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660A - 얼음 입방체의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입방체의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660A
KR20100090660A KR1020100010843A KR20100010843A KR20100090660A KR 20100090660 A KR20100090660 A KR 20100090660A KR 1020100010843 A KR1020100010843 A KR 1020100010843A KR 20100010843 A KR20100010843 A KR 20100010843A KR 20100090660 A KR20100090660 A KR 2010009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everage
dispensing
receptacle
c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우스 데어 퓐덴 잔드라
엥엔하이스터 게랄트
크루테마이어 닐스
Original Assignee
멜리타 하우샬트스프로덕테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 콤만디트게셀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멜리타 하우샬트스프로덕테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 콤만디트게셀샤프트 filed Critical 멜리타 하우샬트스프로덕테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 콤만디트게셀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9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6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deforming bodies with which the ice is in contact, e.g. using inflat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특히 커피를 포함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브루잉 유니트(3)를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니트에 의해 고온의 물이 추출물로 안내되며, 음료분배기(15)내의 준비된 음료가 컵(14)에 채워지고, 냉각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얼음이 공급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음 입방체를 위한 얼음투입장치(16)가 제공되고, 얼음투입장치에 의해 음료가 준비될 때 자동 투입기능이 수행된다.

Description

얼음 입방체의 투입장치{Device for the dosage of ice cubes}
본 발명은 음료 특히 커피를 포함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브루잉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니트에 의해 고온의 물이 추출물로 안내되며, 음료분배기내의 준비된 음료가 컵에 채워지고,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얼음이 공급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제 DE 34 05 396 호에 공개된 추출물 준비장치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고온의 음료가 제조된다. 따라서, 브루잉음료가 준비되어, 선택적으로 얼음을 가진 냉각용기로 안내된다. 상기 냉각용기가 얼음으로 채워지면 브루잉(brewing)된 음료가 냉각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얼음량이 투입되고, 음료는 얼음 입방체의 공급시간, 크기 및 양에 따라 사실상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준비된 음료의 맛은 심하게 변화한다.
문헌 제 US 4 176 527 호에 공개된 얼음 입방체를 분쇄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선택적으로 얼음 입방체 또는 분쇄된 얼음이 분배된다. 따라서, 얼음 입방체가 만들어질 때 얼음이 확실하게 투입되고 얼음 입방체들은 용기내에 직접 배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에 의해 높은 품질을 가진 냉각된 음료가 준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항의 특징을 따르는 장치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음 입방체를 위한 얼음투입장치가 제공되고, 음료가 준비될 때 상기 얼음투입장치에 의해 자동 투입기능이 수행된다. 제어기능에 의해 정해진 음료가 채워지고, 상기 음료는 원하는 대로 정해진 양의 얼음으로 냉각되는 것이 보장된다. 브루잉 음료가 과다량의 얼음 또는 얼음과 너무 긴 시간동안 접촉하여 음료가 희석되거나 반대로 너무 짧은 접촉시간동안 냉각이 단지 불충분하게 수행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는 가열된 형태뿐만 아니라 냉각된 형태로 높은 품질을 가지고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얼음투입장치가 다수의 얼음 입방체들을 가지고 교체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각용기내부의 수용부내에서 얼음 입방체를 만들 수 있고, 다음에 냉각된 음료를 준비할 때 얼음 입방체를 가진 수용부가 장치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단지 몇 단계의 과정이 요구되어, 장치내에서 얼음 입방체를 냉각하고 제조하는 고 비용의 과정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가 접시형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얼음 입방체를 가지고 분리된 다수의 챔버들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얼음을 정확하게 투입하기 위하여, 얼음투입장치(16)가 외부가압요소(34)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가압요소에 의해 한 개이상의 얼음 입방체들이 수용부(25)로 부터 꺼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치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얼음 입방체를 꺼내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는 정지된 상태로 배열된 외부가압요소에 대해 정해진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가압요소는 캠축을 통해 구동되고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수용부의 기저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어서, 변형 또는 외부가압력에 의해 상기 얼음 입방체가 수용부로부터 분리되고 냉각장치의 용기내부로 떨어진다.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고 특히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챔버내에 배열된 얼음 입방체가 떨어져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챔버내에 고정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수용부가 수용부의 개방측부를 아래로 향해 배열되어, 얼음 입방체가 경미하게 융해될 때 얼음은 돌발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상기 챔버내에 형성된 해당 고정수단, 예를 들어, 경계부, 돌출부 또는 다른 요소들이 얼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때,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 입방체를 위한 얼음투입장치가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얼음은 큰 덩어리뿐만 아니라 분쇄된 형태로 투입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을 분쇄할 때 얼음 입방체의 표면이 상당히 증가되기 때문에,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시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장치내에서 음료가 잔류하는 시간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입방체가 선택적으로 고온의 브루잉 음료를 냉각하기 위해 혼합용기내부로 공급되거나 직접 음료분배기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장치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내에서 단지 일부분의 챔버가 얼음 입방체로 충진되도록 수용부에 구성된 챔버가 충진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수용부는 모든 얼음을 완전히 소비하지 않고도 장치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된다.
