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725A -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725A
KR20120036725A KR1020110014430A KR20110014430A KR20120036725A KR 20120036725 A KR20120036725 A KR 20120036725A KR 1020110014430 A KR1020110014430 A KR 1020110014430A KR 20110014430 A KR20110014430 A KR 20110014430A KR 20120036725 A KR20120036725 A KR 20120036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washer
curved
w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오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호 filed Critical 오정호
Publication of KR2012003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attachments, e.g. reduction units, T-pieces, ben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공을 뚫고 연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기관 하측과 패킹 상부가 하나로 된 관체형 패킹이고 하부 하면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있어 분기공 속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작업성이 간편하며, 분기공이 규격보다 크거나 정교치 않은 경우에는 접이식 내측와샤를 사용하고, 홀커터 사용으로 분기공이 정교할 시에는 하나로 된 원통형 내측와샤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One-Touch 구조로 하며, 이에 분기공보다 직경이 큰 도너츠형 보강와샤를 원통형 내측와샤에 추가로 걸쳐지게 할 수도 있어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분기관이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중 수밀이 되며, 보강와샤 교체만으로 배관 내경이 다른 관에 공통 사용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Blind Branch Outlet Fitting System}
본 발명은 본배관과 지관(연결관)을 연결할 때 T관 사용 없이 본배관 측면에 분기공을 뚫고 연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기관 하측과 패킹 상부가 하나로 된 관체형 패킹이고 하부 하면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있어 분기공 속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작업성이 간편하며, 분기공이 규격보다 크거나 정교치 않은 경우에는 접이식 내측와샤를 사용하고, 홀커터 사용으로 분기공이 정교할 시에는 하나로 된 원통형 내측와샤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One-Touch 구조로 하며, 이에 분기공보다 직경이 큰 도너츠형 보강와샤를 원통형 내측와샤에 추가로 걸쳐지게 할 수도 있어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분기관이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중 수밀이 되며, 보강와샤 교체만으로 배관 내경이 다른 관에 공통 사용 가능한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이다.
이때, 분기관과 내측와샤를 조립하는 조립 수단으로 분기관 내면에서 다수의 볼트로 내측와샤의 다수의 암나사와 조임할 수도 있고, 분기관 하부 나사부와 원통형 내측와샤 내면의 암나사부와 단일 나사 조임하는 조립 수단이 있으며, 이같은 조립 수단은 공통으로 관체형 패킹 하부 하면을 분기공보다 크게 외향 확경을 1차로 하고, 2차로 체결 너트로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를 가압, 3중 수밀케 하는 특징이 있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15900호,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6-207697호,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7-33256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72712호, 본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75290호가 있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15900호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0772712호는 본체 하측 끝단에 외향 곡면 날개편이 분기공 직경과 같거나 조금 작은 상면에 경사 테이퍼를 갖는 곡면 날개편 상에 관체형 패킹 하면이 테이퍼 곡면에서 슬라이드 되며 확경되는 구조로 체결 너트 하나로 패킹 확경과 분기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구조여서 패킹 재질이 수밀성을 위해서는 연질 패킹재가 바람직하고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는 경질 패킹재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에 뚫는 분기공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6-207697호와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7-332567호는 분기관 하측에 테이퍼 면이 있고 끝단에 걸림턱이 있어 할링이 체결시 테이퍼 면에서 확경되어 분기공보다 커져 분기관에서 뽑아지지 못하게 하는 반면 수밀 패킹은 새들 하면과 분기공 속에서 테이퍼 면에 의해 분기공 속을 압박 수밀되게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들은 관체형 패킹을 확실하게 확경하는 구조가 없고 분기공이 크면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75290호는 분기공 직경보다 큰 경질의 내측와샤를 양분하여 배관 내면에 도너츠형 패킹과 함께 걸리고 분기공 배관 내주면을 도너츠형 패킹으로 수밀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분기공이 커지더라도 분기관은 뽑아지지 못하는 장점은 있으나 변형 배관 등에는 패킹이 배관 내면 1개소에만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역시 수밀이 확보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분기관 하부 끝단과 관체형 패킹 