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935A - 곡물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935A
KR20100083935A KR1020090003273A KR20090003273A KR20100083935A KR 20100083935 A KR20100083935 A KR 20100083935A KR 1020090003273 A KR1020090003273 A KR 1020090003273A KR 20090003273 A KR20090003273 A KR 20090003273A KR 20100083935 A KR20100083935 A KR 20100083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storage
air
outer cas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헌
Original Assignee
(주)한일에스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에스티엠 filed Critical (주)한일에스티엠
Priority to KR102009000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935A/ko
Publication of KR2010008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4Stacks, ricks or the like
    • A01F25/08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와;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 및 곡물 배출구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곡물 배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과;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곡물 저장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가 개시된다.
곡물, 유입구, 저장, 습도, 통풍

Description

곡물 저장장치{A preservating apparatus for cereals}
본 발명은 곡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을 포함하는 곡물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습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곡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이나 잡곡류 등을 포함하는 곡물을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보관하기 위하여 곡물 저장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곡물 저장장치는, 대부분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곡물 저장통이 구비되어 있고, 그 곡물 저장통에 곡물을 넣기 위한 유입구와, 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곡물 저장통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사각 통의 형태 또는 원형통의 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저장 용량에 따라 소정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곡물 저장통에 저장되어 보관되는 곡물의 경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를 제외한 부분은 모두 폐쇄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습기 등이 침투하였을 경우에 곡물이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벌레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곡물의 저장용량이 큰 곡물 저장통의 경우에는 그만큼 통풍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곡물이 변질되지 않게 보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벌레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통풍 구조가 개선된 곡물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 저장장치는,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 및 곡물 배출구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상기 곡물 배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곡물 저장통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시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송풍홴;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홴을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홴에서 나오는 바람을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곡물 저장통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재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벽에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는 보조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곡물 저장통은,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저장통 벽면에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곡물 저장통은, 메인 공간부와; 상기 메인 공간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서로 간에는 일정 간격씩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공간부들 사이로 상기 송풍유닛에서 공급되는 유동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는, 상기 곡물 저장통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받을 수 있는 용기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하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부 및 상기 곡물 저장통을 함께 개폐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부터 외부로 공기유동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제1공기통과공; 및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제2공기통과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곡물 저장통의 미세구멍 주변에는 숯 또는 소금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곡물 저장장치에 따르면, 쌀, 현미,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저장하되, 습도를 체크하여 습도가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송풍홴을 가동시켜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곡물 저장통을 메인 공간부와 보조 공간부로 구분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구분되게 형성된 보조 공간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곡물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 공간부의 공기 통과공 주변에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공기를 곡물 저장통으로 공급시에, 숯 및 소금의 좋은 성분을 함께 공급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도 습도 유지는 물론, 유해물질의 해독 및 벌레 발생 등을 억제함으로써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양호한 상태로 오랜 시간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는, 외장 케이스(10)와, 상기 외장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21) 및 곡물 배출구(22)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상기 곡물 배출구(22)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20)과, 상기 외장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송풍유닛(30)을 구비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10)는 케이스 몸체(11)와, 상기 케이스 몸체(1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12)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는 일반적인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의 전면에는 곡물 저장통(20)의 곡물 배출구(22)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받기 위한 용기(40) 등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출입구(11a)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몸체(11)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그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 몸체(11)의 상부에 상하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 몸체(11)와 곡물 저장통(20)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2)는 상부의 제1커버부(12a)와, 제1커버부(12a)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20)의 곡물 유입구(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커버부(12b)를 가진다. 그리고 커버부재(12)의 상부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2)에는 다수의 제1공기통과공(h1)과 제2공기통과공(h2)이 형성된다. 