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940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85940A KR20100085940A KR1020107009250A KR20107009250A KR20100085940A KR 20100085940 A KR20100085940 A KR 20100085940A KR 1020107009250 A KR1020107009250 A KR 1020107009250A KR 20107009250 A KR20107009250 A KR 20107009250A KR 20100085940 A KR20100085940 A KR 201000859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ier sheet
- region
- elastic member
- fixing region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7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having a continuous closed form, e.g. circle, ellipse, rectang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의, 피부에의 자극을 경감하고, 접촉에 의한 전술한 것과 같은 압박 흔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액체 흡수성 섀시(2)의 신체측 내면(100)에, 배리어 시트(8)를 구비하고 있다. 배리어 시트(8)는, 양측 부분(34, 35) 및 중간 부분(26)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방 연통부(27, 28)와, 배리어 시트(8)를 이격시키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를 포함한다. 배리어 시트(8)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전후단 부분(24, 25)이 고정되는 제1 고착 영역(40, 41)과,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볼록형부(36)가 고정되는 제2 고착 영역(42)과,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의 사이의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가 고정되는 제3 고착 영역(43)을 포함한다. 제2 및 제3 고착 영역(42, 43)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은, 상기 제1 고착 영역(40, 41)의 접착제의 단위중량보다도 적게 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섀시(2)의 신체측 내면(100)에, 배리어 시트(8)를 구비하고 있다. 배리어 시트(8)는, 양측 부분(34, 35) 및 중간 부분(26)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방 연통부(27, 28)와, 배리어 시트(8)를 이격시키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를 포함한다. 배리어 시트(8)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전후단 부분(24, 25)이 고정되는 제1 고착 영역(40, 41)과,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볼록형부(36)가 고정되는 제2 고착 영역(42)과,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의 사이의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가 고정되는 제3 고착 영역(43)을 포함한다. 제2 및 제3 고착 영역(42, 43)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은, 상기 제1 고착 영역(40, 41)의 접착제의 단위중량보다도 적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일회용 기저귀, 배변 트레이닝 팬츠, 실금 브리프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에서, 배설물에 의해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가 더러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05302호 공보(특허문헌 1)가 공지이다.
특허문헌 1에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저귀는 팬츠형으로 형성된 피복 시트의 내측에 액체 흡수 구조체를 가지고, 액체 흡수 구조체 상에는 스킨 콘택트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스킨 콘택트 시트는 전방 개구부와, 후방 개구부와, 이들을 잇는 개구부 사이 영역을 가지고, 전후 방향에 걸쳐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 부재는 전후방 개구부를 구획하는 내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부착되고,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스킨 콘택트 시트가 액체 흡수 구조체로부터 부상하여, 스킨 콘택트 시트의 개구부 사이 영역에 피부가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액체 흡수 구조체에 착용자의 피부가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탄성 부재가 수축하면, 스킨 콘택트 시트의 신체측 내면에 개더가 형성되고, 이 개더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한다. 탄성 부재는 신장 상태로 부착되기 때문에, 적어도 그 양단 부분이 강고하게 고착되어 있지 않으면, 이 탄성 부재가 이탈하여 버린다. 그래서, 이 양단 부분의 고착력에 맞추어, 스킨 콘택트 시트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이 결정되고, 스킨 콘택트 시트 전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었다. 통상, 핫멜트 접착제가 사용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의 이탈 방지를 위해 많은 접착제가 스킨 콘택트 시트 전체에 도포되기 때문에, 시트 전체의 강성이 높아지고, 피부에의 자극이 강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개더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피부에의 자극에 의해 압박 흔적이 남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에서는, 시트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의, 피부에의 자극을 경감하고, 접촉에 의한 전술한 것과 같은 압박 흔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갖는 액체 흡수성 섀시와, 상기 액체 흡수성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 상기 액체 흡수성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만곡하여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흡수성 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 이격되는 양측 부분과, 상기 양측 부분의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과,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하여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측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부분은, 그 전후 단부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통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전후단 부분이 고정되는 제1 고착 영역과, 상기 제1 고착 영역 사이에서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중간 고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간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은 상기 제1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하나로서,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부분의 상기 전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후단 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에서 상기 폭 방향을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을 향하여 볼록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고착 영역은, 상기 볼록형부가 고정되는 제2 고착 영역과, 상기 제1 고착 영역 및 제2 고착 영역의 사이의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제3 고착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로서,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부분의 한쪽에서의 상기 전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양측 부분의 다른쪽에서의 상기 후단 부분으로, 상기 중간 부분에서 상호 교차하여 연장되며, 상기 중간 고착 영역은, 상기 교차한 부분이 고정되는 제2 고착 영역과, 상기 제1 고착 영역 및 제2 고착 영역의 사이의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제3 고착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로서, 상기 제3 고착 영역은 제2 고착 영역보다도 접착제의 단위중량이 낮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로서, 상기 제1 고착 영역 및 제2 고착 영역은 그 전체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제3 고착 영역은 간헐적으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다.
