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739B1 -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739B1
KR101964739B1 KR1020170054244A KR20170054244A KR101964739B1 KR 101964739 B1 KR101964739 B1 KR 101964739B1 KR 1020170054244 A KR1020170054244 A KR 1020170054244A KR 20170054244 A KR20170054244 A KR 20170054244A KR 101964739 B1 KR101964739 B1 KR 10196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ower
worm
switch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832A (ko
Inventor
김정수
우현철
홍영준
전훈영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시 filed Critical (주)디에스시
Priority to KR102017005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73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력이 필요한 위치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구동하는 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단일의 동력을 다양한 위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제어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 제어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웜기어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웜기어들 각각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기어제어부,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고 상기 기어제어부가 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기어제어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면 상기 기어제어부는 상기 웜기어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하강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하강 고정된 스위치는 상승한다.

Description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POWER TRANSMISSION USING ONE MOT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동력전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의 동력을 다양한 위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안락하고 편안한 시트 포지션 제어를 위해 복수의 모터들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맞는 시트 포지션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스티어링 휠과 시트간의 거리 및 높이까지 제어하여 드라이빙에 최적화된 시트 포지션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에는 복수의 모터들이 내장되어 있어 중량이 증가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여 차량의 경량화를 달성하기 힘들고 중량이 증가하면서 연비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1912호는 모터의 회전축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동력전달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697호는 액츄에이터와 밸브들을 통해 시트구동을 제어하는 시트 구동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중량을 낮추고 동력을 다양한 위치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동력이 필요한 위치에 해당하는 스위치를 구동하는 동작을 통해 편리하게 단일의 동력을 다양한 위치로 전달하는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력전달 제어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웜기어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웜기어들 각각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기어제어부,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고 상기 기어제어부가 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기어제어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동력전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면 상기 기어제어부는 상기 웜기어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하강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하강 고정된 스위치는 상승한다.
또한, 상기 기어제어부는 상기 스위치가 하강하면 상기 하강한 스위치와 상기 웜기어 사이에 형성된 기어의 스크류가 상기 웜기어와 기어 결합되면서 상기 웜기어의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어박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며 측면은 상기 웜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웜기어는 상기 베벨기어가 하강하면 상기 베벨기어의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중앙의 관통홈을 향해 형성되는 내부스크류 및 상기 웜과 맞물리도록 외측에 환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제어부는 캡(Cap) 형태의 상기 스위치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거치대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과 결합되고, 양측에 돌기들이 형성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벨기어는 하강하면 상기 베벨기어의 나사산은 상기 웜기어의 중앙 내측에 형성된 내부스크류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제어부는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거치대 사이에서 일단은 상기 동력부와 인접한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커버의 타측면에 고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돌기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턱들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가 하강하면 상기 돌기는 상기 고정판을 상기 동력부와 이격되도록 타측을 향해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웜기어들 및 상기 웜기어들 각각에 대응되는 스위치들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방향 제어장치는 단일의 모터를 이용하여 동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위치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모터 갯수의 감소로 중량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력방향 제어장치는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동력을 외부로 전달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개선되고, 다른 스위치를 누르면 이미 하강한 스위치를 상승시켜 동력의 제어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동력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웜의 길이의 제어를 통해 웜에 결합되는 웜기어의 숫자또한 무한대로 증가시킬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7들은 도 1의 동력전달 제어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제어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 제어장치(100)는 프레임(200), 동력부(300), 기어부(400), 기어제어부(500) 및 동력전달부(600)를 포함한다.
동력전달 제어장치(100)는 동력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기어부(4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어제어부(500)를 제어하여 기어부(400)의 동력을 동력전달부(6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동력전달 제어장치(100)는 단일의 동력부(300)를 사용하고, 기어제어부(500) 및 동력전달부(600)를 통해 다양한 위치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므로, 단일의 동력부(300)를 통해 자동차 시트의 위치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위치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200)은 기어부(400) 및 기어제어부(500)를 커버하도록 결합되어 기어부(400)와 기어제어부(500)의 결합구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동력전달부(600)의 구동력손실을 최소화한다.
프레임(200)은 기어박스(210), 상부커버(220) 및 거치대(230)를 포함한다.
