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715A -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715A
KR20100090715A KR1020107014419A KR20107014419A KR20100090715A KR 20100090715 A KR20100090715 A KR 20100090715A KR 1020107014419 A KR1020107014419 A KR 1020107014419A KR 20107014419 A KR20107014419 A KR 20107014419A KR 20100090715 A KR20100090715 A KR 20100090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engagement
engaging
shaf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388B1 (ko
Inventor
히로시 후지타
히데유키 안도
히사오 스즈키
카즈하루 하야마
야스히로 오다
Original Assignee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아이
코에이 긴조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아이, 코에이 긴조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 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의 상하에 콘을 설치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로서, 수동조작에 의해 하측 콘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갑판상의 소켓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짐 부리기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고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연결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측 콘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로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며,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될 때에 회전하지 않아도 상기 콘의 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를 더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용 연결금구{CONTAINER CONNECTO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 고박(固縛) 기술에 관련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금구는, 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 또는 컨테이너를 선박의 갑판상에 고정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종래부터, 하기 특허문헌 1 등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컨테이너의 하면에 설치한 하부 코너 캐스팅(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 또는 컨테이너의 하면에 설치한 하부 코너 캐스팅(컨테이너를 선박의 갑판상에 고정하는 경우)에 걸림결합되는 상측 콘과, 하단 컨테이너의 상면에 설치한 상부 코너 캐스팅(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 또는 선박의 갑판상에 설치한 소켓(컨테이너를 선박의 갑판상에 고정하는 경우)에 걸림결합되는 하측 콘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가 알려져 있으며, 상하의 콘은 각각 회전축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고,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으로부터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매우 강력한 컨테이너 고박력이 발휘되지만, 그 반면 수동조작에 의해 콘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콘을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으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짐 부리기 작업이 수고스러웠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공고공보 H5(1993)-2351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수동조작에 의해 하측 콘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갑판상의 소켓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이로써 짐 부리기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종래의 콘 회전 걸림결합구조와 동등한 고박력을 발휘할 수 있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컨테이너용 연결금구는,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lower corner casting) 및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upper corner casting) 사이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 및 갑판상의 소켓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상의 지지반부(support panel portion)의 상하에 각각 상기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에 회전저지된 상태에서 끼워지는 끼움부를 일체 성형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된 축과, 상기 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되는 상측 콘(upper cone)과, 상기 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는 하측 콘(lower cone)과,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축을 1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축회전 조작수단과, 상기 축을 복귀 회전시키는 복귀 스프링과,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축을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축회전 정지수단을 가지고, 상기 상측 콘은, 하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로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하측 콘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회전하지 않아도 상기 콘의 일측면에 형성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를 더 가지며, 상기 제 2 걸림결합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해 장착시에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을 걸림결합구멍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형상의 제 1 안내면을 걸림결합부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결합부의 통과후에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위된 하측 콘을 복귀이동시켜 걸림결합부를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사면형상의 제 2 안내면을 하측 끼움부에 설치하고, 분리시에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을 걸림결합구멍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형상의 제 3 안내면을 걸림결합부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축은, 회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제 1 회전정지위치 및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고,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는,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 2 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에 정면으로 마주 대하며 작동 가능하게 되고,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는,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 및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모두 걸림결합위치에 있으며, 상기 연결금구의 정상 사용시, 축은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하고, 하측 콘은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에 자동으로 걸림결합되고, 자동으로 빠지며, 상기 연결금구의 고박력 강화시, 축은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하고, 하측 콘은 회전걸림결합구조에서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2항에 따른 연결금구는, 상기한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은, 축의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 중립인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3항에 따른 연결금구는, 상기한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4항에 따른 연결금구는, 상기한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양 가장자리변에 대한 양단부의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5항에 따른 연결금구는, 상기한 청구범위 제 1항에 기재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양 가장자리변에 대한 양단부의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짧은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짧은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 6항에 따른 연결금구는, 상기한 청구범위 제 1항 기재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양 가장자리변에 대한 양단부의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결금구는,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갑판상의 소켓에 걸림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해서, 하측 콘을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에 걸림결합시키는 회전걸림결합구조와, 하측 콘을 회전시키지 않고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에 걸림결합시키는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의 2가지의 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자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이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어 그 걸림결합 해제위치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매우 강력한 고박력이 발휘되지만, 그 반면에 수동조작에 의해 하측 콘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하측 콘을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으로부터 분리할 수가 없다.
한편, 후자의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이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회전시키지 않아도 상기 콘의 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것으로서, 고박력은 전자의 회전걸림결합구조보다 작지만, 그 반면에 수동조작에 의해 하측 콘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하측 콘을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상시에는, 고박력은 비교적 작지만 짐 부리기의 작업성이 양호한 후자의 제 2 걸림결합구조를 이용하고, 악천후시 등 선박의 흔들림이 큰 비상시에만, 고박력이 큰 전자의 회전걸림결합구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짐 부리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고박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후자의 제 2 걸림결합구조의 걸림결합·분리의 메커니즘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연결금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 또는 컨테이너를 갑판상에 고정하는 경우에 이용되는데, 이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서의 설명은, 전자의 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후자의 컨테이너를 갑판상에 고정하는 경우는, 이하의 설명에서의 「상단 컨테이너」가 「컨테이너」로,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이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으로, 「하단 컨테이너」가 「갑판상」으로,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이 「갑판상의 소켓」으로 각각 치환되게 된다.
즉, 회전축의 하단에 하측 콘이 설치되고, 상기 하측 콘은 케이스의 하측 끼움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측 콘은 이것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걸림결합구조로서 작동하는 것으로서, 그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어서 회전하지 않고 작동하는 이하의 제 2 걸림결합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하측 콘의 일측면에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결합부가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됨으로써 하측 콘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에 대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걸림결합부는 횡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로서, 그 상면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된다.