제1공기통과공(h1)은 곡물 저장통(20)의 내부에서 외부 즉, 외장 케이스(10)의 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공기통과공(h2)은 커버부재(12)의 상기 제2커버부(12b)의 테두리부분에 형성되어 외장 케이스(10)와 곡물 저장통(20) 사이에서의 유동공기를 외장 케이스(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2)의 제1 및 제2커버부(12a,12b)가 서로 이격되어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경우, 제1커버부(12a)에도 다수의 제3공기통과공(h3)이 형성 되어, 제1 및 제2통과공(h1,h2)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기통과공(h1)을 선택적으로 덮도록 셔터부재(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부재(14)는 얇은 천이나,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제1공기통과공(h1)의 주변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고, 타단은 도 3b와 같이 배출되는 유동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도 3a와 같이 제1공기통과공(h1)을 덮고 있게 되어 외부에서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 벌레, 습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송풍유닛(30)을 구동시켜 통풍을 시킬 경우에는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공기통과공(h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배출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제1공기통과공(h1)을 개방시킴으로써 공기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셔터부재(14)는 제2공기통과공(h2) 및 제3공기통과공(h3) 각각에 대해서도 개폐시킬 수 있게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곡물 저장통(20)은 쌀, 보리, 현미 등과 같은 곡물을 수용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 용량에 따라서 사이즈가 결정되며, 외장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재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곡물 저장통(20) 상부의 곡물 유입구(21)는 상기 제2커버부(12b)에 의해 개폐되며, 하부의 곡물 배출구(22)는 소정의 배출구 개폐부재(50)에 의해 선택 적으로 개폐되어 곡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 개폐부재(5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곡물 배출구(22)를 일정 시간동안 또는 일정한 면적만 개방시킴으로써 곡물 저장통(20) 내부의 곡물을 받이부재(40)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배출구 개폐부재(50)는 곡물 배출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 개폐부재(50)는 구동부(60)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동구조(미도시)에 의해 수동으로 왕복 동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60)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배출구 개폐부재(50)를 전, 후진 또는 회동시키는 기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수동으로 배출구 개폐부재(50)를 구동시킬 경우에는, 배출구 개폐부재(50)를 곡물 배출구(22)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배출구 개폐부재(50)를 곡물 배출구(22)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잡아 당겨 이동시킬 수 있도록 외장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어 배출구 개폐부재(50)에 연결되는 연결로프 또는 연결바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 배출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은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곡물 저장통(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간부(20a)와, 메인 공간부(20a)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수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 공간부(20b)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 공간부(20b)는 메인 공간부(20a)에서 다수로 분기된 구조를 가지 며, 각각의 보조 공간부(20b)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일정한 외부 공간(10a)이 형성된다.
또한, 곡물 저장통(20)에는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미세 통과공(23)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미세 통과공(23)은 보조 공간부(20b)의 외측벽에 집중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보조 공간부(20b)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물 저장통(20)의 미세 통과공(23)을 포함한 그 주변에는 숯 또는 소금으로 코팅형성된 코팅층(24)이 더 마련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숯 또는 소금을 미세 분말화한 뒤 천연의 접착제(예를 들어 도배용 풀)등과 혼합하여 곡물 저장통(20)에 분사식 또는 도포식으로 도포시킨 뒤 건조시킴으로써 코팅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숯 또는 소금을 이용하여 코팅층(24)을 형성시킴으로써 숯으로는 습기를 흡수함은 물론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고 좋은 성분(이온)이 방출되어 곡물이 신선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소금 또한 숯과 함께 소독 작용을 함으로서 곡물의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코팅층(24)이 미세 통과공(23) 주변에 집중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송풍유닛(30)에서 공급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코팅층(24)의 좋은 성분이 함께 유입되어 곡물들 사이로 공급됨으로써 곡물의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 공간부(20b)를 다수로 분리하여 형성시킴으로써,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고, 미세통과공(23)을 통해 보조 공간부(20b) 내부로 유입된 통풍 공기가 보조 공간부(20b) 내부의 곡물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경유하면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곡물 저장통(20) 내부에 저장된 곡물의 배치를 적절히 분산시킴으로써 유입된 통풍 공기에 의해 곡물 전체가 골고루 공기바람을 맞게 되어 습기를 원활하게 제거하고, 습도유지를 안정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유닛(30)은 곡물 저장통(20)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31)와, 외장 케이스(10)에 설치되어 구동시 곡물 저장통(20)으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송풍홴(32)과, 제어부(33) 및 가이드부재(34)를 구비한다.
상기 습도센서(31)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곡물 저장통(20) 내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곡물의 습도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33)로 전달된다.
상기 송풍홴(32)은 외장 케이스(10)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외장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송풍홴(32)은 제어부(33)의 구동신호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된다.
상기 제어부(33)는 습도센서(31)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감지된 습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송풍홴(32)을 구동되게 제어한다. 그리고 감지된 습도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송풍홴(3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습도센서(31)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계속해서 전달받아 체크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외장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홴(32)에서 나오는 바람을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부재(35)와, 보조 가이드부재(36)를 구비한다. 메인 가이드부재(35)는 송풍홴(32)과 곡물 저장통(20) 사이에 설치되어 송풍홴(32)에서 나오는 바람이 곡물 저장통(20)으로 집중적으로 이동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복수개가 송풍홴(32)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곡물 저장통(20)의 전체 면적으로 균일하게 바람이 공급되도록 가이드 한다.
보조 가이드부재(36)는 외장 케이스(10)의 내벽에서 돌출되되, 소정 경사면으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부재(3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부재(35)에 의해 가이드 되어 곡물 저장통(20)과 외장케이스(10) 사이의 틈으로 이동되는 유동공기를 곡물 저장통(20)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조 가이드부재(36)는 송풍홴(32)을 중심으로 하여 메인 가이드부재(35)와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외장 케이스(10) 내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부재(36)는 외장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에 따르면, 곡물을 저장시킨 상태에서 곡물의 습도를 수시로 감지하고, 그 감지된 결과에 따라서 송풍홴(32)을 구동시켜서 곡물 저장통(20)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써 습기를 제거하여 습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곡물 저장통(20)의 구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간부(20a) 및 보조 공간부(20b)로 구분하여 마련함으로써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고, 많은 양의 공기가 곡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의 습도유지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곡물 저장통(20)의 미세 통과공(23)에 코팅층(24)을 형성시켜 좋은 성분들이 곡물에 영향을 주도록 하여 곡물의 상태를 신선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유해한 성분을 해독시키고 분해시킴은 물론, 벌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외장 케이스 11..케이스 몸체
12..커버부재 20..곡물 저장통
30..송풍유닛 31..송풍홴
32..습도센서 33..제어부
34..가이드부재

