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434A -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434A
KR20100080434A KR1020090132906A KR20090132906A KR20100080434A KR 20100080434 A KR20100080434 A KR 20100080434A KR 1020090132906 A KR1020090132906 A KR 1020090132906A KR 20090132906 A KR20090132906 A KR 20090132906A KR 20100080434 A KR20100080434 A KR 2010008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unit
opening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471B1 (ko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주)알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엠티 filed Critical (주)알엠티
Publication of KR2010008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7Source of pressure producing the clutc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action within a circuit; Means for initiating command action in power assisted devices
    • F16D2048/0254Double actuation, i.e. two actuation means can produce independently an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2Mounting 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차량을 구조변경하지 않고 종래의 부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라인에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실수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여도 상기 클러치 페달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아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132906
몸체, 밸브부, 작동부, 감지센서, 실린더부, 피스톤실린더, 제어부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A CLUTCH CONTROL SYSTEM IN A CAR}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을 구조변경하지 않고 종래의 부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라인에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실수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여도 상기 클러치 페달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아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Clutch)는 동심축 위에 있는 구동축에서 피동축으로 기계적접촉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갖춘 기계요소를 말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클러치는 기관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는 기관의 회전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능과 기관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흐름을 필요할 때마다 일시 차단하는 동력차단기능을 수행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진동이 없는 발진을 가능하게 하며, 기관과 동력전달장치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플라이휠과 함께 기관의 회전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 는 클러치 페달(1)과; 상기 클러치 페달(1)의 힘을 전달시키는 마스터 실린더(3)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3)와 연결되어 공압을 공급시키는 공기펌프(5)와; 상기 공기펌프(5)에서 공급된 공압을 받아 작동되는 피스톤로드(7a)를 가진 부스터실린더(7)와; 상기 부스터실린더(7)에서 제공된 공압으로 클러치(11)를 작동시키는 릴리즈실린더(9)와; 힌지고정되어 상기 릴리즈 실린더(9)와 상기 클러치(11)를 연결시키는 시프트레버(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릴리즈실린더(9)의 푸시로드(9a)는 스프링(9b)에 의해 복귀력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는 운전자가 상기 클러치 페달(1)을 밟으면, 그 힘이 상기 마스터실린더(3)의 피스톤로드(3a)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펌프(5)에서 공급되고 있는 공압이 공압 유도부(51)를 거쳐 상기 부스터 실린더(7)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압은 상기 부스터실린더(7)의 피스톤로드(7a)를 이동시켜 상기 릴리즈실린더(9)의 푸시로드(9a)를 이동시키며, 상기 푸시로드(9a)의 이동에 의해 상기 시프트레버(13)가 상기 클러치(11)의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의 구동판에서 분리되어 휠로의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클러치는 장시간 정체와 서행이 반복되는 구간이나 시내 주행시 상기 클러치페달을 수없이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피로도가 가중될 뿐만 아니라 무릎과 허리 등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러치 페달을 뗄때 반클러치 구간에서는 발동작을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아야 하 는데, 이때 운전자가 상기 클러치페달을 밟고 있는 발을 빨리 떼게 되면 자동차가 덜컹거리거나 엔진의 시동이 꺼지게 되고, 반면에 발을 늦게 떼게 되면 자동차에 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차량의 운전제어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장치를 자동차에 장착시 자동차에 구비된 부스터실린더를 개조한 후 밸브를 연결관을 이용하여 상기 부스터실린더에 연결해야하고, 상기 밸브와 연결설치된 동작레버를 상기 부스터실린더에 연결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작업시 작업자의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되고, 작업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차량을 구조변경하지 않고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특히 차량을 구조변경하지 않고 종래의 부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라인에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실수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여도 상기 클러치 페달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아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스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클러치를 제어하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조절하여 배기시키는 개폐레버가 구비된 밸브부와; 상기 밸브부의 개폐레버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개폐레버의 작동에 따른 상기 밸브부의 개폐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부로부터 배기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밸브부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부와; 상기 부스터 실린더에 연결된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가 상기 밸브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부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라인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피스톤실린더와;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부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압원이 연결되는 유입공과, 상기 실린더부와 연결되고 유로에 의해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는 연결공과,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배기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부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입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배기공을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부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밸브와; 상기 작동부에 의해 상기 유입밸브와 배기밸브를 개폐시키는 개폐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밸브부의 개폐레버의 전측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작동부가 상기 밸브부의 개폐레버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배기밸브를 개방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존 수동변속기를 사용하여 변속기 장착비용 및 연료비용을 절감하면서 자동 변속기와 같이 클러치 페달을 일일이 밟지 않아도 되는 반자동변속기를 구연할 수 있고, 특히, 차량을 구조변경하지 않고 종래의 부스터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라인에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실수로 클러치 페달을 조작하여도 상기 클러치 페달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아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의 전후이동에 따라 유압라인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피스 톤실린더로 인해 클러치 페달의 단속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작동부가 상기 밸브부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개폐레버의 전측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상기 배기밸브를 개방시켜 실린더부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실린더부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밸브부(30), 작동부(50), 감지센서(70), 실린더부(90), 피스톤실린더(1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후술할 상기 실린더부(90)와 후술할 피스톤실린 더(100)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후측면에는 상기 실린더부(90)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10)의 전측면은 상기 피스톤실린더(100)가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부(30)는 상기 몸체(10)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조절하여 배기시키는 개폐레버(38)가 구비된다.
