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250A -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250A
KR20100082250A KR1020090001650A KR20090001650A KR20100082250A KR 20100082250 A KR20100082250 A KR 20100082250A KR 1020090001650 A KR1020090001650 A KR 1020090001650A KR 20090001650 A KR20090001650 A KR 20090001650A KR 20100082250 A KR20100082250 A KR 2010008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treated
extract
astragalu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489B1 (ko
Inventor
권상철
김성규
김정훈
오진해
김송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권상철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제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권상철,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제천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Priority to KR102009000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4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는 단계; 상기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의해 제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의해 제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효소처리 황기를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및 Alkyl 라디칼 제거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활성의 특성을 지니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음료의 형태로 제공하여 이를 섭취하는 섭취자에 대한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황기에 대한 새로운 소비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황기의 재배농가 및/또는 채취농가에 경제적인 이득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황기, 효소, DPPH, Alkyl, 항산화

Description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for extra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treated enzyme}
본 발명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는 단계; 상기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
황기는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 지한(止汗), 이 뇨(利尿),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氣血虛脫), 탈항(脫肛),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상기와 같은 약효를 지니는 황기는 한약재의 일부로 사용되나,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형태로는 여름 복날 삼계탕을 섭취시 닭과 함께 황기를 넣고 끓이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황기를 효소로 처리하여 반응시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열수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이 보통의 황기 열수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및 Alkyl 라디칼 제거 활성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의 특성을 지니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는 단계; 상기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의 특성을 지니는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는 단계; 상기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보통의 황기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및 Alkyl 라디칼 제거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활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항산화 활성의 특성이 있어 이를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바람직하게는 음료의 형태로 섭취시 섭취자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얻은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는 단계; 상기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5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50%가 되도록 추출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 효소는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아제(cellulase)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는 효소처리는 황기에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효소를 황기 중량 대비 1∼3%으로 첨가한 다음 50∼80℃에서 10∼24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초음파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kHz 이상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50kHz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50kHz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 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저주파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10kHz 이하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5∼10kHz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5∼10kHz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전기장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kv 이상의 전기장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20kv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20kv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자기장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가우스(Gauss) 이상의 자기장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30가우스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30가우스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 까지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및 자기장 처리 중에서 2종 이상의 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0∼3.0%를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5%를 포함하는 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0∼3.0%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음료 전체 중량 대비 2.5%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황기에 효소로서 아밀라아제를 황기 중량 대비 2.0%으로 첨가한 다음 6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5%가 될 때까지 추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황기에 효소로서 셀룰라아제를 황기 중량 대비 2.0%으로 첨가한 다음 6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5%가 될 때까지 추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황기에 효소로서 아밀라아제를 황기 중량 대비 1.0%, 셀룰라아제를 황기 중량 대비 1.0%를 각각 첨가한 다음 6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5%가 될 때까지 추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황기에 효소로서 아밀라아제를 황기 중량 대비 2.0%으로 첨가한 다음 6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5%가 될 때까지 추출하되 초음파 처리를 동시에 실시하여 추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35kHz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 실시하였다.
