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102A - 광확산제 - Google Patents

광확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102A
KR20100087102A KR1020107008354A KR20107008354A KR20100087102A KR 20100087102 A KR20100087102 A KR 20100087102A KR 1020107008354 A KR1020107008354 A KR 1020107008354A KR 20107008354 A KR20107008354 A KR 20107008354A KR 20100087102 A KR20100087102 A KR 2010008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ffusing
diffusion
particle
diffus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야마구치
시게키 하마모토
히로츠구 가와타
마사요시 오쿠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6Polymer particles coated by polymer, e.g. core shel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4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종래의 구상 수지 입자보다 우수한 광확산성 및 광투과성을 부여하여, 스크린 등의 최종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확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확산제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고, 투명성, 광학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 광확산제를 이용한 광확산 필름은, 우수한 광확산성과 전광선 투과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어떠한 위치로부터 산란광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광확산성과 전광선 투과성이 밸런스 좋게 충족되는 광확산 필름이며, 액정 표시의 백라이트, 투과형 스크린, 조명기구, 전식 간판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확산제{LIGHT DIFFUSING AGENT}
본 발명은 우수한 빛의 확산성과 투과성을 갖는 광확산제 및 그것을 이용한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의 백라이트, 프로젝션 텔레비전 등의 투과형 스크린, 조명 기구, 전식(電飾) 간판 등의 광확산용 부재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 및 그 재료로서의 광확산제에 관한 것이다.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염화바이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의 투명한 기재 수지 중에, 기재 수지와는 다른 굴절률을 갖는 미립자를 광확산제로서 혼합 분산시켜 성형한 광확산 판이나, 기재 수지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투명성의 기재로 하고, 이 기재에 광 산란성을 갖는 미립자를 광확산제로서 포함하는 광확산층을 도포한 시트나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에는 우수한 광확산성과 광투과성이 요구되고,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성능의 광확산제가 필요하다. 종래, 광확산제로서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타이타늄, 실리카, 알루미나, 유리 분말 등의 무기 분말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보통 무기 분말은 입자 형상이 가지각색으로 입경의 격차가 크면서, 빛의 균일 확산성이 모자라고, 광투과율이 낮으며, 또한 무기 분말에 의해서 광확산 판의 표면이 조면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아크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등의 유기계의 구상 수지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폴리스타이렌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 판(특허 문헌 1 참조), 아크릴 수지 입자, 폴리스타이렌 입자 등의 투명 비드를 함유하는 동시에 적어도 시트의 한편의 면에 미세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고 있는 광확산 시트(특허 문헌 2 참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계의 구상 수지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무기 분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도 광투과성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었지만, 목적으로 하는 최종 제품인 스크린 등의 성능에 직접 관여하고 있는 수지 입자의 광확산성은 충분하지 않고, 시트 표면의 미세 가공에 의해서도, 그 광확산성은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보다 고성능인 스크린 등의 최종 제품의 성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광확산성이나 광투과성의 추가적인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광확산제가 요청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소56-336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146207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구상 수지 입자보다 우수한 광확산성 및 광투과성을 부여하여, 스크린 등의 최종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확산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가지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확산제를 바인더에 의해 필름 또는 시트상 수지에 도포한 광확산 필름 또는 광확산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확산제를 투명한 기재 수지 중에 혼합 분산시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는, 입자 표면에 미세한 요부(凹部)에 의한 이형 형상을 부여함으로써 유기계의 구상 수지 입자에 의한 광투과성의 우위성을 확보하면서, 요부의 미세 광확산성에 기인하는 높은 광확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부터, 이 입자를 광확산제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빛의 확산성(헤이즈)과 투과성(전광선 투과율)을 갖는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상 수지 입자의 단면도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제 및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에 관하여 실시 형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상 수지 입자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상 수지 입자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상 수지 입자에 있어서, 입자 본체(1)의 표면상에는 다수의 구덩이부(2)가 존재하고, 구덩이부(2)의 내벽은 입자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와는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층(3)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구덩이」란 하나의 입자당 2개 이상의 구덩이를 의미하며, 입자 표면에 보다 많은 구덩이를 갖는 입자를 이용할수록, 광확산성(헤이즈; haze) 및 광투과성(전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광확산제 및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상 수지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은 0.1 내지 50μm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0.1μm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전광선 투과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50μm를 넘는 경우,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헤이즈가 작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구덩이는 보통 거의 원형의 개구부를 갖고 있고, 입자 표면에는 개구부의 직경이 다른 구덩이가 혼재하고 있다. 