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097A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097A
KR20100082097A KR1020090001421A KR20090001421A KR20100082097A KR 20100082097 A KR20100082097 A KR 20100082097A KR 1020090001421 A KR1020090001421 A KR 1020090001421A KR 20090001421 A KR20090001421 A KR 20090001421A KR 20100082097 A KR20100082097 A KR 2010008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cup
receiving
elastic
automob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원
한영우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097A/ko
Publication of KR2010008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조가 단순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음료컵을 수납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탄성부를 수용부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컵홀더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컵홀더는 탑승자가 마시던 음료수 병 혹은 컵을 차량 내부에서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편의장치이다.
자동차용 컵 홀더의 일 예는 홀더 하우징과, 홀더 하우징의 원주면에 힌지 결합된 홀더 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홀더 윙은 홀더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힌지부에는 홀더 윙을 홀더 하우징의 내측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삽입되는 컵의 측면을 규제하는 홀딩력을 제공하게 된다.
자동차용 컵 홀더의 다른 예는 컵 홀더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음료컵이 안치되는 컵홀더의 저면부분에 삽입되어져서 음료컵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인 승강몸체의 측면부분에 형성된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리는 동력전달기어 및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동력은 구동기어, 동력 전달기어 및 랙기어에 전달되어 컵홀더에서 승강몸체를 승강시켜 음료컵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일 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다양한 크기의 컵을 수납하고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구성된 홀더 윙을 홀더 하우징에 힌지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다른 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컵홀더의 승강을 위해 구동모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역시 조립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컵홀더는 복수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져, 각 부품간의 관계에서 고장의 발생할 우려가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조가 단순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음료컵을 수납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한 회전운동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상기 제1나사부와 치합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음료컵을 수납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료컵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스크류 결합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어느 일측면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음료컵을 가압하는 탄성부를 수용부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컵홀더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컵홀더의 고장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바닥부를 수용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컵홀더의 승하강을 위한 장치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음료컵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바닥부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음료컵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컵을 수용하는 수용부(20)와, 수용부(2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수용부(20)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20)는 음료컵이 수용될 수 있도록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 하측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20)의 내주면(21)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컵이 흔들림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음료컵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30)가 마련된다.
탄성부(30)의 상단은 수용부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은 자유단(31)으로 형성된다.
탄성부(30)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막대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도에 절곡부(32)가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부(30)의 하단은 상단을 중심으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운동한다.
이때, 수용부(20)의 바닥면(22)에는 탄성부(30)의 하단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홈형상의 가이드부(23)가 마련된다.
탄성부(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마련되고, 음료컵의 수용시 견고한 고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탄성부(30)는 상호 동일한 각도로 이격될 수 있다.
탄성부(30)는 수용부(20)의 내주면(21)에서 중심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부(20)의 중심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수용부(20)내로 음료컵 등이 삽입되는 경우 등과 같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탄성부(30)는 외력에 의해 수용부(20)의 내주면 방향(도 3의 A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음료컵 등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음료컵 등을 고정한다.(도 3참조) 또한, 음료컵 등이 수용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등과 같이 탄성부(30)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부(30)는 수용부(20)의 중심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게 된다.(도2참조)
따라서, 제 1실시예는 별도의 힌지장치를 이용한 별도의 지지구조를 마련함이 없이, 수용부(20)와 일체로 형성된 탄성부(30)를 이용하여 음료컵의 고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컵홀더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아니함으로써 각 구성부품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실시예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컵홀더(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바닥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부(40)는 수용부(20)의 바닥면(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수용부(20)의 바닥면(22)에는 바닥부(40)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구(24)가 형 성되고, 개구(24)의 내주면에는 바닥부(40)와 스크류 결합이 가능하도록 암나사형태의 제1나사부(25)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바닥부(4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제1나사부(25)와 치합하는 제2나사부(41)가 형성된다.
바닥부(4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바닥부(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42)가 마련되고, 상면의 테두리의 둘레방향에는 바닥부(40)가 수용부(2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스토퍼부(43)가 마련된다.
따라서 스토퍼부(43)가 개구(24)의 테두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2)를 이용하여 바닥부(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40)는 수용부(20)의 바닥면에 나선 운동하면서 상승하게 되어, 컵홀더(1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부(42)를 이용하여 바닥부(4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닥부(40)는 수용부(20)의 바닥면(22)을 따라 회전하여 하강하게 되어 컵홀더(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도 3참조)
따라서, 단순한 기구적 구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바닥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컵홀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음료컵을 컵홀더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음료컵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 내는 단면도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탄성부의 구성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마련된다.
이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의 내주면(21)에 다양한 사이즈의 음료컵이 흔들림없이 수용될 수 있도록 음료컵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50)가 마련된다.
탄성부(50)의 하단은 수용부(20)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은 자유단(51)으로 형성된다.
탄성부(50)의 자유단(51)은 하단을 중심으로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운동한다.
제 1실시예에서는 탄성부의 상단이 수용부와 일체로 연결된 반면, 제 2실시예에서는 탄성부의 하단이 수용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탄성부(50)는 수용부(20)의 하측에서 수용부(20)와 연결되어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비록 도면에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탄성부의 상,하 양단이 수용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중앙부가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으로써, 중앙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음료컵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탄성부(50)는 하단으로부터 절곡부(52)까지 반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 지게 형성된 후, 절곡부(52) 이후 반경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50)는 상단이 자유단(51)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 비해 안정적으로 음료컵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용부(20)의 상면 테두리에는 탄성부(50)의 자유단(51)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홈형상의 가이드부(26)가 마련된다.
탄성부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의 바닥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음료컵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바닥부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음료컵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음료컵을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컵홀더 20 : 수용부
21 : 내주면 22 : 바닥면
23 : 가이드부 24 : 개구
25 : 제1나사부 30 : 탄성부
31 : 자유단 32 : 절곡부
40 : 바닥부 41 : 제2나사부
42 : 손잡이부 43: 스토퍼부.