기어박스(210)는 기어부(400)를 커버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박스(Box)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기어부(400)의 구동이 원활하도록 윤활유가 주입될 수 있다.
상부커버(220)는 기어박스(210)의 상부면에서 일단은 동력부(300)와 인접한 위치에서 결합되고, 타단은 동력부(3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상부면은 기어박스(210)의 상부면과 평행한 평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대(230)는 기어박스(210)의 상부면과 상부커버(220)의 상부면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거치대(2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거치공간이 형성된다.
동력부(300)는 단일의 모터로 형성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고, 일측의 구동축이 프레임(200)의 내부로 연장되어 프레임(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기어부(400)와 결합된다.
기어부(400)는 동력부(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410)과 웜(410)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웜기어(420), 제2 웜기어(430) 및 제3 웜기어(440)를 포함한다.
웜(410)은 일단이 동력부(300)에 결합되고 타단은 기어박스(210)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일측에 배치된다.
웜(410)의 외측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외측과 나사결합되어 동력부(300)의 구동에 따라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이 회전한다.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은 내부스크류(421) 및 외부스크류(422)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은 중앙에 관통홈이 형성되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관통홈을 향해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는 내부스크류(421)가 내측면에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웜(410)과 맞물리도록 외부스크류(4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동력부(300)가 구동하면, 웜(410)이 회전하고, 회전하는 웜(410)은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외부스크류(422)들을 구동시켜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이 웜(410) 및 동력부(300) 각각의 구동축과 수직하게 형성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기어제어부(500)는 제1 스위치(510), 제2 스위치(520), 제3 스위치(530), 제1 베벨기어(540), 제2 베벨기어(550) 및 제3 베벨기어(56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하강하면, 기어제어부(500)는 기어부(400)와 결합되어 회전한다.
제1 내지 제3 베벨기어(540, 550, 56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단은 측면에서 하부 중심을 향해 축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나사산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하강하면,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과 결합된 제1 내지 제3 베벨기어(540, 550, 560)들 각각의 나사산은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내부스크류(421)와 맞물린다.
동력전달부(600)는 제1 케이블(610), 제2 케이블(620) 및 제3 케이블(630)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600)는 기어부(400)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기어제어부(500)의 하단과 결합되고,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하강하면 기어제어부(500)는 기어부(400)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동력을 동력전달부(600) 에 전달한다.
동력전달부(600)는 기어부(400) 및 기어제어부(500)의 결합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제1 케이블(610), 제2 케이블(620) 및 제3 케이블(630)을 통해 동력이 필요한 다양한 위치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케이블(610), 제2 케이블(620) 및 제3 케이블(63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3 베벨기어(540, 550, 560)들 각각과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베벨기어(540, 550, 560)들 각각이 회전하면 제1 케이블(610), 제2 케이블(620) 및 제3 케이블(630)들 각각에 동력이 전달된다.
제1 케이블(610), 제2 케이블(620) 및 제3 케이블(630)들 각각은 플렉서블 샤프트(Flexible shaft) 형태로 형성되고, 차량의 시트에 사용되는 경우 방석 부분 이동, 등받이 각도 조정 등의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시트조절을 위해 시트 내부의 다양한 위치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동력전달 제어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7들은 도 1의 동력전달 제어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3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제어부(500)는 제1 스프링(515), 제1 가압판(517), 제2 스프링(525), 제2 가압판(527), 제3 스프링(535), 제3 가압판(537), 고정판(570), 고정스프링(575), 지지판(580) 및 압박유닛(565)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515), 제2 스프링(525) 및 제3 스프링(535)들 각각의 상단은 캡(Cap) 형태의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단은 상부커버(220)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의 상단은 상부커버(220)를 관통하여 제1 내지 제3 스프링(515, 525, 535)들 각각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과 결합되고,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하강하면, 제1 내지 제3 스프링(515, 525, 535)들 각각이 수축하고,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은 하강한다.