구덩이의 개구부의 평균 직경은 0.01 내지 3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내지 0.9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구부의 평균 직경이 0.O1μm보다 작은 경우,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헤이즈가 작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개구부의 평균 직경이 3μm를 넘는 경우, 얻어지는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헤이즈가 작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 구덩이의 개구부의 평균 직경 및 입자 1개당의 구덩이의 평균 개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구한 수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 되지 않지만, 구덩이부의 내벽 부분과 입자 본체가 다른 수지로 구성되는 복합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덩이부와 입자 본체를 각각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이하 동일〕,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프로필, 폴리(메트)아크릴산뷰틸, 폴리(메트)아크릴산노말헥실, 폴리(메트)아크릴산사이클로헥실, 폴리(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폴리(메트)아크릴산도데실, 폴리(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 폴리아세트산바이닐, 폴리프로피온산바이닐 등의 바이닐에스터 중합체; 폴리스타이렌, 폴리바이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중합체를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공중합체 또는 가교 중합체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광확산제 및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요구 특성에 따라 상기의 중합체를 임의로 조합한 복합 수지 입자가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광확산성 및 투과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구덩이부가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입자 본체가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수지 입자 및 구덩이부와 입자 본체가 다른 종류의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특히 폴리스타이렌과 폴리메타크릴산메틸로 이루어지는 복합 수지 입자 및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기를 갖는 폴리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1종과 폴리메타크릴산메틸로 이루어지는 복합 수지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드 분산 중합법이나 시드 유화 중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시드 분산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시드 분산 중합법에 있어서는, 예컨대 구덩이부가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입자 본체가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수지의 경우,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의 진구상(眞球狀) 입자를 시드 입자로서 분산시킨 용매(S1) 중에서, 방향족 바이닐 모노머를 시드 분산 중합시키고, 유액상(乳液狀)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입자를 원심 분리 등에 의해 단리하여,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덩이부가 되는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는 용매(S1)에 가용성이고, 시드 입자에 비하여 용매(S1)와의 친화성이 낮거나 또는 동등한 모노머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S1)로서는 예컨대 메탄올/물 혼합 용매가 사용된다. 중합 반응은, 중합 개시제, 분산제 및 시드 입자인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의 빈용매(貧溶媒) 또는 비용매(非溶媒)이지만,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의 양용매(良溶媒)이며, 또한 상기 용매(S1)에 불용이거나 또는 부분 용해하는 유기 용매(S2)의 공존 하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S2)로서는, 예컨대 데카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매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 진구상 수지 입자의 표면에, 이종의 수지를 중합하면서 다수의 구덩이부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구덩이부의 내벽에 이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이 형성된 구상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지된 유화 중합법으로써 수득된 폴리스타이렌과 같은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의 구상 입자를 시드 입자로서 에탄올/물 혼합 용매 같은 분산 용매에 분산시키고, 아크릴산뷰틸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터를 혼합하고, 0℃에서 방치하여 팽윤 입자로 한 후, 시드 유화 중합시켜 유액상의 반응 혼합물로부터 입자를 원심 분리 등에 의해 단리하고, 건조하는 방법 등에 의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구상 수지 입자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또한 구덩이부와 입자 본체가 다른 종류의 중합체로부터 구성되는 복합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광확산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시드 입자로서 이용한 진구상 입자와 비교하여, 다수의 구덩이에 의한 광확산성과 다른 수지의 굴절률 차이의 상승 효과에 의해,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광확산제 및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제에 있어서의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광확산제 전체량에 대하여 1 내지 100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상 수지 입자의 함유 비율이 1질량% 미만인 경우, 광확산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광확산제에 배합되는 임의의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상기 구상 수지 입자 이외의 광확산제; 염·안료, 산화 방지제 등의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투명한 기재 수지에, 상기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제 및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첨가제를 혼합 분산하고, 예컨대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혼련 롤, 반버리 믹서 등으로 용융 혼련하여 펠렛화하고, 수득된 펠렛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등에 의해 소요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투명한 기재 수지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확산제를 이용하여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필름, 시트 등에 성형한 기재 수지의 단면 또는 양면에,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제를 바인더에 의해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광확산제를 기재에 도포하기 위해서는 광확산제를, 예컨대 용제에 용해한 유기 고분자 바인더 중에 혼합, 분산하고, 기재 수지 상에 도포하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디핑법, 롤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바이닐 등이 적합하다. 이들 중에서도,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광확산제를 포함하는 광확산층의 두께는 보통 5 내지 50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μm이다.