본 발명에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배리어 시트의 양측 부분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에 대한 제1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다른 고착 영역보다도 많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착 영역에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영역에서는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적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배리어 시트의 강성을 낮게 하여 착용자의 피부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강성이 낮아지면,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배리어 시트에 개더가 형성되어도, 개더를 유연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적게 할 수 있고, 배리어 시트가 접촉할 때의 아픔이나 압박 흔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저귀를 전개하였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제2 시트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제1 시트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제2 시트의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저귀를 전개하였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제2 시트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제1 시트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배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제2 시트의 확대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5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은 기저귀(1)가 착용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며, 폭 방향과 전후 방향을 화살표 X, Y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저귀(1)는 액체 흡수성 섀시(2)를 포함한다. 액체 흡수성 섀시(2)는, 신체측 내면(100) 및 착의측 외면(101)과, 앞 허리 영역(3), 뒤 허리 영역(4)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아래 영역(5)을 갖는다. 또한, 기저귀(1)는, 팬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복 시트(6)와, 피복 시트(6)의 내측, 즉 신체측 내면(100)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흡수 구조체(7)와, 액체 흡수 구조체(7)보다도 더 내측에 배치되는 배리어 시트(8)를 포함하고 있다. 피복 시트(6)는, 내측 시트(9)와, 외측 시트(10)와, 이들 시트(9, 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샘방지 시트(11)에 의해 형성되고, 앞 허리 영역(3)과, 뒤 허리 영역(4)과, 가랑이 아래 영역(5)으로 구획된다. 앞뒤 허리 영역(3, 4)에서는, 서로의 허리측 가장자리부(12, 13)의 대향면이 중합되고,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접합부(14)에서 상호 접합되어 시임(seam)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14)에서 허리측 가장자리부(12, 13)가 접합됨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3, 4)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허리 개구(16)가 구획되며, 접합부(14)와 가랑이 아래 영역(5)으로 둘러싸인 한쌍의 다리 개구(17)가 구획되어 있다. 허리 개구(16)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개의 허리 탄성 부재(18)가 연장되고, 다리 개구(17)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개의 다리 탄성 부재(19)가 연장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18, 19)는, 내측 시트(9)와 외측 시트(10) 사이에 있고, 이들 시트(9, 10) 중 적어도 한쪽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흡수 구조체(7)는 앞뒤 허리 영역(3, 4)의 사이에서 전후 방향(Y)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적어도 가랑이 아래 영역(5)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이 액체 흡수 구조체(7)는 피복 시트(6)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액체 흡수성 패널(20)을 포함한다.
액체 흡수성 패널(20)은, 티슈 페이퍼 등의 액체 흡수 확산 시트(21)로 둘러싸이는 액체 흡수성 코어 재료(22)와, 코어 재료(22)의 상면 중 적어도 착용자의 피부와 마주보는 면을 덮는 내면 시트(23)로 형성되어 있다. 내면 시트(23)란 반대측인 외면(바닥면)측은 외측 시트(10)를 통해 샘방지 시트(11)로 피복되고, 코어 재료(22)에 흡수된 체액이 기저귀(1)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한다. 샘방지 시트(11)는, 액체 흡수성 패널(20)의 바닥면에 직접 접합되는 경우도 있다.
