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625A -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 - Google Patents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625A
KR20100080625A KR1020107012576A KR20107012576A KR20100080625A KR 20100080625 A KR20100080625 A KR 20100080625A KR 1020107012576 A KR1020107012576 A KR 1020107012576A KR 20107012576 A KR20107012576 A KR 20107012576A KR 20100080625 A KR20100080625 A KR 2010008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mfr
astm
elastomer
thermoplast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104B1 (ko
Inventor
브루스 앨런 해링톤
스미타 켁커
베트카브 라자고팔란 에스워란
Original Assignee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10T442/602Nonwoven fabric comprises an elast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하나 이상의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와 함께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는 7중량% 이상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알파-올레핀 단위를 포함하고,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는 7중량% 미만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알파-올레핀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는 각각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다.

Description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FIBERS AND NON-WOVENS PREPARED WITH PROPYLENE-BASED ELASTOMERS}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특정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에 관한 것이다.
반-비정질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결정화가능한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도 또한 언급될 수 있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는 섬유와 부직 패브릭의 제조에 이용되어 왔다. 이들 공중합체는 종종 바람직한 성질을 추구하기 위해 다른 중합체와 블렌딩된다.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5/0107529호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로 제조된 섬유를 개시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4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함께 15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20 MFR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용융물로부터의 섬유의 제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36 MFR 단독중합체이거나 400 MFR 단독중합체이다. 섬유는 부분적으로 배향된 얀 방식인 종래의 섬유 방적 라인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은 열 고정되어 견고한 패브릭을 제공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218,010호는 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공정 조건에서 연성(softness)을 갖는 섬유 및 부직 스펀본드 패브릭의 제조에 적합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얼로이(alloy)를 교시한다. 상기 얼로이는, 상기 얼로이 중 약 40 내지 약 90중량%의, 약 1 내지 약 5중량%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랜덤 공중합체; 및 상기 얼로이 중 약 10 내지 약 60중량%의, 약 5 내지 약 40중량%의 에틸렌 함량을 갖는 제 2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체 얼로이는, 에틸렌 단량체 및/또는 알파-올레핀을 거대분자로 랜덤하게 혼입시킬 수 있는 촉매계의 존재 하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혼합물을 단일 또는 복수 개의 반응기에서 중합시켜 랜덤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제 1 단계, 및 활성 촉매를 함유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추가적 존재 하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혼합물을 단일 또는 복수 개의 반응기에서 중합시켜 제 2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반응기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42,565호는 결정화가능한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예컨대 이소택택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연성의 탄성 섬유 조성물을 교시하고 있다. 상기 섬유는 제 2 결정화가능한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정화가능한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05℃ 미만의 용융 온도 및 45J/g 미만의 융해 열(heat of fusion)을 특징으로 한다. 결정성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110℃ 초과의 용융 온도, 60J/g 초과의 융해 열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결정화가능한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분자량 및/또는 결정성 함량에서 제 1 결정화가능한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상이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6,635,715호는 제 1 이소택택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성분과 제 2 알파-올레핀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의 블렌드를 기재하며, 이때 상기 제 1 이소택택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약 110℃ 초과의 융점을 갖고, 상기 제 2 공중합체는 약 25℃ 내지 105℃의 융점을 갖는다. 그 블렌드는 2 내지 95중량%의 제 1 성분 및 98 내지 5중량%의 제 2 공중합체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은 2.0 g/10분의 공칭 용융 유속(MFR)을 갖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에스코렌(Escorene)(등) 4292이고, 제 2 공중합체는 248,900 내지 318,900의 Mw(중량-평균 분자량) 및 12.1 내지 38.4의 무니 점도(ASTM D1646에 따른 125℃에서의 ML(1+4))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블렌드는 가공 기계적 성질의 개선, 인장 강도의 증가, 신율 및 전체적 인성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7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7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조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 패브릭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65℃ 미만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20℃ 미만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조합시킴에 의해 제조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 패브릭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섬유로 압출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상기 섬유를 직조 및 본딩(bon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때 상기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이,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용액과 조합시켜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블렌딩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와 조합시켜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상기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비스-브레이킹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7중량% 이상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7% 미만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섬유 및/또는 부직물은 (i)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ii)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iii)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섬유 및 부직물은 스펀본딩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섬유 및 부직 패브릭은 복합 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이는 또한 저결정도 공중합체 또는 간단히 LCPE로도 지칭된다)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즉, mer 단위), 에틸렌 또는 C4 내지 C20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단위, 및 임의적으로 다이엔(diene)으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α-올레핀 공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산, 4-메틸-1-펜텐 및/또는 1-옥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엔 공단량체 단위는 5-에틸리덴-2-노보넨, 5-비닐-2-노보넨, 다이비닐 벤젠, 1,4-헥사다이엔, 5-메틸렌-2-노보넨, 1,6-옥타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1,3-사이클로펜타다이엔, 1,4-사이클로헥사다이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양태는 상기 α-올레핀 공단량체로서 에틸렌을 참조하여 기술하나, 상기 실시양태는 다른 α-올레핀 공단량체와의 다른 저결정도 공중합체에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공중합체"라는 용어는, 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에틸렌-유도된 단위를 7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중량% 이상, 또한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중량%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에틸렌-유도된 단위를 25중량% 이하,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2중량% 이하, 또한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중량% 이하,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8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중량%는 프로필렌-유도된 및 α-올레핀 유도된 단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프로필렌-유도된 단위를 75중량% 이상,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8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유도된 단위를 80중량% 이하,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2중량% 이하, 또한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3중량% 이하,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0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중량%는 프로필렌-유도된 및 α-올레핀 유도된 단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다이엔-유도된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LCPE는 다이엔-유도된 mer 단위를 총 중합체의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40중량% 이하의 에틸렌 함량을 가진 공중합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측정할 수 있다. ASTM D-3900의 하위 방법 A에 따라 얇고 균질한 필름을 프레스한다. 이어서, 이를 퍼킨 엘머 스펙트럼(Perkin Elmer Spectrum) 2000 적외선 분광광도계에 올려 놓는다. 하기 변수를 사용하여 전체 스펙트럼을 기록한다: 분리능: 4.0 cm-1, 스펙트라 범위: 4500 내지 450 cm-1. 732 cm-1에서의 에틸렌 밴드 면적에 대한 1155 cm-1에서의 프로필렌 밴드 면적의 비(C3/C2=AR)를 구하고 이를 하기 식에 대입함으로써 에틸렌 함량을 결정한다:
에틸렌중량% = 73.492 - 89.298X + 15.637X2
여기서, X는 AR/(AR+1)이고, AR은 피크 면적 비(1155cm-1/722cm-1)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LCPE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시 넓은 용융 전이를 갖고 하나 이상의 최대점을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하는 융점 또는 녹는 온도(Tm)는, 샘플의 용융 범위에서 최대의 열 흡수가 일어나는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의 Tm (DSC로 측정시)은 65℃미만이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0℃ 미만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65℃보다 큰 임의의 용융 전이 피크 또는 최대점을 나타내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DSC로 측정되는 소정의 융해 열(Hf)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0.5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0J/g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0J/g 이상의 Hf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LCPE는 50J/g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8J/g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5J/g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0J/g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0J/g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5J/g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0J/g 미만의 Hf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정도는, 샘플의 융해 열을 100% 결정성 중합체의 융해 열(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189J/g으로 가정함)로 나눔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Tm 및 Hf 결정을 위한 DSC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가열된 프레스에서 약 200℃ 내지 약 230℃의 온도에서 중합체를 프레스하고, 생성 중합체 시트를 주위 조건 하에서 공기 중에 두어 냉각시킨다. 상기 중합체 시트 약 6 내지 10 mg을 펀치 다이(die)에 의해 제거한다. 이 6 내지 10 mg의 샘플을 실온에서 약 80 내지 100 시간 동안 어닐링시킨다. 이 기간 종료시, 상기 샘플을 시차 주사 열량계(퍼킨 엘머 파이리스 원 열 분석 시스템(Perkin Elmer Pyris One Thermal Analysis System))에 위치시키고 약 -50℃ 내지 -70℃로 냉각시킨다. 상기 샘플을 10℃/분으로 가열하여 약 200℃의 최종 온도를 수득한다. 상기 샘플을 200 ℃에서 5분 동안 유지하고 제 2 냉각-가열 사이클을 수행한다. 두 사이클로부터의 결과를 기록한다. 상기 열적 결과는, 상기 샘플의 용융 피크 아래의 면적으로서 기록되며, 이는 전형적으로 약 0℃ 내지 약 200℃ 범위에서 일어난다. 이는 주울(J) 단위로 측정되며 상기 중합체의 융해 열(Hf)의 척도이다. 본원에 언급된 Tm은, 상기 열량계에 의해 할당된 기준선 대비 상기 샘플의 용융 범위내에서 최대로 열 흡수가 일어나는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이는 또한 전형적으로 상기 샘플의 용융 범위내에서의 가장 큰 열 흡수의 온도이다.
상기 LCPE는 13C NMR로 측정시 세 개의 프로필렌 단위로 된 3조 택틱성(triad tacticity)을 75% 이상, 80% 이상, 82% 이상, 85% 이상 또는 90% 이상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범위는 약 50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75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80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내지 약 97%를 포함한다. 3조 택틱성은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236042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좁은 조성 분포(CD)를 갖는다. 상기 공중합체의 이 분자간 조성 분포는 헥산 또는 헵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다음과 같이 열 분획화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의 거의 7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가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접한 가용성 분획으로서 단리되며, 상기 공중합체의 나머지는 그 직전 또는 직후의 분획으로 단리된다.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언급한 좁은 조성 분포를 갖기 위해서는, 상기 단리된 분획 각각이 일반적으로, 전체 제 2 중합체 성분의 평균중량% 에틸렌 함량에서 20중량%(상대적 값) 이하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중량%(상대적 값) 이하의 차이를 갖는 조성(에틸렌 함량중량%)을 가질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ASTM D-1238(230℃에서 2.16 kg의 중량)에 따라 측정시 0.5dg/분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dg/분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dg/분 이상의 용융 유동 속도(MFR)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용융 유동 속도는 180dg/분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0dg/분 미만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8dg/분 내지 70dg/분,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dg/분 내지 65dg/분,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dg/분 내지 60dg/분의 MFR을 갖는다. 또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70dg/분 내지 200dg/분,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5dg/분 내지 180dg/분,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0dg/분 내지 150dg/분의 MFR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약 5 내지 약 5,000 kg/몰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0 내지 약 1,000 kg/몰의 Mw,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20 내지 약 500 kg/몰의 Mw,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50 내지 약 400 kg/몰의 Mw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는 약 2.5 내지 약 2,500 kg/몰의 수평균 분자량(Mn),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5 내지 약 500 kg/몰의 Mn,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0 내지 약 250 kg/몰의 Mn,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25 내지 약 200 kg/몰의 Mn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LCPE의 분자량 분포 지수(MWD=(Mw/Mn))는 약 1 내지 약 40,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 내지 약 5,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8 내지 약 5,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8 내지 약 3일 수 있다.
