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236A -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236A
KR20100087236A KR1020107014056A KR20107014056A KR20100087236A KR 20100087236 A KR20100087236 A KR 20100087236A KR 1020107014056 A KR1020107014056 A KR 1020107014056A KR 20107014056 A KR20107014056 A KR 20107014056A KR 20100087236 A KR20100087236 A KR 2010008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ainless steel
solder
solderability
sol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꼬 히라이데
하루히꼬 가지무라
다이하루 도이
시게루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8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이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질량%로, C : 0.03% 이하, N : 0.05% 이하, C+N : 0.015% 이상, Si : 0.02 내지 1.5%, Mn : 0.02 내지 2%, Cr : 10 내지 22%, Nb : 0.03 내지 1% 및 Al : 0.5% 이하를 함유하고, Ti를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는 함유량으로 더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Fe 및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한다.
[식 1]
Ti-3N ≤ 0.03
[식 2]
10(Ti-3N) + Al ≤ 0.5
[단, 식 1 및 식 2 중에 있어서의 원소 기호는 그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원소 기호 앞의 수치는 상수이다.)

Description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FERR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BRAZEABILITY}
본 발명은 납땜 접합에 의해 조립되는 부재에 사용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재의 예로서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쿨러, 오일 쿨러, 자동차나 각종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류, 자동차 요소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요소수 탱크 및 자동차의 연료 분배계통 부품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형상이 복잡하고 정밀한 부품이 많다. 납땜 방법으로서는, Ni 납땜이나 Cu 납땜과 같이, 고온, 저산소 분압 하에서 납땜 접합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본원은 2007년 1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339732호 및 2008년 12월 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07534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의 고조로부터, 배기 가스 규제가 보다 강화되는 동시에, 탄산 가스 배출 억제를 향한 대처가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는, 바이오 에탄올이나 바이오 디젤 연료 등의 연료면으로부터의 대처에 추가하여, 경량화나 배기열을 열회수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연비 향상을 도모하거나, EGR 쿨러,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요소 SCR 시스템 등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대처를 실시하고 있다.
이 중, EGR 쿨러는 엔진의 배기 가스를 냉각시킨 후, 흡기측으로 복귀시켜 재연소시킴으로써, 연소 온도를 내려, 유해 가스인 NOx를 저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로 인해, EGR 쿨러의 열교환기 부분에는 열효율이 요구되어 열전도성이 양호한 것이 요망된다. 종래, 이들 부재에는 SUS304나 SUS316 등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납땜 접합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최근, 연소 온도를 보다 저하시키기 위해, EGR 쿨러의 출구측 온도를 저하시키고 싶다는 요구가 있어, 열피로 특성에의 배려도 필요한 상황이 되고 있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보다도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또한 열팽창 계수가 작고, 저렴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주목받고 있다.
종래, 납땜용 스테인리스강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강판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Ni계 땜납재를 유기계 바인더와 함께 현탁하여, 스테인리스 강판 표면 상에 분무 도포 후 가열하여 제작되는, 프리코트 땜납 피복 금속 판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표면 거칠기를 조정한 스테인리스 강판 상에 플라즈마 용사로 Ni계 땜납재를 피복시킨, 자기 납땜성(self-brazing property)이 우수한 니켈 땜납 피복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어떤 경우도, 실시예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이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대해서는, 특별히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3에는 C : 0.08% 이하, Si : 0.01 내지 2.0%, Mn : 0.05 내지 1.5%, P : 0.05% 이하, S : 0.01% 이하, Cr : 13 내지 32%, Mo : 3.0% 이하, Al : 0.005 내지 0.1%, Ni : 1.0% 이하, Cu : 1.0% 이하, Ti : 0.05% 이하로 이루어지는 납땜성이 우수한 암모니아-수계 흡수식 사이클 열교환기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Ti는 Ti의 탄화물 또는 질화물에 의한 피막을 형성하여 납땜성을 저해하므로, 0.05%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표 1에는 18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기재되어 있지만, 그 C량은 0.031 내지 0.032%와, 현재, 일반적으로 제조되고 있는 고순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C 함유 범위에 비해 높은 값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24929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685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36654호 공보
본 발명은 Ni 땜납이나 Cu 땜납과 같이, 고온, 저산소 분압 하에서 납땜되는 경우에 있어서, 우수한 납땜성을 갖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Ni 땜납이나 Cu 땜납과 같이 고온, 저산소 분압 하에서 납땜되는 경우에 있어서, 납땜성에 대한 합금 원소의 영향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가공성이나 입계 부식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되는 경우가 많은 Ti 및 탈산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되는 Al에, 양호한 납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한치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Ni 납땜이나 Cu 납땜은 1000 내지 1100℃, 10-3 내지 10-4torr 정도의 진공 중 혹은 수소 분위기 중에서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Ag 납땜의 경우에도 땜납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800 내지 900℃, 10-4 내지 10-5torr 정도의 진공 분위기에서 납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들 조건은 소규모의 실험과 같은 이상적인 조건인 경우가 많고, 대규모이고 또한 양산 설비의 경우에는 설비의 구조로부터 오는 제약이나 공정상의 요건으로부터 진공도가 떨어지는 분위기, 혹은 이슬점이 높은 분위기로 된다고 생각된다.