배리어 시트(8)는, 적어도 그 전단 부분(24)과 후단 부분(25)이 앞뒤 허리 영역(3, 4)에서 내면 시트(23)에 접합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양측 부분(34, 35)을 따라 내면 시트(23)에 접합된다. 또한, 배리어 시트(8)의 접합 부위는, 본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샘방지 커프를 갖는 기저귀에서는, 이 샘방지 커프에 접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시임부(15)에서의 앞뒤 허리 영역(3, 4)의 접합부(14)의 접합을 떼어 내고, 기저귀(1)를 전후 방향(Y)과 폭 방향(X)으로 전개하여 얻어지는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기저귀(1)는 평면형으로 되도록 각 탄성 부재의 신축력을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우란, 기저귀(1)의 착용자에게서의 좌우를 의미하고, 기저귀(1)는, 폭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P-P)과, 전후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가로 중심선(Q-Q)을 가지고, 세로 중심선(P-P)에 관하여 좌우 대칭이다.
피복 시트(6)는 거의 모래시계형으로 형성되고, 액체 흡수성 패널(2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 시트(6)의 허리 탄성 부재(18)는 쇄선으로 도시한 앞뒤의 허리 탄성 부재(18F, 18B)로 구성되고, 다리 탄성 부재(19)는 쇄선으로 도시한 좌우의 다리 탄성 부재(19L, 19R)로 구성된다.
액체 흡수성 패널(20)은 도 4의 조립 분해도에 도시한 대로, 피복 시트(6)에 적층되어 있다. 피복 시트(6)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10)는 섬유 부직포나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고, 그 신체측이 되는 내면(도면의 상면)에는, 허리 탄성 부재(18F, 18B)와 다리 탄성 부재(19L, 19R)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외면 시트(10)의 내면에는, 액체 불투과성이며 투습성인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샘방지 시트(11)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 샘방지 시트(11)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액체 흡수성 패널(20)의 바닥면에 직접 접합되어 있어도 된지만, 액체 흡수성 코어 재료(22)의 적어도 바닥면을 덮는 크기를 갖는 것이 샘방지 상 바람직하다.
샘방지 시트(11)의 내면에는, 외측 시트(10)와 동일 형태 동일 크기이며 섬유 부직포 또는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내측 시트(9)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내측 시트(9)의 내면에는 액체 흡수성 패널(20)이 접합된다. 액체 흡수성 패널(20)은 그 착의측이 되는 외면(바닥면, 도면의 하면)의 거의 전체를 간헐적으로 도포되는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내측 시트(9)에 접합된다. 액체 흡수성 패널(20)의 내면에 배리어 시트(8)를 배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 시트(8)는 신체측 내면에 위치하는 제1 시트(8a)와, 이에 대향하는 제2 시트(8b)가 접합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시트(8a, 8b)는, 섬유 부직포나 액체 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등의 시트편(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 시트(8)는, 폭 방향(X)에 대향 이격되는 양측 부분(34, 35)과 양측 부분(34, 35)의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26)을 가지고, 중간 부분(26)은 가랑이 아래 영역(5)에 위치하고 있다. 양측 부분(34, 35) 및 중간 부분(26)에 의해 연통부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부분(26)으로부터 앞 허리 영역(3)을 향하여 연장되는 거의 U자형의 전방 연통부(27)와, 중간 부분(26)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4)을 향하여 연장되는 거의 U자형의 후방 연통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전방 연통부(27)는, 좌우의 양측 부분(34, 35)에 위치하는 양내측 가장자리(29)와, 이들 양내측 가장자리(29)를 잇는 만곡한 폐쇄 가장자리(30)에 의해 구획된다. 후방 연통부(28)는 좌우의 양측 부분에 위치하는 양내측 가장자리(31)와, 이들 양내측 가장자리(31)를 잇는 만곡한 폐쇄 가장자리(32)에 의해 구획된다. 전방 연통부(27)와 후방 연통부(28)란 그 폐쇄 가장자리(30, 32)를 형성하는 중간 부분(2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전방 연통부(27)와 후방 연통부(28)란, 각각 배리어 시트(8)의 전후단 부분(24, 25)으로부터 중간 부분(26)을 향하여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시트의 면적이 작아져, 습도의 고조 등에 기인하는 피부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기저귀(1)를 착용할 때에는, 전방 연통부(27)에 착용자의 외성기가 면하며, 후방 연통부(28)에 항문이 면하고, 중간부(26)에 외성기와 항문 사이의 피부가 접촉하도록 착용 상태를 조정한다. 이때, 전방 연통부(27)의 폐쇄 가장자리(30)가 가로 중심선(Q-Q)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 연통부(28)의 폐쇄 가장자리(32)가 가로 중심선(Q-Q)의 위, 또는 가로 중심선(Q-Q)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착용하면, 액체 흡수 구조체(7)가 전후 방향(Y)으로 만곡하고, 배리어 시트(8)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수축에 의해 부상하여, 배리어 시트(8)와 액체 흡수 구조체(7)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다(도 2 참조).