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141A -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141A
KR20100086141A KR1020090005342A KR20090005342A KR20100086141A KR 20100086141 A KR20100086141 A KR 20100086141A KR 1020090005342 A KR1020090005342 A KR 1020090005342A KR 20090005342 A KR20090005342 A KR 20090005342A KR 20100086141 A KR20100086141 A KR 2010008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motion recognition
sensor
portable terminal
recogni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876B1 (ko
Inventor
홍현수
조병덕
하영희
이재면
김경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76B1/ko
Priority to US12/691,974 priority patent/US8793519B2/en
Publication of KR2010008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입력 감지 여부에 따라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 및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모드 전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모션 센서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모션 센서 기반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배터리를 자주 충전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모션 센서(Motion Sensor),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전력 소모

Description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METHOD FOR POWER SAVING BASED ON MOTION SENSO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보급률의 증가와 함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었다.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터치 센서, 촉각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모션 센서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동작을 가하면,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모션 인식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휴대 단말기는 모션 센서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도 모션 센서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속도로 동작하게 된다. 모션 센서는 사용자 모션 입력을 감지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모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모션을 계속적으로 입력받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기 위해서 모션 센서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 모션이 입력된 후 대체적으로 장시간 동안 사용자 모션이 입력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모션 센서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구동하는 것은 전력 소모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션을 입력하여 통화 기능을 실행한 후, 장시간 동안 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모션을 입력하여 MP3 플레이어 또는 라디오를 실행한 후, 장시간 동안 모션을 입력하지 않고 음악을 청취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또는 MP3 플레이어나 라디오를 실행한 후 음악을 청취하는 시간 동안에도 모션 센서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구동하게 된다면,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역시 빠른 속도로 구동해야 하며, 이는 결국 배터리 소모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휴대 단말기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용량이 커야 하는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자체의 크기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에도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한정된 배터리 용량에서 전력 소모를 줄여 휴대 단말기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모션 센서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션 센서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입력 감지 여부에 따라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 및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모드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방법에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방법에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상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거나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여부에 따라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 및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감지 신호 수신 단계 및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 화면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표시 화면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서 입력 감지 신호 수신 단계는 휴대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표시화면이 아랫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가 놓여져 있음을 감지한 입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서 입력 감지 신호 수신 단계는 휴대 단말기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물체가 접근했음을 감지한 입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모션 센서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모션 센서 기반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배터리를 자주 충전하지 않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 프로그램'은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모션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는 제어부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는 제어부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의 제어부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로 구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데에는 제어부가 높은 클럭 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이 요구되며, 제어부는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보다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에서 높은 클럭 주파수로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의 '일반 모드'는 모션 센서가 입력되는 사용자 모션이 어떠한 모션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저전력 모드'는 일정 세기 이상의 움직임의 발생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일반 모드'의 모션 센서는 사용자 모션 입력 시, 모션 인식을 위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동작 인식 시간, 동작 간의 시간 간격, 동작 세기 등)에 관한 데이터 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반면 '저전력 모드'의 모션 센서는 설정된 세기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되었다는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세기는 휴대 단말기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모션 세기 값이며, 저전력 모드의 모션 센서를 일반 모드로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모션의 임계값(threshold)에 해당한다. 상기 임계값은 휴대 단말기에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할 수도 있다. 모션 센서가 '저전력 모드'로 구동 시에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은 구동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모션 센서를 구비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모션 센서(12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행하는 동작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센서(120)로는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로는 광학식(optical) 자이로 센서, 기계식(mechanical) 자이로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회전성을 갖는 사용자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모션 센서(120)는 일반 모드와 저전력 모드로 동작 가능하다. 모션 센서(12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모션이 입력되면, 모션 센서(120)는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는데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80)로 전달하게 된다. 반면 모션 센서(120)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모션이 입력될 때, 모션 센서(120)는 일정 세기 이상의 움직임 발생되었다는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게 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 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 또는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때, 이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때, 이에 해당하는 효과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모션을 입력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근접 센서(150)는 물체가 휴대 단말기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체가 휴대 단말기에 형성된 근접 센서(150)로 접근하고 근접 센서(150)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도달하면 근접 센서(150)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한다. 