도 1은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상기 장치의 투입장치를 도시한 두 개의 투시도들.
도 3은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장치의 하부면도.
도 4는 투입장치의 세부부품들을 분해도시한 사시도.
도 5A내지 도 5C는 투입장치의 수용부를 도시한 도면들.
음료, 특히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1)는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2)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2)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음료를 만들기 위한 브루잉(brewing)장치(3)와 함께 상기 장치(1)내에 수용된다. 상기 브루잉장치(3)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고온수의 유입구(4)와 추출물 특히 커피의 투입장치(5)와 연결된다. 다음에 상기 커피는 분쇄작업을 통해 원하는 양으로 상기 브루잉장치(3)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브루잉장치(3)로부터 분배관(6)이 분기부(7)까지 연장된다. 스위칭(switching)가능하게 구성되는 상기 분기부(7)에 의해 선택적으로 브루잉(brewing)된 음료가 관(13)을 통해 음료분배기(15)로 안내되거나 관(8)을 통해 혼합용기(9)내로 안내된다. 상기 혼합용기(9)는 하부에서 깔때기 구조로 형성되고 배출구(10)에 스위칭가능한 밸브(11)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음료분배기(15)에 대해 방출구(12)를 개폐시킨다.
상기 음료분배기(15)가 혼합장치로서 개략도시되고, 상기 혼합장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배출구아래에 용기 특히, 컵(14)이 배열된다.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2)위에 얼음투입장치(16)가 제공되고, 얼음투입장치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고, 한 개이상의 얼음 입방체들을 상기 공급장치(2)내에 제공한다. 상기 얼음투입장치(16)는 얼음 입방체들을 위한 혼합장치 또는 혼합용기 또는 얼음 입방체를 만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장치(2)는,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디스크(17)가 배열된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17)는 축(18)을 통해 구동되고, 상기 축(18)은 모터(19)를 통해 회전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변속장치 및/또는 커플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17)상에 돌출된 롤링요소(rolling element)(20)가 제공된다. 상기 롤링요소에 의해 용기내에 배열된 얼음 입방체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나이프(knife)(23)에 대해 운동할 수 있어서, 화살표(21)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얼음 입방체들은 분쇄된 형태로 상기 혼합용기(9)내에 제공될 수 있다. 분쇄된 얼음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나이프(23)들이 제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분쇄된 얼음이 컵(14)내에 분배되어야 할 때, 개략적으로 도시된 관(22)에 의해 분명하게 알 수 있듯이, 분쇄된 얼음 입방체가 얼음을 공급하는 장치(2)로부터 직접 음료분배기(15)로 공급되도록 선택된 배출구가 작동될 수 있다.
