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232A -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232A
KR20100086232A KR1020090005494A KR20090005494A KR20100086232A KR 20100086232 A KR20100086232 A KR 20100086232A KR 1020090005494 A KR1020090005494 A KR 1020090005494A KR 20090005494 A KR20090005494 A KR 20090005494A KR 20100086232 A KR20100086232 A KR 2010008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carrier box
case body
pin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796B1 (ko
Inventor
최창식
김경식
남강우
이승환
고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00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796B1/ko
Priority to TW098107077A priority patent/TWI376341B/zh
Priority to CN2009101464977A priority patent/CN101786530B/zh
Publication of KR2010008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바닥면에 안내 레일부가 구비된 케이스 본체로서, 상기 안내 레일부가 상기 내부 바닥면에서 파여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홈 형태로 구비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안내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수용되는 편광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하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이동대의 상측에 위치하여 양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는 상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및 상측 이동대를 클램프 결합시키며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측 이동대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켜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를 제공한다.
편광판, 캐리어 박스

Description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CARRIER BOX FOR POLARIZER}
본 발명은 편광판을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캐리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컴퓨터의 모니터나 디지털 텔레비젼, 휴대폰 등의 화상정보 전달매체인 각종 표시기에 사용되는 필름 또는 글라스로서, LCD 글라스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더욱 선명한 화질과 기능의 다양성에 부응하여 그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광판의 제조는 보다 정밀하고 우수한 품질과 대량생산체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고정밀도의 물품이므로 충격, 오염, 긁힘, 먼지, 온도, 습도 변화의 영향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하며,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고 미미한 정전기 발생에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은 보관 및 운반시에 반드시 별도의 캐리어 박스(수용 박스)내에 수용되어야 한다.
종래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는 그 내부에 적재되는 편광판을 구속하기 위한 내부구속장치가 별물로 제작되어 설치된 2단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는 내부구속장치가 별물로 제작된 2단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제품중량이 크며 조립성이 양호하지 못하고 편광판을 적재시 별도의 정렬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일체로 된 레일구조를 형성하여 편광판을 구속하므로써 부품수와 제품중량을 줄이고 조립성을 높이는 한편 별도의 편광판 정렬작업이 불필요한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부 바닥면에 안내 레일부가 구비된 케이스 본체로서, 상기 안내 레일부가 상기 내부 바닥면에서 파여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홈 형태로 구비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안내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수용되는 편광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하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이동대의 상측에 위치하여 양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는 상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및 상측 이동대를 클램프 결합시키며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측 이동대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켜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캐리어 박 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에 의하면, 바닥면에 일체로 된 레일구조를 형성하여 편광판을 구속하므로써 부품수와 제품중량을 줄이고 조립성을 높이는 한편 별도의 편광판 정렬작업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는, 내부 바닥면에 안내 레일부가 구비된 케이스 본체로서, 상기 안내 레일부가 상기 내부 바닥면에서 파여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홈 형태로 구비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안내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수용되는 편광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하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이동대의 상측에 위치하여 양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는 상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및 상측 이동대를 클램프 결합시키며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측 이동대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켜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일영역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편광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케이스 본체 내에 수용된 편광판을 상기 케이스 본 체에서 인출할 때, 편광판을 밀거나 당김 없이, 상기 파지홈에 손을 넣어 상기 편광판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측벽에는, 보강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지지부는 포밍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부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제품 적재 및 운반 시 자중 및 내용물에 의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 적재물을 지지하는 기준면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밍구조를 가짐으로써 리브 기능을 대체하여 세척의 용이성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 바닥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 바닥면에 손삽입홈을 형성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 삽입홈을 형성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면, 리브가 형성하는 공간인 손삽입홈에 손을 넣을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의 손바닥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 바닥면을 받치고 상기 케이스 본체를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다단 적재 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상기 안내 레일부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제1구간과,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 이동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간 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2구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간 보다 넓의 폭의 상기 제2구간이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안내 레일부에 장착할 때,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 이동대를 상기 제2구간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이동대와 상기 클램핑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부영역은, 아치형 판부 형태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아치형 판부 형태로 구비되면 상기 클램프 장치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측 이동대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편광판을 구속할 때, 상기 편광판의 하측에서 상기 편광판을 지지하는 편광판 받침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편광판 받침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편광판의 처짐을 방지하는 하나편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시 기울어짐으로 인한 걸림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 이동대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상측 이동대와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조립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조립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면, 용이하게 상기 상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이동대를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시 상기 상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이동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이동대의 압착면적을 넓힘으로써 위치고정 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 이동대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안내 레일부의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단턱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에는 패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패드가 구비되면 상기 안내 레일부의 걸림턱과 접촉면적의 마찰력 증대로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하측 이동대와 상기 상측 이동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측 이동대와 상기 상측 이동대를 결합시키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에서 상기 결합축 말단부에 결합된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편광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편광판의 위치고정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는 클램프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클램프 레버를 록킹해제위치에 두고, 상기 케이스 본체에 수용된 편광판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안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시켜 편광판에 접근시킨 다음, 상기 클램프 레버를 록킹위치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해당 위치로 위치고정되고, 편광판은 상기 위치고정된 슬라이더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 레버는,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면에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회동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와 연결되게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몸체는,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면을 향하는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핀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핀수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수용구 내부에는 상기 회동핀의 조립 가이드용 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핀걸림턱은 상기 회동핀과 상기 클램프 레버의 조립 시 작동성을 위한 갭(gap) 설정을 위한 것으로서, 조립 시 헐거움으로 인한 조립 난해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회동핀은, 상기 핀 수용 구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핀삽입부와, 상기 핀걸림턱에 걸리는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삽입부에는 상기 결합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10참조).