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배리어 시트(8)는 피복 시트(6)의 일부를 형성하는 내측 시트(9)와 거의 동일 형태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도 되고, 전후방 연통부(27, 28)는 앞뒤 허리 영역(3, 4)에서 폐쇄되어 있어도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는, 제1 및 제2 시트(8a, 8b)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좌우 각 1개의 고무실로 형성되며, 양측 부분(34, 35) 및 전후방 연통부(27, 28)의 각각의 내측 가장자리(29, 31)의 근방을 따라,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는, 전후방 연통부(27, 28)의 내측 가장자리(29, 31)의 근방에서 거의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26)에서는 폐쇄 가장자리(30, 32)를 따라 세로 중심선(P-P)을 향하여 만곡하여, 볼록형부(36)를 형성하고 있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전후단 부분(37, 38)은, 배리어 시트(8)의 전후 방향(Y)의 전후단 부분(24, 25)에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제1 고착 영역(40, 41)을 형성하고 있다. 제1 고착 영역(40, 41)의 전후 방향(Y)의 사이에는, 볼록형부(36)를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는 제2 고착 영역(42)을 형성하고 있다. 제1 고착 영역(40, 41)과 제2 고착 영역(42) 사이에는,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제3 고착 영역(43)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3 고착 영역(43)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를 고정하는 것 외에, 제1 시트(8a)와 제2 시트(8b)를 접합하는 기능도 더불어 가지고 있다. 접착제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SEPS) 등의 일반적인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고착 영역(40, 41)은, 주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며, 강고하게 고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제1 고착 영역(40, 41)에서는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많게 하여, 그 접착 강도를 높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시트(8b)의 제1 고착 영역(40, 41)에 핫멜트 접착제를 전체면 코팅하여, 그 폭을 10 ㎜, 길이를 30 ㎜로 하고 있다. 또한, 제1 고착 영역(40, 41)에서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30 g/㎡으로 하고 있다.
제2 고착 영역(42)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가 폭 방향(X)의 외측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며, 제1 고착 영역(40, 41)만큼 접착 강도가 높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시트(8b)의 제2 고착 영역(42)에 핫멜트 접착제를 전체면 코팅하여, 그 폭을 10 ㎜, 길이를 30 ㎜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고착 영역(42)에서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10 g/㎡로 하여, 이 단위중량이 제1 고착 영역(40, 41)보다도 제2 고착 영역(42)쪽이 적어지도록 하고 있다.
제2 고착 영역(42)에 대하여 도포되는 접착제는, 전후방 연통부(27, 28)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의 배리어 시트(8)에서, 전후방 연통부(27, 28)에 상당하는 시트(8)의 부위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코팅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전후방 연통부(27, 28)를 형성할 때에 폐기분으로서 제거되기 때문에, 접착제는 전후방 연통부(27, 28)의 가장자리까지 존재하게 된다.
제3 고착 영역(43)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가 배리어 시트(8)의 양측 부분(34, 35) 혹은 전후방 연통부(27, 28)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시트(8a, 8b)를 접착하는 것이며,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보다도 접착 강도가 낮아도 된다. 따라서, 이 제3 고착 영역(43)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고착 영역(43)의 핫멜트 접착제를, 제1 시트(8a)에 파형을 그리도록 코팅한다. 이때의 제3 고착 영역(43)의 단위중량을 5 g/㎡으로 하여,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보다도 그 단위중량이 적어지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조정함으로써, 제1 고착 영역(40, 41)의 접착 강도를 가장 높게, 제2 고착 영역(42), 제3 고착 영역(43)의 순으로 낮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리어 시트(8)의 거의 전체면에 제3 고착 영역(43)과 동일한 단위중량이 적은 접착제를 파형으로 코팅하고 있지만, 이 코팅한 영역 중, 배리어 탄성 부재(33)가 위치하는 영역의 일부가 제3 고착 영역(43)에 상당한다.