분자량(Mn, Mw) 및 분자량 분포(MWD)를 측정하는 기법은 미국 특허 제 4,540,753 호(코제위드 주(Cozewith, Ju) 및 베르스트레이트(Verstrate)) 및 여기에 인용된 참고문헌, 및 문헌[Macromolecules, 1988, volume 21, p 3360 (베르스트레이트 등) 및 여기에 인용된 문헌에서 찾을 수 있으며, 상기 문헌들을 미국 실시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한다. 예를 들면, 미분 굴절율 검출기가 구비된 워터스(Waters) 150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에 의해 분자량을 측정한 후 폴리스타이렌 표준물을 사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상기 LCPE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 공지의 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 제 6,525,157 호, 제 6,982,310 호, 제 6,992,158 호 제 6,992,159 호 및 제 6,992,160 호를 참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이후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직렬식 또는 병렬식 합성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HCPE 및 LCPE를 함께 제조하여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는,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이는 또한 고결정도 공중합체 또는 간단히 HCPE로도 지칭된다)는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즉, mer 단위), 에틸렌 또는 C4 내지 C20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단위, 및 임의적으로 다이엔(diene)으로부터 유도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α-올레핀 공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헥산, 4-메틸-1-펜텐 및/또는 1-옥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이엔 공단량체 단위는 5-에틸리덴-2-노보넨, 5-비닐-2-노보넨, 다이비닐 벤젠, 1,4-헥사다이엔, 5-메틸렌-2-노보넨, 1,6-옥타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3,7-다이메틸-1,6-옥타다이엔, 1,3-사이클로펜타다이엔, 1,4-사이클로헥사다이엔,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후술되는 실시양태는 상기 α-올레핀 공단량체로서 에틸렌을 참조하여 기술하나, 상기 실시양태는 다른 α-올레핀 공단량체와의 다른 저결정도 공중합체에도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에틸렌-유도된 단위를 2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중량%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에틸렌-유도된 단위를 7중량%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중량%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중량%는 프로필렌-유도된 및 α-올레핀 유도된 단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프로필렌-유도된 단위를 94중량% 이상,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5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유도된 단위를 98중량% 이하,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7중량% 이하,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6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중량%는 프로필렌-유도된 및 α-올레핀 유도된 단위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다이엔-유도된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HCPE는 다이엔-유도된 mer 단위를 총 중합체의 약 0.5중량% 내지 약 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상기 HCPE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시 넓은 용융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HCPE는 기본적인 피크 이외에 2차적인 용융 피크를 보일 수도 있다. 본원에서 언급하는 Tm은, 상기 열량계에 의해 할당된 기준선 대비 상기 샘플의 용융 범위내에서 최대로 열 흡수가 일어나는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이는 또한 전형적으로 상기 샘플의 용융 범위내에서의 가장 큰 열 흡수의 온도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65℃ 초과의 용융 전이 피크 또는 최대점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의 Tm(DSC에 의해 측정할 때)은 120℃미만이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10℃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0℃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5℃ 미만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DSC로 측정되는 Hf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1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5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3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5J/g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0J/g 이상인 융해 열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80J/g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5J/g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0J/g 미만의 Hf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정도는, 샘플의 융해 열을 100% 결정성 중합체의 융해 열(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189J/g으로 가정함)로 나눔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상기 HCPE는 13C NMR로 측정시 세 개의 프로필렌 단위로 된 3조 택틱성(triad tacticity)을 75% 이상, 80% 이상, 82% 이상, 85% 이상 또는 90% 이상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3조 택틱성 범위는 약 50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75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80 내지 약 99%,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내지 약 97%를 포함한다. 3조 택틱성은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236042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좁은 조성 분포(CD)를 갖는다. 상기 공중합체의 이 분자간 조성 분포는 헥산 또는 헵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열 분획화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 열 분획화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전형적으로, 상기 중합체의 거의 7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가 하나 또는 두 개의 인접한 가용성 분획으로서 단리되며, 상기 공중합체의 나머지는 그 직전 또는 직후의 분획으로 단리된다.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언급한 좁은 조성 분포를 갖기 위해서는, 상기 단리된 분획 각각이 일반적으로, 전체 제 2 중합체 성분의 평균중량% 에틸렌 함량 대비 20중량% 이하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중량% 이하의 차이를 갖는 조성(에틸렌 함량중량%)을 가질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ASTM D-1238(230℃에서 2.16 kg)에 따라 측정시 0.5dg/분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dg/분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dg/분 이상의 용융 유동 속도(MFR)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용융 유동 속도는 180dg/분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0dg/분 미만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8dg/분 내지 70dg/분,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dg/분 내지 65dg/분,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dg/분 내지 60dg/분의 MFR을 갖는다. 또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70dg/분 내지 200dg/분,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5dg/분 내지 180dg/분,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0dg/분 내지 150dg/분의 MFR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약 5 내지 약 5,000 kg/몰의 중량평균 분자량(Mw),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0 내지 약 1,000 kg/몰의 Mw,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20 내지 약 500 kg/몰의 Mw,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50 내지 약 400 kg/몰의 Mw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는 약 2.5 내지 약 2,500 kg/몰의 수평균 분자량(Mn),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5 내지 약 500 kg/몰의 Mn,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0 내지 약 250 kg/몰의 Mn,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25 내지 약 200 kg/몰의 Mn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HCPE의 분자량 분포 지수(MWD=(Mw/Mn))는 약 1 내지 약 40,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 내지 약 5,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8 내지 약 5,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8 내지 약 3일 수 있다.
상기 HCPE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 공지의 기법, 예를 들면 상기 LCPE에 대해 상술한 것들을 포함하는 기법들을 사용하고 에틸렌 함량에 대해 필요한 정도로 조정하여 당분야의 숙련가들의 능력 내에서 잘 제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직렬식 또는 병렬식 합성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HCPE 및 LCPE를 함께 제조하여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로도 칭해질 수 있는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는 프로필렌의 중합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주로 포함하는 중합체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의 단위의 98% 이상은 프로필렌의 중합으로부터 유도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이들 중합체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또한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 예컨대 1-부텐, 1-헥센, 1-옥텐, 2-메틸-1-프로펜,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5-메틸-1-헥센, 및 이들의 혼합물의 중합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더 고급 α-올레핀(상술한 바와 같음) 또는 C10-C20 다이올레핀과의 반응기 공중합체, 충격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120℃ 초과,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55℃ 초과,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60℃ 초과의 Tm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180℃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70℃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65℃ 미만의 Tm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DSC로 측정시 80J/g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0J/g 초과,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25J/g 초과,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40J/g 초과인 Hf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결정성 및 반-결정성(semi-crystalline)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이들 중합체는 DSC로 측정시, 40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5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5%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0중량% 이상의 결정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결정도는, 샘플의 융해 열을 100% 결정성 중합체의 융해 열(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189J/g으로 가정함)로 나눔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넓은 분자량 범위를 갖도록 합성하거나 넓은 MFR 범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ASTM D-1238(230℃에서 2.16 kg)에 따라 측정시 2dg/분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dg/분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6dg/분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dg/분 이상의 MFR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2,000dg/분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400dg/분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50dg/분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0dg/분 미만,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0dg/분 미만의 MFR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MFR은 ASTM D-1238(230℃에서 2.16 kg)에 따라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약 50 내지 약 2,000 kg/몰의 Mw,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00 내지 약 600 kg/몰의 Mw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또한, GPC와 폴리스타이렌 표준물로 측정시, 약 25 내지 약 1,000 kg/몰의 Mn,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50 내지 약 300 kg/몰의 Mw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고-결정도 아이소택칙 또는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약 0.85 내지 약 0.91 g/cc의 밀도를 가질 수 있으며, 주로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은 약 0.90 내지 약 0.91 g/cc의 밀도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쌍봉형 분자량 분포를 가진 아이소택칙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중합 기법, 예를 들면, 통상의 지글러-나타 촉매 또는 다른 단일-부위 유기금속 촉매(예: 메탈로센 또는 비-메탈로센)과 같은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는 슬러리, 기상 또는 용액 중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다른 첨가제
본 발명의 블렌드는 또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블렌드는 핵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블렌드 조성물 중의 총 중합체를 기준으로 50 내지 4000 ppm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핵형성제는 예를 들면 벤조산 나트륨 및 활석(talc)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핵형성제, 예컨대 지글러-나타 올레핀 생성물 또는 다른 고결정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핵형성제는 하이퍼폼(Hyperform)(예컨대 HPN-68) 및 밀라드(Millad) 첨가제(예건대 밀라드 3988)(미국 사우쓰캐롤라이나 스파탄버그 소재의 밀리켄 케미칼즈(Milliken Chemicals)) 및 유기 인산염(예컨대 NA-11 및 NA-21(미국 뉴저지주 알렌데일 소재의 암파인 케미칼즈(Amfine Chemicals))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양태에, 다양한 목적의 블렌드, 섬유 및 직물 제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제가 혼입될 수 있다. 다른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충전제 및 윤활 보조제가 포함된다. 1차 및 2차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장애 페놀, 장애 아민 및 아인산염이 포함된다. 분산제, 예컨대 아크로왁스(Acrowax) C와 같은 다른 첨가제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촉매 불활성화제, 예건대 스테아르산 칼슘,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산화 칼슘, 및/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산 중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유용한 윤활 보조제로는, 섬유의 중합체성 매트릭스(즉,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또는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감촉 개질제)와 비상용성(incompatible)이어서 그 섬유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화합물 또는 분자가 포함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윤활 보조제는 섬유의 표면(또는 그의 일부) 위에 단층을 형성한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유용한 윤활 보조제는 비교적 적은 분자량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표면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윤활 보조제의 유형으로는 문헌[Handbook of Antiblocking, Release and Slip Additives, George Wypych, Page 23]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지방산 아미드가 포함된다. 지방산 아미드의 예로는 베헨아미드, 에루카미드, N-(2-히드리에틸(hdriethyl))에루카미드, 라우르아미드, N,N'-에틸렌-비스-올레아미드, N,N'-에틸렌-비스-스테아르미드, 올레아미드, 올레일 팔미트아미드, 스테아릴 에루카미드, 탤로우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난연제, 화염지연제, 가소제, 가황 또는 경화제, 가황 또는 경화 촉진제, 경화 지연제, 가공 조제 등이 포함된다. 상술한 첨가제는 또한 독립적으로 첨가되거나 첨가제에 혼입되는 충전제 및/또는 강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성 향상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로는 항블로킹제 또는 윤활제가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소파라핀, 폴리알파올레핀, 폴리부텐 또는 이들 둘 이상의 혼합물을 가할 수 있다. 폴리알파올레핀으로는 WO 2004/014998에 기술된 것들, 특히 17페이지 19행에서 19페이지 25행에 기술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폴리알파올레핀은 약 0.5 내지 약 40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 내지 약 20중량%,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2 내지 약 10중량% 정도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사용량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즉, 저결정도 및 고결정도 엘라스토머 모두)를, 5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중량% 이상,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95중량%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0중량% 미만,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0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LCPE 및 HCPE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LCPE를, 70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75중량% 이상,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LCPE 및 HCPE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LCPE를, 98중량%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5중량% 미만,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0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LCPE 및 HCPE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HCPE를, 2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5중량% 이상,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LCPE 및 HCPE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HCPE를, 30중량%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5중량% 미만,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5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0중량% 이상,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95중량%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90중량% 미만,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80중량% 미만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의 섬유 및/또는 패브릭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조성물은 여러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HCPE, LCPE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도입하고, 성분들의 밀접한(intimate) 혼합물을 생성하는 임의의 절차에 의해 블렌딩할 수 있다. 예컨대, 이들은 텀블러, 정적 혼합기, 배치 혼합기, 압출기 또는 이의 조합에서 혼합될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실시양태에서, 혼합은 섬유를 가공하는데 이용되는 공정 방법의 일부로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용융 블렌딩을 위해 내부 혼합기가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성분은 브라벤더 플라스토그래프(Brabender Plastograph)에서 1 내지 20분동안 180℃ 내지 240℃에서 블렌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는 중합체의 플럭스 온도보다 높은 밴버리 내부 혼합기에서 (예를 들면 180℃에서) 약 5분간 블렌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쌍축 혼합 압출기, 저 점도의 용융 중합체 스트림을 혼합하기 위한 정적 혼합기, 충돌 혼합기 등과 같이 당 분야에 잘 공지된 것들을 포함하는 연속 혼합기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는 중합체의 점도를 더 높은 용융 유속에 맞추도록 용융물 중의 퍼옥사이드로 처리될 수 있다.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MFR의 이러한 감소는 "비스-브레이킹"(vis-breaking)으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블렌드에 추가 성분을 첨가 또는 도입하는 것은 초기 블렌드를 형성하는데 이용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추가 성분은 섬유 형성 공정의 일부로서 첨가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HCPE 및 LCPE를 먼저 도입하고, 그 후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수지를 이어서 HCPE 및 LCPE의 블렌드에 도입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HCPE 및 LCPE의 블렌드는 별개의 직렬식 또는 병렬식 중합 단계에서 제조된 LCPE 및 HCPE의 용액을 블렌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블렌딩된 용액을 탈용매화시키고, 그 후 블렌딩된 중합체를 고체 상태의 열가소성 중합체와 블렌딩시킬 수 있다(예: 용융 혼합).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LCPE를 제 1 반응기에서 제조할 수 있다. 제 1 반응기로부터의 LCPE 용액 함유 유출물을, HCPE 제조에 필수적인 촉매와 단량체가 접촉되는 제 2 반응기로 전달시켜, LCPE의 존재 하에 HCPE의 용액을 제조한다. 이를 직렬식 반응기 공정으로 일컫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LCPE 및 HCPE 모두는 용액 중합 반응기에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공정들로부터 수득된 중합체 성분들의 용액들을 조합시키는 것은 HCPE의 중합 동안 LCPE 및 HCPE의 밀접한 블렌딩을 제공한다. 그 후, 블렌딩된 중합체를 제 2 반응기로부터 회수하고, 통상의 공정 장비 및 기법을 이용하여 중합체 입자로 가공한다.