또한, 상기 회동핀은, 양단부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핀수용구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핀삽입부와, 중앙부영역에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결합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9참조). 상기 회동핀의 중앙영역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10참조), 결합공을 가공한 후 홀의 주변의 벌(burr)처리의 완전 제거가 어려워 레버몸체와 조립/작동 시 회동에 의한 갈림이 발생할 수도 있으나,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9참조), 갈림구조를 접촉부위와 회피시켜 갈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갈림이란 2가지 이상의 부품이 맞물려 작동될 시 작동부위의 마찰에 의해 재질의 접촉 표면이 마모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한 이물발생이 초래되어 적재물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서 갈림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동핀의 회동 시, 상기 회동핀의 위치가 이동되어 상기 회동핀의 홀 주변에 벌(burr) 발생부위와 상기 레버몸체의 내측면의 회전마찰이 반복 발생하게 될 때, 날카롭게 발생된 벌(burr)이 사출물인 상기 레버몸체의 내측면에 절삭작용을 하여 파편이 생성되는 갈림이 발생될 수도 있는데, 도 9의 구조에 따르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 레버가 록킹해제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단부에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영역을 절취형성한 간섭 회피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록킹해제위치에서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단부 위로 노출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영역을 절취형성하여 간섭 회피 구조가 구비되면, 상기 손잡이부를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하여도 상기 손잡이부를 회동시킬 때, 손잡이부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단부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단부 위로 노출될 정도로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면,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 클램프 레버를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가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면, 자유도가 향상되고,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는 25~50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 손잡이부의 길이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라이더의 크기 및 압축력에 따라 편의성을 고려하여 손잡이부는 다양한 길이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면에는, 상기 클램프 레버가 상기 록킹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레버가 상기 록킹위치에 있을 때 강력한 클램핑력이 가해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 클램프 레버의 상기 손잡이부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손가락 삽입홈이 구비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손가락 삽입홈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용이하게 상기 클램프 레버를 록킹해제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측 이동대의 측벽에는, 상기 클램프 레버가 상기 록킹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부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측벽 위로 노출배치되도록,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절취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부가 상기 절취부 측으로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절취부 측에서 접근하여 즉, 상기 상측 이동대의 측면 쪽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용이하게 상기 클램프 레버를 상기 록킹해제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는,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케이스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커버에는 상기 케이스커버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강도보강리브는 포밍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커버의 외부면 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내부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도보강리브가 상기 케이스커버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재 시, 내압 및/또는 외압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케이스커버의 외부면에 강도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 바닥면에 리브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를 다단적재 할 때 안정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고, 적층된 박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는, 내부공 간에 편광판(P)이 수용되는 케이스본체(20)와, 케이스본체(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케이스커버(10)를 포함한다.
케이스커버(10)의 외부면에는, 포밍구조의 강도보강리브(1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커버(10)는, 잠금수단(11,25)에 의해 케이스본체(20)에 결합되어 케이스본체(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0)의 외부 바닥면에는, 케이스본체(2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리브(24)에 의해 형성되는 손삽입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0)의 내부의 일영역에는 편광판(P)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본체(20)의 내부 측벽에는 포밍구조의 보강지지부(2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는 편광판(P)의 크기에 따라 편광판(P)의 위치를 구속하는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레일부(26)는, 케이스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서 파여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홈 형태로 되어 있다.
