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936A - 곡물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936A
KR20100083936A KR1020090003274A KR20090003274A KR20100083936A KR 20100083936 A KR20100083936 A KR 20100083936A KR 1020090003274 A KR1020090003274 A KR 1020090003274A KR 20090003274 A KR20090003274 A KR 20090003274A KR 20100083936 A KR20100083936 A KR 2010008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storage
outer case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헌
Original Assignee
(주)한일에스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에스티엠 filed Critical (주)한일에스티엠
Priority to KR102009000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936A/ko
Publication of KR2010008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23B9/24Preserving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9/30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와;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 및 곡물 배출구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곡물 배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과;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장 케이스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유닛; 및 곡물 저장통에 설치되어 곡물 저장통에 저장된 곡물의 살균 및 제습을 위한 살균/제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가 개시된다.
곡물, 유입구, 저장, 습도, 통풍, 숯, 소금

Description

곡물 저장장치{A preservatiing apparatus for cereals}
본 발명은 곡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을 포함하는 곡물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습도 조절은 물론 곡물의 상태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곡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이나 잡곡류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보관하기 위하여 곡물 저장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곡물 저장장치는, 대부분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곡물 저장통이 구비되어 있고, 그 곡물 저장통에 곡물을 넣기 위한 유입구와, 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곡물 저장통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사각 통의 형태 또는 원형통의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저장 용량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곡물 저장통에 저장되어 보관되는 곡물의 경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제외한 부분은 모두 폐쇄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습기 등이 침투하였을 경우에 곡물이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벌레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곡물의 저장용량이 큰 곡물 저장통의 경우에는 그만큼 통풍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곡물이 변질되지 않게 보관하는 것이 그만큼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물 자체가 천연의 자연물질이기 때문에, 벌레 발생이나, 온도 및 습도 조건 등에 따라서 변질의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벌레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곡물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 저장장치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 및 곡물 배출구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상기 곡물 배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유닛; 및 상기 곡물 저장통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에 저장된 곡물의 살균 및 제습을 위한 살균/제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곡물 저장통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시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송풍홴;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홴을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홴에서 나오는 바람을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곡물 저장통은,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저장통 벽면에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살균/제습유닛은, 숯을 포함하며, 통풍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곡물 저장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숯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살균/제습유닛은, 소금을 포함하며, 통풍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곡물 저장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금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곡물 저장통은, 외부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제1 및 제2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통과공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숯 필터 및 소금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필터 결합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곡물 저장장치에 따르면, 쌀, 현미,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저장하되, 습도를 체크하여 습도가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송풍홴을 가동시켜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금 및 숯과 같은 좋은 물질들을 곡물 저장통에 수시로 설치 및 교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숯과 소금의 고유의 기능들에 의해서 곡물의 유해요소의 분해는 물론, 좋은 성분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면서도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금 및 숯의 기능으로 인하여 습기 제거는 물론, 벌레 등의 발생이 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숯 및 소금을 공급하기 위한 패키지를 패키징화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용이하게 보충 및 교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는, 외장 케이스(10)와, 상기 외장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21) 및 곡물 배출구(22)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상기 곡물 배출구(22)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20)과, 상기 외장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외장 케이스(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유닛(30) 및 살균/제습유닛(70)을 구비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10)는 케이스 몸체(11)와, 상기 케이스 몸체(1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12)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는 일반적인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의 전면에는 곡물 저장통(20)의 곡물 배출구(22)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받기 위한 용기(40) 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출입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그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몸체(11)의 상부에 상하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 몸체(11)와 곡물 저장통(20)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2)는 상부의 제1커버부(12a)와, 제1커버부(12a)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20)의 곡물 유입구(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커버부(12b)를 가진다. 그리고 커버부재(12)의 상부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된다.
상기 곡물 저장통(20)은 쌀, 보리, 현미 등과 같은 곡물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 용량에 따라서 사이즈가 결정되며, 외장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곡물 저장통(20) 상부의 곡물 유입구(21)는 상기 제2커버부(12b)에 의해 개폐되며, 하부의 곡물 배출구(22)는 소정의 배출구 개폐부재(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곡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개폐부재(5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곡물 배출구(22)를 일정 시간동안 또는 일정한 면적만 개방시킴으로써 곡물 저장통(20) 내부의 곡물을 받이부재(40)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배출구 개폐부재(50)는 곡물 배출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 개폐부재(50)는 구동부(60)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동구조(미도시)에 의해 수동으로 왕복 동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배출구 개폐부재(50)를 전, 후진 이동 또는 회동 이동시키는 기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동으로 배출구 개폐부재(50)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배출구 개폐부 재(50)를 곡물 배출구(22)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배출구 개폐부재(50)를 곡물 배출구(22)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잡아 당겨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장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어 배출구 개폐부재(5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 또는 연결바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 