상기 배리어 시트(8)는, 제1 및 제2 시트(8a, 8b)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대향시켜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즉, 제1 시트(8a)에 제3 고착 영역(43)에 대응하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2 시트(8b)에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에 대응하는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제2 시트(8b)의 제1 고착 영역(40, 41)에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양단 부분(37, 38)을 위치시키고, 제2 고착 영역(42)에 볼록형부(36)를 위치시키도록 배치하여, 제1 시트(8a)를 접합시키고 있다.
제1 및 제2 시트(8a, 8b)에 접착제를 각각 코팅하고 나서 이들을 접합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시트(8a)용의 코팅 유닛과 제2 시트(8b)용의 코팅 유닛을 사용할 수 있고, 시트마다의 코팅 방법, 도포량의 설정을 할 수 있다.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의 접착제의 코팅 시에서의 용융 점도는 140℃에서 70000 mPas로 하고, 제3 고착 영역(43)의 용융 점도는 140℃에서 11000 mPas로 하고 있다. 즉, 각각의 코팅 특성에 적합시키며,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쪽이 제3 고착 영역(43)보다도 응집력이 높아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응집력을 높게 한만큼,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고착이 강고하게 되어,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에서의 접착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제1 고착 영역(40, 41), 제2 고착 영역(42) 및 제3 고착 영역(43)에서, 용융 점도가 다른 접착제를 코팅할 필요는 없고, 용융 점도가 같은 것이어도 된다.
제1 고착 영역(40, 41)에서는,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더욱 더 많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양단 부분(37, 38)을 강고하게 고착할 수 있고, 이것이 이탈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착 영역(42) 및 제3 고착 영역(43)에서는, 접착제의 단위중량이 제1 고착 영역(40, 41)에 비교하여 적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배리어 시트를 유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착용자의 피부, 특히 성기·둔부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제1 고착 영역(40, 41)이 위치하는 것은, 각각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양단 부분(37, 38)이다. 양단 부분(37, 38)에서는, 탄성 부재(33)의 수축량이 작아지고, 제1 고착 영역(40, 41)에 위치하는 배리어 시트(8)에 형성되는 개더도 적어져, 피부에 대한 자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착 영역(40, 41)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양단 부분(37, 38)을 고착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면적은 작아도 된다. 따라서, 제1 고착 영역(40, 41)에서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많게 하여도, 착용자에게 과도한 자극을 부여하는 일이 없다. 제2 고착 영역(42)에서는, 제1 고착 영역(40, 41)에 이어서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많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볼록형부(36)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와 배리어 시트(8)의 박리를 억제하고,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수축에 추종시켜 배리어 시트(8)를 액체 흡수 구조체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제2 고착 영역(42)에서는, 좌우의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에 대하여 각각 따로 2부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일련으로 한 경우보다도 코팅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그만큼, 배리어 시트를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에서는 접착제를 간극 없이 전체면 코팅하고, 제3 고착 영역(43)에서는 간극을 형성한 파형이 되도록 간헐적으로 코팅하고 있지만, 제1 고착 영역(40, 41) 및 제2 고착 영역(42)에서도, 간극을 형성한 파형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 단, 이 경우라도, 접착제의 단위중량이 제1 고착 영역(40, 41)에서 가장 많고, 제2 고착 영역(42), 제3 고착 영역(43)에서는 제1 고착 영역(40, 41)보다도 적게 한다.