도 3은 도 2의 밸브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밸브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32), 유입밸브(34), 배기밸브(36) 및 개폐레버(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 등의 유압원(도 2의 2)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320)과; 상기 실린더부(90)와 연결되고, 유로(321)에 의해 상기 유입공(320)과 연통되는 연결공(322)과; 상기 유로(321)와 연통되는 배기공(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공(320)과 연결공(322)은 상기 하우징(32)의 일측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321)는 상기 하우징(32)의 내부 중심부에 수평형성수 있으며, 상기 배기공(323)은 상기 하우징(32)의 후측면 내부 상측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원(2)과 상기 유입공(32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연결호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7)의 양단부가 각각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7)를 통해 상기 유입공(320)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 전측에는 상기 유로(321)와 연통되고, 상부가 개방된 제 1수직공(321a)과; 상기 제 1수직공(321a)과 연통되고, 하부가 확개된 제 1압력실(32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2)의 내부 후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제 2수직공(321c)과; 상기 제 2수직공(321c)과 연통되고, 하부가 확개된 제 2압력실(321d)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수직공(321c)은 상기 배기공(323)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압력실(321d)은 상기 유로(321) 및 상기 연결공(3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입밸브(34)는 상기 하우징(32)의 내부 전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2)의 유로(321)를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부(90)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34)는 상기 제 1밸브체(341a)와 제 1누름봉(34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밸브체(341a)는 상기 제 1압력실(321b)에 스프링(도 3의 341c)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제 1압력실(321b)의 상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 1수직공(321a)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 1누름봉(341b)은 하단부가 상기 제 1밸브체(341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1수직공(321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작동부(5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몸체(10)내에서 밸브부(30)가 전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몸체(10)내에서 밸브부(30)가 후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 1누름봉(341b)의 상단부가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눌러질 경우 상기 제 1밸브체(341a)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압원(2)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유입공(320) → 제 1압력실(321b) → 제 1수직공(321a) → 유로(321) → 제 2압력실(321d) → 연결공(322)을 순차적으로 통과(도 4의 실선화살표 참조.)한 후,
상기 연결공(322)과 상기 실린더부(90)의 후술할 본체(900)의 후측면에 형성된 유입공에 양단부가 각각 기밀하게 연결되는 고무재질의 연결호스 등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9)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90)내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부(90)의 피스톤로드(901)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진하게 된다.