근접 센서(150)는 정전용량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근접 센서(150)는 물체의 접근 을 감지하면, 접근 감지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6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키 입력부(16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70)는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 구동 시, 모션 입력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70)는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경우, 모션을 입력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모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 화면을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은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경 화면 표시 기능, 표시 화면 오프 기능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에 해당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모뎀(Modem)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모뎀과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수행하는 기능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해석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도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및 모션 센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또는 모션 센서의 구동 여부에 따라 자체적으로 모드를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 및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보다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에서 제어부(180)는 높은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로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또는 모션 센서의 구동 여부에 따라 단계적으로 클럭 주파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클럭 주파수로 구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2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120)를 구동 상태로 유지한다. 210단계에서 모션 센서(120)는 일반 모드로 구동하고 있다. 모션 센서(120)가 일반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사용자 모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모션 인식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모션을 분석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22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현재 통화 상태인지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80)는 230단계에서 근접 센서(150)가 구동 상태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근접 센서(150)가 구동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240단계에서 근접 센서(150)의 구동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근접 센서(150)를 구동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근접 센서(150)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230단계)와 근접 센서(150)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240단계)는 생략되고 220단계 이후에 250단계로 바로 진행하게 된다. 23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근접 센서(150)가 현재 구동 상태인 경우에도 25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80)는 250단계에서 물체가 근접 센서(150)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150)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70), 마이크 또는 스피커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을 귀에 가까이 하여 통화를 수행하면, 표시부(170)의 일정 부분도 사용자 얼굴 부분(예를 들어, 사용자의 볼)에 접근하게 되고, 근접 센서(150)는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80)는 물체가 근접 센서(150)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50단계의 판단 결과, 근접 센서(150)와 물체와의 거리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에, 제어부(180)는 255단계로 진행하여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120)의 구동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근접 센서(150)와 물체와의 거리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260단계에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 및 모션 센서(120)의 구동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모션 센서(120)의 구동을 종료하지 않고,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만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120)의 구동을 종료하고, 제어부(180)의 모드를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의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에서보다 낮은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로 구동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80)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클럭 주파수로 구동하게 된다.
제어부(180)는 근접 센서(150)를 제어하여 270단계에서 물체와 근접 센서(150)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커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통화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을 사용자 귀에서 이탈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270단계의 판단 결과, 물체와 근접 센서(150)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80)는 275단계로 진행하여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의 구동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물체와 근접 센서(150)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280단계에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120)의 구동을 개시한다. 모션 센서(12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의 구동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모션 센서(120)가 저전력 모드 상태이거나 구동이 종료된 상태인 경우에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일반 모드로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어부(180)의 모드를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의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모션 인식에 관한 연산 과정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보다 높은 클럭 주파수(clock frequency)로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70단계의 판단 결과, 물체와 근접 센서(150)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280단계에서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의 모션 센서(120)는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체와 근접 센서(150)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커지면, 제어부(180)는 시간 측정을 개시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은 구동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세기(임계값)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크기 미만의 모션이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의 저전력 모드 구동을 유지하지만, 설정된 크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구동하고,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고 모션 센서를 일반 모드로 구동시킴에 따라 제어부(180)의 모드도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계 별로 클럭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클럭 주파수를 n개의 단계로 조절 가능한 경우,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 모션 센서(120)의 구동 상태(예를 들어, 일반 모드, 저전력 모드, 종료 모드) 및 근접 센서(150)의 구동 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클럭 주파수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을 귀에 대고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 동안에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의 구동을 종료시켜 전력 소모를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화 중이라도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부분이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 되면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의 구동을 개시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3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과 모션 센서(120)를 구동 상태로 유지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일반 모드로 구동한다. 일반 모드의 모션 센서(120)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면 이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모션 인식 시간, 모션 간의 시간 간격, 모션 세기)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게 된다.