상부가 일체가 되며, 관체형 패킹 하부 하면 외향측으로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형성되더라도 분기공에 수직으로 삽입이 되어 작업성이 좋은 수밀 패킹 구조 개발과, 분기공이 정교치 않은 경우에 활용되는 접이식 내측와샤와, 홀커터 사용으로 분기공이 정교할 시와 분기공 끝단 일부가 홀커터로 파손 및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에 활용되도록 원통형 내측와샤와 분기공보다 외경이 큰 도너츠형 보강와샤 개발로 분기공에서 분기관이 뽑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중 수밀이 되는 구조 개발과 보강와샤 교체만으로 배관 내경이 다른 관에 공통 사용 가능한 구조 개발과 조립 수단이 다수 볼트 조임과 단일 나사 조임으로 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개발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 분기관, 수밀 패킹, 새들, 체결 너트, 내측와샤,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1구성은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원통형이며, 외주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나사부와 상단에서 일정 거리 하측방으로 새들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며 내면 일정 거리 주연부에 상?하로 된 다수의 볼트 구멍을 갖는 돌출테 형성과 돌출테 하측에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 하측에 관체형 패킹 상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분기관; 관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는 상기 분기관 하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 외에 하부 끝단 외향 주연부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내주면 상단에서 하단 일정 거리에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고,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내측와샤 돌출관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분기공의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되며 패킹 하부의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은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에 접촉하고 다수의 볼트 조임에 따라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가 내측와샤의 곡면 날개편에 의해 외향측으로 확경되어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상부 나사부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에 상기 분기관 외주면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 하측과 일체이며 분기공 주연부 배관 외면에 놓이는 곡면 날개편으로 되어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수단;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 중앙 구멍 상측에 상기 분기관 하부 내면에 꼽히는 돌출관이 일체이고, 돌출관 외주면 상단에서 하측으로 상기 관체형 패킹 내주면 돌부와 분기관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돌출관에 상기 분기관 내면 다수의 볼트 구멍과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상?하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을 상?하로 양분하고 경첩으로 상기 곡면 날개편 단면을 하나로 연결한 내측와샤; 및 상기 분기관과 상기 내측와샤를 조여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의해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가 외향 확경되어 패킹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다수의 볼트로 구성된 조립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 하측 주연부에 요홈테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 상부에 상기 분기관 하측 주연부의 요홈테에 대응하는 돌기테가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 하측과 패킹 상부가 맞물리게 할 수도 있고, 물론 분기관 하측과 패킹 상부를 일체로 하기 위해 2중 사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와샤는 돌출관 외주면 하부에 상기 패킹 하면이 놓이는 경사면과 곡면을 갖는 돌설테가 날개편 상에 분기공 직경보다 작게 돌설한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제2구성은 제1구성에서,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이 분기공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단면과 경첩이 없는 돌출관이 원통형인 하나로 된 내측와샤로 하면 내측와샤를 분기관과 다수 볼트로 가조임하고 분기공 속에 수직으로 단 한번(One-Touch)에 집어넣고 다수 볼트로 조임하면 분기공 속에서 관체형 패킹 하부 하면이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의해 1차로 분기공보다 크게 확경되고 2차로 체결 너트 조임에서 관체형 패킹이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에 긴밀하게 접촉, 수밀되고 배관에 체결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제3구성은 제2구성에서, 외주면 직경이 분기공 직경보다 크고 하면이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상면에 접촉되는 곡면이고 내주면은 상기 원통형 내측와샤 돌출관 끝단 주연부에 꼽히고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며 상면은 일정 두께로 된 곡면으로 되어 상기 수밀 패킹 하면에 접촉되는 보강와샤를 구비, 상기 원통형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상면과 상기 관체형 패킹 하면 사이에 상기 보강와샤를 추가 개재한 다른 구조의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가 되며, 이때 보강와샤가 고무재 등 탄성 부재인 경우에는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배관 내면에서 타이어 꼽듯이 강제로 꼽을 수 있다. 