유기 고분자 바인더로서는 폴리에스터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산에스터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굴절률, 기재와의 접착성, 내찰상성,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터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광확산제와 유기 고분자 바인더의 배합량은 보통 유기 고분자 바인더 1OO질량부에 대하여 광확산제 50 내지 5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350질량부이다. 50 내지 500질량부의 범위 내에서는 헤이즈 및 전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작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의 특성은, 헤이즈가 보통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고, 전광선 투과율이 보통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의 범위이다. 헤이즈가 80% 보다 낮으면,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 선명도가 뒤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전광선 투과율이 80% 보다 낮으면, 화면의 명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에서 수득된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 구덩이의 개구부의 평균 직경 및 입자 1개당 구덩이의 평균 개수,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이용한 구상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8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광확산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 헤이즈, 및 막 두께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4로 수득된 광확산 판의 전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 헤이즈, 및 판 두께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측정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1) 부피 평균 입자 직경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 세이샤쿠쇼제, SALD-2000)를 이용하여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했다.
(2) 구덩이의 개구부의 평균 직경 및 입자 1개당 구덩이의 평균 개수
전자 현미경(니혼 덴시 가부시키가이샤제, JSM-6390LA)을 이용하여, 화상 해석에 의해 측정했다.
(3) 전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 헤이즈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NDH-300A)를 이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 및 평행 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전광선 투과율은 입사광의 강함을 100%로 한 경우, 시료를 통과하여 온 전체 광량의 비율(%)이며, 시료에 의해서 확산된 광량의 비율(%)인 확산 투과율과 입사 방향에 직진하는 광량의 비율(%)인 평행 광선 투과율의 합이다.
(전광선 투과율)=(확산 투과율)+(평행 광선 투과율)
또한, 헤이즈는 입사광이 시료를 지나는 사이에, 입사 광속에서 어긋나 확산 투과한 광량의 비율(%)이다.
(헤이즈)=(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100
(4) 막 두께 및 판 두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가부시키가이샤 미쯔토요제)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1]
교반기 및 냉각관을 갖춘 2L 용적의 반응 용기에 메탄올 504g, 순수 216g, 데카린 54g을 투입하고, 분산제로서 폴리바이닐피롤리돈 1.8g을 용해시킨 후, 시드 입자로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μm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진구상 입자 30g을 첨가하여 분산시켰다. 이 PMMA 진구상 입자는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다.
또한, 모노머로서 스타이렌 18g,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1.2g을 용해시키고, 반응 용기 내를 질소 분위기로 한 후, 승온시켜 반응계 내의 온도를 60℃에서 24시간 유지하여 중합 반응을 완결시켰다.
