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138A -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138A
KR20100091138A KR1020100066721A KR20100066721A KR20100091138A KR 20100091138 A KR20100091138 A KR 20100091138A KR 1020100066721 A KR1020100066721 A KR 1020100066721A KR 20100066721 A KR20100066721 A KR 20100066721A KR 20100091138 A KR20100091138 A KR 20100091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acking
branch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호 filed Critical 오정호
Priority to KR102010006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138A/ko
Publication of KR2010009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0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 B21D22/12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using enclosed flexible chambers
    • B21D22/125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using enclosed flexible chambers of tubular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2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inserted into the fe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using an elastic grommet between the extremity of the tube and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0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extremity of the pipe being screwed in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공을 뚫고 연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기관 하측 끝단 곡면 날개편이 분기공에 삽입되는 크기이며 곡면 날개편 상에 돌설 가압테가 형성되어 있고 분기관 외주면을 감싸는 관체형인 제1패킹 하면과 분기관 하측 끝단 곡면 날개편 사이에 단면이
Figure 112010502399160-PAT00006
형의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을 개재, 2중 패킹 구조로 하므로써 체결 너트 조임에 따라 하향 슬라이드되어 분기공보다 큰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이 분기관 곡면 날개편 상에 추가되어 분기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속, 분기공 끝단 주연부,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개소 수밀이 되는 2중 패킹 구조로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도 수밀이 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분기관 연결구, 분기계수, 피팅(Fitting)

Description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본 발명은
Figure 112010502399160-PAT00007
관 사용없이 본배관 측면에 분기공을 뚫고 연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기관 하측 끝단 곡면 날개편이 분기공에 삽입되는 크기이며 곡면 날개편 상에 돌설 가압테가 형성되어 있고 분기관 외주면을 감싸는 관체형인 제1패킹 하면과 분기관 하측 끝단 곡면 날개편 사이에 단면이
Figure 112010502399160-PAT00008
형의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이 개재되어 있어, 체결 너트 조임에 따라 상부 내주면이 하향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외주면이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보다 커지는 탄성부재, 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된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분기공 속과 끝단 주연부와 배관 내면 주연부까지 3개소 수밀이 되며, 하수관 외에 유체, 가스(Gas) 등 비교적 고압 배관에도 활용되며,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도 수밀이 될 뿐만 아니라 분기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15900호,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6-207697호,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7-33256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531061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7271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863229호, 본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75290호가 있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15900호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72712호는 본체 하측 끝단에 외향 곡면 날개편이 분기공 직경과 같거나 조금 작은 상면에 경사 테이퍼를 갖는 곡면 날개편 상에 관체형 패킹 하면이 테이퍼 곡면에서 슬라이드 되며 확경되는 구조로 패킹 재질이 수밀성을 위해서는 연질 패킹재가 바람직하고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경질 패킹재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6-207697호와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7-332567호는 분기관 하측에 테이퍼 면이 있고 끝단에 걸림턱이 있어 할링이 체결시 테이퍼 면에서 확경되어 분기공보다 커져 분기관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반면 수밀 패킹은 새들 하면과 분기공 속에서 테이퍼 면에 의해 분기공 속을 압박 수밀되게 