보강와샤가 비교적 강재질(PE, PVC, PC, ABS 등) 경우, 상기 보강와샤 하면에 본배관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 요홈이 1줄 이상 형성되어 길이 방향 요홈에서 상기 보강와샤가 휘어지게 하여 분기공에 집어넣을 수 있으며 원통형 내측와샤 상단에 인장선을 연결하고 보강와샤 내면을 인장선을 관통시켜 보강와샤와 원통형 내측와샤를 배관 내면에 집어넣고 인장선을 당겨 보강와샤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걸려 제1구성의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을 갖는 내측와샤와 같은 결과를 가지며 분기관 내면에서 다수의 볼트로 내측와샤 다수의 암나사와 조여 제1구성에서처럼 배관에 체결되는 다른 구조의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가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와샤 끝단 주연부 내향 일정 거리 상면이 외향 상측으로 높아지는 오목 곡면으로 하여 분기공보다 크게 확경된 관체형 패킹 하면을 가압하므로써,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개소를 수밀케 하며,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 및 홀커터 오차로 구멍이 커지는 경우에도 수밀이 되고 해체시에는 체결 너트를 풀고 조립 역순으로 해체하므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보강와샤 상면 곡면이 하면 곡면과 다른 곡률로 하면 보강와샤 교체만으로 배관 내면 직경이 다른 관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이들도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제4구성은 분기관, 내측와샤, 슬리브, 수밀 패킹, 새들, 체결 너트로 구성된다. 즉, 상?하 외경이 서로 다른 원통형이며, 상기 상부 원통형 외주면 일정 거리에 조임 걸림턱을 형성하고 걸림턱 하면에서 원통형 끝단까지 나사부가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하부 원통관에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암나사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면 직경이 상부보다 하부가 작게 되어 연결관이 놓이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평면인 분기관; 분기공 직경보다 큰 곡면 날개편 중앙 구멍 상측에 돌출관이 일체이고, 돌출관 외주면 상단에서 하측방으로 돌출관을 감싸는 슬리브 내면 길이 방향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은 평면으로 되어 돌출관을 감싼 슬리브 상부 내면 돌출테 하면에 접촉되고 돌출관 내면 일정 거리 하측에 상기 분기관의 직경이 작은 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와 상기 분기관 끝단 하면에 대응하는 내향 수평면이 일체인 내측와샤를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을 상?하로 절단하고 절단된 곡면 날개편 단면을 경첩으로 연결한 내측와샤; 전체적으로 관체형이며, 외주면이 상기 분기관 외주면과 동일 직경이며 새들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상단에서 하측방 일정 거리에 형성되고 내주면은 내측와샤 돌출관을 감싸는 내경이며 내주면에 상기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 하측에 관체형 패킹 상부가 일체이고, 상면은 평면으로 되고 내측와샤 돌출관 상면이 접촉되는 돌출테가 일체이고 돌출테 상면에 분기관 하면과 접촉되는 패킹이 일체인 슬리브; 관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는 상기 슬리브 하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 외에 하부 끝단 외향 주연부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내주면 상단에서 하단 일정 거리에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고,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내측와샤 돌출관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분기공의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되며 패킹 하부의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은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에 접촉하고 분기관을 회전, 내측와샤의 내면 암나사와 조임에 따라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가 내측와샤의 곡면 날개편에 의해 외향측으로 더욱 크게 확경되어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나사부와 상기 슬리브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에 상기 슬리브 외주면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 하측과 일체이며 분기공 주연부 배관 외면에 놓이는 곡면 날개편으로 되어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수단; 상기 분기관 하부 나사부를 상기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암나사와 조여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의해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가 외향 확경되어 패킹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조립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구성은 제1구성의 수밀 패킹이 분기관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와샤를 배관 내면에서 다수의 볼트로 조임하는 조립 수단인 반면, 제4구성에서는 별개의 슬리브를 구비하여 슬리브 하측에 관체형 패킹 상부를 일체로 하며 분기관 하부 나사부와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암나사로 단일 나사 조임으로 된 조립 수단이 제1구성과 다르며, 그 외에는 제1구성과 같다.
제5구성은 제2구성과 동일하며,
제6구성은 제3구성과 동일하여, 제4구성, 제5구성, 제6구성도 본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한다.