양호한 납땜성을 얻기 위해서는, 용융된 땜납이 스테인리스강 표면 상에 젖어 퍼질 필요가 있지만, 젖음성에는 스테인리스강 상에 형성되는 표면 피막이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분위기에서는, Fe 및 Cr의 산화물이 환원되는 조건은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해도, Fe 및 Cr보다도 산화되기 쉬운 Ti 및 Al은 산화물을 형성하여, 땜납이 젖어 퍼지는 것을 저해하여, 납땜성을 열화시킨다. 이러한 납땜성을 저해하는 피막 형성에 기여하는 것은 고용되어 있는 Ti 및 Al이고, 납땜 온도에서도 비교적 안정된 질화물로서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막 형성에는 기여하지 않고, 땜납이 젖어 퍼지는 것을 저해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Ti량 및 Al량과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후술하는 실시예와 동일한 시험 제공 강 및 시험 조건으로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을 평가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소의 질량%로, Ti-3N ≤ 0.03, Al ≤ 0.5를 만족시키고, 또한 10(Ti-3N) + Al ≤ 0.5를 만족시키는 영역에 있어서[단, 상기 식 중에 있어서의 원소 기호는 그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원소 기호 앞의 수치는 상수이다.],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이 양호한 것이 판명되었다.
Ti량 내지 Al량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재료에 대해, 납땜 열처리 후의 표면 피막을 분석한바, 수십㎚ 내지 수백㎚의 두께로, Ti 내지 Al이 농화된 산화 피막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피막 형성이 땜납이 젖어 퍼지는 것을 저해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Ti 및 Al과 마찬가지로 산화되기 쉬운 원소로서 Si, Nb, Ca 및 Mg 등의 원소가 있지만, 이들 원소에 있어서는, 산화 피막 중으로의 농화는 인정되지만, 두껍고 균일한 산화 피막 형성에는 이르지 않아,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EGR 쿨러에는 SUS304나 SUS316 등의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고 있지만, 오스테나이트 중에 비해 페라이트 중의 쪽이 원소의 확산이 빨라, 그것에 수반하는 산화 피막 형성도 빨라지므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쪽이 양호한 성분 범위가 한정된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이 대상으로 하는 부재 가운데에는 강도가 필요한 부재도 많아, 납땜 후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특히, Ni 납땜이나 Cu 납땜과 같이 1000 내지 1100℃ 등의 고온에서 납땜되는 경우에는, 결정립 조대화에 수반하는 강도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석출물에 의한 피닝이 유용해, 석출물로서 Nb의 탄질화물을 활용하여, Nb를 0.03% 이상, C+N을 0.015% 이상으로 함으로써, 결정립의 조대화 억제에 유용한 Nb의 탄질화물의 석출량,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식을 기초로 이루어진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그 요지로 하는 점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질량%로, C : 0.03% 이하, N : 0.05% 이하, C+N : 0.015% 이상, Si : 0.02 내지 1.5%, Mn : 0.02 내지 2%, Cr : 10 내지 22%, Nb : 0.03 내지 1% 및 Al : 0.5% 이하를 함유하고, Ti를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는 함유량으로 더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Fe 및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Ti-3N ≤ 0.03
[식 2]
10(Ti-3N) + Al ≤ 0.5
여기서, Ti, N, Al은 각 원소의 질량%로 나타내는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는, 질량%로, Mo : 3% 이하, Ni : 3% 이하, Cu : 3% 이하, V : 3% 이하 및 W : 5% 이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해도 좋다.