다르게는, HCPE는 제 1 반응기를 제 2 반응기와 직렬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 1 반응기로부터의 HCPE 용액 함유 유출물을, HCPE의 존재 하에 HCPE의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반응기로 전달시키고, 이어서 생성된 블렌딩된 중합체를 중합체 펠렛으로 가공한다.
병렬식 중합 공정에서, LCPE 및 HCPE는, 각각의 중합체의 용액을 함유하는 각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을 사용하여 병렬식 반응기에서 제조되며, 이 유출물들은, 유출물들을 블렌딩시켜 블렌딩된 중합체 성분들의 용액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 향하게 된다. 그 후 블렌딩된 중합체를 상기 용액으로부터 회수하고, 통상의 공정 장비 및 기법에 따라 중합체 입자로 가공한다.
제 1 중합 단계에서 HCPE가 제조되는 실시양태에서, HCPE에서의 낮은 공단량체 함량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공단량체가 제 2 중합 단계로 첨가되어 제 2 중합 단계에서 목적하는 LCPE를 제조할 수 있다.
병렬식 반응기 배열을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 HCPE는 둘 중 어느 하나의 반응기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반응기는 독립적 온도, 압력 및 공급물 제어를 가질 수 있어서 생성물 블렌드 성질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HCPE 및 LCPE의 펠렛을 각 용액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그 용액을 서로 블렌딩시킬 수 있다.
섬유 및 패브릭 형성
전술된 조성물로부터 부직 패브릭을 형성하는 것은 압출 후에 직조 또는 본딩에 의해 섬유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출 공정은 섬유의 기계적 또는 공기역학적 인발을 동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및 패브릭은 당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기법 및/또는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중 많은 것은 잘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펀본딩된 부직 패브릭은 독일 트로이스도르프 소재의 라이펜하우저 게엠베하 앤드 캄파니(Reifenhauser GmbH & Co.)에 의해 생성되는 스펀본딩된 부직 생산 라인에 의해 생산된다. 라인펜하우저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4,820,142호에 개시된 슬롯 인발 기법을 이용한다.
통상의 미세 데니어 섬유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섬유는 연속 필라멘트, 벌킹된(bulked) 연속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형성 기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체 용융물은 다이의 홀(스피너렛(spinneret))을 통해 압출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직경이 0.3mm 내지 0.8mm 일 수 있다. 중합체의 저 융점 점도는 사용되는 중합체의 고융점 온도(예를 들면 230℃ 내지 280℃), 및 고 용융 유속(예를 들면 15g/10분 내지 40g/10분)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비교적 큰 압출기에는 높은 아웃풋의 용융된 중합체를 약 8 내지 약 20개의 스피너렛의 뱅크(bank)로 분배하는 매니폴드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스핀헤드에는 스핀헤드를 통한 아웃풋을 조절하는 개별적인 기어 펌프; "브레이커 플레이트(breaker plate)"에 의해 지지되는 필터 팩; 및 헤드 내부의 스피너렛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피너렛 플레이트의 홀의 수는 얀 중의 필라멘트의 수를 결정하고, 서로 다른 얀 구축을 이용하여 상당히 다양하지만, 이는 전형적으로 50 내지 250개의 범위이다. 홀은 급냉 공기 유동의 우수한 분포를 지원하기 위해 원형, 고리 모양 또는 사각 패턴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연속 필라멘트
연속 필라멘트(CF) 얀은 40 데니어 내지 2,000 데니어(데니어 = 9000 미터 당 g의 수)의 범위일 수 있다. 필라멘트는, 더 큰 범위가 고려될 수도 있지만, 필라멘트당 1 내지 20 데니어(dpf) 범위일 수 있다. 방적 속도는 800m/분 내지 1500m/분(2500ft/분 내지 5000ft/분)으로 다양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것이다. 필라멘트는 3:1 이상(1단 또는 2단 인발)의 인발 비로 인발되고 패키지에 감긴다. 2단 인발은 더 높은 인발 비가 달성되도록 허용한다. 권취 속도는 2,000m/분 내지 3,500m/분(6,600ft/분 내지 11,500ft/분)이다. 900m/분(3000ft/분) 초과의 방적 속도는 더 가는 필라멘트를 갖는 최적의 방적능을 얻기 위해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수지, 예를 들면 5의 최소 MFR 및 예를 들면 2.8dg/분 미만의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수지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더 느린 방적 공정 또는 더 무거운 데니어 필라멘트에서는, 16-MFR 반응기 등급 제품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배향된 얀( Partially Oriental Yarn : POY )
부분적으로 배향된 얀(POY)은 (상기 언급된 연속 필라멘트로서) 고형 상태 인발 없이 섬유 방적으로부터 직접 생산되는 섬유이다. 섬유 중의 분자의 배향은 용융된 중합체가 스피너렛을 떠닌 직후에 용융 상태에서 수행된다. 일단 섬유가 고형화되면, 섬유 인발이 일어나지 않고, 섬유가 패키지에 권취된다. POY 얀(내내 고형 상태 배향으로 수행되고 더 높은 인장 강도 및 더 낮은 신율을 갖는 완전 배향된 얀 또는 FOY와는 대조적인)은 더 높은 신율 및 더 낮은 점성을 갖는 경향이 있다.
벌킹된 연속 필라멘트
벌킹된 연속 필라멘트 가공 방법은 2가지의 기본 유형, 1-단계 및 2-단계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2-단계 공정에서, 인발되지 않은 얀은 1,000 m/분(3,300ft/분) 미만, 일반적으로 약 750m/분에서 방적되어 패키지에 놓인다. 얀은 인발(일반적으로 2단계)되고 텍스쳐라이저라 불리는 기계상에서 '벌킹'된다. 권취 및 인발 속도는 벌킹 또는 텍스쳐라이징 장치에 의해 일반적으로 2500 m/분(8,200ft/분) 이하로 제한된다. 2단계 CF 공정에서와 같이, 2차 결정화는 신속한 인발 텍스쳐라이징을 요구한다. 통상의 벌킹된 연속 필라멘트 공정은 1단계 방적/인발/텍스트(SDT) 공정을 포함한다. 이 공정은 2단계 공정보다 더 우수한 경제성, 효율성 및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벌킹 장치가 인 라인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1 단계 CF 공정과 유사하다. 벌크 또는 텍스쳐는 얀 외관을 변화시킬 수 있고, 필라멘트와 구별시키고, 충분히 부드러운 굴곡 및 접힘을 부가하여 얀이 보다 더 풍성해지도록(더 벌크화되도록) 만든다.
스테이플 섬유
섬유 가공 공정은 다음과 같은 2가지 공정을 포함한다: 전형적 방적 및 콤팩트 방적. 전형적 방적은 전형적으로 i) 생산, 마무리 적용 및 권취한 후, ii) 인발, 2차적 마무리 용도, 권축화(crimping), 및 스테이플로의 절단의 2단계를 포함한다. 필라멘트는 예를 들면 용도에 따라 1.5dpf 내지 70dpf 초과의 범위일 수 있다. 스테이플 길이는 용도에 맞도록 7mm 정도로 짧을 수 있거나 200mm(0.25인치 내지 8인치)만큼 길 수 있다. 많은 용도에서, 섬유는 권축화된다. 권축화는 토(tow)를 한쌍의 닙 롤을 갖는 증기-가열된 스터퍼(stuffer)로 과다-공급함으로써 달성된다. 과다-공급은 토를 박스에서 접어서 필라멘트에 굴곡 또는 권축을 형성시킨다. 이들 굴곡은 박스에 주입된 증기에 의해 열-고정될 수 있다. 수지의 MW, MWD 및 아이소택틱 함량이 권축 안정성, 진폭 및 권축화 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용융 취입 패브릭
용융 취입 패브릭은 20 내지 0.1 마이크론 범위의 섬유 직경을 갖는 가는 필라멘트의 웹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융 취입 섬유의 섬유 직경은 1 내지 10 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1 내지 약 5 마이크론의 범위일 수 있다. 이들 가는 섬유 직경에 의해 형성된 부직 웹은 매우 작은 공극 크기를 갖고 따라서 탁월한 차단벽(barrier)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융 취입 공정에서, 압출기는 중합체를 용융시켜 계량 용융물 펌프로 운반한다. 용융물 펌프는 용융된 중합체를 특수 용융 취입 다이로 안정된 출력 속도에서 운반한다. 용융된 중합체가 다이를 나가면, 이는 고온, 고속 공기(공정 공기 또는 1차 공기라 불린다)와 접촉한다. 이 공기는 빠르게 흘러서, 급냉 공기와 조합되어 필라멘트를 고형화시킨다. 전체 섬유 형성 공정은 전형적으로 다이의 몇 인치 내에서 일어난다. 양질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는데 있어 다이 디자인이 중요할 수 있다. 패브릭은 필라멘트를 스피너렛으로부터 전형적으로 200mm 내지 400mm(8인치 내지 15인치)의 다공 형성 벨트 상으로 직접 인발함으로써 형성된다. 더 무거운 기준 중량, 더 높은 로프트 제품의 경우 더 긴 형성 거리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더 높은 공정 온도에서 20g/10분과 같이 낮은 수지 MFR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용융 취입은 가능한 가장 가는 섬유를 수득하기 위해 200g/10 분 초과와 같은 매우 높은 용융 유속 수지를 필요로 한다.
스펀본딩된 패브릭
스펀본딩 또는 스펀본딩된 섬유는, 예를 들면 수천 개의 홀을 갖는 큰 스피너렛으로부터 용융된 중합체를 압출시키거나 또는 40개 정도의 적은 홀을 함유하는 더 적은 스피너렛의 뱅크를 이용하여 생성된 섬유를 포함한다. 스피너렛을 출발한 후, 용융된 섬유는 횡-유동 공기 급냉 시스템에 의해 급냉된 후, 스피너렛으로부터 당겨지고, 고속 공기에 의해 가늘어진다(인발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인발되는 2가지 방법이 있고, 이들 둘 모두 벤투리(venturi) 효과를 이용한다. 첫번째는 흡인 슬롯을 이용하여 필라멘트를 인발하는 것으로(슬롯 인발), 이는 스피너렛의 폭 또는 기계의 폭을 움직일 수 있다. 두번째 방법은 노즐 또는 흡인기 건을 통해 필라멘트를 인발하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형성된 필라멘트를 스크린("와이어") 또는 다공 형성 벨트 상에서 수집하여 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웹을 압출 롤을 통과시킨 후 가열된 캘린더 롤 사이를 통과시키고, 여기서, 한 롤 상의 상승된 랜드(land)가 예를 들면 그 면적의 10% 내지 40%를 커버하는 지점에서 웹을 본딩시켜 부직 패브릭을 형성시킨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대류 또는 방사성 열을 이용한 섬유의 용접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섬유 용접은 하이드로잉탱글링(hydro entangling) 또는 니들 펀치(needle punch) 방법을 이용한 마찰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연속 필라멘트로 섬유를 형성하거나, 섬유로부터 부직 물질을 가공한 후에 어닐링이 수행될 수 있다. 어닐링은 부분적으로 연신된 섬유에서 내부 응력을 경감시키고 섬유에서 블렌드의 탄성 회복 성질을 회복시킬 수 있다. 어닐링은 결정 구조의 내부 조직화 및 비정질 및 반결정성 상의 상대적인 배열에 상당한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탄성의 회복을 이끌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온보다 40℃ 높은 온도(그러나, 블렌드의 결정 융점보다는 약간 낮은)에서 섬유를 어닐링하는 것이 섬유의 탄성 회복에 적절할 수 있다.
섬유의 가열 어닐링은, 실온 내지 160℃, 또는 다르게는 최대 130℃의 온도에서 몇초 내지 1시간 미만의 기간동안 섬유(또는 섬유로부터 제조된 패브릭)를 유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인 어닐링 기간은 100℃에서 1 내지 5분이다. 어닐링 시간과 온도는 이용되는 조성물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어닐링 온도는 60℃ 내지 130℃ 범위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온도는 약 10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면 종래의 연속 섬유 방적에서, 어닐링은 종래의 어닐링 기법을 적용하지 않고 섬유를 가열된 롤(고뎃(godet))를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섬유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어닐링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낮은 섬유 인장 하에서 수행되어 섬유의 수축을 허용할 수 있다. 부직 공정에서, 웹은 일반적으로 캘린더를 통과하여 웹을 포인트 본딩(point bonding)시킨다(강화시킨다). 강화되지 않은 부직 웹을 비교적 고온에서 가열된 캘린더를 통과시키는 것은 섬유를 어닐링하기에 충분하고 부직 웹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섬유 어닐링과 유사하게, 부직 웹의 탄성이 증가되도록 기계 방향(MD) 및 횡 방향(CD) 둘 모두로 웹을 수축되도록 낮은 장력하에서 부직 웹이 완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딩 캘린더 롤 온도는 100℃ 내지 130℃ 범위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온도는 약 100℃이다. 어닐링 온도는 임의의 특정한 블렌드를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전술된 탄성 부직 패브릭은 다중-빔 스펀용융 공정에서 복합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제조하는 데에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산업적 스펀용융 공정에서는 스펀본드(S) 및 용융취입 빔(M)의 조합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라미네이트 구조체에서 일부 통상적 구성은 SS, SSS, SSS, SMS, SMMS, SSMMS 등이다. 스펀본드 및 용융취입 빔은 이-성분 능력(bi-component capability)을 또한 가지므로, 2종의 상이한 중합체로부터의 섬유들이 코어-쉬스(core-sheath) 유형 구성 또는 사이드-바이-사이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코어 쉬스 배열에서, 코어는 탄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고, 쉬스는 결정성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이드-바이-사이드 구성에서, 두 중합체로부터의 섬유는 표면에 노출된다.
이런 구조체에서 탄성 부직 패브릭의 사용의 하나의 예가 SMMS 공정에 있으며, 이때 외부 S 기재는 내부에 탄성 부직을 가지며 쉬스 층으로서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폴리올레핀을 갖는 이-성분 웹일 수 있다. M 층은 예컨대 특수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이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결정성 폴리올레핀 모두는 개별적으로 저분자량 및 고분자량 수지의 블렌드일 수 있다. 다른 예는 SSMMS 구조로서, 이때 외부 S 기재는 이-성분 스트레치 라미네이트(예컨대 PE 쉬스/PP 코어)일 수 있고, 내부 S는 탄성 부직 웹일 수 있고, 용융취입(M) 층은 하나 이상의 결정성 폴리올레핀(PP, PE),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S 층은 탄성 부직 코어 및 폴리올레핀 쉬스를 갖는 이-성분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직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당한 첨가제(예컨대 불투명성을 개선하기 위한 이산화 티탄)로 추가로 개질될 수 있다.
산업적 적용가능성
본 발명의 섬유 및 부직 패브릭은 여러 용도에서 이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이들은 유리하게는 기저귀 및/또는 유사한 개인 위생 제품, 예컨대 기저귀 탭, 측부 패널, 다리 커프(leg cuff), 상부 시트, 백(back) 시트, 테이프, 여성 위생 제품, 수영복, 유아 풀업 바지(pull up pants), 요실금 의류 구성품, 및 밴드(bandage)에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탄성 고정 밴드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 이들 제품의 동적 또는 신장가능한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섬유 및 부직 패브릭은 다른 보호 의류 또는 커버(cover), 예컨대 의료용 가운 또는 앞치마, 외과용 드레이프, 멸균 랩, 와이프(wipe), 베딩(bedding) 또는 유사한 1회용 의류 및 커버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적용분야는 또한 보호 커버, 가정용 가구, 예컨대 베딩, 카페트 미끄럼방지 패딩, 벽 커버링, 마루 커버링, 윈도 쉐이드(window shade), 스트림(scrim) 및 종래에 전통적 패브릭이 사용되어 온 임의의 기타 분야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섬유 및 패브릭은 여과 매질(기체 및 액체)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용도는 부직 패브릭이 정전기 부하되어 일렉트릿(electret)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화된 수지에서의 이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 및 패브릭은 임의의 구조체 및 기타 최종-용도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본원에 전체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출원 제11/698,359호; 제11/655,399호; 및 제11/698,630호에 기재된 임의의 첨가제 및 다른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는 실시예에 선행하는 하기에 후술된 것들을 포함한다: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7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7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조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 패브릭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8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6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15중량% 이상 20중량% 미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3중량% 이상 6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8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100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60 내지 약 9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150 내지 약 3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부직 패브릭이 기계 교차(cross-machine) 방향으로 80% 이상의 신율을 갖는, 부직 패브릭.
65℃ 미만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20℃ 미만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조합시킴에 의해 제조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 패브릭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8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약 100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60 내지 약 9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150 내지 약 3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상기 부직 패브릭의 실시양태로서, 상기 부직 패브릭이 기계 교차 방향으로 80% 이상의 신율을 갖는, 부직 패브릭.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섬유로 압출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상기 섬유를 직조 및 본딩(bon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이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용액과 조합시켜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블렌딩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와 조합시켜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상기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비스-브레이킹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7중량% 이상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7% 미만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 제조방법.
본 발명의 실시를 증명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가 준비 및 시험되었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청구범위는 본 발명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것이고,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임의의 변형도 또한 본 발명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실시예]
LCPE 및 HCPE의 블렌드를,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병렬식 용액 중합 공정으로 중합된 LCPE 및 HCPE의 용액을 블렌딩시킴에 의해 제조하였다. 각각의 LCPE 및 HCPE의 에틸렌 함량은 표 I에 제공된다.
[표 I]
Figure pct00001

