pedal car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as the seating seat 500 is detached, and the power of the driving pedal 250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wheels. Has an advan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페달카로의 변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동력전달수단을 통한 페달바퀴의 선택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한 유모차가 소개된다. 이 유모차는 안착시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브라켓과, 페달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측에 힌지 연결되는 페달카프레임과, 유모차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후방측에 힌지 연결되는 유모차프레임과,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전환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모차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카로의 변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안착시트의 착탈이 가능하며, 동력전달수단을 통한 페달바퀴의 선택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아기를 태운 상태에서 밀거나 끌고 다니기 위한 것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며,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모차(공개특허공보 10-2009-0006598호)"가 참고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모차의 경우, 전륜 어셈블리(1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프레임부재(10)와 후륜 어셈블리(2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프레임부재(20)를 구비하여, 바퀴가 지면에 대해 구름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의 작동으로 그 이동이 방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기능 이외에는 별도의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페달카의 필요시 페달카를 별도 구매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구매 비용이 추가되고, 구매한 페달카는 따로 보관해야하는 공간상의 제약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향으로 페달카와 유모차 간의 변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지지브라켓, 페달카프레임, 유모차프레임 및 전환프레임을 포함하고, 지지브라켓은 안착시트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페달카프레임은 페달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측에 힌지 연결되고, 유모차프레임은 유모차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후방측에 힌지 연결되고, 전환프레임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카프레임 및 유모차프레임이 서로 맞물리게 상기 지지프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전환프레임 및 유모차프레임이 서로 맞물리게 지지프라켓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전환프레임의 전,후방향 회동시, 상기 페달카프레임 및 유모차프레임이 펼쳐지거나 접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카프레임에는 상기 페달바퀴를 조향하기 위한 조향기구가 지지프레임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조향기구는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핸들에 연결되는 조향샤프트와, 상기 조향샤프트가 내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샤프트하우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페달카프레임에는 한 쌍의 페달바퀴가 구동페달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페달바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달바퀴는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구동페달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향샤프트는 상기 샤프트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향핸들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구조를 통해,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에 종속되거나 독립되어 작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페달바퀴의 회전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복수의 페달홀이 형성된 페달플레이트와, 상기 페달플레이트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회전홀이 형성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페달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속돌기가 구비된 작동편과, 상기 페달플레이트, 회전플레이트 및 작동편을 감싸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안착시트가 착탈되면서 유모차와 페달카 간의 변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구동페달과 페달바퀴가 연결되므로, 구동페달의 동력이 바퀴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후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페달카로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안착시트의 착탈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조향기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기구의 내부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구동페달 및 동력전달수단 간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동력전달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방향 전환시 페달바퀴의 조향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및 후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가 페달카로 변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안착시트의 착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전환프레임(400)의 전,후방향 회동을 통해, 페달카로의 변환이 가능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좌측을 전방측으로, 도면의 우측을 후방측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도 3a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프레임(40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본 발명은 유모차로 변환되고(도 3a 참고), 전환프레임(400)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본 발명은 페달카로 변환된다(도 3c 참고). 특히, 도 3a에서 보듯이, 전환프레임(40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유모차로 변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페달카로 변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b에서 보듯이, 유모차로부터 안착시트(500)를 탈거하여 안착시트(500)의 전,후방향을 바꾼 상태에서, 도 3c에서 보듯이, 전환프레임(400)을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탈거된 안착시트(500)를 페달카에 장착한다.