또한, 걸림결합부의 하부에 경사면형상의 제 1 안내면이 설치되고, 하측 끼움부에 마찬가지로 경사면형상의 제 2 안내면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면은, 상측 콘이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에 걸림결합되어 연결금구가 상단 컨테이너에 장착되고, 상단 컨테이너가 크레인에 의해 매달려,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에 걸림결합시킬 때에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는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기 때문에, 그 걸림결합위치의 수직 상방으로부터 내려온 후,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과 간섭하므로,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에 삽입할 수가 없다. 따라서, 걸림결합부의 하부에 제 1 안내면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안내면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을 걸림결합구멍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걸림결합부는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하고, 하측 콘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된다. 또한 하측 끼움부에 제 2 안내면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안내면이 걸림결합부의 통과후에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위한 하측 콘을 복귀이동시켜 걸림결합부를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걸림결합부는 걸림결합구멍의 가장자리변의 하측으로 들어가, 걸림결합구멍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걸림결합부의 상부에 경사면형상의 제 3 안내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 3 안내면은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상단 컨테이너를 크레인으로 끌어 올려, 하측 콘에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이탈 하중(come-off load)이 작용하면, 상기 제 3 안내면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을 걸림결합구멍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걸림결합부는 걸림결합구멍을 이탈 방향으로 통과하여, 하측 콘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상의 작동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한 걸림결합은, 소정값 미만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빠지지 않고,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 빠지도록 설정되며, 이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고박력이 발휘된다.
하측 콘에 대해서 상기 2가지의 걸림결합구조를 갖는 연결금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정상시)
크레인으로 매어 단 상태의 상단 컨테이너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에 상측 콘을 가지고 연결금구를 수작업으로 장착한다. 이러한 작업의 개시시, 축은 예컨대 제 1 회전정지위치 또는 제 2 회전정지위치에 있다. 이하는 축이 제 1 회전정지위치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축이 제 1 회전정지위치에 있는 경우, 상하 콘의 회전위치에 대해, 상측 콘은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은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다. 이어서, 크레인을 조작하여 상단 컨테이너를 하단 컨테이너의 바로 위로 이동시켜 수직으로 내리는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면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1 안내면의 슬라이딩 이동, 제 2 안내면의 슬라이딩 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하측 콘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에 자동으로 걸림결합된다. 이것으로 적하작업은 종료하며, 상하의 컨테이너는 비교적 작은 고박력을 가지고 연결된다. 컨테이너 적재 선박의 항행이 다행스럽게도 날씨가 좋거나 하여 악천후 등의 비상시에 조우하지 않는 한, 상하 컨테이너의 연결상태는 이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선박이 목적지에 도착한 후 짐 부리기시, 크레인에 의해 상단 컨테이너를 하단 컨테이너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그러면,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3 안내면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져, 하측 콘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하측 콘을 수동으로 회전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만큼, 짐 부리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크레인으로 매어 단 상태의 상단 컨테이너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상측 콘을 수작업으로 분리한다.
(비상시)
상기 경과의 도중에서 예컨대 악천후 등의 비상시에 조우한 경우, 선원의 판단에 따라, 상하 컨테이너의 연결상태를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한 고박력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부터 회전연결구조에 의한 고박력이 비교적 큰 것으로 전환한다. 즉, 선원은 수동으로 축회전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축을 1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축회전 정지수단에 의해 축을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측 콘은 여전히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한편, 하측 콘은 걸림결합 해제위치부터 걸림결합위치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하측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매우 강력한 고박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선박이 크게 흔들려도 짐이 무너지거나 컨테이너의 유출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비상시 종료후 내지는 목적지 도착후, 수동으로 축회전 정지수단을 해제하고, 축을 복귀 스프링으로 복귀 회전시켜, 하측 콘을 걸림결합 해제위치로 되돌린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상단 컨테이너를 하단 컨테이너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3 안내면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져, 하측 콘이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다. 이어서, 크레인으로 매어 단 상태의 상단 컨테이너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으로부터 상측 콘을 수작업으로 분리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적절하게 사용하면,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대로, 짐 부리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고박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정상시에서의 작업의 개시시, 축이 초동위치로서 제 2 회전정지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금구를 상단 컨테이너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에 장착한 단계에서, 하측 콘이 제 2 걸림결합구조로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에 자동으로 걸림결합되도록 축을 제 2 회전정지위치로부터 제 1 회전정지위치로 회전시키는 작업이 가해진다.
상기 정상시 및 비상시의 작동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은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한 상태가 기본적인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 놓이는 시간이 길다. 따라서 축을 복귀 회전시키는 복귀 스프링에 대해, 축이 제 1 회전정지위치에 있을 때에 중립인 상태(탄성변형되어 있지 않은 자유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복귀 스프링에 가해지는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청구범위 제 2항).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장착상태 즉 케이스의 끼움부가 코너 캐스팅의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축을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코너 캐스팅에 대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력이 증대한다(청구범위 제 3항).