질량%로, Ca : 0.002% 이하, Mg : 0.002% 이하 및 B : 0.005% 이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납땜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며, EGR 쿨러, 오일 쿨러, 자동차나 각종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류, 자동차 요소 SCR 시스템에 있어서의 요소수 탱크 및 자동차의 연료 분배계통 부품 등 형상이 복잡한 부품이나, 소형이고 정밀한 부품과 같이, 납땜 접합에 의해 제작되는 부재에 적합한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과 Ti량 및 Al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특히, Ti와 Al 및 Nb와 C+N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지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서 규정되는 강의 화학 조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C : 내입계 부식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그 함유량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0.03% 이하로 하였다. 그러나, 과도하게 낮추는 것은 납땜 시의 결정립 조대화를 조장하고, 또한 정련 비용을 상승시키므로, 0.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2%이다.
N : 내공식성에 유용한 원소이지만, 내입계 부식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함유량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0.05% 이하로 하였다. 그러나, 과도하게 낮추는 것은 납땜 시의 결정립 조대화를 조장하고, 정련 비용을 상승시키므로, 0.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3%이다.
C+N : Nb의 탄질화물에 의해 남땜 시의 가열에 의한 결정립 조대화를 억제하여, 부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0.015% 이상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다. C와 N의 과잉의 첨가는 내입계 부식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상한치를 0.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탈산 원소로서 유용한 동시에, 내식성에 유효한 원소이지만, 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함유량을 0.02 내지 1.5%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이다.
Mn : 탈산 원소로서 유용하지만, 과잉으로 함유시기면 내식성을 열화시키므로, 0.02 내지 2%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이다.
Cr : 상정되는 부식 환경으로서는, 대기 환경, 냉각수 환경 및 배기 가스 응축수 환경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환경에서의 내식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어도 10% 이상 필요하다. 함유량을 증가시킬수록 내식성은 향상되지만, 가공성 및 제조성을 저하시키므로, 상한을 22% 이하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1%이다.
Ti : C 및 N을 고정하여, 용접부의 내입계 부식성 및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첨가되는 경우도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납땜성을 저해시키는 원소이므로, 불순물로서의 함유도 포함시켜 그 함유량을 엄격하게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Ti의 함유량을 Ti-3N의 값이 0.03% 이하를 만족시키는 범위로 한다. Ti-3N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이다. 반대로 Ti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가공성을 열화시키므로, Ti의 함유량을, Ti-3N의 값이 -0.08% 이상을 만족시키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성 등이 특별히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Ti는 무첨가로 해도 좋다.
Nb : Nb의 탄질화물에 의해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한 결정립 조대화를 억제하여, 부재의 강도 저하를 억제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중요한 원소이다. 또한, 고온 강도의 향상이나 용접부의 입계 부식성의 향상에 유용해, 0.03%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잉의 첨가는 가공성이나 제조성을 저하시키므로, 상한을 1% 이하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6%이다. 또한, 입계 부식성을 확보하는 관점으로부터 Nb/(C+N)을 8 이상[단, 상기 식 중에 있어서의 원소 기호는 그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 탈산 효과 등의 정련상에 유용한 원소이고, 또한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별히 하한은 규정하지 않지만, 이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0.002%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0.5%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인 납땜성을 저해하므로 0.5% 이하로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1%이다. Si 등 Al 이외의 원소로 탈산하는 경우에는, Al은 무첨가로 해도 좋다.
10(Ti-3N) + Al ≤ 0.5 :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납땜성에 있어서, 양호한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을 얻기 위해,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식 : 10(Ti-3N) + Al ≤ 0.5와 함께, 식 : Ti-3N ≤ 0.03을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상이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기본이 되는 화학 조성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원소를 필요에 따라서 더 함유시킬 수 있다.