32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휴대 단말기에 모션 입력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시간은 휴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정된 값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모션이 입력된 이후, 제어부(180)는 시간을 측정하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모션 입력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와 모션 센서의 일반 모드 구동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사용자 모션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33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고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일반 모드로 계속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고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시킴에 따라 제어부(180)의 모드도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가 단계적으로 클럭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와 모션 센서의 저전력 모드 구동에 대응하는 클럭 주파수로 구동할 수도 있 다.
저전력 모드의 모션 센서(120)는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모션 센서(120)는 사용자 모션 입력 시, 모션 인식 시간, 모션 간의 시간 간격, 모션 세기, 모션 패턴 등의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지 않으며, 휴대 단말기에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만을 알리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34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모션을 입력하는 경우, 저전력 모드에서의 모션 센서(120)는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기에 모션이 입력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휴대 단말기에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40단계의 판단 결과,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34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 종료 상태와 모션 센서 저전력 모드의 구동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350단계에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며, 모션 센서(120)도 일반 모드로 구동시킨다. 330단계에서 모션 센서(120)의 구동을 변경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80)는 350단계에서 모션 센서(120)의 일반 모드 구동을 계속 유지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고, 모션 센서(120)를 일반 모드로 변경시킴에 따라 제어부(180) 자 체 모드도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라디오 등의 어플리게이션을 실행시킬 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를 재생시키고, 테이블 위에 휴대 단말기를 놓아두는 경우, 사용자가 음악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곡목을 변경하기 전까지는 휴대 단말기는 고정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전력이 낭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일정 시간 이상 모션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자체적으로 낮은 클럭 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휴대 단말기에 모션이 입력되지 않는 동안에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4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상태와 모션 센서(120)의 저전력 모드의 구동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부(180)가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있으며 모션 센서(120)를 일반 모드로 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모션이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여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42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 이 입력되면, 모션 센서(120)는 휴대 단말기에 모션이 입력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제어부(180)는 센서 신호를 전달받아 휴대 단말기에 모션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43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고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여 구동시킨다.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과 모션 센서(120)의 일반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어부(180) 모드를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에서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한다.
44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일정한 모션을 입력한 후, 휴대 단말기를 테이블 등에 올려 놓았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70)가 윗 방향을 향하는지 아래 방향을 향하는지 판단한다.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70)가 윗 방향에 향하는 경우, 사용자가 표시부(170)를 볼 수 있는 상태이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70)가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가 뒤집어져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볼 수 없는 상태이다.
44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휴대 단말기의 표시화면이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44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80)는 표시부(170)의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440단계의 판단 결과, 휴대 단말기의 표시화면이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450단계에서 표시부(170)의 온(ON) 상태를 오프(OFF)상태로 전환한다. 이어 제어부(180)는 46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모션 입력이 없는지 판단하게 된다.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션이 입력되면, 46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80)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와 모션 센서의 일반 모드 구동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설정된 시간에 도달될 때까지 모션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470단계에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고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여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보다 표시부(170)를 추가적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도록 모션 입력이 없는 경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시켜 전력 소모를 줄이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모션 센서가 일반 모드로 구동이 전환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표시화면을 볼 수 없는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에 표시화면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화면을 출력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51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 상태로 유지하며, 근접 센서(150)의 구동도 종료 상태로 유지한다.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저전력 모드 상태로 유지할 때,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 상태로 유지한 다.
520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를 통해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휴대 단말기에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세기 미만의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80)는 모션 센서(120)의 저전력 모드 구동 상태 및 근접 센서(150)의 구동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 설정된 세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530단계에서 근접 센서(150)의 구동을 개시한다.