압박유닛(565)들 각각은 거치대(230)의 저면과 기어박스(210)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의 하부는 압박유닛(565)들 각각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결합된다.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은 동력전달 제어장치(1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518, 528, 538)들을 각각 포함한다.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은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하강하면 상부커버(220)와 거치대(230) 사이에서 하강하고,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상승하면, 상부면이 상부커버(220)의 저면과 밀착되어 제1 내지 제3 스프링(515, 525, 535)들 각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제1 내지 제3 스프링(515, 525, 535)들 각각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은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기들은 압박유닛(565)들 각각의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스위치(510, 520, 530)들 각각이 하강하면 제1 내지 제3 스프링(515, 525, 535)들 각각이 수축하여 상부를 향해 탄성력을 가지고,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은 압박유닛(565)들 각각을 통해 제1 내지 제3 베벨기어(540, 550, 560)들 각각을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내부스크류(421)와 결합시킨다.
고정판(570)은 상부커버(220)와 거치대(230) 사이에 양측을 향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제1 내지 제3 가압판(517, 527, 537)들 각각의 후방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고정판(57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부커버(220)의 양측벽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고정판(570)의 타단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고정판(570)의 돌기가 삽입되는 상부커버(220)의 타측 사이에는 고정스프링(575)이 배치되어 고정판(570)이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 고정스프링(575)이 고정판(570)을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고정판(570)의 후방에는 고정판(570)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판(580)이 형성되고, 고정판(570)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고정판(570)의 상단에는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면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턱(571, 572, 573)들 각각이 형성되고,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하강하면 걸림턱(571, 572, 573)들 각각의 상부 경사면을 밀어서 고정판(570)을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고정판(570)의 걸림턱(571)들 각각은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의 후방에 배치되고, 걸림턱(571, 572, 573)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부에서 일측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부에는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거치되도록 타측을 향해 함몰된 홈들이 각각 형성된다.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하강하면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경사면들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홈에 거치되고, 고정판(570)은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하며, 고정스프링(575)의 탄성력을 통해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을 일측을 향해 압박하여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치(510)를 하강시켜 제1 베벨기어(540)를 제1 웜기어(420)의 내부스크류(421)와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돌기(518)가 상기 걸림턱(571) 하부의 홈에 거치되어 제1 베벨기어(540)와 제1 웜기어(420)의 내부스크류(421)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 베벨기어(540)와 내부스크류(421)의 결합상태의 유지를 통해 동력부(300)의 동력이 동력전달부(60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제1 스위치(510)가 하강하여 제1 베벨기어(540)를 제1 웜기어(420)의 내부스크류(421)와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해당 작업자가 제2 또는 제3 스위치(520, 530) 중 어느 하나를 하강시키면, 제2 또는 제3 스위치(520, 530) 중 어느 하나의 돌기(528, 538)가 걸림턱(542, 543)을 누르고 고정판(570)을 타측을 향해 이동시키므로, 제1 스위치(510) 하부의 돌기(518)는 걸림턱(542, 543)을 벗어나 상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동력전달 제어장치(100)는 고정판(570)을 통해 제1 내지 제3 베벨기어(540, 550, 560)들 중 어느 하나만 제1 내지 제3 웜기어들(420, 430, 440)들 각각의 내부스크류(421)와 결합되도록 하여 동력이 안정적으로 외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고정판(570)에 형성되는 걸림턱(571, 572, 573)들 각각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길이를 제어하여 돌기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돌기들 각각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벨기어들이 순서대로 하부의 웜기어들과 동시에 연결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시트의 위치 제어에서 동시에 서로 다른 위치의 제어가 필요한 부분에는 경사면의 길이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동력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동력전달 제어장치(100)의 웜기어의 갯수는 웜(410)의 길이에 따라서 추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동력이 필요한 경우, 동력이 필요한 위치의 갯수에 따라 웜기어를 추가할 수 있다.
도 6 및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520)가 하강하면, 돌기(528)는 걸림턱(572)을 고정스프링(575)이 위치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도 5에서 걸림턱(571)에 결합된 돌기(518)는 상승한다.
또한, 돌기(528)는 지지판(580)에서 동력부(300)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밀어내며 하부로 이동하므로 지지판(580)은 동력부(30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돌기(528)는 걸림턱(57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치(520)가 하강하면 지지판(580)은 동력부(30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제3 스위치(5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판(580)의 경사면은 돌기(538) 및 걸림턱(573)과 이격되어 제3 스위치(530)를 하강시켜도 돌기(538)는 걸림턱(573)에 결합되지 않고 상부로 이동한다.