단, 이와 같이 축을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시켜 배치하면, 이에 따라 상측 콘도 편심되어 배치되므로,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에 대해, 상측 콘의 평면형상에서의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같은 크기이면, 상측 콘의 코너 캐스팅에 대한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층 적합한 구성으로서 청구범위 제 4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측 콘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을 크게 설정하고,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을 확대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이것은, 상측 콘의 평면형상에서의 짧은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청구범위 제 5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짧은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짧은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이것도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을 크게 설정하고,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을 확대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이것은,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청구범위 제 6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축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을 크게 설정하고,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을 확대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들 구조에 따르면, 상하 콘의 코너 캐스팅에 대한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걸림결합력 즉 컨테이너 고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즉,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콘을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갑판상의 소켓에 걸림결합시키는 구조에 관하여, 하측 콘을 회전시키는 회전걸림결합구조와, 하측 콘을 회전시키지 않는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의 2가지의 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그것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짐 부리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고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이에 덧붙여, 청구범위 제 2항에 따른 구성에 따르면, 복귀 스프링에 가해지는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고, 청구범위 제 3항 또는 제 6항에 따른 구성에 따르면, 상하 콘의 코너 캐스팅에 대한 걸림결합력 나아가서는 컨테이너 고박력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연결금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연결금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연결금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연결금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연결금구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연결금구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연결금구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연결금구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및 (B) 모두 상측 콘의 걸림결합면적의 설명도이다.
도 14의 (A) 및 (B) 모두 하측 콘의 걸림결합면적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의 정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우측면도, 도 4는 좌측면도, 도 5는 평단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상하 콘의 회전위치의 설명도, 도 9 내지 도 12는 상기 연결금구의 작동상태 설명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결금구는, 그 기능 및 구조로 보아, 컨테이너 고박 트위스트 록이라고 불리우는 경우도 있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설명도, 복수의 컨테이너를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따라서 컨테이너를 갑판상에 고정하는 경우는, 이하의 설명에서의 「상단 컨테이너」가 「컨테이너」로,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이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으로, 「하단 컨테이너」가 「갑판상」으로,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이 「갑판상의 소켓」으로 각각 치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금구(1)는, 먼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 및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 도 9 참조)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상의 지지반부(2a)의 상하에 각각, 코너 캐스팅(22, 25)의 걸림결합구멍(23, 26)에 회전저지된 상태로 끼워지는 상하의 끼움부(2b, 2c)를 일체 성형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된 축(회전축; 3)과, 상기 축(3)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 내에 삽입되는 상측 콘(4)과, 축(3)의 하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 내에 삽입되는 하측 콘(5)과, 수동조작에 의해 축(3)을 1회전 방향으로 회전(상측에서 볼 때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축회전 조작수단(6)과, 축(3)을 복귀 회전(상측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복귀 스프링(10)과, 수동조작에 의해 축(3)을 소정의 회전위치(해당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제 2 회전정지위치(도 7) 및 제 3 회전정지위치(도 8))에서 정지시키는 축회전 정지수단(11)을 가지고 있다.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적재되는 상하의 컨테이너(21, 24) 중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하면에 개구하는 걸림결합구멍(23)을 갖는 동시에 그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다. 걸림결합구멍(23)은 도 6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개구형상이 직사각형(평면상의 한 방향의 길이가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보다 긴 형상, 이하 동일)으로 형성되어 연결금구(1)의 장착(끼움부(2b) 및 콘(4)의 삽입)에 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마찬가지로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케이스(2)의 상측 끼움부(2b)가 방향을 맞추어 회전저지된 상태에서 끼워진다.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은,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적재되는 상하의 컨테이너(21, 24) 중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면에 개구하는 걸림결합구멍(26)을 갖는 동시에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다. 걸림결합구멍(26)은 도 6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개구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금구(1)의 장착에 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마찬가지로 평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케이스(2)의 하측 끼움부(2c)가 방향을 맞추어 회전저지된 상태에서 끼워진다.
지지반부(2a) 및 상하의 끼움부(2b, 2c)를 일체로 구비한 케이스(2)는, 부품으로서 이것을 정면에서 볼 때 좌우 2개로 나뉘고, 좌우의 반체(半體)가 서로 볼트체결되어 있다.
케이스(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된 축(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내부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설치한 아암형상의 접촉부(3a)가 케이스(2) 내면에 설치한 스토퍼부(2d)에 접촉함으로써 정지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3a)가 스토퍼부(2d)에 접촉한 상태의 정지위치가 축(3)의 제 1 회전정지위치이며 또한 그 초동위치(도 6)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2)가 좌우 2개로 나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축(3)은 그 형상이 단순화되고, 이로써 주조가 아닌 고강도의 단조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상측 콘(4)은, 평면이 직사각형을 기조로 하여 형성되고, 걸림결합구멍(23)으로의 삽입에 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콘(4)은,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오픈포지션(open position), 도 8)로부터 걸림결합위치(록 포지션(lock position), 도 6 또는 도 7)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4)의 길이방향 양단의 걸림결합단부(4a)가 각각 걸림결합구멍(23)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콘(4)의 상부에는, 상기 상측 콘(4)을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에 장착할 때, 걸림결합위치(초동위치, 도 6)에 있는 상기 콘(4)을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의 걸림결합구멍(23)의 외측가장자리변에 가압하였을 때에 걸림결합구멍(23)의 외측가장자리변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콘(4)을 걸림결합위치(초동위치, 도 6)로부터 걸림결합 해제위치(도 8)로 자동회전시키는 캠면(4b)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 콘(5)은, 이것도 평면이 직사각형을 기조로 하여 형성되고, 걸림결합구멍(26)으로의 삽입에 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콘(5)은,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회전걸림결합구조의 걸림결합 해제위치로서 제 2 걸림결합구조의 걸림결합 해제위치는 아님, 도 6)로부터 걸림결합위치(도 7)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5)의 긴 방향 양 단의 걸림결합단부(5a)가 각각 걸림결합구멍(26)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회전하지 않아도 상기 콘(5)의 일측면(한쪽의 긴 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의 가장자리변(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는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를 더 가지고 있다.