Mo :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0.3% 이상이다. 과잉의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는 동시에, 고가이므로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0.3 내지 3%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0.2% 이상이다. 과잉의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는 동시에, 고가이므로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0.2 내지 3%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0.2% 이상이다. 과잉의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는 동시에, 고가이므로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0.2 내지 3%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V :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0.2% 이상이다. 과잉의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는 동시에, 고가이므로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0.2 내지 3%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 :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5%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시킬 수 있다.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0.5% 이상이다. 과잉의 첨가는 가공성을 열화시키는 동시에, 고가이므로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0.5 내지 5%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o, Ni, Cu, V 및 W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는 비용 상승 등의 점으로부터 6% 이하가 바람직하다.
Ca : 탈산 효과 등의 정련상에 유용한 원소로, 0.002% 이하 함유시킬 수 있다.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0.0002% 이상이 바람직하다.
Mg : 탈산 효과 등 정련상 유용한 원소이고, 또한 조직을 미세화하여, 가공성, 인성의 향상에도 유용해, 0.002% 이하 함유시킬 수 있다.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0.0002% 이상이 바람직하다.
B : 2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원소이고, 0.005% 이하 함유시킬 수 있다.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안정된 효과가 얻어지는 0.0002%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가피 불순물인 P에 대해서는, 용접성의 관점으로부터 0.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에 대해서도 내식성의 관점으로부터 0.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공정이라도 좋다. 일반적으로, 전로 또는 전기로에서 용강으로 하고, AOD로나 VOD로 등에서 정련하고, 연속 주조법 또는 조괴법으로 강편으로 한 후, 열간 압연-열연판의 어닐링-산세-냉간 압연-마무리 어닐링-산세의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필요에 따라서, 열연판의 어닐링을 생략해도 좋고, 냉간 압연-마무리 어닐링-산세를 반복해서 행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해 더 설명한다.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을 갖는 강을 용제하여, 열연, 냉연 및 어닐링의 공정을 거쳐서, 판 두께 0.4㎜의 냉연 강판을 제조하였다.
이 냉연 강판으로부터, 폭 50㎜, 길이 70㎜의 시험편을 잘라낸 후, #400까지의 에머리(emery)지를 사용하여 편면에 습식 연마를 실시하였다. 그 후, 연마면 상에 0.1g의 Ni 땜납을 두고, 1100℃, 5 × 10-3torr의 진공 분위기에서 10분 가열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가열 후의 시험편의 땜납 면적을 측정하였다.
납땜성에 대해, 가열 전의 땜납 면적에 비해 가열 후의 땜납 면적이 2배 이상 있을 때에는 양호(good), 2배 미만일 때에는 불량(bad)으로 하였다.
그 후, 가열 후의 시험편의 단면 마이크로 조직을 관찰하였다. 압연 방향에 평행하게 길이 20㎜의 범위에 걸쳐서, 판 두께 방향에 존재하는 결정립의 수를 측정하여, 판 두께 방향에 2개 이상의 결정립이 존재하는 것을 양호(good), 1개밖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불량(bad)으로 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 중, 식 1은 Ti-3N이고, 식 2는 10(Ti-3N) + Al이다. 또한, 표 1, 표 2 중, 하선부는 본 발명의 범위 외인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 범위 내에 있는 번호 1 내지 번호 10의 강은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이 양호한 동시에, 결정립의 조대화가 억제되어 있다. 식 1과 식 2를 모두 만족시키지 않는 번호 11, 번호 12 및 번호 15의 강, Al의 범위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는 번호 13의 강 및 식 2를 만족시키지 않는 번호 14의 강은 모두 땜납의 젖음성 및 퍼짐성이 떨어져 있다. Nb량이 본 발명 범위 외에 있는 번호 11 및 번호 14의 강에서는, 현저한 결정립의 조대화가 인정되었다.
본 발명의 납땜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EGR 쿨러, 오일 쿨러, 자동차나 각종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열교환기류, 자동차 요소 SCR 시스템에 있어서의 요소수 탱크 및 자동차의 연료 분배계통 부품 등 형상이 복잡한 부품이나, 소형이고 정밀한 부품과 같이, 납땜 접합에 의해 제작되는 부재에 적합하다.