코팅 방법으로서는 간헐 코팅나 다수 코팅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스프레이 등의 다른 코팅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제1 고착 영역(40, 41), 제2 고착 영역(42) 및 제3 고착 영역(43)의 접착제의 각 단위중량은, 이 실시예의 수치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신축률이나 배리어 시트(8)의 재질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시트(8a)에 제3 고착 영역을 형성하고, 제2 시트(8b)에 제1 및 제2 고착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1 시트(8a)에 제1 및 제2 고착 영역을 형성하고, 제2 시트(8b)에 제3 고착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되고, 어느 한쪽의 시트에 모든 고착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나, 코팅 방법이나 접착제의 종류가 동일한 고착 영역을, 동일한 시트에 형성하도록 하는 편이,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는 전단 부분(24)으로부터 후단 부분(25)에 걸쳐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예컨대 중간 부분(26)에서 절단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그 탄성 부재의 양단 부분을 제1 고착 영역에서 접착제에 의해 고정하고, 다른 부분을 이 제1 고착 영역보다도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적게 함으로써, 착용자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고착 영역(42)보다도 제3 고착 영역(43)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을 적게 하고 있지만, 제2 및 제3 고착 영역(42, 43)은 제1 고착 영역(40, 41)보다도 단위중량이 적으면 되고, 이들 제2 및 제3 고착 영역(42, 43)의 단위중량이 동일하여도 된다. 단, 되도록이면 넓은 범위에서 단위중량을 보다 적게 하는 편이, 착용자의 피부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배리어 시트(8)에는 전후방 연통부(27, 28)를 구비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의 연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후방 연통부(28)를 구비하도록 하는 편이, 배설물이 착용자에게 접촉하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배리어 시트(8)의 제2 시트(8b)의 확대도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고착 영역(42)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것으로, 제2 고착 영역(42)을 복수개의 고착부(44)로 구성하고, 각 고착부(44)는 핫멜트 접착제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시트(8a) 및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고착 영역(42)에서는, 좌우 각 3개씩의 고착부(44)를 가지고 있다. 이들 고착부(44)는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고,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볼록형부(36)를 걸치도록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되어 있다. 제2 고착 영역(42)에서는, 볼록형부(36)가 폭 방향(X)의 외측을 향하여 복귀하고자 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착부(44)를 폭 방향(X)으로 복수개 늘어서서 형성함으로써, 그 억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각 고착부(44) 각각에서의 도포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로 분할하여 코팅함으로써, 간극이 형성되고, 그 만큼 도포량이 감소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 복수개의 고착부(44)는 다수 코팅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을 그리는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1개의 고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2개의 파형을 180도 위상시켜 중합시킴으로써,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고착부(44)를 3개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7과 같이 2개여도 된다. 즉, 복수개의 고착부(44)를 갖는 것으로, 볼록형부(36)의 폭 방향(X)에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면 몇개여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8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배리어 시트(8)의 제1 시트(8a)의 확대도이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3 고착 영역(43)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를 뿐으로, 제2 시트(8b) 및 다른 구성 요소는 마찬가지이다. 이들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3 고착 영역(43)을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주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3 고착 영역(43)은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폭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고착부(45)와,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고착부(46)를 갖는다. 내측 고착부(45)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내측 근방으로부터 전후방 연통부(27, 28)의 내측 가장자리(29, 31)까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 부분(26)을 경계로 전후 방향(Y)에서 분할되어 있다. 즉,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볼록형부(36)의 내측에는, 이것을 규제하는 고착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볼록형부(36)에는 폭 방향(X)의 외측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그 내측에서는 볼록형부(36)를 규제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외측 고착부(46)는, 양측 부분(34, 35) 및 중간 부분(26)에 걸쳐,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폭 방향(X)의 외측 근방을 따라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고착 영역(43)을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주위에 형성함으로써, 이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가 배리어 시트(8)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후 연통부(27, 28)의 내측 가장자리(29, 31)에서 제1 시트(8a)와 제2 시트(8b)를 접합시킬 수 있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주변에만 접착제를 코팅함으로써 제2 시트(8b) 전체에 코팅한 경우에 비해서, 그 도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움직임이 제3 고착 영역(43)의 접착제로 규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를 균등하게 신축시킬 수 있다.