4일간의 어닐링 후, PE1은, 전술된 DSC 절차를 이용하여 48℃에서 94℃로의 용융 온도(Tm) 전이 및 12J/g의 융해 열(Hf)을 갖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PE1은, 20dg/분의 MFR 값(ASTM 1238, 230℃, 2.16 Kg)과 2.3의 MWD(LALLS로 보정된 GPC에 의함), 138,000 g/몰의 Mw 및 64,000 g/몰의 Mn을 갖는다.
하기 샘들에서, 각 블렌드의 펠렛을 다양한 양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펠렛으로 블렌딩시켰다. 다르게는, 각각의 펠렛화된 블렌드를,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루퍼록스(Luperox) 101(아르케마 인코포레이티드)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유기 다이알킬 퍼옥사이드(2,5-다이메틸-2,5-다이(t-부틸퍼옥시)헥산)와 블렌딩시켜 목적하는 MFR로 상기 블렌드를 비스-브레이킹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PP3155(엑손모빌)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PP1은 166℃의 Tm, 98J/g의 Hf, 36dg/분의 MFR 및 3.0 미만의 MWD를 갖는다. PP2는 PP3505(엑손모빌)로서 상업적으로 입수되었고, 약 400의 MFR을 가졌다. PP3는, PP1으로 출발하고, 그것을 약 800dg/분의 MFR로 비스-브레이킹시킴에 의해 제조되었다. PP4는 PP3746G(엑손모빌)로서 상업적으로 입수되었고, 1500dg/분의 목표 MFR에 대해 퍼옥사이드로 코팅되었다.
수중 펠렛화기가 구비된, 24/1의 L:D 비를 갖는 일축 데이비스(Davis) 압출기에서 블렌딩을 수행하였다. 폴리프로필렌 블렌드의 전형적 온도 프로파일, 즉 220℃ 내지 250℃를, 50 lbs/시간(22.7 kg/시간)의 생성 속도로 유지하였다. 생성 블렌드의 조성을 표 II에 도시한다.
[표 II]
Figure pct00002