상기 제 2 걸림결합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해,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5b)의 하부에는, 장착시에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5)을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형상의 제 1 안내면(5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끼움부(2c)의 반대쪽의 측면에는,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을 통과한 후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위한 하측 콘(5)을 복귀이동시켜 걸림결합부(5b)를 걸림결합구멍(26)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사면형상의 제 2 안내면(5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결합부(5b)의 상부에는, 분리시에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5)을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다시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을 이탈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형상의 제 3 안내면(5e)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면(5c, 5d, 5e)은 모두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걸림결합구멍(26)의 직선형상의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선접촉의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하측 콘(5)에서의 회전걸림결합구조와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를 비교하면, 전자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력(고박력)이 크고, 후자의 제 2 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력(고박력)이 작은 관계에 있다. 전자의 회전걸림결합구조에 의한 걸림결합에 비해, 후자의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는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과의 걸림결합부가 한쪽으로 치우치고, 걸림결합면적이 작기 때문에, 코너 캐스팅(25)이 구조 강도상의 보틀넥(bottleneck)이 되고, 탄성변형에서 소성변형으로 바뀌는 항복점, 파단하중이 회전걸림결합구조보다 낮아진다. 이에 따라, 선박운항중의 악천후 조우시에 코너 캐스팅(25)에 잔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회전걸림결합구조보다 높아진다. 단, 전자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분리시에 콘(5)을 회전시키기 위해 수동조작을 필요로 하지만, 후자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수동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레인으로 상단 컨테이너(21)를 매달아 올릴 때에 자동으로 빠진다는 조작상의 메리트가 있다.
상하 콘(4, 5)의 회전위치에 대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이 제 1 회전정지위치에 있을 때,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으며,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의 가장자리변(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을 정면으로 마주 대하며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이 축회전 정지수단(11)에 의한 제 2 회전정지위치에 있을 때,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도 걸림결합위치에 있다.
축회전 조작수단(6)은, 와이어 구조로서, 축(3) 및 상하의 콘(4, 5)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7)의 일단이 축(3)의 주위를 둘러싸게 하여 축(3)에 고정하는 동시에 와이어(7)의 타단을 케이스(2)의 외부로 끌어 낸 것으로서, 와이어(7)의 타단에 부착한 그립(8)을 잡고 잡아 당기면, 축(3) 및 상하의 콘(4, 5)이 복귀 스프링(10)의 탄성에 대항하여 1회전 방향(상측에서 볼 때 왼쪽으로 회전)으로 회전한다(도 6→도 7→도 8). 또한 인장력을 해제하면, 축(3) 및 상하의 콘(4, 5)이 복귀 스프링(10)의 탄성에 의해 반대방향(상측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회전)으로 복귀 회전한다(도 8→도 7→도 6).
복귀 스프링(10)은, 케이스(2)의 내부에서 축(3)의 둘레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을 케이스(2)쪽에 걸어고정하는 동시에 타단을 축(3)쪽에 걸어고정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축회전 조작수단(6)에 의해 1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진 축(3)을 복귀 회전시킨다. 축(3)이 복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와이어(7)도 케이스(2) 내에 끌려 들여진다.
축회전 정지수단(11)은, 와이어 록 구조로서, 축(3) 및 상하의 콘(4, 5)을 복귀 스프링(10)의 탄성에 대항하여 제 2 회전정지위치(도 7) 또는 제 3 회전정지위치(도 8)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마우스피스부재(12) 및 이것을 케이스(2)에 가압고정하는 압축 스프링(13)을 가지고, 와이어(7)의 중간에 설치한 피스부재(9)를, 마우스피스부재(12)의 개구부에 설치한 노치(12a, 12b)에 걸림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7)를 끌어낸 상태로 정지시킨다. 노치(12a, 12b)는 마우스피스부재(12)의 개구부의 상하 2군데에 형성되어 있어, 축(3)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까운 한쪽의 노치(12a; 도 5 참조)에 피스부재(9)를 걸림결합시키면, 상하의 콘(4, 5)은 도 7의 상태(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하고, 먼 다른 쪽의 노치(12b; 도 2 참조)에 피스부재(9)를 걸림결합시키면, 상하의 콘(4, 5)은 도 8의 상태(제 3 회전정지위치, 즉 상측 콘(4)의 걸림결합 해제위치)에서 정지한다(상기 제 3 회전정지위치는, 상기 연결금구를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사용함).
상기 구성의 연결금구(1)는, 아래와 같이 사용되며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정상시 그 1(컨테이너 적재시)]
하단 컨테이너(24) 상에 상단 컨테이너(21)를 적재할 때, 먼저 크레인으로 매어 단 상태의 상단 컨테이너(21)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에 상측 콘(4)을 가지고 연결금구(1)를 수작업으로 장착한다. 작업 당초, 축(3)은 그 초동위치로서 제 1 회전정지위치(도 6)에 있고, 상하 콘(4, 5)의 회전위치에 대해, 상측 콘(4)은 걸림결합위치에 있으며, 하측 콘(5)은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다. 도 6의 상태의 상측 콘(4)을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의 걸림결합구멍(23)의 외측가장자리변에 강하게 가압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면 캠면(4b)이 걸림결합구멍(23)의 외측가장자리변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측 콘(4)이 걸림결합위치(도 6)로부터 걸림결합 해제위치(도 8)로 자동회전하며, 걸림결합구멍(23)을 통과하고, 통과 후에는 복귀 스프링(10)의 탄성에 의해 복귀 회전하여 걸림결합위치(도 6)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상측 콘(4)의 걸림결합단부(4a)가 걸림결합구멍(23)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연결금구(1)가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을 조작하여 상단 컨테이너(21)를 하단 컨테이너(24)의 바로 위로 이동시켜 수직으로 내린다. 그러면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1 안내면(5c)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외측가장자리변에 접촉·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이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평면상 한 방향(도면에서는 화살표 x방향)으로 변위하고,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를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금구(1)는 상단 컨테이너(21)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에 매달린 상태에 있으므로, 하측 콘(5)이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평면상 한 방향(도면에서는 화살표 x방향)으로 변위하면, 연결금구(1) 전체, 이것을 매어 단 하부 코너 캐스팅(22) 및 이것을 부착한 상단 컨테이너(21)도 동시에 변위한다. 또, 컨테이너(21, 24)를 적재할 경우, 코너 캐스팅(22, 25)은 컨테이너(21, 24)의 평면상 4 모퉁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금구(1)는 4개 이용된다. 이 경우, 컨테이너(21, 24)의 평면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고, 그 한쪽의 긴 변의 양단에 이용되는 2개의 연결금구(1)는 그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의 돌출 방향을 긴 한쪽 방향을 향해 배치하고, 다른 쪽의 긴 변의 양단에 이용되는 남은 2개의 연결금구(1)는 그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의 돌출방향을 긴 다른 쪽을 향해서 배치한다. 그러면 전자 2개의 연결금구(1)와 후자 2개의 연결금구(1)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변위작동하므로, 이 작동의 한도내에서 상단 컨테이너(21)는 하단 컨테이너(24)에 대해 회전한다. 이 회전은 크레인에 의한 서스펜딩부(suspended portion)를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운동이 되기 때문에, 회전 밸런스가 양호하다.