내측 고착부(45)를 전후 방향(Y)으로 분할함으로써, 중간 부분(26)에서의 접착제의 도포량을 한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중간 부분(26)은 자극에 가장 약한 가랑이 아래에 접촉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접착제의 도포량을 적게 함으로써, 피부에의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9는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배리어 시트(8)의 제2 시트(8b)의 확대도이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배치의 상태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른 것으로, 그 밖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는, 2개의 고무실로 구성되고, 그 한쪽은 측부분(34)의 전단 부분(24)으로부터 측부분(35)의 후단 부분(25)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다른쪽은 측부분(35)의 전단 부분(24)으로부터 측부분(34)의 후단 부분(25)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는 중간 부분(26)에서 교차하고 있다.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33)의 전후단 부분(37, 38)에 제1 고착 영역(40, 41)을 형성하고, 교차한 중간 부분에 제2 고착 영역(42)을 형성하며, 이들 제1 및 제2 고착 영역(40, 41, 42) 이외의 부분에서는 제3 고착 영역(43)을 형성하고 있다. 제1∼제3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1: 기저귀
2: 액체 흡수성 섀시
3: 앞 허리 영역
4: 뒤 허리 영역
5: 가랑이 아래 영역
7: 액체 흡수 구조체
8: 배리어 시트
24: 전단 부분
25: 후단 부분
26: 중간 부분
27: 전방 연통부
28: 후방 연통부
33: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
34: 양측 부분
35: 양측 부분
36: 볼록형부
37: 전단 부분
38: 후단 부분
40: 제1 고착 영역
41: 제1 고착 영역
42: 제2 고착 영역
43: 제3 고착 영역
2: 액체 흡수성 섀시
3: 앞 허리 영역
4: 뒤 허리 영역
5: 가랑이 아래 영역
7: 액체 흡수 구조체
8: 배리어 시트
24: 전단 부분
25: 후단 부분
26: 중간 부분
27: 전방 연통부
28: 후방 연통부
33: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
34: 양측 부분
35: 양측 부분
36: 볼록형부
37: 전단 부분
38: 후단 부분
40: 제1 고착 영역
41: 제1 고착 영역
42: 제2 고착 영역
43: 제3 고착 영역
Claims (5)
-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신체측 및 착의측과, 앞 허리 영역, 뒤 허리 영역 및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 영역과,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흡수 구조체를 갖는 액체 흡수성 섀시와, 상기 액체 흡수성 섀시의 상기 신체측에 있으며 상기 가랑이 아래 영역에서 상기 액체 흡수성 섀시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 배리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만곡하여 상기 배리어 시트와 상기 액체 흡수 구조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폭 방향으로 대향 이격되는 양측 부분과, 상기 양측 부분의 사이를 잇는 중간 부분과, 상기 공극의 내부를 향하여 배설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양측 부분 및 상기 중간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부분은 그 전후 단부가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통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배리어 시트는,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의 전후단 부분이 고정되는 제1 고착 영역과, 상기 제1 고착 영역 사이에서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중간 고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간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은 상기 제1 고착 영역의 접착제의 단위중량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부분의 상기 전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후단 부분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에서 상기 폭 방향을 이등분하는 세로 중심선을 향하여 볼록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 고착 영역은, 상기 볼록형부가 고정되는 제2 고착 영역과, 상기 제1 고착 영역 및 제2 고착 영역의 사이의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제3 고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는, 상기 양측 부분의 한쪽에서의 상기 전단 부분으로부터 상기 양측 부분의 다른쪽에서의 상기 후단 부분으로, 상기 중간 부분에서 상호 교차하여 연장되며,
상기 중간 고착 영역은, 상기 교차한 부분이 고정되는 제2 고착 영역과, 상기 제1 고착 영역 및 제2 고착 영역의 사이의 상기 배리어 시트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제3 고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착 영역은 제2 고착 영역보다도 접착제의 단위중량이 낮은 흡수성 물품.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착 영역 및 제2 고착 영역은 그 전체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제3 고착 영역은 간헐적으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흡수성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255992A JP2009082439A (ja) | 2007-09-28 | 2007-09-28 | 吸収性物品 |
JPJP-P-2007-255992 | 2007-09-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5940A true KR20100085940A (ko) | 2010-07-29 |
Family
ID=4051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9250A KR20100085940A (ko) | 2007-09-28 | 2008-07-11 | 흡수성 물품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62101A1 (ko) |
EP (1) | EP2193772A1 (ko) |
JP (1) | JP2009082439A (ko) |
KR (1) | KR20100085940A (ko) |