뜨거운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브루잉장치(3)는 뜨거운 물과 추출물로 충진되고 다음에 관(6)과 관(13)을 통해 음료분배기(15)에 브루잉 음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아이스 커피 또는 아이스 티와 같은 차가운 음료가 분배되어야 할 때, 상기 장치(1)내에서 브루잉 탱크가 냉각되고, 동시에 상기 브루잉 장치(3)가 작동되며, 이와 병행해서 상기 얼음투입장치(16)를 통해 한 개이상의 얼음 입방체들이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2)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장치(2)내에서 한 개이상의 얼음 입방체들이 분쇄되고 혼합용기(9)로 공급된다. 다음에, 관(8)으로부터 공급된 브루잉된 음료 및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2)로부터 제공된 분쇄상태의 얼음입방체들이 상기 혼합용기(9)내에서 혼합되고, 상기 밸브(11)는 예를 들어, 10 초 내지 60 초와 같이 정해진 시간동안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시간동안, 상기 분쇄상태의 얼음입방체들이 상기 혼합용기(9)내에서 녹고 음료는 원하는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밸브(11)는 제어요소에 의해 개방되고 냉각된 음료는 음료분배기(15)의 방출구(12)를 통해 상기 컵(14)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루잉 유니트(3),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2) 및 밸브(11)가 장치(1)의 중앙 제어유니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입방체를 위한 투입장치(16)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다. 장치(1)의 표면에 회전가능한 수용부(25)가 배열되고, 상기 수용부는 접시형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얼음 입방체를 가진 단일 챔버(26)들로 구성된다. 수용부(25)의 중심에 구동장치와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스택 커플링(stack coupling)(27)이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25)의 각 챔버(26)에 레버형태의 외부가압요소(34)가 제공되고, 상기 외부가압요소는 액슬(36)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외부가압요소(34)는, 액슬(36)에 대해 마주보게 배열된 측면에서 캠(37)을 통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캠은 스프링(35)의 하중에 대해 외부가압요소(34)를 챔버(26)의 기저부분으로 밀어낸다.
상기 수용부(25)를 추가로 회전시키고 충진된 챔버(26)가 상기 외부가압요소(34)까지 도달하도록 모터(50)가 제공되고, 상기 모터는 모터지지부(51)에 의해 고정되고 구동휠(55) 및 벨트(54)에 의해 상기 수용부(25)를 회전시킨다.
투입장치의 세부부품들이 도 4에 도시된다. 하부로 개방된 상기 수용부(25)는 하부면에서 각각의 챔버(26)들사이에 복수 개의 미끄럼 슈(shoe)(29)들을 가지고, 상기 미끄럼 슈들은 하우징(30)의 수용부분내에서 기저면(31)상에 지지된다. 상기 수용부분내에 상기 수용부(25)를 지지하기 위한 중앙의 핀(32)이 배열된다.
상기 외부가압요소(34)와 구동요소들이 상기 하우징(30)의 절단부(33)내에 위치하고, 상기 외부가압요소(34)는 액슬(36)을 통해 회전할 수 있고 하우징(30)상에 지지된다. 상기 외부가압요소(34)를 출발위치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가압스프링(35)이 제공되고, 캠(37)은 액슬(38)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지지되며, 상기 액슬(38)은 계단형상의 단부단면(42)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단면(42)은 일치하는 틈새형상의 수용부분(43)내에 끼워진다. 액슬(38)은 모터(39)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모터(39)가 하우징(30)의 모터지지부(40)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액슬(38)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블록(41)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0)의 모터지지부(51)가 상기 하우징(30)상에 배열된다. 상기 모터(50)는 구동축(52)을 통해 제 1 구동휠(53)을 작동시키고 제 1 구동휠(53)은 벨트(54)를 통해 제 2 구동휠(55)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구동휠(55)은 커플링(28)을 통해 수용부(25)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25)는 하우징(30)내에서 서서히 회전될 수 있다.
챔버(26)의 충진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47)가 제공되고, 센서에 의해 챔버(26)내부에 얼음 입방체가 제공되었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상에 고정되는 덮개(46)와 이동가능한 덮개(45)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장치(1)로부터 뜨거운 브루잉(brewing) 음료가 아니라 차가운 음료를 제공받고자 할 때, 우선 표시장치를 통해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에 얼음 입방체가 채워지는 수용부(25)를 삽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45)가 회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수용부(25)를 하우징(30)내에 삽입하며, 수용부(25)가 얼음으로 완전히 채워지거나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선택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 개이상의 얼음입방체(26)들이 필요한 지가 제어기능에 의해 표시된다. 해당 분량의 얼음 입방체들이 외부가압요소(34)를 통해 냉각장치(2)의 용기내부로 방출되고, 다음에 냉각장치는 상기 얼음입방체들을 분쇄하고 선택적으로 혼합용기(9)내에 배출하거나 직접 음료분배기(15)로 배출한다.