배출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은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곡물 저장통(20)에는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미세 통과공(23)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미세 통과공(23)은 곡물 저장통(20)의 외측벽 전체에 걸쳐서 미세하게 형성되어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곡물 저장통(2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 저장통(20)의 미세 통과공(23)을 포함한 그 주변에는 숯 또는 소금으로 코팅형성된 코팅층(24)이 더 마련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숯 또는 소금을 미세 분말화한 뒤 천연의 접착제(예를 들어 도배용 풀)등과 혼합하여 곡물 저장통(20)에 분사식 또는 도포식으로 도포시킨 뒤 건조시킴으로써 코팅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숯 또는 소금을 이용하여 코팅층(24)을 형성시킴으로써 숯으로는 습기를 흡수함은 물론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는 살균작용과, 좋은 성분(이온)이 방출되어 곡물이 신선한 상태를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소금 또한 숯과 함께 소독 및 살균 작용을 함으로서 곡물의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코팅층(24)이 미세 통과공(23) 주변에 집중 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코팅층(24)의 좋은 성분이 함께 유입되어 곡물들 사이로 공급됨으로써 곡물의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유닛(30)은 곡물 저장통(20)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31)와, 외장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구동시 곡물 저장통(20)으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송풍홴(32)과, 제어부(33) 및 가이드부재(34)를 구비한다.
상기 습도센서(3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곡물 저장통(20) 내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곡물의 습도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33)로 전달된다.
상기 송풍홴(32)은 외장 케이스(10)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외장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홴(32)은 제어부(33)의 구동신호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된다.
상기 제어부(33)는 습도센서(31)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감지된 습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송풍홴(32)을 구동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된 습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홴(3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습도센서(31)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계속해서 전달받아 체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외장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홴(32)에서 나오는 바람을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부재(35)와, 보조 가이드부재(36)를 구비한다. 메인 가이드부재(35)는 송풍홴(32)과 곡물 저장통(20) 사이에 설치되어 송풍홴(32)에서 나오는 바람이 곡물 저장통(20)으로 집중적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복수개가 송풍홴(32)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곡물 저장통(20)의 전체 면적으로 균일하게 바람이 공급되도록 가이드한다.
보조 가이드부재(36)는 외장 케이스(10)의 내벽에서 돌출되되, 소정 경사면으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부재(3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부재(35)에 의해 가이드되어 곡물 저장통(20)과 외장케이스(10) 사이의 틈으로 이동되는 유동공기를 곡물 저장통(20)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조 가이드부재(36)는 송풍홴(32)을 중심으로 하여 메인 가이드부재(35)와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외장 케이스(10) 내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부재(36)는 외장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곡물의 습도를 수시로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에 따라서 송풍홴(32)을 구동시켜서 곡물 저장통(20)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써 습기를 제거하여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곡물 저장통(20)의 미세 통과공(23)에 코팅층(24)을 형성시켜 좋은 성분들이 곡물에 영향을 주도록 하여 곡물의 상태를 신선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유해한 성분을 해독시키고 분해시킴은 물론, 벌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제습유닛(70)은 곡물 저장통(20)에 설치되어 곡물 저장통(20)에 저장된 곡물의 살균 및 제습을 위한 것으로서, 숯을 포함하는 숯 필터(71)와, 소금을 포함하는 소금 필터(73)를 구비한다.
상기 숯 필터(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이 가능하며, 그 내부에 소정 량의 숯이 수용 가능한 망틀 구조를 가지는 필터 몸체(71a)와, 필터 몸체(71a) 내에 수용되는 숯(71)을 구비한다. 필터 몸체(71a)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곡물 저장통(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곡물 저장통(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통과공(26,2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통과공(26,27)의 외측에는 상기 숯 필터(71)와 소금 필터(73) 각각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필터 결합부(28,29)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필터 결합부(28,29)는 곡물 저장통(2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숯 필터(71)와 소금 필터(73)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끼워지거나 분리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곡물 저장통(2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숯(71b)은 숯 가루의 누출이나 날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통풍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숯 봉투(71c)에 패키징 상태로 수용되어, 필터 몸체(71a)에 내장된다. 상기 숯 봉투(71c)는 통풍이 가능한 얇은 부직포, 또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숯 봉투(71c)를 패키징화 하여 필터 몸체(71a) 내에 설치하게 되면, 숯의 기능이 저하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숯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 그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숯 가루 등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금 필터(73)는 숯 필터(71)와 마찬가지로 통풍이 가능한 구성을 가지 는 필터 몸체(73a)와, 소금(73b) 및 소금이 저장되는 소금봉투(73c)를 구비한다. 상기 소금 필터(73)는 상기 제2필터 결합부(2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숯 필터(71) 및 소금 필터(73)는 서로간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각각 복수로 마련하여 곡물 저장통(2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10)에는 송풍유닛(30)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장 케이스(10) 내의 공기압력을 외부로 빼내기 위한 개방구(11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구(11b)에는 나방과 같은 벌레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망(1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경우, 숯 필터(71)와 소금 필터(73)를 곡물 저장통(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송풍유닛(30)에 의해 외부 공기가 곡물 저장통(20) 내외로 이동될 때, 제습 및 살균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저장된 곡물의 습도 유지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유해한 요소의 살균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곡물의 별질은 물론, 벌레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곡물의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에 제1 내지 제2공기 통과공(h1,h2,h3)이 더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공기 통과공(h1)은 제2커버부(12b)에 형성되고, 제2공기 통과공(h2)은 제1 및 제2커버부(12a,12b) 사이에 형성되고, 제3공기 통과공(h3)은 제1커버부(12a)에 형성된다. 따라서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 통과 공(h1) 및 제3공기 통과공(h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공기 통과공(h2)을 통해서 외장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커버부재(1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으로서, 제1공기 통과공(h1)에는 제1공기 통과공(h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셔터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부재(14)는 일단이 제1공기 통과공(h1)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제1공기 통과공(h1)을 덮도록 설치된다. 이 셔터부재(14)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배출공기 즉, 곡물 저장통(2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압력에 의해 도 5b와 같이 변형되면서 제1공기 통과공(h1)을 개방시킴으로써 외부로 곡물 저장통(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셔터부재(14)는 필름이나, 수지재질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셔터부재(14)를 설치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에서 습기를 포함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제1공기 배출구(h1)에만 셔터부재(14)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2 및 제3공기 배출구(h2,h3)에도 이러한 구성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숯 필터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외장 케이스 11..케이스 몸체
12..커버부재 20..곡물 저장통
30..송풍유닛 31..송풍홴
32..습도센서 33..제어부
34..가이드부재 70..살균/제습유닛
71..숯 필터 73..소금 필터