수득된 유액상의 반응 혼합물을 원심 분리에 의해 고체 액체 분리하여 단리한 수지 입자를 메탄올로 세정한 후, 120℃에서 감압 건조함으로써 구상 수지 입자 46.5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데카린을 13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구상 수지 입자 47.1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시드 입자로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 1Oμm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구상 입자, 모노머로서 메타크릴산사이클로헥실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구상 수지 입자 46.0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데카린을 13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이하여, 구상 수지 입자 47.1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있어서, 시드 입자로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 2μm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구상 입자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이하여, 구상 수지 입자 47.1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 있어서, 시드 입자로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 8μm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구상 입자를 이용하고, 데카린을 105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이하여, 구상 수지 입자 46.8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 있어서, 시드 입자로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0μm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구상 입자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이하여, 구상 수지 입자 45.9g을 수득했다. 수득된 구상 수지 입자를 광확산제로 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 2.5질량부, 유기 고분자 바인더로서 폴리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분산액(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제, 자이크센 A)10질량부를 배합하고, 교반하는 것에 의해 광확산제 함유 도포액을 조제했다.
두께 100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오레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라 T60)의 단면에, 상기 광확산제 함유 도포액을, 바 코터(No.12)를 이용하여 도공하고, 105℃에서 3분간 건조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실시예 2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1O]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실시예 3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11]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실시예 4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실시예 5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13]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실시예 6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실시예 14]
실시예 7에서 수득된 광확산제 3.0질량부, 투명한 기재 수지로서 폴리스타이렌 수지(도요 스타이렌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스타이렌 G320C) 100질량부를 배합하고, 또한 열 안정제(스미토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스미라이저 GS) 0.2질량부를 혼합한 후, 스크류 직경 30mm의 2축 압출기(가부시키가이샤 이케가이제, 형식 PCM 30-41.5)에 공급하고, 가공 온도 200℃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렛화 하는 것에 의해 광확산판용 펠렛을 수득했다.
이 광확산판용 펠렛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니혼 세이코쇼 가부시키가이샤제, 형식 N100BII)에 의해, 성형 온도 200℃, 사출 압력 80MPa, 금형 온도 40℃의 조건에서, 광확산제가 균일하게 혼합 분산된 판 두께 2mm의 광확산 판을 수득했다.
[비교예 1]
실시예 8에 있어서,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μm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 진구상 입자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이 PMMA 진구상 입자는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다.
[비교예 2]
실시예 10에 있어서, 실시예 3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부피 평균 입자 직경 10μm의 PMMA 진구상 입자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이 PMMA 진구상 입자는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다.
[비교예 3]
실시예 12에 있어서, 실시예 5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부피 평균 입자 직경 2μm의 PMMA 진구상 입자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같이 하여, 막 두께 10μ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이 PMMA 진구상 입자는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다.
[비교예 4]
실시예 14에 있어서, 실시예 7에서 수득된 광확산제를 대신하여,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0μm의 PMMA 진구상 입자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같이 하여, 판 두께 2mm의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 판을 수득했다. 이 PMMA 진구상 입자는 입자 표면에 구덩이를 갖지 않는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2로 부터, 본 발명의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제를 이용한 광확산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 헤이즈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3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입자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제를 이용한 광확산 판은, 전광선 투과율, 확산 투과율, 헤이즈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확산제는,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여, 투명성, 광학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 광확산제를 이용한 광확산 필름, 광확산 시트 및 광확산 판은 우수한 광확산성(헤이즈)과 광투과성(전광선 투과율)을 갖는다. 그 때문에, 어떠한 위치로부터 산란광을 본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광확산성과 광투과성이 밸런스 좋게 충족된 광확산 필름, 광확산성 시트, 및 광확산 판을 제공할 수 있고, 액정 표시의 백라이트, 투과형 스크린, 조명기구, 전식 간판 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 입자 본체
2 …… 구덩이부
3 …… 피복층

Claims (12)

  1. 표면에 다수의 구덩이를 갖는 구상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광확산제.
  2. 구상 수지 입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μm인 광확산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덩이의 개구부의 평균 직경이 0.01 내지 3μm인 광확산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상 수지 입자가, 구덩이부와 입자 본체가 다른 수지로 구성되는 복합 수지 입자인 광확산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구상 수지 입자가,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와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 수지 입자인 광확산제.
  6. 제 5 항에 있어서,
    방향족 바이닐 중합체가 폴리스타이렌이며,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가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인 광확산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상 수지 입자가, 다른 종류의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복합수지 입자인 광확산제.