도 10의 상태로부터 상단 컨테이너(21)를 더 내리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은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을 완전히 통과하고, 이어서,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2 안내면(5d)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반대쪽의 외측가장자리변에 접촉·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위한 하측 콘(5)이 평면상 한 방향과는 반대방향(도면에서는 화살표 y방향)으로 복귀이동하고,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하측 콘(5)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지려고 하여도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가 그 상면(즉 제 3 안내면(5e))을 가지고 걸림결합구멍(26)의 가장자리변에 그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어 이탈 고정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하측 콘(5)이 빠지는 경우가 없다. 또, 상기 걸림결합구멍(26)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한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의 걸림결합은, 소정값 미만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빠지지 않도록 설정되고, 후기하는 짐 부리기 작업시와 같이 크레인 등으로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하면 이 걸림결합은 자동으로 빠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한 컨테이너 고박력은, 비교적 작다.
이상의 순서로, 평상시의 컨테이너 적재 작업은 종료되고, 상하의 컨테이너(21, 24)는 비교적 작은 고박력을 가지고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한 하측 콘(5)의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으로의 장착은 제 1 및 제 2 안내면(5c, 5d)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정상시 그 2(짐 부리기시)]
컨테이너 적재 선박의 항행이 다행스럽게도 날씨가 좋거나 하여 악천후 등의 비상시에 조우하지 않는 한, 상하 컨테이너(21, 24)의 연결상태는 상기와 같은 순서로 종료상태(도 12의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하측 콘(5)은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선박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상단 컨테이너(21)를 내릴 때에는, 연결금구(1)를 특별히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고, 크레인으로 상단 컨테이너(21)를 하단 컨테이너(24)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이때 하측 콘(5)에는 상기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면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3 안내면(5e)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이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평면상 한 방향으로 다시 변위하고,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를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을 이탈 방향으로 통과하고, 하측 콘(5)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하측 콘(5)을 수동으로 회전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만큼, 짐 부리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크레인으로 매어 단 상태의 상단 컨테이너(21)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으로부터 수동조작(축회전 정지수단(11)에 의해 축(3)을 제 3 회전정지위치(도 8)에서 정지시킴)에 의해 상측 콘(4)을 분리한다.
[비상시 그 1(고박력 강화시)]
상기 경과의 도중에서 예컨대 선박이 악천후에 조우한 경우, 혹은 악천후에 조우할 위험이 있는 경우, 선원의 판단에 따라, 상하 컨테이너(21, 24)의 연결상태를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한 고박력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부터 회전연결구조에 의한 고박력이 비교적 큰 것으로 전환한다. 즉, 선원은 수동으로 축회전 조작수단(6)을 조작하여 와이어(7)를 잡아당기고, 축(3)을 초동위치(도 6)로부터 1회전 방향(상방에서 볼 때 왼쪽으로 회전)으로 회전시키고, 축회전 정지수단(11)에 의해 제 2 회전정지위치(도 7)에서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측 콘(4)은 여전히 걸림결합위치에 있는 한편, 하측 콘(5)은 걸림결합 해제위치부터 걸림결합위치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하측 콘(5)이 그 걸림결합단부(5a)를 가지고 걸림결합구멍(26)의 가장자리변에 내측으로부터 걸림결합되는 매우 강력한 고박력이 발휘된다. 이 강력한 고박력은,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하여도 하측 콘(5)이 상부 코너 캐스팅(25)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선박이 크게 흔들려도 짐이 무너지거나 컨테이너의 유출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비상시 그 2(컨테이너 내릴 때)]
이어서, 비상시 종료후 또는 목적지 도착후, 수동으로 축회전 정지수단(11)을 해제하고, 축(3)을 복귀 스프링(10)의 탄성에 의해 되돌리고, 하측 콘(5)을 걸림결합 해제위치로 되돌린다(도 6). 이에 따라 하측 콘(5)은 제 2 걸림결합구조에 의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에 걸림결합되는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어서, 상단 컨테이너(21)를 내릴 때에는, 연결금구(1)를 특별히 수동조작하지 않고, 크레인으로 상단 컨테이너(21)를 하단 컨테이너(24)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이 때 하측 콘(5)에는 상기 소정값 이상의 크기의 이탈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면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의 제 3 안내면(5e)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이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평면상 한 방향으로 다시 변위하고,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를 걸림결합구멍(26)에 대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형상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을 이탈 방향으로 통과하고, 하측 콘(5)이 하단 컨테이너(24)의 상부 코너 캐스팅(25)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축회전 정지수단(11)을 해제한 후에는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하측 콘(5)을 수동으로 회전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만큼, 상단 컨테이너(21)의 짐 부리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크레인으로 매어 단 상태의 상단 컨테이너(21) 하면의 하부 코너 캐스팅(22)으로부터 수동조작(축회전 정지수단(11)에 의해 축(3)을 제 3 회전정지위치(도 8)에서 정지시킴)에 의해 상측 콘(4)을 분리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적절하게 사용하면, 상단 컨테이너(21)을 내릴 때에 연결금구(1)을 수동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짐 부리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황에 따라 필요한 고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정상시 및 비상시의 작동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3)은 제 1 회전정지위치(도 6)에서 정지한 상태가 기본적인 상태가 되고, 실제 작업에서는 이 상태에 놓이는 시간이 가장 길다. 