이때, 전환프레임(400)의 회동 작용은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의 회동 작용을 구현하므로, 전환프레임(400)이 후방으로 회동되면, 전환프레임(400)의 회동에 의해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펼쳐지면서 전체적으로 페달카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반대로, 전환프레임(400)이 전방으로 회동되면, 전환프레임(400)의 회동에 의해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접혀지면서 전체적으로 유모차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해당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크게 안착시트(500), 지지브라켓(100), 페달카프레임(200), 유모차프레임(300) 및 전환프레임(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안착시트(500)는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로서, 시트프레임(510), 햇빛가리개(530), 쿠션(520) 및 안착구(5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트프레임(510)은 안착시트(500)의 전체적인 틀을 이루는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시트프레임(510)의 중심 측에는 쿠션(520)이 마련되며, 시트프레임(510)의 상측에는 햇빛가리개(5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안착시트(500)의 대향되는 양측부에는 안착구(511)가 마련되는데, 안착시트(500)는 안착구(511)를 통해 지지브라켓(100)의 안착홈부(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전환프레임(400)이 후방으로 회동되어 페달카로 변환된 경우에는, 안착시트(500)를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전환프레임(400)이 후방으로 회동되어 유모차로 변환된 경우에는, 안착시트(500)를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페달카 또는 유모차로 변환시 해당 변환 상태에 따라 안착시트(500)의 배치 상태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지브라켓(100)은 상술한 전환프레임(400),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 간에 구동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지지브라켓(100)의 전방측에 페달카프레임(200)이 힌지 연결되고, 지지브라켓(100)의 후방측에 유모차프레임(300)이 힌지 연결되며, 지지브라켓(100)의 상부에 전환프레임(400)이 힌지 연결된다.
특히, 지지브라켓(100)에는 전환프레임(400)의 회동에 따라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전환프레임(400),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 지지브라켓(100)에는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서로 맞물리게 힌지 연결되고, 전환프레임(4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서로 맞물리게 지지프라켓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전환프레임(400)이 전방(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유모차프레임(300)은 전방(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유모차프레임(300)의 전방 회동에 따라 페달카프레임(200)은 후방(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이들 유모차프레임(300) 및 페달카프레임(200)은 접혀지게 된다(도 3a 참고). 이에 반해 전환프레임(400)이 후방(도면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유모차프레임(300)은 후방(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유모차프레임(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페달카프레임(200)은 후방(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이들 유모차프레임(300) 및 페달카프레임(200)은 펼쳐지게 된다(도 3c 참고).
이 지지브라켓(100)은 안착시트(500)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안착시트(500)와의 결합을 위해 안착시트(500)의 안착구(511)와 양방향 결합이 가능한 안착홈부(110)가 구비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조향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기구의 내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구동페달 및 동력전달수단 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카프레임(200)은 해당 일단이 지지브라켓(100) 전방측에 힌지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1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페달카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페달카프레임(200) 타단에는 페달바퀴(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페달카프레임(200)의 전방측에는 페달카 헤드커버(2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페달카 헤드커버(240)는 경찰차, 소방차, 스포츠카, 택시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인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페달카프레임(200)에는 지지프레임(240)을 매개로 조향기구(220)가 설치된다. 이 조향기구(220)는 페달바퀴(210)를 조향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프레임(240)에 고정되는 샤프트하우징(223)과, 샤프트하우징(223)에 내장되는 조향샤프트(222)와, 조향샤프트(222)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향핸들(2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조향샤프트(222)는 샤프트하우징(223)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브샤프트(223c)를 매개로 페달바퀴(210)에 조향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해당 상단에 조향핸들(221)의 걸림돌기부(222a)에 구속 가능한 걸림홈부(221a)가 형성되고, 해당 하단에 서브샤프트(223c)의 삽입홈(223e)에 구속 가능한 삽입돌기(22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샤프트(223c)는 해당 내측 상부에 조향샤프트(222)의 삽입돌기(222b)가 삽입 가능한 삽입홈(223e)이 형성되고 하단에 페달바퀴(210)와 조향바(225)를 매개로 구동 연결되는 조향편(223d)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조향샤프트(222)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조향샤프트(222)의 걸림홈부(221a)가 조향핸들(221)의 걸림돌기부(222a)로부터 이탈되면서 조향샤프트(222)와 조향핸들(221)은 서로 독립적인 작동 상태가 유지되는 바, 이때, 유아가 조향핸들(221)을 회전시키더라도 조향샤프트(222)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페달카 상태에서의 조향은 전환프레임(400)을 통한 부모의 조향에 따른다.