분기관 하측과 패킹 상부가 하나로 된 관체형 패킹이고 하부 하면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있어 분기공 속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작업성이 간편하며, 분기공이 규격보다 크거나 정교치 않은 경우에는 접이식 내측와샤를 사용하고, 홀커터 사용으로 분기공이 정교할 시에는 하나로 된 원통형 내측와샤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One-Touch 구조로 하며, 이에 분기공보다 직경이 큰 도너츠형 보강와샤를 원통형 내측와샤에 추가로 걸쳐지게 할 수도 있어 토압 등으로 변형된 배관과 홀커터로 분기공 끝단 주연부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분기관이 분기공에서 뽑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기공 속, 끝단 주연부, 배관 내면 주연부 등 3중 수밀이 되며, 보강와샤 교체만으로 배관 내경이 다른 관에 공통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는 도 1을 조립하고 배관에 삽입전 상태 설명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배관에 삽입하는 상태 설명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삽입후 가조임 상태 설명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다수의 볼트로 조인 상태 설명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체결 너트로 체결 완료한 상태 설명 단면도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도 6의 다른 실시예의 패킹 상부 결합 상태 설명 단면도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보강와샤 평면 설명도
도 8c, 도 8d, 도 8e, 도 8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보강와샤 단면 설명도
도 9a는 종래 새들 설명도
도 9b는 종래 내측와샤 설명도
도 9c는 종래 분기관 설명도
도 9d는 종래 너트 설명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일부 단면 정면도로써, 분기관(2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며 외면 주연부에 나사부(290)와 내면 일정 거리 주연부에 상?하로 된 다수의 볼트 구멍(230)을 형성한 돌출테(220) 형성과 분기관 하측에 관체형 패킹(70)의 상부(7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패킹(70)은 전체적으로 관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는 상기 분기관 하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 외에 하부 끝단 외향 주연부에 분기공 직경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730)이 일체이며 외주면 주연부에 하면 곡면을 따라 요홈테(717)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새들(100)은 분기관 외면 나사부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150)이 형성되고 하측에 분기공 주연부 배관 외면을 감싸는 곡면 날개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 출원 제10-2004-0075290호의 새들 설명에서처럼 내면에 돌부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분기관(200)의 외주면 상?하에 일정 거리로 형성되어 있어 너트로 회전시 분기관이 따라 돌지 못하며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분기관을 확실하게 정위치에 놓이게 새들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 사이에 지지편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너트(400)는 분기관 외면 나사부에 조임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외면에 돌부(410)가 다수 형성되어 조임을 용이케 한다. 내측와샤(300)는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310) 상측에 분기관 내면에 꼽히는 돌출관(360)이 형성되고 돌출관 외주면 상면에서 하측방으로 관체형 패킹 내면 돌부와 분기관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과 분기관 내면 볼트 구멍에 대응하는 암나사부(4)가 형성되고 상?하로 양분하여 곡면 날개편을 경첩(500)으로 하나로 연결한다. 내측와샤는 돌출관 외주면 하부에 패킹 하부 하면과 동일 경사면과 동일 곡면을 갖는 돌설테(369)가 날개편 상에 분기공 직경보다 작게 돌설할 수 있다. 