하는 구조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863229호는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6-207697호와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7-332567호의 할링 역할을 하게 지지핀으로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며 수밀 패킹은 쐐기 형태의 별개로 된 패킹 확장 돌기가 패킹 하면에 삽입되며 경사 테이퍼에 의해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6-207697호와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7-332567호처럼 분기공 주연부 패킹을 압박 수밀되게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521061호는 역시 분기관 끝단 테이퍼부에 의해 패킹을 압박하며 수밀되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들은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는 분기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거나 수밀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75290호는 분기공 직경보다 큰 경질의 내측와샤를 양분하여 배관 내면에 도너츠형 패킹과 함께 걸리고 분기공 배관 내주면을 도너츠형 패킹으로 수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분기공이 커지더라도 분기관은 뽑아지지 못하는 장점은 있으나 변형 배관 등에는 패킹이 배관 내면 1개소에만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역시 수밀이 확보되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종래 분기관에 활용하는 패킹재가 연질 패킹재이더라도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하게 패킹 하면과 분기관 끝단 외향 곡면 날개편 사이에 탄성부재, 고무재, 실리콘재 등으로 된 확경 보강 패킹 사용으로 분기공 삽입시는 분기관 끝단 외향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과 동일하더라도 체결시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보다 커지는 확경 보강 패킹 개발과 수밀 향상을 위해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까지 수밀되는 3개소 수밀 패킹 개발과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도 수밀이 될 뿐만 아니라 분기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것과 체결 설치 후 분해 해체 가능한 기술적 구조 개발 등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분기관, 제1패킹, 제2패킹(확경 보강 패킹), 새들, 체결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외주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 일정 거리에 상기 연결관이 놓이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하단부 끝단 주연부 외향측으로 분기공에 삽입되는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상기 곡면 날개편 외주면 직경보다 직경이 작고 상면이 단턱 곡면인 돌설 가압테가 상기 분기관 외주면과 상기 곡면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분기관; 전체적으로 배관 두께보다 긴 관체형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 상면과 하부 하면이 곡면으로 되어 상기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분기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부 상면은 새들 하면과 접촉되고 외주면 중 일부는 분기공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 수밀되도록 하는 제1패킹과, 하부 외주면 직경이 상기 분기관 곡면 날개편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하부 하면이 상기 곡면 날개편 끝단 주연부에 접촉되고 상부 내주면은 상기 분기관 돌설 가압테 단턱 곡면과 일정 거리 높게 분기관 외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하부 외주면과 상기 상부 상면 사이의 중앙부는 관체로 되어 상기 분기관 돌설 가압테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갖도록 하고 상부 상면은 테이퍼진 곡면으로 되어 상기 제1패킹 하면에 접촉되며, 상부 내주면이 분기관 외주면을 타고 내려가 상부 하면이 상기 돌설 가압테 단턱 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중앙부는 상기 돌설 가압테 측면에 밀착 접촉되며 외주면이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확경된 상면이 분기공 끝단 배관 내면 주연부에 상기 제1패킹의 확경된 외주면을 접촉되도 록 제1패킹의 확경된 하면을 가압하는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을 부가한 제1, 제2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상부 나사부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 하측 주연부와 일체이고,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분기관 직경이 다르고 상기 내면 단턱면이 분기관 하면 일정 거리 높이에 형성된 분기관 경우, 상기 새들 하면에 양분된 보강와샤를 추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상의 관체형인 제1패킹은 분기공과 분기공 끝단 주연부를 수밀하는 수밀 패킹이며, 이에 추가로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이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이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까지 3개소 수밀되고 확경 보강 패킹 재질이 탄성 부재, 고무재, 실리콘재 등이므로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 상면도 수밀이 확보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그리고, 본배관 체결 설치 후 분해시에는 체결 너트를 풀고 분기관 속에 공구(드라이버 등)로 제2패킹과 분기관 곡면 날개편 사이에 꼽고 제2패킹을 자동차 타이어 교체시처럼 벗겨 분기관을 본배관에서 해체한다.
