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265A -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265A
KR20100092265A KR1020090011555A KR20090011555A KR20100092265A KR 20100092265 A KR20100092265 A KR 20100092265A KR 1020090011555 A KR1020090011555 A KR 1020090011555A KR 20090011555 A KR20090011555 A KR 20090011555A KR 20100092265 A KR20100092265 A KR 2010009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cop
solution
film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714B1 (ko
Inventor
이주성
박성준
나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01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7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08L23/082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cyclic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클로 올레핀계 수지 필름으로된 편광판 보호필름을 특정 용액으로 표면처리하여 시클로 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을 극대화하는 시클로 올레핀계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시클로헥사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n-펜탄, n-헥산, 크레졸, 톨루엔, 자일렌,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용액을 적용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및 이와 같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을 표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처리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과 편광소자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을 본 발명의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므로써 시클로 올레핀계 보호필름이 용해 및/또는 침식되어 표면조도가 증대된다. 또한, 표면처리용액에 의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이 팽윤되며, 이에 따라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밀도가 완화되어 접착제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내로의 침투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과정에서 접착제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용이하게 침투하므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이 현저하게 증대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 표면개질, 용액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접착성 증대

Description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A Method for Treatment of Protective Film of Polarizing Plate and A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시클로 올레핀계 수지 (cycloolefin polymer, 이하, 'COP'라 한다.) 보호필름을 특정 용액으로 표면처리하여 COP 보호필름의 접착력을 극대화하는 COP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경량, 박형, 저전력구동, 풀-컬러, 고해상도 구현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현재 액정표시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PDA, 전화기, TV,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는 두 장의 편광판이 사용되며, 편광판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 즉 편광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하부의 편광판에서 편광 된 빛이 액정셀 매트릭스에 입사되고, 액정층을 통과한 빛을 다시 상부의 편광판에서 편광시켜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필름(편광소자), 접착층 및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편광필름은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을 연신시켜, 요오드(I2) 또는 이색성 염료로 염색하고, 붕산을 이용하여 가교한 후, PVA 필름을 연신하고 건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다만, 염색, 가교, 연신단계는 개별적으로 혹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의 진행 순서 또한 가변적인 것으로 반응단계 순서가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편광판은 요오드 분자 또는 염료 분자가 연신에 의해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얻어지며 요오드 분자(I2) 또는 염료 분자가 이색성을 보이므로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러한 편광필름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접착제에 의해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편광판으로 제조된다.
보호필름은 각종 조립 공정에서 편광판 표면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PVA 접착제로 편광소자에 접착되며, 보호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Triacetyl Cellulose, TAC)필름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Cycloolefin Copolymer, COP) 필름등 다양한 보호필름이 사용된다. 그러나, TAC 보호필름 및 COP 보호필름 등은 소수성 보호필름으로 친수성 접착제와의 접착력의 증대가 요구 된다. 이와 같이 보호필름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소수성인 TAC 필름은 알칼리 용액(일반적으로, KOH 혹은 NaOH 용액이 이용된다.)에 침지하여 필름 표면에 -OH 그룹을 도입하여 필름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한다.
그러나, COP 보호필름은 특별히 화학적으로 표면개질 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COP 보호필름과 PVA 편광소자의 접착력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현재 COP 보호필름의 접착력 증대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첫째는, COP 표면에 코로나 방전을 가하여 접촉각을 낮추어 수계 접착제의 젖음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며, 둘째는, 변성 PVA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개질하는 방법이다. 상기한 방법을 모두 적용하여도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접착력은 0.4N/cm 수준밖에 되지 않으며, 이는 표면개질된 TAC을 이용한 편광판에서 보이는 4~8N/cm 대비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편광소자와 COP 보호필름의 접착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편광판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이 개선되도록 하는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더라도 편광판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이 개선되도록 하는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구현에 의하여 표면처리된 보호필름과 편광소자를 접착시켜 접착력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시클로헥사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n-펜탄, n-헥산, 크레졸, 톨루엔, 자일렌,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용액을 적용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시클로헥사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n-펜탄, n-헥산, 크레졸, 톨루엔, 자일렌,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용액을 적용하여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을 표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처리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과 편광소자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OP 보호필름을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표면처리하므로써 COP보호필름의 표면이 용해되어 표면조도(roughness)가 증대된다. 또한, 표면처리용액에 의해 연신된 COP 필름의 표면밀도가 완화되어 접착제의 COP 보호필름내로의 침투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COP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과정에서 접착제가 COP 보호필름에 용이하게 침투하므로 COP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이 현저하게 증대된다. 또한, 용액처리와 함께 코로나 방전처리를 병행하여 COP보호필름의 접촉각을 낮추므로써 수계 접착제의 젖음성이 확보되어 접착력이 더욱 증대되고 용액을 이용한 표면처리 속도가 가속화된다. 구체적으로 COP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이 종래 0.4N/㎝에서 최대 1.6N/㎝로 현저하게 증대되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내구성이 증 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계(PVA, Poly Vinyl Alcohol) 수지등의 친수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편광소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을 적층하여 제조된다.