따라서 축(3)을 복귀 회전시키는 복귀 스프링(10)에 대해, 축(3)이 제 1 회전정지위치(도 6)에 있을 때에 중립인 상태(거의 탄성변형되어 있지 않은 자유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복귀 스프링(10)에 가해지는 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5)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5b)가 평면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걸림결합구멍(26)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회전하지 않고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장착상태 즉 케이스(2)의 끼움부(2c)가 코너 캐스팅(25)의 걸림결합구멍(26)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을 걸림결합구멍(26)의 중심(O1; 걸림결합구멍(26)의 긴 방향 중심선과 짧은 방향 중심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대하여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도 6에서의 오른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6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시켜 배치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5b)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축(3)이 걸림결합구멍(26)의 중심(O1)에 대하여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도 6에서의 오른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도 6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코너 캐스팅(25)에 대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5b)의 걸림결합력이 증대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축(3)을 걸림결합구멍(26)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시켜 배치하면, 이에 따라 상측 콘(4)도 편심되어 배치되므로,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 구조에 대해,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콘(4)의 평면형상에서의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4c)까지의 길이(L1)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4d)까지의 길이(L2)를 같은 크기로 설정하면(L1=L2), 상측 콘(4)의 코너 캐스팅(22)에 대한 걸림결합면적(걸림결합시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없고, 또한 상기 걸림결합면적이 상측 콘(4)의 긴 양단에서 언밸런스가 되므로 걸림결합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층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콘(4)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4c)까지의 길이(L1)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4d)까지의 길이(L2)는, 걸림결합상태(제 1 또는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축(3)의 편심방향(도면에서는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는 것(L2)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L1)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L1>L2),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에 대해, 상측 콘(4)의 평면형상에서의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짧은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짧은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를 같은 크기로 설정하면(도시생략), 상측 콘(4)의 코너 캐스팅(22)에 대한 걸림결합면적(걸림결합시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없고, 또한 상기 걸림결합면적이 상측 콘(4)의 긴 양단에서 언밸런스가 되기 때문에 걸림결합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층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콘(4)의 평면형상에서의 짧은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짧은 방향 한쪽의 단부(4e)까지의 길이(L3)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짧은 방향 다른 쪽의 단부(4f)까지의 길이(L4)는, 걸림결합상태(제 1 또는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축(3)의 편심방향(도면에서는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는 것(L4)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L3)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L3>L4),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에 대해,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의 평면형상에서의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하측 콘(5)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5f)까지의 길이(L5)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하측 콘(5)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5g)까지의 길이(L6)를 같은 크기로 설정하면(L5=L6), 하측 콘(5)의 코너 캐스팅(25)에 대한 걸림결합면적(걸림결합시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크게 설정할 수 없고, 또한 상기 걸림결합면적이 하측 콘(5)의 긴 양단에서 언밸런스가 되므로 걸림결합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층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하측 콘(5)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5f)까지의 길이(L5)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하측 콘(5)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5g)까지의 길이(L6)는, 걸림결합상태(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축(3)의 편심방향(도면에서는 오른쪽 방향)에 배치되는 것(L6)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L5)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L5>L6),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상하 콘(4, 5)의 코너 캐스팅(22, 25)에 대한 걸림결합면적(걸림결합시의 접촉면적)이 각각 확대되기 때문에, 걸림결합력 즉 컨테이너 고박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ISO 규정 면적의 800mm2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하 콘(4, 5)의 긴 방향 양단부에서 걸림결합면적의 크기의 밸런스가 좋아지므로, 이 만큼, 걸림결합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
또,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축(3)의 초동위치는,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 2 걸림결합구조가 작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제 1 회전정지위치(도 6)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 및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모두 걸림결합위치에 있는 제 2 회전정지위치가 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의 초동위치는,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 및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모두 걸림결합위치에 있는 제 2 회전정지위치로 되어 있고, 이 상태로부터 축회전 조작수단(6)의 와이어(7)를 끌어 내서 축회전 정지수단(11)의 피스부재(9)를 가까운 한쪽의 노치(12a)에 걸림결합시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5)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 2 걸림결합구조가 작동 가능하게 이루어진 제 1 회전정지위치가 된다. 또한 축회전 조작수단(6)의 와이어(7)를 더욱 끌어 내서 축회전 정지수단(11)의 피스부재(9)를 먼 다른 쪽의 노치(12b)에 걸림결합시키면, 상측 콘(4)의 회전걸림결합구조가 걸림결합 해제위치가 되는 제 3 회전정지위치가 된다. 단 이 예에서는, 복귀 스프링(10)은 제 2 회전정지위치(도 15)에서 중립인 상태로 설정되므로,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 중립인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원 청구범위 제 2항에 관한 발명에 대해서는 그 대상외가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콘(4, 5)의 평면형상은 각각의 긴 방향이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상하 콘(4, 5)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교차하는 각도는 직각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에서는, 상하 콘(4, 5)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교차하는 각도(θ1)는 약 33도(상측 콘(4)의 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 콘(5)의 긴 방향이 축회전 방향(도면에서는 왼쪽으로 회전)으로 약 33도 변위)에 설정되어 있다.
