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903B1 -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903B1
KR101584903B1 KR1020140094565A KR20140094565A KR101584903B1 KR 101584903 B1 KR101584903 B1 KR 101584903B1 KR 1020140094565 A KR1020140094565 A KR 1020140094565A KR 20140094565 A KR20140094565 A KR 20140094565A KR 101584903 B1 KR101584903 B1 KR 101584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holder case
case
hous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4009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 하우징 내에서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컵홀더 케이스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시 작동부재에 의해 자동인출되며, 댐핑부재를 통해 인출속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컵홀더 작동의 고급화를 구현한다.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방식의 컵홀더를 이루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중소형차량에도 쉽게 적용 가능한 컵홀더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컵홀더 장치 {DEVICE OF 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인출 또는 수납되는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의 인출 또는 수납속도가 적정속도로 조절되도록 하는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는 탑승한 탑승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편의 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편의장치 중 하나로 실내에 음료 용기를 지지하는 컵홀더가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컵홀더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컵홀더가 마련되어 컵홀더가 불필요한 상태에서도 실내 공간을 차지하며, 외부에 단순히 노출되어 있어 외관 디자인이 저해된다.
최근에는 콘솔박스에 컵홀더를 위치시키고, 탑승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암레스트에서 컵홀더가 인출 또는 수납되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이렇게, 콘솔박스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식의 컵홀더에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또는 수납 동작이 수행되는데, 탑승자의 힘만으로 인출 또는 수납 조작할 경우 컵홀더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져 파손되거나 컵홀더가 콘솔박스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컵홀더를 이용시 컵홀더의 인출속도를 제어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컵홀더의 인출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유압식 댐퍼를 사용함에 따라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방식의 컵홀더에 있어서, 컵홀더의 슬라딩 이동속도가 적정 속도로 조절되도록 하고, 이를 이루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컵홀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3-0076832 A (2003.09.2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컵홀더의 인출 또는 수납동작시 이동 속도를 적정속도로 조절되도록 하는 컵홀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장치는 전단에 인출구가 형성된 컵홀더 하우징; 상기 컵홀더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도록 마련되고, 수용되는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 케이스; 상기 컵홀더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고, 컵홀더 케이스의 후단에 연결되어 컵홀더 케이스를 인출구를 향해 밀어주도록 마련된 작동부재; 및 상기 컵홀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컵홀더 케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속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댐핑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컵홀더 하우징의 후단에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컵홀더 케이스의 후단에는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후크홈에 걸림후크가 걸리는 경우 컵홀더 케이스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후단과 컵홀더 케이스의 후단에 연결된 압축스프링으로서, 컵홀더 케이스가 인출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어 컵홀더 케이스의 양측단에 접촉되고,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동작시 컵홀더 케이스의 양측단을 가압하여 인출속도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양측단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방향으로 컵홀더 케이스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댐핑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컵홀더 케이스의 양측단에는 상기 댐핑부재에 접촉되는 롤러부가 마련되며,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동작시 롤러부가 댐핑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의 컵홀더 케이스를 밀어주는 힘은 상기 댐핑부재의 컵홀더 케이스의 슬라이딩 속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힘보다 더 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컵홀더 장치는 컵홀더 하우징 내에서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컵홀더 케이스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시 작동부재에 의해 자동인출되며, 댐핑부재를 통해 인출속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컵홀더 작동의 고급화를 구현한다.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방식의 컵홀더를 이루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중소형차량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홀더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컵홀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컵홀더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홀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홀더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홀더 장치의 컵홀더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컵홀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는 전단(102)에 인출구(120)가 형성된 컵홀더 하우징(100); 상기 컵홀더 하우징(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120)를 통해 인출되도록 마련되고, 수용되는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 케이스(200); 상기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104)에 설치되고,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에 연결되어 컵홀더 케이스(200)를 인출구(120)를 향해 밀어주도록 마련된 작동부재(300); 및 상기 컵홀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속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댐핑부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컵홀더 하우징(100)은 콘솔 박스일 수 있으며, 후석측 암레스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는 탑승자와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음료 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컵홀더 하우징(100)의 전단(102)에는 인출구(120)가 형성되어 컵홀더 케이스(200)가 인출구(120)를 통해 컵홀더 하우징(10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한편, 컵홀더 하우징(10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컵홀더 케이스(200)가 마련되며, 컵홀더 케이스(200)에는 컵수용공간(260)이 형성되어 수용되는 컵이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컵홀더 케이스(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지지수단(280)이 설치되어 수용된 컵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수용된 컵을 고정하는 지지수단(280)으로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컵홀더 케이스(200)는 컵홀더 하우징(100)에서 자동인출되며, 인출되는 속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컵홀더 하우징(100)과 컵홀더 케이스(200)에는 작동부재(300)가 마련되고, 작동부재(300)가 컵홀더 케이스(200)를 컵홀더 하우징(100) 외부로 밀어주는 동작을 통해 컵홀더 케이스(200)가 슬라이딩 이동된다. 여기서, 컵홀더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댐핑부재(400)가 마련되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속도가 가변되도록 한다. 즉, 댐핑부재(400)를 통해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 동작시에는 인출 속도가 서서히 감속되도록 하여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속도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104)에는 후크홈(140)이 형성되고,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에는 상기 후크홈(140)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후크(220)가 형성되어 후크홈(140)에 걸림후크(220)가 걸리는 경우 컵홀더 케이스(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컵홀더 케이스(200)가 컵홀더 하우징(10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면,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에 형성된 걸림후크(220)가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204)에 형성된 후크홈(140)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이렇게, 컵홀더 케이스(200)의 걸림후크(220)가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크홈(140)에 삽입되어 걸리면, 컵홀더 케이스(200)에 작동부재(300)의 밀어주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컵홀더 케이스(200)가 컵홀더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컵홀더 케이스(200)의 걸림후크(220)는 컵홀더 케이스(200)는 일정 외력이 가해지면, 컵홀더 하우징(100)에 형성된 후크홈(140)에서 이탈되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슬라이딩 이동동작이 허용되며, 작동부재(300)에 의해 컵홀더 케이스(200)가 컵홀더 하우징(100)의 인출구(120)를 향해 이동된다.