냉각된 모든 음료들이 장치(1)내에서 만들어진 후에, 상기 장치(1)로부터 상기 수용부(25)가 꺼내져서, 냉장고의 냉각칸에 필요하면 추가로 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을 채워서 넣어둔다.
도 5A내지 도 5C를 참고할 때, 상기 수용부(25)가 상세하게 도시된다. 상기 수용부(25)는 가요성 재료 특히,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되고, 하부로 개방되고 얼음 입방체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챔버(26)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챔버(26)는 경계부(60) 형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부는 가늘어지는 목(throat) 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단면에서 확장부(61)가 연결된다. 얼음입방체의 표면들에서 융해과정이 시작될 때 얼음 입방체는 상기 챔버(26)내에 고정된다. 다음에, 상기 경계부(60)를 통해 가늘어지는 단면이 형성되어, 상기 얼음 입방체가 상기 경계부(60)의 가늘어지는 단면에 적응되도록, 상부의 확대된 확장부(61)내에서 융해과정이 얼음 입방체의 기하학적 형상을 변화시킬 때, 얼음 입방체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얼음 입방체를 용이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측벽(62)은 아래를 향해 확대되어 형성되어, 불필요하 고정 또는 마찰력이 발생 되지않는다.
상기 수용부(25)는 또한 다른 형태의 얼음 입방체를 형성하고 특히 세그먼트형태의 챔버를 대신해서 둥근 형상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의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매우 작은 체적을 가진 챔버(26)가 상기 수용부(25)에 구성될 수 있어서, 얼음 입방체를 분쇄하기 위한 장치가 생략될 수 있다.
1......장치
3.....브루잉(brewing)장치
4.....유입구
5.....투입장치
6.....분배관
7.....분기부
8, 13, 22.....관
9.....혼합용기
11.....밸브
12.....방출구
15.....음료분배기
16.....얼음투입장치
17.....디스크
19.....모터
20.....롤링요소
23....나이프
24....고정수단

Claims (11)

  1. 음료 특히 커피를 포함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브루잉 유니트(3)를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유니트에 의해 고온의 물이 추출물로 안내되며, 음료분배기(15)내의 준비된 음료가 컵(14)에 채워지고, 냉각장치(2)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얼음이 공급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얼음 입방체를 위한 얼음투입장치(16)가 제공되고, 상기 얼음투입장치에 의해 음료가 준비될 때 자동 투입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투입장치(16)가 다수의 얼음 입방체들을 가지고 교체가능한 수용부(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5)가 접시형상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얼음 입방체를 가지고 분리된 다수의 챔버(26)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투입장치(16)가 외부가압요소(34)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가압요소에 의해 한 개이상의 얼음 입방체들이 수용부(25)로 부터 꺼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5. 전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5)가 상기 장치(1)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외부가압요소(34)에 대해 정해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압요소는 캠액슬(37,38)에 의해 구동되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수용부(25)의 기저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5)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챔버내에 배열된 얼음 입방체가 떨어져 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챔버(26)내에 고정수단(6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얼음 입방체를 위한 얼음투입장치(16)가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장치(17,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입방체가 선택적으로 고온의 브루잉 음료를 냉각하기 위해 혼합용기(9)내부로 공급되거나 직접 음료분배기(15)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부(25)에 구성된 챔버(26)가 충진된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KR1020100010843A 2009-02-06 2010-02-05 얼음 입방체의 투입장치 KR20100090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1489.4 2009-02-06
DE202009001489U DE202009001489U1 (de) 2009-02-06 2009-02-06 Eiswürfeldosier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660A true KR20100090660A (ko) 2010-08-16

Family

ID=4222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43A KR20100090660A (ko) 2009-02-06 2010-02-05 얼음 입방체의 투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23946A1 (ko)
EP (1) EP2215940B1 (ko)