상기 제 1밸브체(341a)의 형상은 도면에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수직공(321a)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상기 제 1수직공(321a)을 효과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압력실(321b)의 상부에 상기 제 1밸브체(341a)의 형상과 대응되는 관통구를 갖는 고무링(도 3의 321e)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제 1수직공(321a)을 통해 압축공기가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수직공(321a)의 상부에도 고무링(도 3의 321f)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배기밸브(36)는 상기 하우징(32)의 내부 후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32)의 배기공(323)을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부(90)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밸브(36)는 제 2밸브체(361a)와 제 2누름봉(361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밸브체(361a)는 상기 제 2압력실(321d)에 스프링(도 3의 361c)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제 2수직공(321c)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 2누름봉(361b)의 하단부는 상기 제 2밸브체(361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 2수직공(321c)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누름봉(361b)의 상단부가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눌러질 경우 상기 제 2밸브체(361a)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압력실(321d)는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90)내의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부(19) → 상기 연결공(322) → 제 2압력실(321d) → 제 2수직공(321c) → 배기공(323)을 순차적으로 통과(도 5의 실선화살표 참조.)하여 배기되고,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부(90)의 피스톤로드(90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진하게 된다.
상기 제 2밸브체(361a)의 형상은 도면에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 하게는 상기 제 2수직공(321c)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상기 제 2수직공(321c)을 효과적으로 폐쇄하기 위하여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압력실(321d)의 상부에 상기 제 2밸브체(361a)의 형상과 대응되는 관통구를 갖는 고무링(도 3의 321g)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제 2수직공(321c)을 통해 압축공기가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수직공(321c)의 상부에도 고무링(도 3의 321h)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개폐레버(38)는 상기 작동부(50)에 의해 상기 유입밸브(34)와 상기 배기밸브(36)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레버(38)는 가압부(381)와 레버부(3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81)의 후측은 상기 하우징(32)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81)의 전측 하부면은 상기 제 1누름봉(341b)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고, 상기 가압부(381)의 후측 하부면은 상기 제 2누름봉(361b)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383)은 상기 가압부(381)의 후측 상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부(5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부(5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탭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510)와,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과 축결합되는 링 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530)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에 하단이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축(511)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제 1링크부재(531)와; 상기 제 1링크부재(531)의 상단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후측이 상기 개폐레버(38)의 레버부(383)의 상단과 축결합되는 제 2링크부재(5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레버(38)의 가압부(381)의 전후측은 상기 링크부(530)를 통해 상기 구동부재(510)의 정역회전력을 전달받아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누름봉(341b, 361b)를 하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센서(70)는 상기 개폐레버(38)의 작동에 따른 상기 밸브부(30)의 개폐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70)는 공지된 인코더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공지된 인코더로 이루어지는 상기 감지센서(70)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511)의 정역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70)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의 정역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기준회전수범위값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상기 감지센서(70)가 출력하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의 정역회전수값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 회전수범위값을 비교하여 상기 밸브부(30)의 제 1, 2압력실(321b, 321d)의 개폐여부를 판 단하는 판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70)가 출력하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의 정역회전수값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회전수범위값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상기 판단부(미도시)는 상기 밸브부(30)의 제 1, 2압력실(321b, 321d)이 각각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밸브부(30)의 제 1, 2압력실(321b, 321d)이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을 지속적으로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70)가 출력하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의 정역회전수값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기준회전수범위값에 속할 경우 상기 판단부(미도시)는 상기 밸브부(30)의 제 1, 2압력실(321b, 321d)이 각각 완전개방 및 완전폐쇄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축(511)이 정역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재(51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부(90)내에는 상기 밸브부(30)의 연결공(322)을 통해 배기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실린더부(90)는 상기 몸체(10)의 후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공(322)을 