Claims (7)

  1.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 및 곡물 배출구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상기 곡물 배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유닛; 및
    상기 곡물 저장통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에 저장된 곡물의 살균 및 제습을 위한 살균/제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곡물 저장통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시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송풍홴;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홴을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홴에서 나오는 바람을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통은,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저장통 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습유닛은,
    숯을 포함하며, 통풍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곡물 저장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숯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습유닛은,
    소금을 포함하며, 통풍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곡물 저장통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금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통은,
    외부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제1 및 제2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통과공 각각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숯 필터 및 소금 필터 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필터 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KR1020090003274A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KR20100083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274A KR20100083936A (ko)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274A KR20100083936A (ko)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36A true KR20100083936A (ko) 2010-07-23

Family

ID=4264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274A KR20100083936A (ko)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9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6487A (zh) * 2017-10-30 2018-03-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商河县供电公司 一种接线夹存储装置
CN115900304A (zh) * 2022-12-30 2023-04-04 浙江大维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粮食消杀干燥设备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6487A (zh) * 2017-10-30 2018-03-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商河县供电公司 一种接线夹存储装置
CN115900304A (zh) * 2022-12-30 2023-04-04 浙江大维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粮食消杀干燥设备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2984B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fan provided on the door
CN209489965U (zh) 移动式清洁机器人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100083936A (ko) 곡물 저장장치
KR20100083935A (ko) 곡물 저장장치
JP2009096478A (ja) 倒立容器用キャップ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JP2009154800A (ja) 車両用乾燥装置
JP4770621B2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20090059777A (ko) 진공 저장용기
CN213059365U (zh) 一种面粉成品存储料仓
CN212374066U (zh) 一种血浆蛋白粉存储装置
CN102341308B (zh) 填充机及在填充机中提供卫生环境的方法
US200800505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Tablets by Means of One Rotatable Drum
JP5653156B2 (ja) 離解処理装置および古紙再生処理装置
CN208536318U (zh) 空调外置式杀菌装置及空调
WO2015182738A1 (ja) 空気調和器
CN217884771U (zh) 宠物吹干护理箱
JP2005334813A (ja) 樹脂製シート又は樹脂製包装材の洗浄装置
JP4123414B2 (ja) 薬剤拡散装置
KR102335181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JP2007215414A (ja) 生葉収容コンテナ
JP4079438B2 (ja) 樹脂製シート又は樹脂製包装材の洗浄装置
KR102304610B1 (ko) 냉각장치
CN218129314U (zh) 一种用于实验室内外传递试剂管的消杀试剂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