안내 레일부(26)는, 걸림턱(27)이 형성된 제1구간(26a) 및 제1구간(26a) 보다 큰 제2구간(26b)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케이스본체(20)의 내부에서 편광판(P)의 두 변은 케이스본체(20)의 두 개의 내벽면에 의해 지지되고, 편광판(P)의 두 변은 케이스본체(20)의 내부에 설치 된 3개의 슬라이더(30)에 의해 그 위치가 구속된다. 슬라이더(30)의 개수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편광판(P)은 케이스본체(20)의 수용공간 내에 적재(적층)되어 케이스본체(20)의 내벽면과 슬라이더(30)에 의해 구속된다.
여기서, 케이스본체(20)의 내벽면이 아닌 케이스 본체(20)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기준판이 별도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두 개의 기준판을 다양한 각도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편광판을 구속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30)의 후술하는 상측 이동대(41)에서 편광판(P)이 접촉하는 면을 다양한 각도로 변화시킬 수 있게 설계 변경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하측 이동대(51)와, 상측 이동대(41)와, 하측 이동대(51)과 상측 이동대(41)를 클램프 결합시키는 클램핑장치(60)를 포함한다.
상측 이동대(41)는, 하측 이동대(51)의 상측에 위치하여 양단이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하는 한편 편광판(P)을 구속하게 된다.
상측 이동대(41)의 상부면은 클램핑장치(60)에 의해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높이도록 아치형 판부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측 이동대(41)의 상부면에는, 중앙영역에 클램핑장치(60)의 후술할 결합축(80)이 끼워지는 결합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영역에는 후술할 클램프 레버(61,62)의 손잡이부(62)를 위한 한 쌍의 손가락삽입홈(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이동대(41)의 양 측면에는, 후술할 클램프 레버(61,62)의 손잡이부(62)를 위한 절취부(46)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이동대(41)의 양 단부영역에는,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는 가압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 이동대(41)에는 편광자(P)를 향하는 면에 편광판(P)의 처짐을 방지하는 한편 슬라이더(30)의 이동 시 기울어짐으로 인한 걸림감을 해소하도록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F)과 동일한 레벨로 된 편광판 받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이동대(41)에는 편광판 받침부(43)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안내 레일부(26)의 내부로 삽입되는 마감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이동대(51)는, 안내 레일부(26)의 폭이 넓은 제2구간(26b)을 통해 용이하게 삽입되어 제1구간(26a)의 걸림턱(27)에 걸려 상측 이동대(41)와 일체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이동대(51)는, 중앙영역에 클램핑장치(60)의 후술할 결합축(80)이 끼워지는 결합공(54)이 형성되어 있고, 양 단부영역에 걸림턱(27)에 걸리는 단턱부(55), 단턱부(55) 위에 위치하는 패드(53) 및 단턱부(55)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측 이동대(41)와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조립가이드(52)가 구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장치(60)은, 하측 및 상측 이동대(51,41)를 클램프 결합시키며 편광판(P)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상측 이동대(41)를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켜 위치고정시킨다.
클램핑장치(60)은, 결합축(80)과; 회동핀(68a,91)과; 클램프 레버(61,62)를 포함한다.
결합축(80)은, 하측 이동대(51)와 상측 이동대(4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결합되어, 하측 이동대(51)와 상측 이동대(41)를 결합시킨다. 결합축(80)은 하부 이동대(51)의 결합공(51), 상부 이동대(41)의 결합공 및 상측 이동대(41)의 상부면 위에 위치한 와셔(53)에 끼워진 후 회동핀(68a,91)에 결합된다.
클램프 레버(61,62)는, 회동핀(68a,9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편광판(P)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위치(도 1 및 도 12 참조)와 편광판(P)의 위치고정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도 5 및 도 13 참조) 간을 회동한다. 여기서, 클램프 레버(61,62)의 록킹위치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레버(61,62)가 가로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는 슬라이더(30)가 슬라이딩 되지 않고 위치고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드(53)가 결합된 하부 이동대(51)가 상측 이동대(41)와 함께 클램핑장치(60)에 의해 케이스본체(20)의 안내 레일부(26)를 강하게 압축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력은 소재의 재질강도(탄성) 및 오버랩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클램프 레버(61,62)의 록킹해제위치란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레버(61,62)가 세로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는 슬라이더(30)이 안내 레일부(26)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이다.