<실시예 4-2>
초음파 처리 대신 7kHz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 저주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초음파 처리 대신 15kv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 전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초음파 처리 대신 20가우스(Gauss)에서 추출이 완료될 때까지 자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35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 황기에 효소로서 아밀라아제를 황기 중량 대비 2.0%으로 첨가한 다음 6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5%가 될 때까지 추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초음파 처리 대신 7kHz에서 30분 동안 저주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초음파 처리 대신 15kv에서 30분 동안 전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초음파 처리 대신 20가우스(Gauss)에서 30분 동안 자기장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황기 100중량%를 황기 중량 대비 1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2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추출하여 황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효소처리 후)과 상기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효소처리 전)에 대해 DPPH 라디칼 제거 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이 증가되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은 메탄올에 용해시킨 60μM DPPH 60㎕와 시료로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60㎕를 섞은 것 및 메탄올에 용해시킨 60μM DPPH 60㎕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 60㎕를 섞은 것을 각각 10초간 강하게 보텍스(vortex)한 후 2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모세관 튜브(capillary tube)에 옮겨 ESR spectrometer에서 측정하였다(ESR 측정 조건 : central field: 3475G, modulation frequency: 100kHz, modulation amplitude: 2G, microwave power: 5mW, gain: 6.3×105, temperature: 298K)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효소처리를 실시하여 얻은 추출물(효소처리 후)과 상기 비교예에서 얻은 추출물(효소처리 전)에 대해 알킬 라디칼(Alkyl radical) 제거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에 비해 Alkyl 라디칼 제거 활성이 증가되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Alkyl radical 제거 활성은 PBS 10㎕,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10㎕, 40mM AAPH(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10㎕, 40mM POBN(α-(4-Pyridyl N-oxide)-N-tert-butylnitrone) 10㎕을 차례로 더한 것과, PBS 10㎕,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 10㎕, 40mM AAPH 10㎕, 40mM POBN 10㎕을 차례로 더한 것을 각각 10초간 강하게 보텍스(vortex)한 후 얻은 각각의 혼합물을 37℃ 워터 배스(water bath)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모세관 튜브(capillary tube)로 옮겨 ESR spectrometer로 alkyl radical 발생량을 측정하였다(ESR 측정 조건 : central field: 3475G, modulation frequency: 100kHz, modulation amplitude: 2G, microwave power: 10mW, gain: 6.3×105, temperature: 298K)
<실시예 6-1>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 황기추출물 93.5중량%, 식물추출물 2중량%, 대추엑기스 1중량%, 쌍화엑기스 0.5중량%, 벌꿀 0.5중량%를 혼합하고 100rpm으로 2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유리병에 후 통상의 살균처리를 실시하여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황기추출물은 황기 5중량%, 울금 0.8중량%, 인진쑥 0.5중량%, 당귀 0.5중량%, 천궁 0.5중량%를 정제수 92.7중량%에 넣어 9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식물추출물은 단삼 5중량%, 인삼 5중량%, 숙지황 5중량%, 구기자 5중량%, 황기 5중량%를 정제수 75중량%에 넣어 100℃에서 5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대추엑기스는 대추 20중량%를 정제수 80중량%에 넣어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후 20브릭스(brix)로 농축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쌍화엑기스는 백작약 3중량%, 황기 3중량%, 당귀 3중량%, 천궁 3중량%, 대추 3중량%, 생강 3중량%, 숙지황 3중량%, 감초 3중량%, 계피 3중량%를 정제수 77중량%에 넣어 100℃에서 60분 동안 추출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2>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3>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4>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5>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2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6>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3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 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7>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4-4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5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음료 제조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2.0중량%, 정제수 94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음료 제조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3.0중량%, 정제수 93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6-1 내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각각의 음료를 실험군으로 하고, 실시예 6-1에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음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험군 및 대조구에 대해 맛,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관능검사는 음료분야에서 관능검사경력 3년 이상의 관능검사요원 20명(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여금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표 1. 실험군 및 대조구의 관능검사
항목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6-1 4.2 4.1
실시예 6-2 4.1 4.1
실시예 6-3 4.1 4.1
실시예 6-4 4.0 4.0
실시예 6-5 4.0 4.0
실시예 6-6 4.0 4.0
실시예 6-7 4.0 4.0
실시예 7 3.9 3.9
실시예 8 4.0 4.1
대조구 3.6 3.7