상기 관체형인 제1패킹 하면이 테이퍼가 없는 패킹이면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에는 확경된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만 접촉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 고, 상기 분기관 곡면 날개편의 돌설 가압테는 분기관과 분리된 돌설 가압테로 할 수 있으며 돌설 가압테 측면은 제2패킹의 중앙부인 관체가 밀착, 접촉된 표면 형상에 따라 제1패킹 하면이 슬라이딩 확경되게 경사(테이퍼)각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수밀 수단에 활용되는 제1패킹인 관체형 패킹 상부 끝단 외향 주연부에 곡면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된 패킹으로 할 수도 있고, 공지의 상기 외향 곡면 날개편이 없는 상부 상면을 가압면으로 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4-203584호(제6도 참고)처럼 가압면을 다양하게 한 관체형 패킹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863229호 경우 패킹 확장 돌기 내주면과 연결구 외주면이 평행되게 이격된 사이에 본 발명의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 내주면 하측에 돌기테를 연장 형성하여, 패킹 확장 돌기 내면부와 연결구 사이에 삽입하여도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따라서,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도 수밀이 되고 제1패킹인 관체형 패킹 외주면 하면 일정 거리와 내주면 상단에서 일정 거리 하측에 요홈테를 형성하고 이에 탄력이 좋은 패킹재, 코킹재 등을 부가하면 수밀성을 더욱 좋게 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과제를 실현한다.
그리고, 이같은 본 발명의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는 하수관거 활용은 물론 비교적 고압의 유체, 기체(Gas관 등)에 활용될 수도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기관 하측 끝단 곡면 날개편이 분기공에 삽입되는 크기이며 곡면 날개편 상에 돌설 가압테가 형성되어 있고 분기관 외주면을 감싸는 관체형인 제1패킹 하면과 분기관 하측 끝단 곡면 날개편 사이에 단면이
Figure 112010502399160-PAT00009
형의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을 개재, 2중 패킹 구조로 하여 체결 너트 조임에 따라 분기공보다 큰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이 분기관 곡면 날개편 상에 추가되어 분기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속, 분기공 끝단 주연부,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개소 수밀이 되는 2중 패킹 구조로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도 수밀이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일부 단면 정면도로써, 분기관(2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외주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나사부(290)가 형성되고 내주면 일정 거리에 상기 연결관(700)이 놓이는 수평면(240)이 형성되고 하단부 끝단 주연부 외향측으로 분기공에 삽입되는 곡면 날개편(210)이 일체이며, 상기 곡면 날개편 외주면 직경보다 직경이 작고 상면이 단턱 곡면(213)인 돌설 가압테(215)가 상기 분기관 외주면과 상기 곡면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분기관(200)을 나타내며, 제1패킹(70)은 전체적으로 배관 두께보다 긴 관체형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 끝단 주연부 외향측에 배관 외면(610)에 놓이는 곡면 날개편(76)이 일체이며, 하부 하면(73)은 테이퍼진 곡면인 제1패킹(70)을 나타내고, 제2패킹(30 ; 확경 보강 패킹)은 하부(32) 외주면이 분기관 곡면 날개편(210) 외주면 직경 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하부 하면(36)이 곡면 날개편 끝단 주연부에 접촉되고 상부(31) 내면(34)은 상기 분기관 돌설 가압테 단턱 곡면(213)과 일정 거리 높게 분기관 외주면에 접촉되며 가압테 상면(33)인 테이퍼진 곡면으로 되어 상기 제1패킹 하면(73)에 접촉되고 외주면과 상면 사이의 중앙부(35)는 경사진 관체로 되어 상기 분기관 돌설 가압테(215)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갖도록 하는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30)을 나타내고, 새들(100)은 상기 분기관 상부 나사부(290)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150) 하측 주연부와 일체이고,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100)을 나타내며, 너트(400)는 분기관 외면 나사부(290)에 조임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 돌기(410)가 다수 형성되어 조임을 용이케 한다. 부호(700)는 연결관을 나타내며, 배관(600)에 분기공(650)이 형성되고 배관 외면(610), 배관 내면(620)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을 조립하고 배관에 삽입한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통상의 제1패킹(70) 하면(73)과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210) 사이에 제2패킹(30)인 확경 보강 패킹을 개재하고 새들(100)과 너트(400)를 분기관 외주면 나사부에 꼽고 너트로 가조임 조립하고 분기공(650) 속에 꼽아 제1패킹 하부가 일정 거리 노출되게 꼽혀 있음을 나타낸다. 