Claims (7)

  1. 음료컵을 수납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측에서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향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용부에 대한 회전운동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상기 제1나사부와 치합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7. 음료컵을 수납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음료컵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와 스크류 결합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20090001421A 2009-01-08 2009-01-08 자동차용 컵홀더 KR20100082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21A KR20100082097A (ko) 2009-01-08 2009-01-08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21A KR20100082097A (ko) 2009-01-08 2009-01-08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97A true KR20100082097A (ko) 2010-07-16

Family

ID=4264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21A KR20100082097A (ko) 2009-01-08 2009-01-08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0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5312A (zh) * 2013-04-30 2016-06-22 江森自控科技公司 一种具有整体的表皮显示表面的车辆内部储存室
CN108973819A (zh) * 2018-08-23 2018-12-11 浙江信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杯托
US10293733B2 (en) 2016-07-04 2019-05-21 Hyundai Motor Company Cup hol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5312A (zh) * 2013-04-30 2016-06-22 江森自控科技公司 一种具有整体的表皮显示表面的车辆内部储存室
CN105705312B (zh) * 2013-04-30 2018-05-29 江森自控科技公司 一种具有整体的表皮显示表面的车辆内部储存室
US10293733B2 (en) 2016-07-04 2019-05-21 Hyundai Motor Company Cup hol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973819A (zh) * 2018-08-23 2018-12-11 浙江信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杯托
CN108973819B (zh) * 2018-08-23 2019-10-18 浙江信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杯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090B1 (ko) 자동차용 싱크 방식의 컵홀더
KR101028221B1 (ko) 컵 홀더
US7350757B2 (en) Push type cup holder
JP4992956B2 (ja) カップホルダ
KR20140005960A (ko) 정제 카세트
KR20100082097A (ko) 자동차용 컵홀더
CN111251963B (zh) 用于固定容器的包括保持构件的容器架
JP2005145384A (ja) 容器ホルダ
KR20050096522A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747356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9908450B2 (en) Lifting container holder
CN112829657A (zh) 杯托总成
JP2014069762A (ja) カップホルダ
KR20100060287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090049217A (ko) 자동차용 컵홀더
CN211731149U (zh) 杯架及车辆
CN113386646A (zh) 用于饮料容器的固定架
JP2008143294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20090040175A (ko) 컵 홀더
KR100380355B1 (ko) 컵 홀더의 컵 지지장치
KR20050053405A (ko) 차량의 센터콘솔 컵홀더
JP4446241B2 (ja) 飲料容器の開栓装置
CN214874388U (zh) 弹簧片弹性夹紧式杯托卡爪结构
KR102417410B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90048792A (ko) 자동차용 다단 컵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