제어부(180)는 540단계에서 근접 센서(150)를 제어하여 표시부(170)가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근접 센서(150)는 표시부(170)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근접 센서(150)는 표시부(17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감지한다. 표시부(170)의 일부가 가려지는 경우에 제어부(180)는 전체 표시부(170) 중 가려지는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설정된 비율 이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540단계의 판단 결과, 표시부(170)가 가려져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545단계에서 표시화면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표시부(170)가 가려져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550단계에서 표시부(170)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180)는 560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모션 입력이 없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모션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56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80)는 근접 센서(150)의 구동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 한다. 반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모션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570단계에서 근접 센서(150)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부(17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면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모션 센서(120)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때, 휴대 단말기에 일정 세기 이상의 모션을 입력하여 근접 센서(150)의 구동을 개시하며, 휴대 단말기가 다시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근접 센서(150)가 종료 상태로 전환된다. 근접 센서(150)를 통해 표시화면이 가려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표시화면이 가려져 있는 경우에는 표시화면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화면을 출력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이상 모션이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근접 센서(150)의 구동을 종료시켜 근접 센서(150)를 구동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70)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참조번호 610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번호 610에서 휴대 단말기는 표시화면이 윗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표시부(170)는 온(ON) 상태에 있고 표시부(170)는 다른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의 참조번호 620은 표시부(170)가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부(170)가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표시부(170)는 물체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볼 수 없게 된다. 이때 표시 부(170)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제3실시예에서 제어부(180)가 모션 센서(120)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놓여진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부(170)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부(17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어부(180)가 근접 센서(150)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170)가 물체에 의해 가려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려져 있는 경우에 표시부(17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뒤집어져 있는 경우 이외에 표시부(170)가 막(Screen)에 의해 가려져 있는 경우에도 제어부(180)는 표시부(170)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6)

  1.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입력 감지 여부에 따라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 모드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화 기능 실행 상태에서, 상기 센서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모션 센서의 구동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밖으로의 물체의 이탈을 감지하면, 상기 프로세서를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거리 밖으로의 물체의 이탈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크기 이상의 모션이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를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 종료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설정된 세기 이상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프로세서를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 전환 단계; 및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개시하는 모션 인식 프로그램 구동 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 구동 개시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모션 센서를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소모 방법.
  11. 모션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모션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종료하거나 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모션 인식 프로그램의 구동 여부에 따라 모션 인식 활성화 모드 및 모션 인식 비활성화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모션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를 저전력 모드, 일반 모드, 종료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 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입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감지 신호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입력 신호에 따라 표시 화면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표시 화면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신호 수신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놓여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화면이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가 놓여져 있음을 감지한 입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감지 신호 수신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 내에 물체가 접근했음을 감지한 입력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KR1020090005342A 2009-01-22 2009-01-22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54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42A KR101545876B1 (ko) 2009-01-22 2009-01-22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12/691,974 US8793519B2 (en) 2009-01-22 2010-01-22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ased on motion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42A KR101545876B1 (ko) 2009-01-22 2009-01-22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41A true KR20100086141A (ko) 2010-07-30
KR101545876B1 KR101545876B1 (ko) 2015-08-27

Family

ID=4233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342A KR101545876B1 (ko) 2009-01-22 2009-01-22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93519B2 (ko)
KR (1) KR1015458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637A (ko) * 2010-08-11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081796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17777A1 (en) * 2012-07-26 2014-01-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56017A (ko) * 2013-11-14 2015-05-22 남정운 휴대형단말기의 스크린 세이브
US9049663B2 (en) 2010-12-10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involving multiple sensors
US9495758B2 (en) 2012-08-01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gesture based on direction of gesture