Claims (3)

  1. 질량%로, C : 0.03% 이하, N : 0.05% 이하, C+N : 0.015% 이상, Si : 0.02 내지 1.5%, Mn : 0.02 내지 2%, Cr : 10 내지 22%, Nb : 0.03 내지 1% 및 Al : 0.5% 이하를 함유하고, Ti를 하기 식 1 및 식 2를 만족시키는 함유량으로 더 함유하고, 잔량부로서 Fe 및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식 1]
    Ti-3N ≤ 0.03
    [식 2]
    10(Ti-3N) + Al ≤ 0.5
    [단, 식 1 및 식 2 중에 있어서의 원소 기호는 그 원소의 함유량(질량%)을 나타낸다. 또한, 원소 기호 앞의 수치는 상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Mo : 3% 이하, Ni : 3% 이하, Cu : 3% 이하, V : 3% 이하 및 W : 5% 이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Ca : 0.002% 이하, Mg : 0.002% 이하 및 B : 0.005% 이하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0107014056A 2007-12-28 2008-12-24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00087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9732 2007-12-28
JPJP-P-2007-339732 2007-12-28
JP2008307534A JP5390175B2 (ja) 2007-12-28 2008-12-02 ろう付け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JP-P-2008-307534 2008-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236A true KR20100087236A (ko) 2010-08-03

Family

ID=4082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056A KR20100087236A (ko) 2007-12-28 2008-12-24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72594A1 (ko)
EP (1) EP2224030B1 (ko)
JP (1) JP5390175B2 (ko)
KR (1) KR20100087236A (ko)
CN (2) CN101903548A (ko)
CA (1) CA2707518C (ko)
WO (1) WO20090845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800A (ko) * 2013-03-29 2015-10-02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브레이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열 교환기, 열 교환기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연료 공급계 부재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연료 공급계 부품
US9611525B2 (en) 2011-03-29 2017-04-04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biofuel supply system part, biofuel supply system part,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exhaust heat recovery unit, and exhaust heat recovery unit
WO2018062617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포스코 카본 슬러지 흡착이 저감된 배기계 열교환기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8245B1 (ko) * 2010-11-11 2018-07-1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내산화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77715C (en) 2006-05-09 2014-06-03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resistance to crevice corrosion
JP5788946B2 (ja) * 2007-12-28 2015-10-0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ろう付け性に優れたろう付け接合により組み立てられる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264199B2 (ja) * 2008-01-28 2013-08-14 日新製鋼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を用いたegrクーラー
JP5252959B2 (ja) * 2008-03-21 2013-07-31 日新製鋼株式会社 自動車排熱回収装置
JP5420292B2 (ja) 2008-05-12 2014-02-19 日新製鋼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US20110110812A1 (en) * 2008-07-23 2011-05-12 Nobulhiko Hiraide Ferrite stainless steel for use in producing urea water tank
KR100992545B1 (ko) * 2008-08-26 2010-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이지알쿨러 및 그 제조방법
JP5462583B2 (ja) * 2008-10-24 2014-04-02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Egrクーラ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US20120111529A1 (en) * 2009-07-27 2012-05-10 Nisshin Steel Co., Ltd.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egr cooler and egr cooler
JP5684547B2 (ja) * 2010-11-26 2015-03-1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尿素scrシステム部品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958717B (zh) * 2011-11-30 2016-05-18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铁素体系不锈钢
JP6037882B2 (ja) * 2012-02-15 2016-12-0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スケール剥離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872334B2 (ja) * 2012-03-07 2016-03-0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軟磁性ステンレス鋼細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71608B2 (ja) 2012-03-09 2017-02-01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酸化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UA111115C2 (uk) 2012-04-02 2016-03-25 Ейкей Стіл Пропертіс, Інк. Рентабельна феритна нержавіюча сталь
EP2980251B1 (en) 2013-03-27 2017-12-13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Hot-rolled ferritic stainless-steel plate,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steel strip
CN103305766B (zh) * 2013-05-10 2018-05-25 宝钢不锈钢有限公司 一种高强高塑性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6295155B2 (ja) * 2014-07-22 2018-03-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を部材とする熱交換器
KR101935288B1 (ko) 2014-07-31 2019-01-0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O2016068291A1 (ja) * 2014-10-31 2016-05-06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排ガス凝縮水腐食性とろう付け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6159775B2 (ja) 2014-10-31 2017-07-05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排ガス凝縮水腐食性とろう付け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MX2017008362A (es) 2014-12-24 2017-10-24 Jfe Steel Corp Acero inoxidable ferritico y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l mismo.