부호(700)는 연결관을 나타내며 배관(600)에 분기공(650)이 형성되고 배관 외면(610), 배관 내면(620)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을 조립하고 배관에 삽입전 상태 설명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배관에 삽입하는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도 1에서 내측와샤(300)를 접어 분기공 속에 집어넣고, 분기관 하측의 패킹(70)이 일체이며 분기관에 새들과 너트를 가조임한 상태에서 분기관을 눌러 패킹(70)의 분기공 직경보다 큰 곡면 날개편(730)이 화살형으로 관체형 패킹 외면부에 중첩되며 외경 직경을 분기공 직경으로 축소되며 분기공 속에 원-터치(One-Touch)로 삽입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삽입후 가조임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도 2와 동일한 복원된 분기공 직경보다 큰 패킹 곡면 날개편이 복원된 상태이며, 내측와샤 돌출관이 분기관 내면 속에 꼽히고 다수 볼트로 가조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다수의 볼트로 조인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내측와샤 돌출관 하측 돌설테 상면이 외향측 하측방으로 경사면이면서 동시에 곡면으로 되고,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패킹 하면이 돌설테 상면에서 슬라이드 되며 확경되어 패킹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한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체결 너트로 체결 완료한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분기관에 조임된 너트(400)를 더욱 조여 새들 돌출관(150) 상면을 가압하므로써 분기관과 일체인 패킹 확개부(73)와 패킹 중앙부를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310)과 돌설 가압테(369)로 압박, 가압하므로써 배관 내면 주연부, 끝단 주연부, 분기공 속까지 누수를 차단하므로써 3중 수밀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분기관 하측을 감싼 패킹 상부(71)가 내측와샤 돌출관이 다수의 볼트로 조여질 때 분기관 하측 요홈테(211)에 상부 돌기테(711)가 압박되며 수밀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패킹 곡면 날개편(730) 외경 직경이 더욱 크게 확경되어 내측와샤 날개편(310)으로 가압되며 배관 내면에 밀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도 6의 다른 실시예의 패킹 상부 결합 상태 설명 단면도로써, 나사 결합 또는 요철 결합으로 패킹 상부의 요철관 분기관 하측에 대응하는 요철부가 분기관 내면에서 다수의 볼트로 내측와샤 암나사와 조임에 의해 패킹 상부 요철홈과 분기관 요철부가 압축, 밀착, 수밀되게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보강와샤 평면 설명도로써, 도 8a는 제2구성 설명에 따라 활용되는 보강와샤로써 보강와샤(80)의 외경(83) 직경이 분기공 직경보다 크고 내경(84)은 원통형 내측와샤 돌출관 끝단 외주면에 접촉되는 직경으로 되고 내주면 돌부(89)는 원통형 내측와샤 외주면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8b는 도 8a의 보강와샤 일측을 절개한 절단면(88)인 절단 보강와샤를 나타내며 제3구성 설명에 따라 활용되는 절단 보강와샤로써 도 8a는 분기공 내면 속에서 원통형 내측와샤 외주면을 타고 내려가 걸쳐져 원통형 돌출관만 나오게 하여 조립하는 반면, 도 8b는 분기관에 미리 원통형 내측와샤를 가조임하고 분기공 속에 가조임된 원통형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과 관체형 패킹 하면 사이에 배관 내면에서 절단 보강와샤 일측부터 360°회전하여 조립하게 된다. 도 8c, 도 8d, 도 8e, 도 8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보강와샤 단면 설명도로써, 도 8a의 보강와샤 하면에 본배관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 요홈(86)을 1줄 이상 형성하므로써 분기공에 삽입시 길이 방향 요홈에서 휘어져 쉽게 삽입되게 된다. 도 8d는 절단 보강와샤 절단면(88)이 일정 거리 길게 겹쳐지고 겹쳐진 단면에 요철 또는 돌부와 요홈이 대응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절단 보강와샤 하면에 하측방으로 돌부(87)를 형성, 원통형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요홈 또는 구멍에 대응되게 형성하므로써 정위치에 조립되게 하고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도 8e는 도 8d처럼 보강와샤 하면에 돌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f는 보강와샤 또는 절단 보강와샤 하측에 원통형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을 감싸는 돌출테(85)를 나타내고 끝단 주연부 내향 일정 거리 상면이 외향 상측으로 높아지는 오목 곡면(813)을 형성하여 수밀 패킹의 외향 확경된 하면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내향 일정 거리 주연부에 분기공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내향 중심측방으로 높아지는 내향 곡면(814)을 형성하여 절단 보강와샤가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도 9a는 종래 새들 설명도이고, 도 9b는 종래 내측와샤 설명도이며, 도 9c는 종래 분기관 설명도, 도 9d는 종래 너트 설명도로써, 본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4-0075290호의 도 5, 도 6, 도 7, 도 8을 나타내며, 선출원 상세 설명처럼 새들(100) 내면에는 돌부(130)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새들의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 사이에 지지부가 점선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너트(400)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부(410)가 형성되어 있어 공구 등으로 강력하게 조일 때 활용한다.