이에 반해, 조향샤프트(222)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조향샤프트(222)의 걸림홈부(221a)가 조향핸들(221)의 걸림돌기부(222a)에 맞물려 구속되면서, 조향샤프트(222)와 조향핸들(221)은 서로 종속적인 연동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유아가 조향핸들(221)을 회전시키면 조향핸들(2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향샤프트(222)가 회전되므로, 결국, 페달카는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될 수 있다.
아울러, 조향샤프트(222)의 하단에는 샤프트하우징(223)의 삽입홈(223e)에 구속 가능한 삽입돌기(222b)가 형성된다. 이 삽입돌기(222b)는 조향샤프트(222)가 샤프트하우징(223) 내부에서 최상단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서브샤프트(223c)의 삽입홈(223e)에서 이탈됨에 따라 샤프트하우징(223) 중에서 슬라이딩 하우징(223a) 및 회동 하우징(223b)이 고정 하우징(223g)으로부터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하우징(223)은 슬라이딩 하우징(223a), 회동 하우징(223b) 및 고정 하우징(223g)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슬라이딩 하우징(223a)은 조향샤프트(222)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해당 상단에 조향핸들(22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고정 하우징(223g)은 해당 내부에 서브샤프트(223c)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프레임(240)에 고정 설치되고, 회동 하우징(223b)은 슬라이딩 하우징(223a)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고정 하우징(223g)에 힌지 연결되어, 조향샤프트(222)와 서브샤프트(223c) 간의 분리시 슬라이딩 하우징(223a)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슬라이딩 하우징(223a)의 일면에는 조정홈(223f)이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조정홈(223f)은 조향샤프트(222)의 이동 및 이동각도를 제한하는 조정스위치(224)가 이동되는 이동 공간으로, 조정스위치(224)가 이동되는 1단, 2단 및 3단 위치에 따라, 조향샤프트(222)와 조향핸들(221) 간의 구속 여부와, 조향샤프트(222)와 서브샤프트(223c) 간의 구속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도 5a에서 보듯이, 조정스위치(224)가 조정홈(223f)의 1단 지점에 위치되는 경우는, 조향샤프트(222)의 걸림홈부(221a)가 조향핸들(221)의 걸림돌기부(222a)에 맞물려 구속된 상태인데, 이때, 조향핸들(221)을 회전시키면 조향핸들(2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향샤프트(222)의 회전이 가능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조정홈(223f)의 길이에 따라 조향핸들(221)의 조향각이 결정된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듯이, 조정스위치(224)가 조정홈(223f)의 2단 지점에 위치되는 경우는, 조향샤프트(222)의 걸림홈부(221a)가 조향핸들(221)의 걸림돌기부(222a)로부터 이탈되어 조향샤프트(222)와 조향핸들(221)은 서로 독립적인 작동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서, 이때는 유아가 조향핸들(221)을 회전시키더라도 조향샤프트(222)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도 5c에서 보듯이, 조정스위치(224)가 조정홈(223f)의 3단 지점에 위치되는 경우는, 조향샤프트(222)의 걸림홈부(221a)가 조향핸들(221)의 걸림돌기부(222a)로부터 이탈되고 조향샤프트(222)의 삽입돌기(222b)가 서브샤프트(223c)의 삽입홈(223e)에서 이탈된 상태인 바, 이때, 슬라이딩 하우징(223a)이 접혀지도록 하여 페달카에서 유모차로 변환하면, 주변 부품 들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동력전달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방향 전환시 페달바퀴의 조향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카프레임(200)에는 한 쌍의 페달바퀴(210)가 구동페달(25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이 구동페달(250)은 동력전달수단(230)을 통해 페달바퀴(2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수단(230)은 한 쌍의 페달바퀴(210) 중 어느 하나의 페달바퀴(210)에 설치되었으나, 동력전달수단(230)은 한 쌍의 페달바퀴(210)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페달카프레임(200)의 동력전달수단(230)은 구동페달(250)의 구동력을 페달바퀴(21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페달플레이트(231), 회전플레이트(232), 작동편(233) 및 커버플레이트(2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페달플레이트(231)는 페달바퀴(210)의 회전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복수의 페달홀(231a)이 형성되며, 연결브라켓(235), 고정핀(236), 작동구(237), 구속브라켓(238) 및 연결편(239)를 매개로 페달바퀴(210)에 연결된다. 회전플레이트(232)는 페달플레이트(231)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회전홀(232a)이 형성된다. 작동편(233)은 회전홀(232a)을 관통한 상태에서 페달홀(231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속돌기(233a)가 구비된다. 