컵홀더 하우징(100) 내부에 컵홀더 케이스(200)가 수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별도의 래치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사용편의성을 위해 래치장치와 연동되는 스위치 조작부를 설치하여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동작이 스위치 조작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300)는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104)과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에 연결된 압축스프링으로서, 컵홀더 케이스(200)가 인출구(120)를 향해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작동부재(300)는 일단이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104)에 연결되고, 타단이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에 연결되도록 마련된 압축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컵홀더 케이스(200)가 컵홀더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시 작동부재(300)인 압축스프링이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과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204) 사이에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컵홀더 케이스(200)가 컵홀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인출구(120)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댐핑부재(400)는 컵홀더 하우징(100)의 양측단(106)에 마련되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에 접촉되고,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동작시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을 가압하여 인출속도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댐핑부재(400)는 컵홀더 하우징(100)의 양측단(106)에 설치 고정되고,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속도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핑부재(400)는 컵홀더 하우징(100)의 양측단(106)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방향으로 컵홀더 케이스(20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댐핑부재(400)는 컵홀더 하우징(100)의 양측단(106)에 각각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시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의 댐핑부재(400)는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방향에 대해 컵홀더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시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방향으로 양측단(106)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커짐에 따라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속도가 점차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댐핑부재(400)는 컵홀더 하우징(100)의 양측단(106)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적용하여,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동작시 판스프링을 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이동되고, 변형된 판스프링의 탄성적인 복원력에 의해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 속도가 저감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에는 상기 댐핑부재(400)에 접촉되는 롤러부(240)가 마련되며,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동작시 롤러부(240)가 댐핑부재(400)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106)으로 컵홀더 하우징(100)에 설치된 댐핑부재(400)가 접촉됨에 따라 인출 속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과 댐핑부재(400) 간에는 마찰이 발생되는바, 작동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에는 롤러부(240)를 설치하고, 롤러부(240)가 댐핑부재(400)와 접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동작시 댐핑부재(400)와의 마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컵홀더 케이스(200)가 댐핑부재(400)와 접촉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댐핑부재(400)는 판스프링이 적용됨에 따라 컵홀더 케이스(200)의 롤러부(240)가 판스프링의 평평한 단면을 타고 이동됨에 따라 컵홀더 케이스(200)의 부드러운 슬라이딩 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300)의 컵홀더 케이스(200)를 밀어주는 힘은 상기 댐핑부재(400)의 컵홀더 케이스(200)의 슬라이딩 속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힘보다 더 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컵홀더 케이스(200)는 작동부재(30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수행되고, 댐핑부재(400)에 의해 인출속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만약, 작동부재(300)의 작동력보다 댐핑부재(400)의 조절력이 더 크게 설정될 경우 작동부재(300)의 작동력이 댐핑부재(400)의 조절력을 이기지 못하여 컵홀더 케이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작동부재(300)인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은 댐핑부재(400)인 판스프링의 탄성력보다 강하게 설정해줌으로써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 동작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컵홀더 케이스(200)가 슬라이딩 이동되고,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 속도가 저감되되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겨내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완전한 인출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컵홀더 장치는 컵홀더 케이스(200)가 컵홀더 하우징(10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 케이스(200)의 걸림후크(220)가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크홈(140)에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컵홀더 케이스(200)의 후단(204)과 컵홀더 하우징(100)의 후단(104) 사이에 위치된 작동부재(30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컵홀더 케이스(200)의 롤러부(240)가 댐핑부재(400)에 접촉된 상태만이 유지된다.