샘플 A1 내지 A6
스펀본드 패브릭 시험을, 테네시주 크녹스빌(Knoxville) 소재의 테네시 대학의 TANDEC 스핀본딩 설비에 위치된 레이코필(Reicofil)TM 라인(독일 소재의 라이펜하우저 캄파니 제조)에서 수행하였다. 일축 압출기 크기는 70 mm이고, 30:1의 L/D(길이:직경) 비를 가졌다. 스피너렛(spinneret)은 각각 0.6 mm의 직경을 가진 4036개의 다이 플레이트 홀(hole)을 가졌다. 연속 섬유를 엔드레스(endless) 벨트로 압출하였고, 그 후 가열된 캘린더(calendar) 롤들(하나는 평면형이고, 다른 것은 상승된 포인트(raised point)의 패턴을 가짐)을 사용하여 서로 본딩시켰다. 실제 본딩 면적은 총 웹 표면적의 약 14.5%로 나타났다. 수지는, 12℃ 내지 13℃에서 공기를 급냉 공기와 함께 다이에서 215℃의 온도에서 흘렀다. 캘린더 롤을 최소 닙 압력으로 82℃ 내지 91℃에서 유지시켰다. 하기 표에서 사용된, 약어 GHM은 1분 당 홀 당 중합체의 그램을 의미하고, GSM은 1 평방 피트 당 그램(g/ft2)을 의미한다. 패브릭 '형성(formation)'(패브릭의 섬유 분포의 균일도)은 모든 블렌드 실시예 패브릭에서 만족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패브릭 형성에 대한 공정 조건은 표 III에 개시되어 있다.
[표 III]
Figure pct00003