편광소자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사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편광소자는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연신하는 공정(연신공정),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시키는 공정(염색공정), 이색성 염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가교공정) 및 이후, 수세 및 건조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염색, 가교, 연신단계는 개별적으로 혹은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의 진행 순서 또한 가변적인 것으로 반응단계 순서가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편광소자(이하, 'PVA 편광소자'라 한다.)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호필름을 접착시키므로써 판광판으로 제조된다.
보호필름으로는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재료로 제조된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이미드, 폴리아미드, 아크릴 수지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예를들어,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유니트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편광소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는 COP 보호필름은 두께가 가능한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불충분해지며, 한편 지나치게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약 5 내지 200 ㎛ 인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보호필름중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재료로 제조된 보호필름은 재료의 특성상 기존 접착제로는 편광소자와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특히 이축연신된 COP 필름의 경우에는 무연신 COP 필름 대비, 표면밀도가 높아 편광소자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COP 보호필름의 표면에 침투하기 어렵다. 따라서, COP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은 TAC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와의 접착력에 비하여 매우 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COP 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COP보호필름을 표면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은 COP 보호필름 표면을 용해 및/또는 침식시켜 COP 보호필름의 표면의 표면조도(roughness)를 증대시키고 COP 보호필름을 팽윤시켜 COP 보호필름의 필름의 표면밀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용액(이하, '표면밀도 완화용액'이라 한다.)으로 표면처리된다. 상기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시클로헥사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n-펜탄, n-헥산, 크레졸, 톨루엔, 자일렌,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OP필름의 표면처리 후, 세정이 용이한 디에틸에테르, THF, DMF, 시클로헥사논 및/또는 크레졸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는 COP 보호필름에 상기 표면밀도 완화용액을 코팅하거나, COP필름을 표면밀도 완화용액에 침지하는 방식으로 COP 보호필름에 표면밀도 완화용액을 적용하여 행할 수 있다. 코팅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어떠한 코팅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는 딥코팅, 드로핑방법, 스프레이 방법, 롤코팅방법, 슬릿 코팅방법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밀도 완화용액은 농도가 5중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5중량% 미만의 농도에서는 COP필름에 대한 표면처리 효과가 미비하며,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 록 COP 필름표면처리 효과가 증대되므로 상한 농도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면밀도 완화용액을 COP 보호필름에 적용한 후, 표면밀도 완화용액의 체류시간을 10~150초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류시간이 10초 미만이면 접착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체류시간이 150초를 초과하면 COP 보호필름에 손상을 주어 헤이즈(haze)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처리 가속화를 목적으로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처리되는 COP 보호필름을 승온시키거나, 표면밀도 완화용액을 승온시키거나 및/또는 표면밀도 완화용액이 도포된 COP 보호필름을 승온된 상태에서 건조할 수 있다. 이 때, COP 보호필름, 표면밀도 완화용액 및/또는 표면밀도 완화용액이 도포된 COP 보호필름은 70℃이하의 온도로 승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0℃를 초과하면 표면밀도 완화용액이 급격히 건조되므로 COP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정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상기한 바와 같이 COP보호필름을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처리하므로써 COP 필름표면이 용해 및/또는 침식되어 표면조도(표면 거칠기)가 극대화되고 이와 동시에 COP 표면에 밀도가 완화되므로써, 적용되는 수계 접착제의 COP필름으로의 내부확산(inter-diffusion)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편광소자와 COP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증대된다. 특히 표면밀도가 높은 이축연신 COP 필름의 경우에는 표면밀도 완화용액이 COP필름을 일부 침식함과 동시에 COP필름을 팽윤을 시키는 성질이 있으므로, 접착제가 도포되기 전에 상기 표면처리 공정을 거치게 되면, 물리적으로 COP필름 표면의 밀도가 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접착제가 필름 내부로 침투하기 용이하게 되며, 접착제 침투 불량에 따른 접착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COP 보호필름을 처리한 후에 표면처리된 COP 보호필름을 수세하고 건조한다.