탑승자의 컵홀더 필요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시 걸림후크(220)가 후크홈(140)에서 이탈되어 컵홀더 케이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허용되고, 압축상태의 작동부재(300)가 탄성적으로 복원됨에 따라 컵홀더 케이스(200)를 컵홀더 하우징(100)의 인출구(120)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컵홀더 케이스(200)의 롤러부(240)가 댐핑부재(400)의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이동되어 댐핑부재(400)가 변형되고, 댐핑부재(400)의 탄성 복원력이 롤러부(240)를 통해 컵홀더 케이스(200)의 양측단(206)에 가해짐으로써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 속도가 저감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컵홀더 장치는 컵홀더 하우징(100) 내에서 컵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컵홀더 케이스(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컵홀더 케이스(200)의 인출시 작동부재(300)에 의해 자동인출되며, 댐핑부재(400)를 통해 인출속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컵홀더 작동의 고급화를 구현한다.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방식의 컵홀더를 이루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중소형차량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컵홀더 하우징 120:인출구
140:후크홈 200:컵홀더 케이스
220:걸림후크 240:롤러부
300:작동부재 400:댐핑부재

Claims (8)

  1. 전단에 인출구가 형성된 컵홀더 하우징;
    상기 컵홀더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도록 마련되고, 수용되는 컵을 지지하는 컵홀더 케이스;
    상기 컵홀더 하우징의 후단에 설치되고, 컵홀더 케이스의 후단에 연결되어 컵홀더 케이스를 인출구를 향해 밀어주도록 마련된 작동부재; 및
    상기 컵홀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컵홀더 케이스의 슬라이딩 이동속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댐핑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핑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양측단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방향으로 컵홀더 케이스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컵홀더 케이스의 양측단에는 상기 댐핑부재에 접촉되는 롤러부가 마련되며,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동작시 롤러부가 댐핑부재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됨으로써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 하우징의 후단에는 후크홈이 형성되고, 컵홀더 케이스의 후단에는 상기 후크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후크홈에 걸림후크가 걸리는 경우 컵홀더 케이스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후단과 컵홀더 케이스의 후단에 연결된 압축스프링으로서, 컵홀더 케이스가 인출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어 컵홀더 케이스의 양측단에 접촉되고, 컵홀더 케이스의 인출동작시 컵홀더 케이스의 양측단을 가압하여 인출속도가 저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는 컵홀더 하우징의 양측단에 마련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컵홀더 케이스를 밀어주는 힘은 상기 댐핑부재의 컵홀더 케이스의 슬라이딩 속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힘보다 더 강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KR1020140094565A 2014-07-25 2014-07-25 컵홀더 장치 KR101584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65A KR101584903B1 (ko) 2014-07-25 2014-07-25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65A KR101584903B1 (ko) 2014-07-25 2014-07-25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903B1 true KR101584903B1 (ko) 2016-01-13

Family

ID=5517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65A KR101584903B1 (ko) 2014-07-25 2014-07-25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3967A (zh) * 2019-07-10 2019-10-08 上海杰邦塑料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可上下移动的杯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3967A (zh) * 2019-07-10 2019-10-08 上海杰邦塑料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可上下移动的杯托
CN110303967B (zh) * 2019-07-10 2024-02-02 上海杰邦塑料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汽车用可上下移动的杯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2653B (zh) 用于可移动式家具部件的弹出装置及家具
CA3047149C (en) Locking device and sliding door with locking device
KR101209950B1 (ko)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CN107662548B (zh) 机动车辆抽屉总成
KR20160051361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CN104936821A (zh) 车辆的座椅导轨的锁定装置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US20090250421A1 (en) Fixing seat for rail of modem/servo carrying and stowing rack
JP2019512421A (ja) 肘掛けボックス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車
JP2012530571A (ja) 自動引戻し装置および引出しガイド
JP2010247625A (ja) 引出し装置
JP2019005548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JP4468776B2 (ja) カツプホルダ装置
KR101584903B1 (ko) 컵홀더 장치
CN109475231B (zh) 用于可移动家具部件的驱动装置和用于关闭可移动家具部件的方法
JP6265023B2 (ja) 車両用ドアの窓におけるウインドウ開閉装置
KR20110018712A (ko)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JP2016130075A (ja) サンバイザ装置
EP2389837B1 (en) Elastic force adjust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JP4841626B2 (ja) 自動車車両内における後部棚板の構成
KR20150002639U (ko) 컵홀더
CN107650756B (zh) 杯托以及车辆
JP4651484B2 (ja) アームレストのスライド機構
JP6589574B2 (ja) 車両用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211422248U (zh) 一种铰链组件和汽车后备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