제3 스위치(530)가 하강하면, 돌기(538)는 걸림턱(573)을 고정스프링(575)이 위치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도 6에서 걸림턱(572)에 결합된 돌기(528)는 상승한다.
또한, 돌기(538)는 걸림턱(573)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판(580)을 동력부(30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상태로 고정시키며, 걸림턱(541, 542)들 각각은 돌기(518, 528)들 각각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제1 또는 제2 스위치(510, 520)들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여도, 걸림턱(541, 542)들에 결합되지 않고 다시 원위치로 상승한다.
따라서, 지지판(580)은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은 걸림턱(571, 572, 573)들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기(518, 528, 538)들 각각이 걸림턱(571, 572, 573)들 각각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구동력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동력방향 제어장치 200: 프레임
400: 동력부 400: 기어부
500: 기어제어부 600: 동력전달부

Claims (5)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
    일단은 상기 동력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동력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웜 및 상기 웜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웜과 맞물리는 웜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를 커버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평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기어박스의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위치들, 상기 스위치들 각각과 상기 상부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스프링들, 상기 스위치들 각각과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들 각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커버 및 거치대를 차례대로 관통하는 가압판들, 상기 거치대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서 상기 가압판들 각각의 하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압박유닛들 및 상기 거치대와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서 상기 압박유닛들 각각과 결합되고 상기 웜기어들 각각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는 베벨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제어부; 및
    상기 베벨기어들 각각의 하단과 결합되는 플렉서블 샤프트 형태의 케이블들이 형성되는 동력전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하강하면 상기 베벨기어들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며 상기 동력을 상기 케이블에 전달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상부커버 및 거치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고정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상기 가압판 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걸리며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4244A 2017-04-27 2017-04-27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KR10196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244A KR101964739B1 (ko) 2017-04-27 2017-04-27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244A KR101964739B1 (ko) 2017-04-27 2017-04-27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832A KR20180120832A (ko) 2018-11-07
KR101964739B1 true KR101964739B1 (ko) 2019-04-04

Family

ID=6436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244A KR101964739B1 (ko) 2017-04-27 2017-04-27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6900A (ja) * 2004-07-14 2008-03-06 トラック・コーポレイション 多重出力トランスミ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737B1 (ko) * 1999-08-25 2001-10-18 정주호 단일 모터를 이용한 차량의 파워시트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6900A (ja) * 2004-07-14 2008-03-06 トラック・コーポレイション 多重出力トランスミ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832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833B1 (ko) 내장비품의 작동구조 및 그것을 이용한 컵 홀더
US9604550B2 (en) Seat drive device
KR101866306B1 (ko) 자동차의 콘솔 높이 조절 장치
JP5318935B2 (ja) 多軸駆動装置
WO2005007446A3 (de) Verstell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einer kopfstütze
EP3653433B1 (en) Multifunction footrest apparatus for vehicle
KR101964739B1 (ko) 1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동력전달 제어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7023580B2 (ja) 案内駆動装置
CN103781662A (zh) 用于车辆座椅的能调节高度的头枕和具有能调节高度的头枕的车辆座椅
KR20100060287A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101770213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EP1905645A1 (en) Adjustable Rear View Mirror Structure
KR102028941B1 (ko) 단일 모터를 이용한 다(多)방향 하이브리드 동력전달 제어장치
KR102096378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KR101908847B1 (ko) 전동식 안장각도 조절장치
ATE410267T1 (de) Elektrischer schraubenschlüssel
KR100701764B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승강장치
KR0157262B1 (ko) 차량용 파워 시트에서의 콘솔 박스의 무빙 시스템
JP7388058B2 (ja) サンルーフ装置
KR20150129148A (ko)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KR101994848B1 (ko) 메뉴얼 사이드 볼스터 장치
CN218112401U (zh) 一种多自由度充电设备
CN103255975A (zh) 玻璃窗升降装置和具有其的车辆
KR200395741Y1 (ko)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