커버플레이트(234)는 페달플레이트(231), 회전플레이트(232) 및 작동편(233)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233)을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편(233)의 구속돌기(233a)가 회전플레이트(232)의 회전홀(232a)에 관통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구동페달(250)을 회전시키더라도 구동페달(250)의 구동력은 페달플레이트(231)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233)을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동편(233)의 구속돌기(233a)가 회전플레이트(232)의 회전홀(232a)에 관통하여 페달플레이트(231)의 페달홀(231a)에 삽입되므로, 구동페달(250)의 회전시 구동페달(250)의 구동력은 페달플레이트(231)에 전달되고, 결국 페달바퀴(2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모차프레임(300)은 해당 일단이 지지브라켓(100) 후방측에 힌지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1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모차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유모차프레임(300) 타단에는 유모차바퀴(310)가 구비된다. 이때, 유모차프레임(300)은 균형프레임(320)에 의해 지지되어, 변환 작동시 전체적인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모차프레임(300)에는 유모차바퀴(31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브레이크유닛(330)이 마련된다. 이 브레이크유닛(330)은 종래 유모차에서 유모차바퀴(310)를 고정하는 통상의 브레이크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환프레임(400)은 해당 일단이 지지브라켓(100) 상부측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브라켓(100)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다.
특히, 이 전환프레임(400)은 지지브라켓(100)의 상부측에 힌지 연결되는 메인 전환프레임(400a)과, 이 메인 전환프레임(400)에 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브 전환프레임(400b)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따라 전환프레임(400)의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전환프레임(400)의 타단에는 소정 각도 회동가능한 손잡이가 마련될 있는 바, 전환프레임(400)으로부터 손잡이를 소정 각도 접게 되면, 유모차를 쉽게 조향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착시트(500)가 착탈되면서 유모차와 페달카 간의 변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페달(250)의 동력이 바퀴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지지브라켓 110 :안착홈부
200 :페달카프레임 210 :페달바퀴
220 :조향기구 221 :조향핸들
222 :조향샤프트 223 :샤프트하우징
224 :조정스위치 225 :조향바
230 :동력전달수단 231 :페달플레이트
232 :회전플레이트 233 :작동편
234 :커버플레이트 235 :연결브라켓
236 :고정핀 237 :작동구
238 :구속브라켓 239 :연결편
240 :페달카 헤드커버 250 :구동페달
300 :유모차프레임 310 :유모차바퀴
320 :균형프레임 330 :브레이크유닛
400 :전환프레임 500 :안착시트
510 :시트프레임 511 :안착구
520 :쿠션 530 :햇빛가리개

Claims (6)

  1. 안착시트(5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브라켓(100);
    페달바퀴(21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전방측에 힌지 연결되는 페달카프레임(200);
    유모차바퀴(31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후방측에 힌지 연결되는 유모차프레임(300); 및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전환프레임(400)을 포함하는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서로 맞물리게 상기 지지프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전환프레임(4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서로 맞물리게 지지프라켓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전환프레임(400)의 전,후방향 회동시, 상기 페달카프레임(200) 및 유모차프레임(30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카프레임(200)에는 상기 페달바퀴(210)를 조향하기 위한 조향기구(220)가 지지프레임(240)을 매개로 설치되고, 상기 조향기구(220)는 조향핸들(221)과, 상기 조향핸들(221)에 연결되는 조향샤프트(222)와, 상기 조향샤프트(222)가 내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40)에 고정되는 샤프트하우징(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카프레임(200)에는 한 쌍의 페달바퀴(210)가 구동페달(25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되, 상기 한 쌍의 페달바퀴(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페달바퀴(210)는 동력전달수단(230)을 통해 구동페달(2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향샤프트(222)는 상기 샤프트하우징(22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향핸들(221)의 걸림홈(221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구조를 통해, 상기 조향핸들(221)의 회전에 종속되거나 