클램프 레버(61,62)는, 상측 이동대(41)의 상측면에 접하게 위치하여 회동핀(68a,9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몸체(61)와, 레버몸체(61)와 일체로 구비된 손잡이부(62)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클램프 레버(61,68)가 록킹해제위치로 회 동할 때, 손잡이부(62)가 상측 이동대(41)의 상단부에 부딪치지 않도록, 손잡이부(62)의 일영역을 절취형성한 간섭 회피구조(63)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에 손잡이부(62)는 록킹해제위치에서 상측 이동대(41)의 상단부 위로 노출배치될 수 있다.
레버몸체(61)는, 상측 이동대(41)의 상측면을 향하는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64)와, 개구부(64)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개구부(64)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회동핀(68a,91)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핀수용구(65)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구부(64)를 통해서 결합축(80)이 회동핀(68a,91)에 결합된다.
그리고, 핀수용구(65)의 내부에는 회동핀(68a,91)의 조립 가이드용 핀걸림턱(66)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핀(68a,91)은, 결합축(8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측 이동대(41)의 상측에서 개구부(64)를 통과한 결합축(80) 말단부와 결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핀(68a,91)은, 레버몸체(61)의 핀수용구(65)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핀삽입부(68a)와, 중앙영역에 형성된 함몰부(91)를 포함한다. 함몰부(91)에는 개구부(64)를 통과한 결합축(80)의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공(69)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회동핀의 또 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핀(67,68)은, 핀수용구(65)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핀삽입부(68)와, 핀걸림턱(66)에 걸리는 머리부(67)를 포함한다. 핀삽입부(68)에는 개구부(64)를 통과한 결합축(80)의 말단이 결합되는 결합공(69)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5,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용 캐리어 박스에 수용된 편광판의 위치고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편광판(P)의 두 변을 케이스본체(20)의 두 내벽면에 밀착시킨 다음, 클램프 레버(61,62)가 세로방향을 향하는 록킹해제위치(도 5 및 도 13 참조)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더(30)을 안내 레일부(26)를 따라 편광판(P)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슬라이더(30)가 편광판(P)에 밀착되었으면, 클램프 레버(61,62)가 가로방향을 향하는 록킹위치(도 1 및 도 12)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측 이동대(41)의 아치형 판부 형태의 상부면이 눌려져 그 양단의 가압부(42)가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하면서 하측 이동대(51)를 끌어당기에 됨에 따라, 해당 위치에 슬라이더(30)가 고정된다. 즉 슬라이더(30)는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고 위치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0)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편광판(P)을 용이하게 구속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20)의 내부 바닥면에 안내 레일부(26)를 형성하여 슬라이더(30)를 결합하므로, 종래의 캐리어 박스에 비해 부품수와 제품중량을 줄이고 조립성을 높일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20)의 내벽면과 슬라이더(30)를 이용하여 편광판(P)을 정렬시키므로 별도의 편광판 정렬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슬라이더(30) 구조는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로킹력 부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상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이동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레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레버와 회동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레버와 또 다른 예에 따른 회동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클램프 레버와 회동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록킹상태 및 록킹해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커버 20 : 케이스 본체
30 : 슬라이더 41 : 상측 이동대
51 : 하측 이동대 60 : 클램프 장치
61 : 레버몸체 62 : 손잡이부
67,68 : 회동핀 70 : 와셔

Claims (19)

  1. 내부 바닥면에 안내 레일부가 구비된 케이스 본체로서, 상기 안내 레일부가 상기 내부 바닥면에서 파여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홈 형태로 구비된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기 안내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로서, 상기 케이스본체 내에 수용되는 편광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안내 레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하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이동대의 상측에 위치하여 양단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는 상측 이동대와, 상기 하측 및 상측 이동대를 클램프 결합시키며 상기 편광판을 구속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측 이동대를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시켜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핑장치
    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부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제1구간과, 상기 슬라이더의 하측 이동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구간 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2구간을 갖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일영역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 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편광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측벽에는, 포밍구조의 보강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 바닥면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 바닥면에 손삽입홈을 형성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케이스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커버에는 상기 케이스커버의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보강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부영역은, 아치형 판부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이동대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편광판을 구속할 때, 상기 편광판의 하측에서 상기 편광판을 지지하는 편광판 받침부가 구비 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이동대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상측 