샘플 A1 내지 A6으로부터 수득된 패브릭의 인장 특성이 표 IV에 도시되어 있다. 측정은 기계 방향(MD) 및 기계 교차 방향(CD)(또한 가로(transverse) 방향으로 공지됨) 모두에서 실시되었고, 섬유 또는 부직 샘플(패브릭 포함)의 피크 힘(force)(피크 하중(load)) 및 피크 신율을, 달리 언급이 없으면 ASTM D-5035-95(2003)에 따라 100 mm/분의 크로스헤드 속도에서 200 mm 게이지 길이를 사용하여 50 mm(2") 폭 및 250 mm 길이의 시편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편에서 5회의 MD 및 8회의 TD 측정 대신 6회의 MD 및 6회의 TD 측정을 수행하였다.
[표 IV]
Figure pct00004

샘플 A1 내지 A4로부터 수득된 패브릭의 탄성 특성이 표 V에 기재되어 있다. 샘플의 이력(hysteresis)을 5.08 cm 그립을 갖는 인스트론(Instron) 장치에서 측정하였다. 7.6 cm의 게이지 길이 및 50.8 cm/분의 크로스헤드 속도와 함께 61 cm x 213 cm의 크기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3-사이클 시험을 사이클 사이에 패브릭을 재위치시킴(repositioning) 없이 100% 신율로 수행하였다. 정의: 1) 50% 하중 손실 = 100 x (하중-상승(load-up) - 하중-하강(load-down)/하중 상승); 2) 영구 신율(permanent set) = 하강 사이클에서 하중이 0이 될 때의 신율(%).
[표 V]
Figure pct00005

