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287A - 차량용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287A
KR20100060287A KR1020080118833A KR20080118833A KR20100060287A KR 20100060287 A KR20100060287 A KR 20100060287A KR 1020080118833 A KR1020080118833 A KR 1020080118833A KR 20080118833 A KR20080118833 A KR 20080118833A KR 20100060287 A KR20100060287 A KR 20100060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eceiving groove
cup holder
stopper
hold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0287A/ko
Publication of KR20100060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의 승하강이 용이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컵 수납을 위한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부재(112)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걸림부재(112)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스톱퍼(121)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111)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컵받침부(120)와; 상기 수용홈(111) 내에서 상기 컵받침부(1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0)와; 상기 컵받침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121)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140)으로 구성되어, 종래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 컵홀더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컵홀더, 높이 조절, 탄성부재, 스톱퍼.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 장치{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컵홀더의 승하강이 용이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는 음료수가 든 캔이나 컵을 보관할 수 있는 컵 홀더가 설치되며, 이러한 컵 홀더는 운전자나 탑승객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운전석 또는 조수석과 인접한 콘솔박스에 설치되며, 뒷자석의 경우에는 암레스트에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컵 홀더 장치 중에는 컵의 크기에 따라서 컵 받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컵 사이즈에 따라서 컵 받침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컵홀더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으로, 종래의 컵홀더 장치는 몸체부(10)에 일체로 원통 형상의 가이드부재(11)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부재(11)에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며 컵이 안착되는 컵 받침부재(20)가 구비된다.
몸체부(10)는 종래의 암레스트의 일부일 수가 있다.
컵 받침부재(20)의 외주면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치형(21)이 형성되며, 이 치형(21)은 모터(30)에 의해 회동하는 기어(31)가 치합된다.
모터(30)는 제어부(40)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며, 제어부(40)에는 모터(30)의 온/오프를 단속하기 위한 작동버튼(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컵홀더 장치는 작동버튼(50)을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40)는 모터(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여 컵 받침부재(2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컵(1)의 수납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컵홀더 장치는 컵 받침부재를 승하강 조작하기 위하여 전기장치를 이용하므로 전장품의 추가에 의해 원가 상승이 발생한다. 또한, 컵 받침부재의 높이 조절 과정에서 모터의 작동 소음에 의해 승차감 저하의 원인이 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전기장치 없이도 컵의 수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컵 수납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걸림부재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스톱퍼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컵받침부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컵받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컵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컵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수용홈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톱핑 부재를 갖는 컵받침부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 컵홀더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컵받침부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므로, 최대 승강 시에 몸체부의 바깥 면과 컵받침부의 바닥 면이 일치하도록 하여 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외관미를 높일 수가 있으며, 컵홀더 내에 이물질 등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에 있어 컵받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컵 수납을 위한 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부재(112)가 형성된 몸체부(110)와; 상기 걸림부재(112)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스톱퍼(121)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111)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컵받침부(120)와; 상기 수용홈(111) 내에서 상기 컵받침부(1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30)와; 상기 컵받침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121)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1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몸체부(110)는 차량의 리어 시트에 구비되는 주지의 암레스트일 수 있으며, 또는 운전석 옆에 구비되어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콘솔박스일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두 개의 수용홈에 도시되어 있으며, 우측의 수용홈은 버튼이 제거된 상태의 수용홈을 도시한 것이다.
수용홈(111)은 수납될 수 있는 컵(1)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를 갖는다.
몸체부(110)에는 수용홈(111)과 연결되어 장공의 가이드슬롯(110a)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슬롯(110a) 바깥으로 버튼(140)이 노출되어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슬롯(110a)에는 다수의 걸림부재(112)가 형성된다.
걸림부재(112)는 곡면을 갖는 다수의 요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수용홈(111)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컵받 침부(120)는 컵이 안착되는 플레이트(122)와, 이 플레이트(122) 아래로 연장되어 플레이트(122)의 상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컵받침부(120)에는 걸림부재(122)와 탄성적으로 계합되는 스톱퍼(121)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스톱퍼(121)는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컵받침부(120)의 가이드바(123)에는 탄성부재(130)가 구비되며, 이 탄성부재(130)에 의해 컵받침부(120)는 상방으로 승강하기 위한 조작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컵받침부(120)에 구비된 스톱퍼(121)는 가이드슬롯(110a)에 형성된 걸림부재(112)와 탄성적으로 계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컵받침부(120)의 높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톱퍼(121)에는 스톱퍼(121)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140)이 구비되며, 이 버튼(140)의 조작에 의해 스톱퍼(121)와 걸림부재(112) 사이의 걸림 상태가 해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튼에는 탄성을 갖는 스톱퍼를 반대 방향으로 밀기 위한 돌기 등에 의해 스톱퍼(121)가 걸림부재(112)에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는 사용자가 컵을 컵받침 부(120) 위에 놓은 상태에서 아래로 누르게 되면 특정한 위치의 걸림부재(112)에 계합되었던 스톱퍼(121)가 압축되면서 아래에 위치한 걸림부재(112)로 이동하여 계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컵받침부(120)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컵받침부(120)의 위치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140)을 눌려서 스톱퍼(121)가 걸림부재(112)에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컵받침부(120)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컵홀더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에 있어 컵받침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A-A 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부 111 : 수용홈
112 : 걸림부재 120 : 컵받침부
121 : 스톱퍼 130 : 탄성부재
140 : 버튼