(제 3 실시예)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에서는, 상하 콘(4, 5)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교차하는 각도(θ2)는 약 110도(상측 콘(4)의 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 콘(5)의 긴 방향이 축회전방향(도면에서는 왼쪽으로 회전)으로 약 110도 변위)에 설정되어 있고, 본원 발명자들의 검증에 따르면, 상하 콘(4, 5)의 평면형상이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것인 경우, 이러한 각도설정으로 하면 콘(4, 5)의 코너 캐스팅(22, 25)에 대한 걸림결합면적(걸림결합시의 접촉면적)을 가장 크게 설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상하 콘(4, 5)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교차하는 각도는 100∼120도(상측 콘(4)의 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측 콘(5)의 긴 방향이 축회전 방향(도면에서는 왼쪽으로 회전)으로 약 100∼120도 변위)의 범위에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6 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콘(5)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5)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5b)가 걸림결합구멍(26)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회전하지 않고 걸림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5b)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3)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26)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26)의 중심(O1)에 대하여 상기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콘(4)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4c)까지의 길이(L1)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4d)까지의 길이(L2)는, 걸림결합상태에서 축(3)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L2)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L1)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L1>L2),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또한 상측 콘(4)의 평면형상에서의 짧은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짧은 방향 한쪽의 단부(4e)까지의 길이(L3)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상측 콘(4)의 짧은 방향 다른 쪽의 단부(4f)까지의 길이(L4)는, 걸림결합상태에서 축(3)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L4)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L3)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L3>L4),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더욱 또한 하측 콘(5)의 평면형상에서의 긴 방향의 치수관계에 대해,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하측 콘(5)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5f)까지의 길이(L5)와 축(3)의 중심(O2)으로부터 하측 콘(5)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5g)까지의 길이(L6)는, 걸림결합상태에서 축(3)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L6)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L5)이 크게 설정되어 있고(L5>L6), 이에 따라 걸림결합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1 : 연결금구
2 : 케이스
2a : 지지반부
2b, 2c : 끼움부
2d : 스토퍼부
3 : 축
3a : 접촉부
4 : 상측 콘
4a, 5a : 걸림결합단부
4b : 캠면
4c, 4d, 5f, 5g : 긴 방향 단부
4e, 4f : 짧은 방향 단부
5 : 하측 콘
5b : 걸림결합부
5c : 제 1 안내면
5d : 제 2 안내면
5e : 제 3 안내면
6 : 축회전 조작수단
7 : 와이어
8 : 그립
9 : 피스부재
10 : 복귀 스프링
11 : 축회전 정지수단
12 : 마우스피스부재
12a, 12b : 노치
13 : 압축 스프링
21 : 상단 컨테이너
22 : 하부 코너 캐스팅
23, 26 : 걸림결합구멍
24 : 하단 컨테이너
25 : 상부 코너 캐스팅

Claims (6)

  1. 상단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lower corner casting) 및 하단 컨테이너의 상부 코너 캐스팅(upper corner casting) 사이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 코너 캐스팅 및 갑판상의 소켓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상의 지지반부(support panel portion)의 상하에 각각 상기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에 회전저지된 상태에서 끼워지는 끼움부를 일체 성형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삽입통과된 축과, 상기 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되는 상측 콘(upper cone)과, 상기 축의 하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는 하측 콘(lower cone)과,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축을 1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축회전 조작수단과, 상기 축을 복귀 회전시키는 복귀 스프링과,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축을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축회전 정지수단을 가지고,
    상기 상측 콘은, 하부 코너 캐스팅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로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상기 하측 콘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어 걸림결합 해제위치부터 걸림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콘이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회전걸림결합구조를 가지고,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회전하지 않아도 상기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비회전의 제 2 걸림결합구조를 더 가지며, 상기 제 2 걸림결합구조를 작동시키기 위해 장착시에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을 걸림결합구멍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형상의 제 1 안내면을 걸림결합부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결합부의 통과후에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외측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변위된 하측 콘을 복귀이동시켜 걸림결합부를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사면형상의 제 2 안내면을 하측 끼움부에 설치하고, 분리시에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내측 가장자리변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하측 콘을 걸림결합구멍에 대하여 평면상 변위시켜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형상의 제 3 안내면을 걸림결합부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축은, 회전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제 1 회전정지위치 및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되고,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는,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위치에 있고,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 해제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 2 걸림결합구조는 걸림결합부가 걸림결합구멍에 정면으로 마주 대하며 작동 가능하게 되고,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는,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 및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모두 걸림결합위치에 있으며,
    상기 연결금구의 정상 사용시, 축은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하고, 하측 콘은 제 2 걸림결합구조에서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에 자동으로 걸림결합되고, 자동으로 빠지며,
    해당 연결금구의 고박력 강화시, 축은 제 2 회전정지위치에서 정지하고, 하측 콘은 회전걸림결합구조에서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은, 축의 제 1 회전정지위치에서 중립인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3. 제 1항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4. 제 1항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양 가장자리변에 대한 양단부의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5. 제 1항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상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양 가장자리변에 대한 양단부의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짧은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콘의 짧은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6. 제 1항에 있어서,