샘플 A7 내지 A9
샘플 A1 내지 A6에서 제공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추가 섬유를 샘플 A7 내지 A9로부터 제조하였다. 수행 6 내지 12 각각에서, 30중량% 에루카미드(Erucamide) 및 70중량%의 비스타맥스(Vistamaxx)TM 2125(엑손모빌)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2중량%를 첨가함에 의해 조성을 변화시켰다. 사용된 공정 조건이 표 VI에 개시되어 있다.
[표 VI]
Figure pct00006

샘플 A7 내지 A9로부터 수득한 인장 특성이 표 VII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샘플 A1 내지 A6에 대해 개시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수득되었다.
[표 VII]
Figure pct00007

샘플 A7 내지 A9로부터 수득한 탄성 특성이 표 VIII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샘플 A1 내지 A6에 대해 개시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수득되었다.
[표 VIII]
Figure pct00008

샘플 A10 및 A11
캘린더 롤이 130 내지 132℃로 유지되고, 캘린더 닙 압력이 25 GSM 패브릭에서 선형 인치 당 282 내지 288 파운드 및 50 GSM 패브릭에서 선형 인치 당 530 내지 550 파운드로 설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A1 내지 A6에서 제공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추가 섬유를 샘플 A10 및 A11로부터 제조하였다. 각 수행에서 사용된 공정 조건이 표 IX에 개시되어 있다.
[표 IX]
Figure pct00009

샘플 A10 및 A11로부터 수득된 패브릭의 인장 특성이 표 X에 도시되어 있다. 피크 힘(force)(피크 하중(load)) 및 피크 신율을, 4개의 변형을 가한 ASTM D-5035-95(2003)에 따라 측정하였다: (1) 조(jaw) 폭은 3인치 대신에 5인치이고, (2) 시험 속도는 12인치/분 대신 5인치/분이고, (3) 금속 아크-형 상부 라인 그립 및 평면형 하부 고무 그립을 평면형 금속 상부 및 평면형 금속 하부 그립 대신에 사용하고, (4) 각 시편에서 6회의 MD 및 6회의 TD 측정 대신 5회의 MD 및 8회의 TD 측정을 수행하였다. 트윙-알버트 핸들-O-미터(10 mm 슬롯 폭)에서 핸드(hand)를 측정하였다.
[표 X]
Figure pct00010

샘플 A12 내지 A14
샘플 A1 내지 A6에서 제공된 것과 유사한 절차를 이용하여, 추가 섬유를 샘플 A12 내지 A14로부터 제조하였다. 용융물 및 공기 온도를 249℃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섬유 형성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흡입 블로워(suction blower)를 모든 수행에서 2000 rpm으로 설정하고, 다이에서의 셋백(setback) 및 갭 설정은 1.2 mm이었다. 또한, 샘플 A7 내지 A9에서의 수행 6 내지 12와 유사한 방식으로, 30중량% 에루카미드 및 70중량%의 비스타맥스TM 2125(엑손모빌)를 포함하는 마스터배치 2중량%를 첨가함에 의해 조성을 변화시켰다. 각 수행에서 사용된 공정 조건이 표 XI에 개시되어 있다. DCD는 다이에서 컬렉터의 거리(die-to-collector distance)를 의미한다.
[표 XI]
Figure pct00011

샘플 A12 내지 A14로부터 수득된 패브릭의 인장 특성은 표 XII에 기재되어 있다.
[표 XII]
Figure pct00012

본 발명의 범주 및 진의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및 대안은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 실시양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1)

  1. (a)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7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b)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알파-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7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c)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
    를 조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 패브릭(non-woven fabric)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 부직 패브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8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6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15중량% 이상 20중량% 미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 3중량% 이상 6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8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100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vis-broken), 약 60 내지 약 9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150 내지 약 3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패브릭이 기계 교차(cross-machine) 방향으로 80% 이상의 신율을 갖는, 부직 패브릭.
  12. 65℃ 미만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120℃ 미만의 피크 용융 온도를 갖는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를 조합시킴에 의해 제조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직 패브릭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 부직 패브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10 내지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10 내지 약 6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8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3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20 내지 약 4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약 80 내지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고결정도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80 내지 약 1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약 약 100 내지 약 1,50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60 내지 약 9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비스-브레이킹되고, 약 150 내지 약 350dg/분의 MFR(ASTM D-1238, 230℃에서 2.16 kg)을 갖는, 부직 패브릭.
  20.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패브릭이 기계 교차 방향으로 80% 이상의 신율을 갖는, 부직 패브릭.
  21.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섬유로 압출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상기 섬유를 직조 및 본딩(bon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 패브릭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이,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용액과 조합시켜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블렌딩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의 블렌드를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와 조합시켜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상기 프로필렌-풍부 조성물을 비스-브레이킹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제 1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7중량% 이상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7% 미만의 에틸렌 또는 비-프로필렌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된 mer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가 각각 DSC로 측정시 80J/g 미만의 융해 열을 갖고, 상기 프로필렌계 열가소성 중합체가 DSC로 측정시 80J/g 이상의 융해 열을 갖는, 제조방법.
KR1020107012576A 2007-11-09 2008-10-17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 KR101184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37,882 US7863206B2 (en) 2007-11-09 2007-11-09 Fibers and non-wovens prepared with propylene-based elastomers
US11/937,882 2007-11-09
PCT/US2008/080280 WO2009064583A2 (en) 2007-11-09 2008-10-17 Fibers and non-wovens prepared with propylene-based elastom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625A true KR20100080625A (ko) 2010-07-09
KR101184104B1 KR101184104B1 (ko) 2012-09-18