Claims (2)

  1. 컵 수납을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부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걸림부재와 탄성적으로 계합하는 스톱퍼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컵받침부와;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컵받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컵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톱퍼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20080118833A 2008-11-27 2008-11-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100060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33A KR20100060287A (ko) 2008-11-27 2008-11-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33A KR20100060287A (ko) 2008-11-27 2008-11-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287A true KR20100060287A (ko) 2010-06-07

Family

ID=4236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33A KR20100060287A (ko) 2008-11-27 2008-11-27 차량용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02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068A (ko) * 2012-12-06 2014-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US9016650B2 (en) 2013-02-18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ainer holder with adjustable depth
US9931990B2 (en) 2015-12-21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assembly and vehicle console employing the same
CN112918353A (zh) * 2021-03-04 2021-06-08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副仪表杯托装置及车辆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068A (ko) * 2012-12-06 2014-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US9016650B2 (en) 2013-02-18 2015-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ainer holder with adjustable depth
US9931990B2 (en) 2015-12-21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assembly and vehicle console employing the same
CN112918353A (zh) * 2021-03-04 2021-06-08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副仪表杯托装置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068B1 (ko)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US7350757B2 (en) Push type cup holder
US4738423A (en) Generic beverage container holder
KR100868833B1 (ko) 내장비품의 작동구조 및 그것을 이용한 컵 홀더
RU149374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стаканов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00060287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US20060076468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JP2005112332A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JP6120671B2 (ja) カップホルダ
KR100999144B1 (ko) 탈착 가능한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050031813A (ko) 자동차의 컵홀더용 자동승강장치
KR10155918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111055781B (zh) 杯托机构、仪表板总成及车辆
KR20040021034A (ko) 차량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KR101192467B1 (ko) 컵홀더를 갖는 차량용 콘솔박스 구조
KR20050053405A (ko) 차량의 센터콘솔 컵홀더
KR101964739B1 (ko)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KR20100082097A (ko) 자동차용 컵홀더
KR20090052044A (ko) 컵 홀더
KR101584903B1 (ko) 컵홀더 장치
CN219236913U (zh) 一种汽车中央扶手箱
CN213311327U (zh) 一种神经外科用头部固定装置
CN218198043U (zh) 一种汽车升降杯托结构
KR20090106958A (ko)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
CN208781753U (zh) 一种多功能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