CN (1) | CN101842069A (ko) |
AU (1) | AU2008305279A1 (ko) |
CA (1) | CA2700369A1 (ko) |
EA (1) | EA201070291A1 (ko) |
MX (1) | MX2010003382A (ko) |
TW (1) | TW200934453A (ko) |
WO (1) | WO20090411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37846B2 (ja) * | 2009-07-01 | 2014-07-02 | 花王株式会社 | パンツ型吸収性物品 |
US9034425B2 (en) * | 2012-04-11 | 2015-05-19 | Nords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 on an elastic strand in a personal disposable hygiene product |
JP5977590B2 (ja) * | 2012-06-18 | 2016-08-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
JP6265101B2 (ja) * | 2014-10-21 | 2018-01-24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A3233559A1 (en) * | 2022-05-02 | 2023-11-09 | Cristian Stefu | Diaper with collection pouch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02548C2 (sv) * | 1994-03-18 | 1995-11-13 | Moelnlycke Ab |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sidobarriärer i form av längsgående flikar förbundna med ett inre vätskegenomsläppligt höljeskikt |
JP4246839B2 (ja) * | 1999-03-31 | 2009-04-02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使い捨てパンツ |
JP4111687B2 (ja) * | 2001-03-30 | 2008-07-02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3883421B2 (ja) * | 2001-11-22 | 2007-02-21 | 花王株式会社 | 立体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3180735A (ja) * | 2001-12-14 | 2003-07-02 | Oji Paper Co Ltd | 吸収性物品 |
JP3914555B2 (ja) | 2005-10-14 | 2007-05-16 | 王子ネピア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2008061898A (ja) * | 2006-09-08 | 2008-03-21 | Uni Charm Corp | 使い捨てのおむつ |
-
2007
- 2007-09-28 JP JP2007255992A patent/JP2009082439A/ja active Pending
-
2008
- 2008-07-11 KR KR1020107009250A patent/KR201000859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07-11 CA CA2700369A patent/CA27003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7-11 MX MX2010003382A patent/MX2010003382A/es unknown
- 2008-07-11 US US12/680,473 patent/US201002621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7-11 WO PCT/JP2008/062556 patent/WO200904114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7-11 CN CN200880113812A patent/CN101842069A/zh active Pending
- 2008-07-11 EP EP08778072A patent/EP219377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7-11 AU AU2008305279A patent/AU200830527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7-11 EA EA201070291A patent/EA201070291A1/ru unknown
- 2008-09-26 TW TW097137267A patent/TW200934453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082439A (ja) | 2009-04-23 |
MX2010003382A (es) | 2010-04-30 |
CA2700369A1 (en) | 2009-04-02 |
EA201070291A1 (ru) | 2011-02-28 |
AU2008305279A1 (en) | 2009-04-02 |
CN101842069A (zh) | 2010-09-22 |
EP2193772A1 (en) | 2010-06-09 |
US20100262101A1 (en) | 2010-10-14 |
TW200934453A (en) | 2009-08-16 |
WO2009041145A1 (ja) | 2009-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1139B1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KR100474146B1 (ko) |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 |
JP3478722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5074703B2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3519025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JP5681770B2 (ja) | 使い捨て吸収性物品 | |
JP2000296149A (ja) | 吸収性物品 | |
JP3130454B2 (ja) |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 |
WO2005077309A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JPH11342156A (ja) | 使い捨ておむつ | |
WO2007052418A1 (ja) | 使い捨ておむつ | |
WO2009087823A1 (ja) | 吸収性物品 | |
WO2003096950A1 (fr) | Couche-culotte de type culotte | |
JP5503863B2 (ja) | 使い捨て吸収性物品 | |
JPH0956746A (ja) |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 |
WO2009096106A1 (ja) | おむつの製造方法 | |
KR20100085940A (ko) | 흡수성 물품 | |
JPH0637722B2 (ja) | 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 | |
WO2009119135A1 (ja) | 吸収性物品 | |
WO2009145287A1 (ja) | 吸収性物品 | |
KR20100105658A (ko) | 흡수성 물품 | |
JP5665343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JPH08182702A (ja) | 吸収性物品 | |
JP2003339749A (ja) | パンツ型おむつ | |
JP3522540B2 (ja) |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