상기 표면밀도 완화용액은 COP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면밀도 완화용액은 COP 필름중 편광소자와 접촉되는 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상기 COP 필름에 표면밀도 완화용액을 적용하기 전 또는 후에 COP 필름에 코로나 방전을 가하여 COP 보호필름의 접착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표면처리 할 수 있다.
코로나 처리는 전극에 고전압을 걸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서 수지필름을 활성화시키는 처리이다. 코로나 처리는 전극의 종류, 전극과 필름의 간격, 인가되는 전압 및 코로나 방전의 출력등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코로나 처리는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어, 약 2kW이하의 코로나 방전출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처리된 COP 보호필름과 편광소자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므로써 편광판이 얻어진다. 접착제로는 이 기술분야에 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접착제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를 아세토아세틸기화,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접착제의 일 예로서 기재한 것이며, 이 기술분야에서 COP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떠한 접착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성면에서는, 평균 중합도 100 ~ 3000, 평균 비누화도 85 ~ 100 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인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는 통상 수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접착제 수용액중 접착제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도포성 또는 방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0.1 ~ 15 중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상기 접착제로 적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은 또한, 가교제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분야에 일반적인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가교제로서는 종래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사용되는 것이 특별한 제한없이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 개 갖는 알킬렌디아민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 (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트 및 이들의 케토옥심블록물 또는 페놀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류;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탈디알데히드, 말레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메틸올 요소, 메틸올 멜라민, 알킬화 메틸올 요소, 알킬화 메틸올화 멜라민, 아세트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수지; 나아가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 가 금속, 또는 3 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 티탄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각종 점착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가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의한 방법에 의해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표면처리된 COP보호필름은 접착제를 이용한 편광소자와의 접착에 있어서, 접착력이 현저하게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COP보호필름과 편광소자의 접착력이 종래 0.4N/㎝에서 최대 1.6N/㎝로 현저하게 증대된다. 이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은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71㎛인 이축연신 COP 필름(Zeon사 Zeonor)을 10중량%의 THF 수용액에 상온에서 1분간 침지한 후 순수로 세정한 다음 80℃오븐에서 1분간 COP필름을 건조시켜 표면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처리된 COP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PVA 편광소자와 접합한 후 8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접착제로는 물 100중량부에 Z210 접착제(일본합성사 제품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PVA 수지, 중합도 약 1100, 비누화도 98-99%) 4.5중량부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COP보호필름과 PVA 편광소자의 접착력은 1.2N/cm였다.
실시예 2
두께 71㎛인 이축연신 COP 필름(Zeon사 Zeonor)의 일면에 코로나 출력 강도 500W, 필름 이송속도 12m/분으로 코로나 방전을 가한 다음에 필름을 10중량%의 THF 수용액에 상온에서 1분간 침지하였다. 그 후, 필름을 순수로 세정한 다음 80℃ 오븐에서 1분간 건조시켜 COP필름을 표면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처리된 COP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변성 PVA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코로나 처리된 COP 필름면과 PVA 편광소자와 접합한 후 8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COP보호필름과 PVA 편광소자의 접착력은 1.3N/cm였다.
실시예 3
두께 71㎛인 이축연신 COP 필름(Zeon사 Zeonor)의 일면에 코로나 출력 강도 500W, 필름 이송속도 12m/분으로 코로나 방전을 가하였다. 그 후, 농도 20중량%의 THF 용액을 편광소자와 접착되는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된 COP 보호필름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메이어 바(meyer bar, #10)로 단면코팅 한 후, 50℃로 유지되는 오븐 내에서 1분 30초간 체류시켜서 표면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처리된 COP 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변성 PVA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코로나 처리된 COP 필름면과 PVA 편광소자와 접합한 후 8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COP보호필름과 PVA 편광소자의 접착력은 1.6N/cm였다.
실시예 4
두께 71㎛인 이축연신 COP 필름(Zeon사 Zeonor)을 20중량%의 THF 수용액에 상온에서 1분간 침지한 후 순수로 세정한 다음 80℃에서 1분간 건조시켜 COP필름을 표면처리하였다. 그 후, THF 수용액으로 표면처리된 COP필름의 일면에 코로나 출력 강도 400W, 필름 이송속도 10m/분으로 코로나 방전을 가하여 COP 필름에 코로나 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 처리된 COP 필름면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변성 PVA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PVA 편광소자와 접합한 후 8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COP보호필름과 PVA 편광소자의 접착력은 1.4N/cm였다.