4 : 암나사 5 : 볼트
70 : 관체형 패킹 71 : 상부
72 : 중앙부 73 : 하부 하면(확개부)
80 : 보강와샤 81, 82 : 상?하면
83, 84 : 외?내면 85 : 돌출테
86 : 길이 방향 요홈 87 : 하면 돌부
88 : 절단면 89 : 내면 돌부
100 : 새들 130 : 돌부
150 : 돌출관 211 : 분기관 하측 요홈테
220 : 돌출테 230 : 볼트 구멍
290 : 나사부 300 : 내측와샤
310 : 곡면 날개편 360 : 돌출관
369 : 돌설테 400 : 너트
410 : 돌부 500 : 경첩
600 : 본배관 610 : 외면
620 : 내면 650 : 분기공
700 : 연결관 710 : 상면 요홈테
711 : 상부 돌기테 717 : 요홈테
730 : 화살형 곡면 날개편

Claims (18)

  1. 배관 측면 분기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원통형이며, 외주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거리에 나사부와 상단에서 일정 거리 하측방으로 새들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며 내면 일정 거리 주연부에 상?하로 된 다수의 볼트 구멍을 갖는 돌출테 형성과 돌출테 하측에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 하측에 관체형 패킹 상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분기관;
    관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는 상기 분기관 하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 외에 하부 끝단 외향 주연부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내주면 상단에서 하단 일정 거리에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고,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내측와샤 돌출관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분기공의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되며 패킹 하부의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은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에 접촉하고 다수의 볼트 조임에 따라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가 내측와샤의 곡면 날개편에 의해 외향측으로 확경되어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상부 나사부에 꼽히고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에 상기 분기관 외주면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 하측과 일체이며 분기공 주연부 배관 외면에 놓이는 곡면 날개편으로 되어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수단;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 중앙 구멍 상측에 상기 분기관 하부 내면에 꼽히는 돌출관이 일체이고, 돌출관 외주면 상단에서 하측으로 상기 관체형 패킹 내주면 돌부와 분기관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돌출관에 상기 분기관 내면 다수의 볼트 구멍과 대응하는 암나사부를 상?하로 형성하며 상기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을 상?하로 양분하고 경첩으로 상기 곡면 날개편 단면을 하나로 연결한 내측와샤; 및
    상기 분기관과 상기 내측와샤를 조여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에 의해 패킹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가 외향 확경되어 패킹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다수의 볼트로 구성된 조립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하측 주연부에 요홈테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 상부에 상기 분기관 하측 주연부의 요홈테에 대응하는 돌기테가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 하측과 패킹 상부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와샤는 돌출관 외주면 하부에 상기 패킹 하면이 놓이는 경사면과 곡면을 갖는 돌설테가 날개편 상에 분기공 직경보다 작게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이 분기공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단면과 경첩이 없는 돌출관이 원통형인 하나로 된 내측와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외주면 직경이 분기공 직경보다 크고 하면이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상면에 접촉되는 곡면이고 내주면은 상기 원통형 내측와샤 돌출관 끝단 주연부에 꼽히고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며 상면은 일정 두께로 된 곡면으로 되어 상기 수밀 패킹 하면에 접촉되는 보강와샤를 구비, 상기 원통형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상면과 상기 관체형 패킹 하면 사이에 상기 보강와샤를 추가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하면에 본배관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 요홈이 1줄 이상 형성되어 길이 방향 요홈에서 상기 보강와샤가 휘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끝단 주연부 내향 일정 거리 상면이 외향 상측으로 높아지는 오목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하면에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외주면을 감싸는 돌출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상면 곡면이 하면 곡면과 다른 곡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0. 배관 측면 분기공에 분기관을 부착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하 외경이 서로 다른 원통형이며, 상기 상부 원통형 외주면 일정 거리에 조임 걸림턱을 형성하고 걸림턱 하면에서 원통형 끝단까지 나사부가 형성되고 직경이 작은 하부 원통관에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암나사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면 직경이 상부보다 하부가 작게 되어 연결관이 놓이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평면인 분기관;
    분기공 직경보다 큰 곡면 날개편 중앙 구멍 상측에 돌출관이 일체이고, 돌출관 외주면 상단에서 하측방으로 돌출관을 감싸는 슬리브 내면 길이 방향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은 평면으로 되어 돌출관을 감싼 슬리브 상부 내면 돌출테 하면에 접촉되고 돌출관 내면 일정 거리 하측에 상기 분기관의 직경이 작은 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와 상기 분기관 끝단 하면에 대응하는 내향 수평면이 일체인 내측와샤를 돌출관과 곡면 날개편을 상?하로 절단하고 절단된 곡면 날개편 단면을 경첩으로 연결한 내측와샤;