    하측 콘의 제 2 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일측면에 설치한 돌기형상의 걸림결합부가 상부 코너 캐스팅 또는 소켓의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가장자리변에 대한 걸림결합부의 걸림결합 깊이를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은, 끼움부가 걸림결합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결합구멍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가장자리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하측 콘의 회전걸림결합구조는, 하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한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가 걸림결합구멍의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변에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며, 상기 양 가장자리변에 대한 양단부의 걸림결합면적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 축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콘의 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축의 중심으로부터 하측 콘의 긴 방향 다른 쪽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걸림결합시에 축의 편심방향에 배치되는 쪽보다 반대쪽에 배치되는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KR1020107014419A 2007-11-30 2007-11-30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KR101120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73190 WO2009069226A1 (ja) 2007-11-30 2007-11-30 コンテナ用連結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715A true KR20100090715A (ko) 2010-08-16
KR101120388B1 KR101120388B1 (ko) 2012-03-13

Family

ID=4067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419A KR101120388B1 (ko) 2007-11-30 2007-11-30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33408A4 (ko)
JP (1) JP5016681B2 (ko)
KR (1) KR101120388B1 (ko)
CN (1) CN101878168B (ko)
WO (1) WO200906922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528A (ko) * 2015-04-22 2017-12-19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컨테이너 고정 장치
KR101989590B1 (ko) * 2017-12-19 2019-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용 체결장치
US11047154B2 (en) 2015-12-03 2021-06-29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6159B2 (ja) * 2011-11-10 2016-03-02 三星重工業株式会社Samsungheavy Ind.Co.,Ltd. コンテナ固定装置
DE202012101261U1 (de) 2012-04-05 2012-05-11 Sec Ship's Equipment Centre Bremen Gmbh Kuppelstück zum miteinander Verbinden zweier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FI20135346L (fi) * 2013-04-09 2014-10-10 Macgregor Finland Oy Konttien kytkentäväline
CN103241487A (zh) * 2013-04-27 2013-08-14 汪伟 集装箱的连接锁具
CN104016024A (zh) * 2014-05-28 2014-09-03 苏州卓胜工贸有限公司 一种无法兰防撞安全单锥
EP3459877B1 (en) * 2016-05-19 2024-05-15 Minato Seiki Iron Works Co., Ltd. Arrangement comprising a container-securing device
CN109322559B (zh) * 2017-07-31 2020-08-04 英业达科技有限公司 锁固装置
CN112373626B (zh) * 2020-11-11 2022-12-09 上海船舶运输科学研究所 一种集装箱与船壁的自挂式支撑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8838A (en) * 1966-06-30 1968-02-13 Grace W R & Co Shipping container coupling
JPH0523514Y2 (ko) 1988-10-25 1993-06-16
WO1996015052A1 (en) * 1994-11-11 1996-05-23 A11 Set Marine Lashing Aktiebolag Container locking means
JP3633749B2 (ja) * 1997-04-24 2005-03-30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連結具
DE10238895C5 (de) * 2002-08-24 2009-04-30 Sec Ship's Equipment Centre Bremen Gmbh Kuppelstück zum Verbinden zweier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Anordnung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und Verfahren zum Verbinden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mit solchen Kuppelstücken
JPWO2004108564A1 (ja) * 2003-06-02 2006-07-20 株式会社マリフィット コンテナ連結金具
JP4423144B2 (ja) * 2004-09-10 2010-03-03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ツイスト式コンテナ連結具
DE602005025387D1 (de) * 2004-11-09 2011-01-27 Taiyo Seiki Iron Works Behälterverbindungsvorrichtung
EP1893508B1 (en) * 2005-06-21 2009-03-25 Macgregor (SWE) AB Fully automatic twistlock
CN2820763Y (zh) * 2005-09-15 2006-09-27 昆山吉海实业公司 集装箱连接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528A (ko) * 2015-04-22 2017-12-19 미나또 세이끼 코오교 카부시키 카이샤 컨테이너 고정 장치
US11047154B2 (en) 2015-12-03 2021-06-29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Locking device for containers
KR101989590B1 (ko) * 2017-12-19 2019-06-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컨테이너용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388B1 (ko) 2012-03-13
WO2009069226A1 (ja) 2009-06-04
EP2233408A4 (en) 2012-03-28
JPWO2009069226A1 (ja) 2011-04-07
CN101878168A (zh) 2010-11-03
JP5016681B2 (ja) 2012-09-05
CN101878168B (zh) 2011-12-14
EP2233408A1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388B1 (ko) 컨테이너용 연결금구
JP5574649B2 (ja) 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
JP5027095B2 (ja) カプリング装置及びコンテナを解放する方法
KR102254464B1 (ko) 잠금구 및 이를 구비하는 팔레트 박스
US9346615B2 (en) Coupling member for interconnecting two containers stacked one above the other
JP2013521199A (ja) 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特に貨物船で使用されるコンテナとコンテナと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
WO2007073108A1 (en) Coupling apparatus for moving concrete structure
KR20030031402A (ko) 선박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WO2016208265A1 (ja) ルーフボックスのクランプ装置
KR100460466B1 (ko)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JP6993045B2 (ja) ロック機構
JP5947681B2 (ja) クランプ
JP2009255927A (ja) コンテナ用連結金具
KR100499247B1 (ko) 선박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결속장치
JP4473049B2 (ja) クランプ
KR200334139Y1 (ko) 선박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결속장치
KR20150003568U (ko) 플레이트용 인양장치
CN105735715A (zh) 防坠落结构及升降装置
TW201623117A (zh) 用以固定運輸貨櫃之方法與系統
KR200290237Y1 (ko)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KR20190002809U (ko) 걸고리의 걸림구조를 개선한 자물쇠
JP6124018B2 (ja) ロープ連結用フック装置
KR200287585Y1 (ko) 선박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CN105003140A (zh) 硬开顶集装箱
JP2003026287A (ja) コンテナ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