비교예 1
두께 71㎛인 이축연신 COP 필름(Zeon사 Zeonor)의 일면에 코로나 출력 강도 500W, 필름 이송속도 12m/분으로 코로나 방전을 가하며 COP필름을 표면처리하였다. 그 후, 코로나 방전처리된 COP필름면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변성 PVA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소자와 접합하고 8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COP보호필름과 PVA 편광소자의 접착력은 0.4N/cm였다. 비교예 1의 결과로부터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표면처리 되지 않은 COP 필름은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처리된 COP 필름에 비하여 저조한 접착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두께 60㎛인 아크릴 보호필름을 20중량%의 THF 수용액에 상온에서 1분간 침 지한 후 순수로 세정한 다음 80℃에서 1분간 아크릴 보호필름을 건조시켜 표면처리하였다. 상기 표면처리된 아크릴 보호필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변성 PVA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편광소자와 접합한 후 80℃에서 5분간 건조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의 아크릴 보호필름과 PVA간의 접착력은 0.5N/cm였다.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아크릴 보호필름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COP 필름을 처리하는 경우와 같은 접착력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시클로헥사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n-펜탄, n-헥산, 크레졸, 톨루엔, 자일렌,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용액을 적용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시클로헥사논, 크레졸, 디에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농도가 5중량%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10~150초의 체류시간으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 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최소 1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보호필름의 승온, 상기 용액의 승온 및 표면밀도 완화용액으로 처리된 COP 보호필름의 승온중 최소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를 가속화하며, 이때 70℃이하로 승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적용 전 또는 후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코로나 방전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방법.
  8.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에 시클로헥사논,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디에틸 에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테트라하이드로피란, n-펜탄, n-헥산, 크레졸, 톨루엔, 자일렌,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의 용액을 적용하여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의 표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처리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보호필름과 편광소자를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KR1020090011555A 2009-02-12 2009-02-12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KR10124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55A KR101243714B1 (ko) 2009-02-12 2009-02-12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55A KR101243714B1 (ko) 2009-02-12 2009-02-12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65A true KR20100092265A (ko) 2010-08-20
KR101243714B1 KR101243714B1 (ko) 2013-03-13

Family

ID=4275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55A KR101243714B1 (ko) 2009-02-12 2009-02-12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7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5911A (zh) * 2010-11-29 2012-07-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JP2015114456A (ja) * 2013-12-11 2015-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113398A (ja) * 2013-12-11 2015-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114455A (ja) * 2013-12-11 2015-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90131728A (ko)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669B1 (ko) * 1997-06-20 2000-03-15 이용인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KR100929993B1 (ko) * 2003-02-04 2009-12-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4677781B2 (ja) 2004-12-27 2011-04-2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4849665B2 (ja) * 2005-11-18 2012-01-11 株式会社日本触媒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5911A (zh) * 2010-11-29 2012-07-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JP2012177890A (ja) * 2010-11-29 2012-09-13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129933A (ja) * 2010-11-29 2015-07-1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CN102565911B (zh) * 2010-11-29 2016-05-1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CN105807357A (zh) * 2010-11-29 2016-07-2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JP2016164663A (ja) * 2010-11-29 2016-09-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114456A (ja) * 2013-12-11 2015-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113398A (ja) * 2013-12-11 2015-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5114455A (ja) * 2013-12-11 2015-06-22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シクロ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90131728A (ko)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714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0309B (zh) 薄偏光件之製造方法、薄偏光件及包含其之偏光板
KR101606594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광학 적층체
KR101498822B1 (ko)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KR101243714B1 (ko)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처리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JP7219799B2 (ja) 偏光膜、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1801607B (zh) 偏光膜、偏振膜、层叠偏振膜、图像显示面板及图像显示装置、以及偏光膜的制造方法
JP2011248363A (ja) 液晶表示装置
JP7212122B2 (ja) 偏光膜、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91058B (zh) 積層體
KR20170062473A (ko)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425258B (zh) A polarizing element out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KR101790108B1 (ko) 편광판
KR20110113310A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972679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and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135090B1 (ko) 편광판 보호필름의 표면개질 방법 및 편광판 제조방법
JP2006267153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2133377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4334168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5320A (ja)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71950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편광자 보호층을 포함하는편광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CN112041715A (zh) 偏光件的制造方法、偏光薄膜的制造方法、层叠偏光薄膜的制造方法、图像显示面板的制造方法和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1955203B1 (ko) 박형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6524B1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TWI702426B (zh) 偏光板及包含其之顯示裝置的製造方法
KR102248024B1 (ko) 편광자 보호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