JP (1) JP2010179101A (ko)
KR (1) KR20100090660A (ko)
CN (1) CN101822492A (ko)
DE (1) DE20200900148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834B2 (en) * 2010-02-01 2018-04-10 Bedford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US20160324363A1 (en) * 2015-01-21 2016-11-10 Ross Cohen Novel Device for Maximizing the Production of and Preservation of 2-furfurylthiol in Frozen Coffee Cubes
WO2017124355A1 (zh) * 2016-01-20 2017-07-27 白宏伟 动态加冰技术的使用数据统计方法以及冰块容纳器
WO2017124357A1 (zh) * 2016-01-20 2017-07-27 白宏伟 根据室外温度加冰的方法以及冰块容纳器
WO2017124356A1 (zh) * 2016-01-20 2017-07-27 白宏伟 加冰时的信息提示方法以及冰块容纳器
US20170319005A1 (en) 2016-05-03 2017-11-09 FB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rewing and cooling a beverage
CN106859352A (zh) * 2017-02-22 2017-06-20 合肥舒实工贸有限公司 一种饮水机分配器
CA3075920C (en) * 2017-09-27 2022-08-23 Sharkninja Operating, Llc Automatic coffee maker and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1916A (en) * 1944-06-03 1947-12-02 Orville S Caesar Ice-cube making machine and art of ejecting the contents of receptacles
US2968935A (en) * 1957-12-09 1961-01-24 Gen Electric Ice cube making and ejecting apparatus
US3853244A (en) * 1971-09-13 1974-12-10 Reynolds Products Remote drink dispenser
US4176527A (en) 1978-07-13 1979-12-04 Whirlpool Corporation Ice crusher for refrigerator
US4306423A (en) * 1980-10-09 1981-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Flexible tray type ice maker
JPS59156317A (ja) 1983-02-28 1984-09-05 金沢工業株式会社 コ−ヒ−等の抽出装置
DE19517638A1 (de) 1995-05-17 1996-11-21 Wendelin Grub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Kaltfertiggetränkes und Kaltfertiggetränkeautomat
US5724883A (en) * 1996-05-28 1998-03-10 Franklin Industries, L.L.C. Hot/cold beverage brewing device
GB2397369B (en) * 2001-10-19 2005-11-16 Manitowoc Foodservice Co Inc Beverage dispenser with integral ice maker
US7340914B2 (en) * 2005-01-03 2008-03-1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a water and ice dispenser having a retractable ledge
DE102005057140A1 (de) * 2005-11-30 2007-06-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Wasserfilter
EP1965683A2 (en) 2005-12-22 2008-09-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ingle serve beverage machine
AU2007201299B2 (en) * 2006-03-27 2008-10-02 Lg Electronics Inc Ice making system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5940A1 (de) 2010-08-11
JP2010179101A (ja) 2010-08-19
EP2215940B1 (de) 2012-07-18
US20100223946A1 (en) 2010-09-09
CN101822492A (zh) 2010-09-08
DE202009001489U1 (de)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0660A (ko) 얼음 입방체의 투입장치
CA2818875C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EP1699329B1 (en) A beverage maker incorporating multiple beverage collection chambers
US20100199846A1 (en) Appliance for dispensing beverages
CA2345907C (en) Water and coffee distributor for coffee machine
JP2013521059A (ja) 加速低圧力ブリューワー
JP6417776B2 (ja) カップ内飲料調合方法
US8016166B2 (en) Coffee and tea dosing system
WO2008032306A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trolled flavored ice drinks
RU26788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их и холодных напитков
EP2073672B1 (en) Coffee and tea dosing system
CA2827129A1 (en) Mixed beverage maker
CN107204073B (zh) 杯式自动售货机
JP3900056B2 (ja) 茶系飲料供給装置の茶葉供給装置
JP2004118680A (ja) 茶系飲料供給装置
KR101407738B1 (ko)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JP3931779B2 (ja) 茶系飲料調理装置
JP2004118681A (ja) 茶系飲料供給装置の粉砕茶葉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