이때,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본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5290호의 길이 방향 요홈이 상부에서 하측으로 분기관 외면에 형성되고 새들 내면에는 요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도 5A, 도 5B, 도 5C 참고)되고 새들의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 사이에 지지부가 점선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너트(400)로 새들 상면을 강력히 조이더라도 분기관 (200)은 따라 돌 수 없다. 제1패킹(70)의 내주면은 분기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외주면 중 일부는 분기공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 수밀되고, 제2패킹(30)인 확경 보강 패킹의 가압테 상면(33)이 제1패킹 하면(73)에 접촉되고 하부 하면(36)이 분기관 곡면 날개편 끝단 주연부에 접촉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체결 너트로 가조임한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체결 너트(400)를 조일 때 제1패킹 하부 하면이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의 테이퍼진 곡면 가압테 상면(33)에 제1패킹 하면이 접촉되며 가압테 내주면이 분기관 외주면에서 하향 슬라이드 되며 동시에 제1패킹 하부가 외향 확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서 체결 너트로 체결 완료한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제2패킹(30)의 하부(32)가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210) 외경 직경보다 크게 확경되고 공지의 제1패킹은 분기공 속과 끝단 주연부와 배관 내면 주연부의 3개소를 밀착 접촉 수밀되게 함을 알 수 있고 분기관의 돌설 가압테(215)가 제1패킹을 더욱 압박 수밀케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30)은 비교적 경질 고무재로 되어 있어 분기관(200)이 분기공(650)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공지의 제1패킹이 경질 패킹재인 경우에는 수밀성을 좋게 하기 위해 하부 하면 곡면을 따라 외주면 일정 거리에 요홈테를 형성하고 이에 연질 패킹재, 코킹재를 부가할 수 있고 패킹 상부 일정 거리 하측 내면 주연부에 상부 곡면을 따라 일정 거리에 요홈테를 형성하고 동일한 연질 패킹재를 부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A는 종래 새들 설명도이고, 도 5B는 종래 분기관 설명도이며, 도 5C는 종래 너트 설명도로써, 본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4-0075290호의 도 5, 도 7, 도 8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는 도 1을 조립하고 배관에 삽입한 상태 설명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체결 너트로 가조임한 상태 설명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체결 너트로 체결 완료한 상태 설명 단면도
도 5A는 종래 새들 설명도
도 5B는 종래 분기관 설명도
도 5C는 종래 너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2패킹(확경 보강 패킹) 31, 32 : 확경 보강 패킹 상, 하부
33 : 가압테 상면 34 : 상부 내면
35 : 확경 보강 패킹 중앙부 36 : 하부 하면
70 : 제1패킹(관체형 패킹) 73 : 하부 하면
76 : 곡면 날개편 100 : 새들
150 : 돌출관 200 : 분기관
210 : 곡면 날개편 213 : 단턱 곡면
215 : 돌설 가압테 240 : 수평면
290 : 나사부 400 : 너트
410 : 돌기 600 : 본배관
650 : 분기공 700 : 연결관

Claims (4)

  1. 배관 측면에 뚫은 분기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하부 내경이 서로 다른 원통형이며, 상기 상부 원통형 외주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거리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면 직경이 상부보다 하부가 작게 되어 연결관이 놓이는 단턱면이 형성되고 하부 하측 끝단 주연부 외향측으로 분기공에 삽입되는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상기 곡면 날개편 외주면 직경보다 직경이 작고 일정 높이에 제1패킹 하면이 접촉되는 상면이 테이퍼진 곡면인 돌설 가압테를 상기 하부 분기관 외주면과 상기 곡면 날개편 사이에 형성하며 상·하부 분기관 외면 경계면이 곡면인 분기관;
    전체적으로 배관 두께보다 긴 관체형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 끝단 주연부 외향측에 배관 외면에 놓이는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하부 하면은 테이퍼진 곡면으로 되어 상기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하부 분기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외주면 중 일부는 분기공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 수밀 되도록 하고 하부 하면은 상기 하부 분기관 끝단 곡면 날개편 상의 돌설 가압테의 테이퍼진 상면에 접촉되어 체결 너트 조임에 따라 상기 패킹 하면이 상기 돌설 가압테 상면에서 외향 슬라이드 되며 확경되어 상기 관체형 패킹의 분기공보다 크게 확경된 하면을 상기 하부 분기관의 돌설 가압테가 압박하는 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상부 나사부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 하측 주연부와 일체이고, 양분된 보강와샤를 가압하는 곡면 날개편으로 되어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하부 분기관 외면에 꼽히고 상기 새들 하면과 상기 패킹 곡면 날개편에 놓이는 양분된 보강와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 지는 체결 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분기관 직경이 동일하고 상기 내면 단턱면이 분기관 하면 일정 거리 높이에 형성된 분기관이며, 상기 새들 하면에 양분된 보강와샤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3. 배관 측면에 뚫은 분기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외주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 일정 거리에 상기 연결관이 놓이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하단부 끝단 주연부 외향측으로 분기공에 삽입되는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상기 곡면 날개편 외주면 직경보다 직경이 작고 상면이 단턱 곡면인 돌설 가압테가 상기 분기관 외주면과 상기 곡면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분기관;