JP6150830B2 (ja) * 2015-03-06 2017-06-21 日新製鋼株式会社 Cuろう付け時の耐Cu粒界浸透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ろう継手
EP3112492A1 (en) 2015-06-29 2017-01-04 Vallourec Oil And Gas France Corrosion resistant steel, method for producing said steel and its use thereof
US11365467B2 (en) 2017-05-26 2022-06-21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CN111057947A (zh) * 2019-12-09 2020-04-24 宁波宝新不锈钢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高温强度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1329C2 (de) * 1977-01-14 1983-03-24 Thyssen Edelstahlwerke AG, 4000 Düsseldorf Korrosionsbeständiger ferritischer Chrom-Molybdän-Nickelstahl
US4461811A (en) * 1980-08-08 1984-07-24 Allegheny Ludlum Steel Corporation Stabilized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razeability
ZA814922B (en) * 1980-08-08 1982-07-28 Allegheny Ludlum Steel Stabilised ferr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brazeability
US4834808A (en) * 1987-09-08 1989-05-30 Allegheny Ludlum Corporation Producing a weldable, ferritic stainless steel strip
JP2896077B2 (ja) * 1993-04-27 1999-05-31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高温酸化性およびスケール密着性に優れたフエ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2642056B2 (ja) * 1994-04-22 1997-08-20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H08144021A (ja) * 1994-11-18 1996-06-04 Sumitomo Metal Ind Ltd フェライト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546714B2 (ja) * 1998-08-27 2004-07-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温強度、加工性および表面性状に優れたCr含有鋼
JP2001026855A (ja) 1999-07-14 2001-01-30 Nisshin Steel Co Ltd 自己ろう付け性に優れたニッケルろう被覆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KR100784888B1 (ko) * 2000-08-01 2007-12-11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스테인리스강 연료탱크
EP1219719B1 (en) * 2000-12-25 2004-09-29 Nisshin Steel Co., Ltd. A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good of work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40170518A1 (en) * 2001-07-05 2004-09-02 Manabu Oku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member of exhaust gas flow passage
JP3995978B2 (ja) * 2002-05-13 2007-10-24 日新製鋼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材
JP4281535B2 (ja) * 2003-11-27 2009-06-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面歪み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45B1 (ko) * 2010-11-11 2018-07-1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내산화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US9611525B2 (en) 2011-03-29 2017-04-04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biofuel supply system part, biofuel supply system part, ferritic stainless steel for exhaust heat recovery unit, and exhaust heat recovery unit
KR20150110800A (ko) * 2013-03-29 2015-10-02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브레이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열 교환기, 열 교환기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연료 공급계 부재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연료 공급계 부품
WO2018062617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포스코 카본 슬러지 흡착이 저감된 배기계 열교환기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34801B2 (en) 2016-09-28 2023-04-25 Posco Co., Ltd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reduced carbon sludge adsorption for exhaust system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4030A4 (en) 2010-12-22
CA2707518A1 (en) 2009-07-09
US20100272594A1 (en) 2010-10-28
EP2224030A1 (en) 2010-09-01
JP2009174046A (ja) 2009-08-06
WO2009084526A1 (ja) 2009-07-09
CA2707518C (en) 2014-05-20
JP5390175B2 (ja) 2014-01-15
CN103643136A (zh) 2014-03-19
EP2224030B1 (en) 2012-05-16
CN101903548A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7236A (ko) 납땜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5462583B2 (ja) Egrクーラ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KR101703464B1 (ko) 브레이징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열 교환기, 열 교환기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연료 공급계 부재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연료 공급계 부품
JP5588868B2 (ja) 尿素水タンク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101990725B1 (ko) 브레이징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KR20180104670A (ko)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2상 스테인리스 강재와 그 제조 방법
KR20120036959A (ko) Egr 쿨러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egr 쿨러
JP5786491B2 (ja) Egrクーラー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788946B2 (ja) ろう付け性に優れたろう付け接合により組み立てられる部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CN109790605B (zh) 用于排气系统热交换器的具有减少的碳渣吸附的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2022115553A (ja) 尿素scrシステム用ステンレス鋼製溶接部材
JP2018172735A (ja) ろう付け性と耐食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Niろう付け接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03

Effective date: 2013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