    전체적으로 관체형이며, 외주면이 상기 분기관 외주면과 동일 직경이며 새들 내면 돌부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요홈이 상단에서 하측방 일정 거리에 형성되고 내주면은 내측와샤 돌출관을 감싸는 내경이며 내주면에 상기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 돌부가 형성되고 하부 하측에 관체형 패킹 상부가 일체이고, 상면은 평면으로 되고 내측와샤 돌출관 상면이 접촉되는 돌출테가 일체이고 돌출테 상면에 분기관 하면과 접촉되는 패킹이 일체인 슬리브;
    관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를 가지면서 상부는 상기 슬리브 하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하면이 곡면인 관체형 확개부 외에 하부 끝단 외향 주연부에 분기공보다 큰 화살형 곡면 날개편이 일체이며, 내주면 상단에서 하단 일정 거리에 내측와샤 돌출관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고, 관체형 접촉부의 내주면은 내측와샤 돌출관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분기공의 원주에 긴밀하게 접촉되며 패킹 하부의 분기공보다 큰 곡면 날개편은 분기공 배관 내면 주연부에 접촉하고 분기관을 회전, 내측와샤의 내면 암나사와 조임에 따라 관체형 확개부가 내측와샤의 곡면 날개편에 의해 외향측으로 더욱 크게 확경되는 패킹으로 구성된 수밀 수단;
    상기 분기관 나사부와 상기 슬리브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돌출관에 상기 슬리브 외주면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 하측과 일체이며 분기공 주연부 배관 외면에 놓이는 곡면 날개편으로 되어 상기 분기관이 분기공과 정위치에 정확히 지지케 하는 새들;
    상기 분기관 나사부에 조임되고 새들 돌출관 상면을 가압하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 수단;
    상기 분기관 하부 나사부를 상기 내측와샤 돌출관 내면 암나사와 조임에 따라 관체형 확개부가 외향 확경되어 패킹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을 더욱 크게 하는 조립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하측 주연부에 요홈테를 형성하고, 상기 패킹 상부에 상기 슬리브 하측 주연부의 요홈테에 대응하는 돌기테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하측과 패킹 상부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와샤는 돌출관 외주면 하부에 상기 패킹 하면이 놓이는 경사면과 곡면을 갖는 돌설테가 날개편 상에 분기공 직경보다 작게 돌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외경 직경이 분기공 직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단면과 경첩이 없는 돌출관이 원통형인 하나로 된 내측와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주면 직경이 분기공 직경보다 크고 하면이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상면에 접촉되는 곡면이고 내주면은 상기 원통형 내측와샤 돌출관 끝단 주연부에 꼽히고 길이 방향 요홈에 대응하는 돌부를 형성하며 상면은 일정 두께로 된 곡면으로 되어 상기 수밀 패킹 하면에 접촉되는 보강와샤를 구비, 상기 원통형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상면과 상기 관체형 패킹 하면 사이에 상기 보강와샤를 추가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하면에 본배관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 요홈이 1줄 이상 형성되어 길이 방향 요홈에서 상기 보강와샤가 휘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끝단 주연부 내향 일정 거리 상면이 외향 상측으로 높아지는 오목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하면에 상기 내측와샤 곡면 날개편 외주면을 감싸는 돌출테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샤 상면 곡면이 하면 곡면과 다른 곡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110014430A 2010-04-09 2011-02-18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20036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2519 2010-04-09
KR1020100098092 2010-10-08
KR1020100098092A KR20110113552A (ko) 2010-04-09 2010-10-08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25A true KR20120036725A (ko) 2012-04-18

Family

ID=450288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092A KR20110113552A (ko) 2010-04-09 2010-10-08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20110014430A KR20120036725A (ko) 2010-04-09 2011-02-18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092A KR20110113552A (ko) 2010-04-09 2010-10-08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10113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92B1 (ko) * 2011-11-09 2013-08-19 오강원 하수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552A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379B1 (ko) 관 연결 조립장치
KR101051267B1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2146010B1 (ko) 하수관 연결장치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20036725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90089825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JP2008208898A (ja) ホース接続のフランジ式コネクタ
KR20080075446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100836905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2012003185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0873199B1 (ko) 하수관용 연결구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134523B1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00091139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120037338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20110121165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02283Y1 (ko) 확관용 와셔가 구비된 패킹을 포함하는 이음관
KR20110086785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CN210693370U (zh) 用于穿壁管件的密封件
KR20120037303A (ko) 분기관 소켓 부착장치
KR100772578B1 (ko) 절단된 주관에 체결되는 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