  8. 제 7 항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메트)아크릴산에스터 중합체가 탄소수 2 내지 18의 알킬기를 가지는 폴리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1종과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인 광확산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상 수지 입자가, 시드 분산 중합법에 의해 수득된 입자인 광확산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확산제를 바인더에 의해 필름상 수지에 도포한 광확산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확산제를 바인더에 의해 시트상 수지에 도포한 광확산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확산제를 투명한 기재 수지 중에 혼합 분산시키고,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확산 판.
KR1020107008354A 2007-10-18 2008-10-20 광확산제 KR20100087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1603 2007-10-18
JP2007271603 2007-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102A true KR20100087102A (ko) 2010-08-03

Family

ID=4056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354A KR20100087102A (ko) 2007-10-18 2008-10-20 광확산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9051256A1 (ko)
KR (1) KR20100087102A (ko)
CN (1) CN101849201B (ko)
TW (1) TW200930755A (ko)
WO (1) WO2009051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3524B2 (ja) * 2009-09-28 2013-12-1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とその製造方法、ポリスチ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
CN102456809B (zh) * 2010-10-26 2015-09-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led组件及其制备方法
TWI586688B (zh) 2011-08-25 2017-06-11 積水化成品工業股份有限公司 異形樹脂粒子及其製造方法與其用途
CN113061267B (zh) * 2021-04-08 2022-01-18 华南理工大学 可控性单分散各向异性凹槽四面体状胶体粒子的制备方法
CN113912890B (zh) * 2021-10-14 2022-12-27 宁波东旭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反射膜的制备方法
CN114624921B (zh) * 2022-03-11 2023-08-01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板及含其的显示装置、量子点光学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244A (ja) * 1993-03-30 1994-10-11 Nippon Zeon Co Ltd ゴルフボール様高分子複合体微粒子及びその製造法
JP3384983B2 (ja) * 1999-08-27 2003-03-10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3861162B2 (ja) * 2000-12-15 2006-12-20 財団法人新産業創造研究機構 表面凹部を多数有する高分子微粒子の製造方法
CN100353187C (zh) * 2004-03-29 2007-12-05 株式会社巴川制纸所 防眩薄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9201A (zh) 2010-09-29
WO2009051256A1 (ja) 2009-04-23
CN101849201B (zh) 2013-05-08
JPWO2009051256A1 (ja) 2011-03-03
TW200930755A (en)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448B (zh) 光散射組成物
JP4695071B2 (ja) 光制御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KR20100087102A (ko) 광확산제
CN108663732B (zh) 一种低雾度防眩膜及偏光板
JP6147932B2 (ja) 透明フィルム、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JP4625680B2 (ja) 光拡散性成形品
US6677404B1 (en) Light-diffusing resin composition
JP2010271682A (ja) 高効率の光拡散高分子フィルム及びこの製造方法
JP2994687B2 (ja) アクリル樹脂多層板
US10907039B2 (en) (Meth)acryl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its method of preparation, its use and object comprising it
TWI740834B (zh) 透明樹脂積層體
JP2007153959A (ja) 光拡散板用樹脂組成物及び光拡散板
US10934425B2 (en) (Meth)acryl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its use as masterbatch
JP2006084927A (ja) 光拡散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H04328148A (ja) 光拡散性シート状物
JP4970451B2 (ja) 光拡散用樹脂組成物及び光拡散板
KR101422666B1 (ko) 아크릴계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확산필름
JP3374316B2 (ja) 光拡散性積層樹脂板
CN101285897A (zh) 光扩散板用树脂组合物和光扩散板
JP4029299B2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及び光拡散成形品
JP2000169721A (ja) 光拡散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9235255A (ja) 光拡散用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24069210A (ja) 粒子を含む(メタ)アクリルポリマー組成物、その調製方法及びマスターバッチとしてのその使用
JP3751548B2 (ja) マスターペレットおよびその成形体
KR20110133678A (ko) 엘시디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