Family

ID=4026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576A KR101184104B1 (ko) 2007-11-09 2008-10-17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63206B2 (ko)
EP (1) EP2207849B1 (ko)
JP (1) JP5520227B2 (ko)
KR (1) KR101184104B1 (ko)
CN (1) CN101910288B (ko)
DK (1) DK2207849T3 (ko)
TW (1) TWI441863B (ko)
WO (1) WO200906458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14A (ko) 2015-09-24 2017-04-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운동성이 확보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4129B2 (en) 2008-11-14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xtensible nonwoven facing layer for elastic multilayer fabrics
US10161063B2 (en) 2008-09-30 2018-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based elastic meltblown fabrics
US9498932B2 (en) 2008-09-30 2016-11-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ed meltblown composi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9168718B2 (en) 2009-04-21 2015-10-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 resistant nonwovens
US8710148B2 (en) 2011-12-02 2014-04-2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mer compositions and nonwoven compositions prepared therefrom
US8664336B2 (en) * 2008-12-29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forming polymer blends
JP5487217B2 (ja) * 2008-12-29 2014-05-07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ポリマーブレンドの製造方法
CN102300883B (zh) * 2009-01-29 2014-08-20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聚丙烯非织造纤维和织物及其制造方法
CN102333644B (zh) 2009-02-27 2015-07-2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多层非织造原位层压体及其制备方法
KR20110027973A (ko) * 2009-09-11 2011-03-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8668975B2 (en) 2009-11-24 2014-03-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abric with discret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13515871A (ja) * 2009-12-23 2013-05-09 インビ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抗粘着添加剤を含む弾性繊維
JP5948537B2 (ja) * 2010-08-30 2016-07-06 旭化成株式会社 柔軟性のある長繊維不織布
US20120123374A1 (en) 2010-11-09 2012-05-17 Richeson Galen C Meltblown Nonwov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8496088B2 (en) 2011-11-09 2013-07-30 Milliken & Company Acoustic composite
US10059081B2 (en) * 2011-12-22 2018-08-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nonwoven materials prepared therefrom
JP6012190B2 (ja) * 2012-02-07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柔軟性に優れる長繊維不織布
KR20130116437A (ko) * 2012-03-21 2013-10-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재활용성이 우수한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660788A (zh) * 2012-05-24 2012-09-12 苏立平 热塑性弹性纤维的生产方法
US9186608B2 (en) 2012-09-26 2015-11-17 Milliken & Company Process for forming a high efficiency nanofiber filter
JP6169790B2 (ja) 2013-06-04 2017-07-26 エクソンモービル ケミカル パテ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製造される不織組成物
CN105308226B (zh) 2013-06-18 2018-01-26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纤维和由其制备的非织造材料
CN105308225B (zh) 2013-06-18 2019-01-01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纤维及由其制备的无纺材料
WO2016196251A1 (en) * 2015-05-29 2016-12-08 Avintiv Specialty Materials Inc. Alcohol repellent treated nonwoven
WO2016192097A1 (en) 2015-06-05 2016-12-0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Spunbond fabrics comprising propylene-based elastomer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US10669414B2 (en) * 2016-03-10 2020-06-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based elastomers for roof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US10844529B2 (en) 2016-05-02 2020-11-24 Exxonmobil Chemicals Patents Inc. Spunbond fabrics comprising propylene-based elastom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9477266B (zh) * 2016-07-22 2022-07-12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聚丙烯非织造纤维、织物及其制造方法
WO2018017169A1 (en) * 2016-07-22 2018-01-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nonwoven fibers, fabri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N107424046A (zh) * 2017-06-29 2017-12-01 深圳市百途鸿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计算的跨境电商多平台销售系统
CN112805418B (zh) * 2018-08-30 2023-06-27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双组分聚合物纤维
WO2020060746A1 (en) * 2018-09-17 2020-03-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Nonwoven compositions containing propylene-based elastomers and propylene polymers
WO2020101883A1 (en) * 2018-11-16 2020-05-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alphaolefin modified polymer blends for fibres and nonwovens
US20200208315A1 (en) 2018-12-27 2020-07-0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ylene-Based Spunbond Fabrics With Faster Crystallization Ti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3300A (en) 1988-01-04 1991-06-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olefin alloy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T1264840B1 (it) * 1993-06-17 1996-10-17 Himont Inc Fibre adatte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non tessuti con migliorate caratteristiche di tenacita' e sofficita'
US5820981A (en) * 1996-04-02 1998-10-13 Montell North America Inc. Radiation visbroken polypropylene and fibers made therefrom
US6235664B1 (en) 1997-03-04 2001-05-22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copolymer alloys for soft nonwoven fabrics
US6635715B1 (en) 1997-08-12 2003-10-21 Sudhin Datta Thermoplastic polymer blends of isotactic polypropylene and alpha-olefin/propylene copolymers
EP1098934A1 (en) 1998-07-01 2001-05-16 Exxon Chemical Patents Inc. Elastic blends comprising crystalline polymer and crystallizable polymers of propylene
DE60040697D1 (de) 1999-05-13 2008-12-11 Exxonmobil Chem Patents Inc Elastische Fasern und daraus hergestellte Artikel, die kristalline und kristallisierbare Propylenpolymere enthalten
JP5525680B2 (ja) 2003-11-14 2014-06-18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プロピレン−ベース・エラストマー、その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73162A1 (en) * 2004-04-30 2007-07-26 Samuel Ethiopia Nonwoven fabric and fibers
US8101534B2 (en) * 2007-11-09 2012-01-2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non-wovens prepared with propylene-based elastom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14A (ko) 2015-09-24 2017-04-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운동성이 확보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7849A2 (en) 2010-07-21
JP5520227B2 (ja) 2014-06-11
DK2207849T3 (da) 2014-03-31
CN101910288A (zh) 2010-12-08
EP2207849B1 (en) 2014-01-08
CN101910288B (zh) 2013-01-09
TW200948883A (en) 2009-12-01
TWI441863B (zh) 2014-06-21
WO2009064583A3 (en) 2009-07-02
WO2009064583A2 (en) 2009-05-22
JP2011504551A (ja) 2011-02-10
KR101184104B1 (ko) 2012-09-18
US7863206B2 (en) 2011-01-04
US20090124154A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104B1 (ko)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
US8101534B2 (en) Fibers and non-wovens prepared with propylene-based elastomers
KR101158170B1 (ko) 프로필렌계 탄성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및 부직물
KR100823775B1 (ko) 폴리올레핀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EP1833910B1 (en) Polymer blends and nonwoven articles therefrom
DK2925920T3 (en)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US7319122B2 (en) Polypropylene resin suitable for fibers and nonwovens
US20050130544A1 (en) Elastic nonwoven fabrics made from blends of polyolefin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20090053959A1 (en) Soft and Elastic Nonwov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102001758B1 (ko)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펀본드 패브릭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56284B1 (ko) 폴리올레핀 블렌드로부터의 스펀본드 섬유 및 패브릭
WO2020139492A1 (en) Propylene-based spunbond fabrics with faster crystallization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