    전체적으로 배관 두께보다 긴 관체형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 상면과 하부 하면이 곡면으로 되어 상기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분기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부 상면은 새들 하면과 접촉되고 외주면 중 일부는 분기공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 수밀되도록 하는 제1패킹과, 하부 외주면 직경이 상기 분기관 곡면 날개편 외주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하부 하면이 상기 곡면 날개편 끝단 주연부에 접촉되고 상부 내주면은 상기 분기관 돌설 가압테 단턱 곡면과 일정 거리 높게 분기관 외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하부 외주면과 상기 상부 상면 사이의 중앙부는 관체로 되어 상기 분기관 돌설 가압테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갖도록 하고 상부 상면은 테이퍼진 곡면으로 되어 상기 제1패킹 하면에 접촉되며, 상부 내주면이 분기관 외주면을 타고 내려가 상부 하면이 상기 돌설 가압테 단턱 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중앙부는 상기 돌설 가압테 측면에 밀착 접촉되며 외주면이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보다 크게 확경되어 확경된 상면이 분기공 끝단 배관 내면 주연부에 상기 제1패킹의 확경된 외주면을 접촉되도록 제1패킹의 확경된 하면을 가압하는 제2패킹인 확경 보강 패킹을 부가한 제1, 제2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상부 나사부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 하측 주연부와 일체이고,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 지는 체결 수단;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형인 제1패킹 하면이 테이퍼가 없는 패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100066721A 2010-07-12 2010-07-12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00091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21A KR20100091138A (ko) 2010-07-12 2010-07-12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21A KR20100091138A (ko) 2010-07-12 2010-07-12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138A true KR20100091138A (ko) 2010-08-18

Family

ID=4275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721A KR20100091138A (ko) 2010-07-12 2010-07-12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11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756B1 (ko) 지관 연결장치
KR101506467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989052B1 (ko) 관체 연결 장치
KR2010009113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00091138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00097632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JP3176509U (ja) 水道メータとシモクとの結合部における逆止弁及びパッキンの取付け構造
KR2012003185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US9022433B2 (en) Quick connector adapted for a male adapter to connect thereto
KR20100095407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JP2015068448A (ja) ドレンパイプの接続構造
CN203322550U (zh) 一种液压管路连接装置
JP6086209B2 (ja) 排水管接続部材
KR20120036725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JP3187036U (ja) クランプリング
KR200336025Y1 (ko) 관 연결구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KR20120097291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1134523B1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10026451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CN104653919A (zh) 用于连接水龙头和/或外部水源与供水软管的设备
KR20110026452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20037338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