이동대와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조립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이동대의 양 단부영역에는, 상기 안내 레일부의 상기 걸럼턱에 걸리는 단턱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에는 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하측 이동대와 상기 상측 이동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측 이동대와 상기 상측 이동대를 결합시키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에서 상기 결합축 말단부에 결합된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편광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편광판의 위치고정을 해제하는 록킹해제위치 간을 회동하는 클램프 레버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레버는,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면에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회동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몸체와, 상기 레버몸체와 연결되게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버몸체는,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면을 향하는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핀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핀수용구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핀수용구 내부에는 상기 회동핀의 조립 가이드용 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은, 상기 핀수용구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핀삽입부와, 상기 핀걸림턱에 걸리는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삽입부에는 상기 결합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은, 양단부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핀수용구에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핀삽입부와, 중앙부영역에 둘레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결합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 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레버가 록킹해제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단부에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영역을 절취형성한 간섭 회피구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록킹해제위치에서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단부 위로 노출배치되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측 이동대의 상측면에는, 상기 클램프 레버가 상기 록킹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측 이동대의 측벽에는, 상기 클램프 레버가 상기 록킹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부가 상기 상측 이동대의 측벽 위로 노출배치되도록,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KR1020090005494A 2009-01-22 2009-01-22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KR10101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94A KR101019796B1 (ko) 2009-01-22 2009-01-22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TW098107077A TWI376341B (en) 2009-01-22 2009-03-05 Carrier box for polarizer
CN2009101464977A CN101786530B (zh) 2009-01-22 2009-06-10 用于偏振器的运载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494A KR101019796B1 (ko) 2009-01-22 2009-01-22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32A true KR20100086232A (ko) 2010-07-30
KR101019796B1 KR101019796B1 (ko) 2011-03-04

Family

ID=4252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494A KR101019796B1 (ko) 2009-01-22 2009-01-22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19796B1 (ko)
CN (1) CN101786530B (ko)
TW (1) TWI3763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5894B (zh) * 2011-04-26 2012-10-10 明基材料有限公司 用于片状物的包装盒
CN105691812A (zh) * 2016-04-13 2016-06-22 翰博高新材料(合肥)股份有限公司 一种偏光片包装固定装置
CN106364798A (zh) * 2016-11-30 2017-02-01 苏州工业园区捷泰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偏光片运输放置盒
CN106945921A (zh) * 2017-05-19 2017-07-14 无锡德兴塑料科技有限公司 偏光板包装运转盒及包装系统
TWI723384B (zh) * 2019-04-24 2021-04-0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膜運送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45635A (zh) * 2001-07-12 2004-11-10 特克迪斯有限公司 具有内部偏振器的液晶显示器的制造方法
JP2005145461A (ja) * 2003-11-11 2005-06-09 Sharp Corp 収納トレイ
KR100718463B1 (ko) 2005-05-04 2007-05-16 오정일 편광필름 보호용 트레이
KR100741289B1 (ko) * 2005-05-16 2007-07-2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편광필름 캐리어
KR100867966B1 (ko) * 2008-04-22 2008-11-12 권영재 편광필름 포장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86530B (zh) 2012-02-01
CN101786530A (zh) 2010-07-28
KR101019796B1 (ko) 2011-03-04
TWI376341B (en) 2012-11-11
TW201028347A (en) 201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796B1 (ko) 편광판용 캐리어 박스
TWI239932B (en) Thin plate supporting container
JP3155966U (ja) キャップ装置
EP1411006B1 (en) Cover body for sheet supporting container and sheet supporting container
KR102453268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WO2015097939A1 (ja) 電子機器の筐体、電子機器
CN102695973B (zh) 光纤切断装置收容盒
JP2014099007A (ja) 着脱機構、装着装置、電子機器
TWM626453U (zh) 顯示裝置
JP5205508B1 (ja) 光ファイバカッタ内蔵ケース
JP2008034879A (ja) 薄板支持容器
AU2012234101B2 (en) Plate fixing structure and plate
US8254110B2 (en) Fix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50066787A1 (en) Paper cutter
JP2001290576A (ja) キーボード装置
US8690433B2 (en) Slid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TW201238700A (en) Clamp mechanism
JP6491971B2 (ja) 台車及び板状部材に対する部材取付構造
JP6535227B2 (ja) 筐体取付け構造
CN114572511B (zh) 一种计算机储存运输装置
TWM450730U (zh) 測試機台結構改良
TWI487374B (zh) The support device of the display
US2891349A (en) Sewing machine supporting bases and carrying cases
JP3604656B2 (ja) Cd−rom収納ケース
KR20030035162A (ko) 웨이퍼 홀딩기능을 갖는 웨이퍼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