*상기 표 1에서 수치는 관능검사요원들의 점수의 총합을 관능검사요원수로 나눈 다음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처럼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인 실험구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와 대비시 동등 수준 이상의 관능성을 지니고 있어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험예 1,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및 Alkyl 라디칼 제거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활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음료를 섭취시 섭취자의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효소처리 황기를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제거 활성 및 Alkyl 라디칼 제거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활성의 특성을 지니는 추출물을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음료의 형태로 제공하여 이를 섭취하는 섭취자에 대한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황기에 대한 새로운 소비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의 황기의 재배농가 및/또는 채취농가에 경제적인 이득 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 일예를 나타낸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과 비교예에서 제조한 황기 추출물에 대한 알킬 라디칼(Alkyl radical) 제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켜 효소처리 황기를 얻는 단계;
    상기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 넣고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효소처리 황기를 효소처리 황기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50℃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50%가 되도록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황기에 효소를 반응시키기 전 또는 효소처리 황기를 정제수에서 추출시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음료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5. 음료의 제조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추출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090001650A 2009-01-08 2009-01-08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04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650A KR101041489B1 (ko) 2009-01-08 2009-01-08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650A KR101041489B1 (ko) 2009-01-08 2009-01-08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250A true KR20100082250A (ko) 2010-07-16
KR101041489B1 KR101041489B1 (ko) 2011-06-16

Family

ID=42642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650A KR101041489B1 (ko) 2009-01-08 2009-01-08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4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281B1 (ko) * 2012-10-18 2014-06-13 윤병재 매생이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1614A (ko) * 2017-06-26 2019-01-07 농업회사법인우포의아침 주식회사 건강음료 제조방법
RU2677692C1 (ru) * 2017-12-07 2019-01-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страх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Астраханский 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антиоксидантным действием
KR20200052055A (ko)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929A (ko) * 2000-03-14 2001-10-17 권영우 황기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819211B1 (ko) 2006-06-21 2008-04-02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0886201B1 (ko) * 2006-06-30 2009-03-05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초음파추출로 제조된 제천산 황기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8738B1 (ko) * 2007-01-29 2009-07-22 김충정 황기의 β-글루칸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β-글루칸을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281B1 (ko) * 2012-10-18 2014-06-13 윤병재 매생이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1614A (ko) * 2017-06-26 2019-01-07 농업회사법인우포의아침 주식회사 건강음료 제조방법
RU2677692C1 (ru) * 2017-12-07 2019-01-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страх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ОУ ВО Астраханский 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антиоксидантным действием
KR20200052055A (ko) 2018-11-06 2020-05-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489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26580B (zh) 一种灵芝茶、灵芝袋泡茶及其加工工艺
KR101041489B1 (ko)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3609778B (zh) 一种保健普洱茶及其制备方法
KR10087255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국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국밥
CN104336723A (zh) 一种开胃养颜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869165A (zh) 白花龙叶茶及其制备方法
CN107151593A (zh) 一种糯香型白酒及其制备方法
CN101260356B (zh) 槟花酒
CN105918807A (zh) 一种西柚营养米粉
CN103828964B (zh) 一种祁佬红茶及其制作方法
CN105441277B (zh) 一种红景天樱桃酒及其制备方法
CN109090601A (zh) 一种山楂粉的制备方法
CN104247844A (zh) 一种金银花减肥茶
KR20100102890A (ko) 약용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CN103535794A (zh) 一种芳香瓜蒌籽加工方法
CN107496225A (zh) 一种具有抗炎抗过敏活性的氧化苦参碱及制备方法和应用
CN105394245A (zh) 一种桂圆红枣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4719534A (zh) 一种抗衰老茶包及其制备方法
TWI740536B (zh) 平臥菊三七萃取物用於製備改善睡眠品質的組合物之用途
KR101129462B1 (ko) 제천산 gap 황기를 이용한 효소처리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8929817A (zh) 一种桂花啤酒的制作配方
CN107647051A (zh) 一种芳香茶及制备方法
CN105994799A (zh) 一种清热解毒竹叶保健茶
CN104323097A (zh) 一种花卉中药粥及其制备方法
CN104055822A (zh) 恰玛古硫代葡萄糖苷提取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