독립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30)은 상기 페달바퀴(210)의 회전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복수의 페달홀(231a)이 형성된 페달플레이트(231)와, 상기 페달플레이트(231)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회전홀(232a)이 형성된 회전플레이트(232)와, 상기 회전홀(232a)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페달홀(231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속돌기(233a)가 구비된 작동편(233)과, 상기 페달플레이트(231), 회전플레이트(232) 및 작동편(233)을 감싸는 커버플레이트(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PCT/KR2012/010489 2012-12-05 2012-12-05 유모차 WO20140881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0489 WO2014088132A1 (ko) 2012-12-05 2012-12-05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0489 WO2014088132A1 (ko) 2012-12-05 2012-12-05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132A1 true WO2014088132A1 (ko) 2014-06-12

Family

ID=5088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0489 WO2014088132A1 (ko) 2012-12-05 2012-12-05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881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2061A (zh) * 2017-02-14 2017-05-17 卢键平 可换向推动的儿童收合伞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88Y1 (ko) * 2006-01-10 2006-04-06 김미강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090100870A (ko) * 2008-03-21 2009-09-24 이영우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100971277B1 (ko) * 2010-04-06 2010-07-21 (주)뷰렉트 유모차
KR20100092604A (ko) * 2009-02-13 2010-08-23 신형준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KR20110071295A (ko) * 2009-12-21 2011-06-29 (주)이노라이드 유모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88Y1 (ko) * 2006-01-10 2006-04-06 김미강 세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090100870A (ko) * 2008-03-21 2009-09-24 이영우 세 발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100092604A (ko) * 2009-02-13 2010-08-23 신형준 기립각 변환에 의한 유모차자전거
KR20110071295A (ko) * 2009-12-21 2011-06-29 (주)이노라이드 유모차
KR100971277B1 (ko) * 2010-04-06 2010-07-21 (주)뷰렉트 유모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2061A (zh) * 2017-02-14 2017-05-17 卢键平 可换向推动的儿童收合伞车
CN106672061B (zh) * 2017-02-14 2023-03-14 中山市特凯斯婴童用品有限公司 可换向推动的儿童收合伞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31292A1 (ko)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WO2013154356A2 (ko)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이륜 및 삼륜 변환이 가능한 자전거와 유모차
WO2011159016A2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JP5442729B2 (ja) ベビーカー
JP2022111237A (ja) 折り畳み可能なパーソナル車両
KR20150024551A (ko)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25690A1 (en) Baby stroller
WO2018099240A1 (zh) 儿童座兜及儿童推车
WO2011095129A1 (zh) 婴儿推车
WO2017179745A1 (ko)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JPWO2010143300A1 (ja) キャリアおよびベビーカー
WO2013166818A1 (zh) 儿童推车
WO2021249002A1 (zh) 自行车
WO2020256352A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유닛을 구비한 탑승장치
WO2017181534A1 (zh) 一种便携式双折叠自行车
WO2014088132A1 (ko) 유모차
WO2019182396A1 (ko)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GB2345472A (en) Security device for a foldable toy stroller
CN208646947U (zh) 可切换单双座的多功能童车
WO2013147375A1 (ko) 이동식 안장을 구비하는 자전거
WO2015156480A1 (ko) 자전거의 핸들조립체
WO2011122738A1 (ko) 접이형 자전거
WO2015156599A1 (ko) 컴팩트 접이식 자전거
WO2013024959A1 (ko) 빌트인 타입의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차량시트
CN208646941U (zh) 带有联动关节锁定结构的可折叠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897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897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