Claims (9)

  1.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곡물 유입구 및 곡물 배출구를 가지며, 곡물을 저장하여 상기 곡물 배출구를 통해 공급하는 곡물 저장통과;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곡물 저장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곡물 저장통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시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급하는 송풍홴; 및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홴을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외장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홴에서 나오는 바람을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 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곡물 저장통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가이드부재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부벽에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는 보조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통은,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송풍유닛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미세구멍이 저장통 벽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통은,
    메인 공간부와;
    상기 메인 공간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서로간에는 일정 간격씩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보조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공간부들 사이로 상기 송풍유닛에서 공급되는 유동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는,
    상기 곡물 저장통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받을 수 있는 용기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하부에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몸체와;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몸체의 상부 및 상기 곡물 저장통을 함께 개폐시키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곡물 저장통으로부터 외부로 공기유동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제1공기통과공; 및
    상기 케이스 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제2공기통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통의 미세구멍 주변에는 숯 또는 소금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
KR1020090003273A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KR20100083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273A KR20100083935A (ko)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273A KR20100083935A (ko)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935A true KR20100083935A (ko) 2010-07-23

Family

ID=4264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273A KR20100083935A (ko) 2009-01-15 2009-01-15 곡물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9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9112A (zh) * 2018-12-06 2019-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粮食储存装置和粮食监测的方法、存储介质及终端
CN111972139A (zh) * 2020-09-04 2020-11-24 中国储备粮管理集团有限公司新疆分公司 一种环流控湿储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9112A (zh) * 2018-12-06 2019-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粮食储存装置和粮食监测的方法、存储介质及终端
CN111972139A (zh) * 2020-09-04 2020-11-24 中国储备粮管理集团有限公司新疆分公司 一种环流控湿储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4681A (zh) 碎屑容器和包括碎屑容器的移动式清洁机器人
US20150084215A1 (en) Console humidifier
JP6616134B2 (ja) 3dプリンタ用防湿庫
KR20100083935A (ko) 곡물 저장장치
KR101678996B1 (ko) 식재료 건조 장치
JP2009047402A5 (ko)
KR102353450B1 (ko) 가습 필터 어셈블리
JP6525149B2 (ja) 穀物乾燥機における熱風室の排塵装置
KR20100083936A (ko) 곡물 저장장치
JP4648256B2 (ja) 給水装置
JP3115357U (ja) 加湿装置
KR102336831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US9303920B2 (en) Air diverting system for a seed drying bin
KR102266599B1 (ko) 진공 쌀통
WO2015182738A1 (ja) 空気調和器
KR102213126B1 (ko) 에어워셔의 수위 감지방법
CN113682657B (zh) 一种外延片的贮存方法及装置
JP7002960B2 (ja) 加湿機
CN203268667U (zh) 一种防霉米箱
KR102335181B1 (ko) 진공식 사료 자동 공급장치
JP5178124B2 (ja) 吸湿装置
KR101980459B1 (ko) 내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공기순환식 사료 저장탱크
CN220307854U (zh) 一种储备库
KR101631098B1 (ko) 공기조화기능을 가지는 가금류 운반차량의 케이지적재함
CN220211728U (zh) 一种大米通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