KR20170015143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124A (ko) * 2010-07-08 2012-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335596B2 (en) * 2010-07-16 2012-12-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mote energy management using persistent smart grid network context
WO2012006944A1 (zh) * 2010-07-16 2012-01-19 北京联想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显示方法
DE102010039837A1 (de) * 2010-08-26 2012-03-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Geräts
US10459579B2 (en) * 2011-06-13 2019-10-29 Elliptic Laboratories As Touchless interaction
JP5804498B2 (ja) * 2011-08-22 2015-11-0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状態制御装置、状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520852A (zh) * 2011-11-29 2012-06-2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屏幕状态的控制方法及相关移动设备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41287B1 (ko) * 2012-05-08 2018-03-22 주식회사 기가테라 안전모 및 안전모를 이용한 사고 처리 방법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107144B2 (en) 2013-04-23 2015-08-11 Htc Corporation Method for searching wireless signal,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1584590B1 (ko)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942384B2 (en) 2013-09-10 2018-04-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mode detection
US9159294B2 (en) 2014-01-31 2015-10-13 Google Inc. Buttonless display activation
JP6434144B2 (ja) 2014-07-18 2018-12-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デバイスにおけるレイズジェスチャ検出
US10275369B2 (en) * 2015-03-23 2019-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 mode control for wearable devices
KR102337177B1 (ko) * 2015-04-2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70084558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40975B1 (ko) 2016-01-21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KR102527794B1 (ko) 2016-02-04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095288A (zh) * 2016-05-31 2016-11-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唤醒锁的处理方法和装置
KR20180045572A (ko) * 2016-10-26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102514763B1 (ko) * 2017-07-25 202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활용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468640B1 (ko) * 2018-02-26 2022-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636A (en) * 1996-06-28 1998-06-02 Intel Corporation Adjusting clock frequency and voltage supplied to a processor in a computer system
JP3808294B2 (ja) * 2000-08-07 2006-08-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型圧力測定装置
US7158913B2 (en) * 2001-01-31 2007-01-02 Mobigence, Inc. Automatic activation of touch sensitive screen in a hand held computing device
US7406612B2 (en) * 2003-11-21 2008-07-29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standby/wakeup feature dependent on sensed conditions
KR100716730B1 (ko) * 2004-06-11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앙 처리 장치의 아이들 상태에서의 시스템 전력 소모절감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모바일 장치
JP2006050505A (ja) * 2004-08-09 2006-02-16 Nec Access Technica Ltd 電子装置、省電力化方法及び省電力化プログラム
TWI307835B (en) * 2005-09-14 2009-03-21 Quanta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uto switching power mode
US8195220B2 (en) * 2008-02-01 2012-06-05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8344998B2 (en) * 2008-02-01 2013-01-01 Wimm Labs, Inc.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20090262078A1 (en) * 2008-04-21 2009-10-22 David Pizzi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ensor functions
KR101000555B1 (ko) * 2008-06-16 2010-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적 전력관리 프로세서의 소음저감장치 및 방법
US8255010B2 (en) * 2008-09-17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tate-driven power savings for WiMAX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637A (ko) * 2010-08-11 2012-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049663B2 (en) 2010-12-10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involving multiple sensors
KR101528988B1 (ko) * 2010-12-10 2015-06-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센서들을 수반하는 프로세싱
KR20130081796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017777A1 (en) * 2012-07-26 2014-01-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83042B2 (en) 2012-07-26 2018-09-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95758B2 (en) 2012-08-01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gesture based on direction of gesture
KR20150056017A (ko) * 2013-11-14 2015-05-22 남정운 휴대형단말기의 스크린 세이브
KR20170015143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93519B2 (en) 2014-07-29
KR101545876B1 (ko) 2015-08-27
US20100181988A1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6141A (ko) 모션 센서 기반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US11163353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US10025380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gaze detection capabilities
US941144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001317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of mobile terminal
US2018036479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usb-c interface
CN1961488A (zh) 传感器屏幕节电器
JP2010507870A (ja) ポータブル・デバイスにおけるユーザ動作に対する自動応答およびユーザ動作の感知
WO2016045027A1 (zh) 屏幕灵敏度调整方法和移动终端
US20100311465A1 (en) Method for switching call mode of a mobile device and related mobile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all mode automatically
WO2019184946A1 (zh) 人脸识别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4023129A (zh) 省电方法及装置
WO2018209965A1 (zh) 一种亮屏控制方法及装置、终端
JP613192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動作制御方法
KR20140010845A (ko) 전자장치에서 자동응답시스템 서비스 이용중 화면 꺼짐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215777A (ja) 携帯端末装置、その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5949191B2 (ja) 情報端末装置及びセンサ制御方法
CN111443803A (zh) 模式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2171863B1 (ko) 기상 알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상 알람 제어 방법
KR20140030033A (ko) 정보 표시를 위한 저전력 감지 장치 및 방법
WO2023029940A1 (zh) 触摸屏控制方法及相关设备
KR20110049080A (ko) 물리적 접촉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JP2015046797A (ja) 携帯端末および機能実行プログラム
JP2021111952A (ja) 電子機器
KR20070075434A (ko)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센서에 의한 볼륨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