통해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본체(900)와; 상기 본체(900)의 내부에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후이동하고, 전단부가 상기 하우징(32)의 후측면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9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90)의 피스톤로드(901)의 전후이동에 따라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30)가 상기 몸체(10)내에서 전후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실린더(100)는 도 2,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지된 부스터실린더(7)에 연결된 유압라인(8)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100)는 상기 몸체(10)의 전측면에 장착되는 본체(103)와; 상기 본체(103)의 내부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32)의 전측면에 연결되는 피스톤로드(1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압라인(8)은 상기 본체(103)의 전측 하부와 상기 본체(103)의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는 공지된 마스터실린더(3) 사이에 연결구비되는 제 1유압라인(81)과;
상기 본체(103)의 전측 상부와 부스터실린더(7) 사이에 연결구비되어 상기 본체(103)의 내부로 공급된 유압을 상기 부스터실린더(7)로 안내하는 제 2유압라인(8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실린더(100)의 피스톤로드(101)는 상기 밸브부(3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본체(103)의 내부에 공급된 유압을 상기 유압라인(8)의 제 2유압라인(83)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유압라인(8)의 제 2유압라인(83)을 통해 상기 부스터실린더(7)로의 유압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부스터실린더(7)는 클러치(11)의 단속이 행하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센서(70)에서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부(5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클러치버튼이 누름식 또는 다이얼버튼 방식 등 여러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클러치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클러치(11)를 단속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클러치버튼의 조작신호 및 상기 감지센서(7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부(50)의 구동부재(5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의 가압부(381)의 전측 하부면은 스프링(37)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개폐레버(38)의 전측 하부면이 상기 스프링(37)에 의해 탄성지지될 경우 상기 작동부(50)가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를 작동시키지 않을 시 상기 개폐레버(38)의 가압부(381)의 후측 하부면은 상기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배기밸브(36)의 제 2누름봉(361b)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밸브체(361a)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제 2압력실(321d)은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90)내의 압축공기는 상기 연결부(19) → 연결공(322) → 제 2압력실(321d) → 제 2수직공(321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배기공(323)을 통해 배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부(50)가 상기 밸브부(50)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개폐레버(38)의 전측을 탄성지지하는 상기 스프링(37)이 상기 배기밸브(36)를 개방시켜 상기 실린더부(90)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 게 상기 실린더부(90)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존 수동 변속기를 사용하여 변속기 장착비용 및 연료비용을 절감하면서 자동변속기와 같이 클러치 페달(1)을 일일이 밟지 않아도 되는 반자동 변속기를 구연할 수 있고, 특히 차량을 구조변경하지 않고 종래의 부스터실린더(7)와 연결되는 상기 유압라인(8)에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실수로 클러치 페달(1)을 조작하여도 상기 피스톤실린더(100)의 본체(103)에서 상기 유압라인(8)을 통해 상기 부스터실린더(7)로 공급되는 유압(도 6의 점선 화살표 참조.)의 압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 페달(1)이 자동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밸브부(30)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라인(8)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상기 피스톤실린더(100)로 인해 상기 클러치 페달(1)의 단속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 또한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밸브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작동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몸체내에서 밸브부가 전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몸체내에서 밸브부가 후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러치페달, 2; 유압원,
3; 마스터실린더, 3a, 7a, 901, 101; 피스톤로드,
5; 공기펌프, 51; 공압유도부,
7; 부스터실린더, 8; 유압라인,
81; 제 1유압라인, 83; 제 2유압라인,
9; 릴리즈 실린더, 9a; 푸시로드,
9b; 스프링, 10; 몸체,
11; 클러치, 13; 시프트레버,
17, 19; 연결부, 30; 밸브부,
32; 하우징, 320; 유입공,
321; 유로, 321a; 제 1수직공,
321b; 제 1압력실, 321c; 제 2수직공,
321d; 제 2압력실, 321e, 321f,321g, 321h; 고무링
322; 연결공, 323; 배기공,
34; 유입밸브, 341a; 제 1밸브체,
341b; 제 1누름봉, 341c, 361c, 37; 스프링,
36; 배기밸브, 361a; 제 2밸브체,
361b; 제 2누름봉, 38; 개폐밸브,
381; 가압부, 383; 레버부,
50; 작동부, 50; 구동부재,
510; 구동부재, 511; 구동축,
530; 링크부, 531; 제 1링크부재,
533; 제 2링크부재, 70; 감지센서,
90; 실린더부, 900, 103; 본체,
100; 피스톤실린더.

Claims (3)

  1. 부스터 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단속되는 클러치(11)를 제어하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조절하여 배기시키는 개폐레버(38)가 구비된 밸브부(30)와;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를 작동시키는 작동부(50)와;
    상기 개폐레버(38)의 작동에 따른 상기 밸브부(30)의 개폐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부(30)로부터 배기되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밸브부(30)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부(90)와;
    상기 부스터 실린더(7)에 연결된 유압라인(8)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101)가 상기 밸브부(30)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부(30)의 전후이동에 따라 상기 유압라인(8)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피스톤실린더(100)와;
    상기 작동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압원(2)이 연결되는 유입공(320)과, 상기 실린더부(90)와 연결되고 유로(321)에 의해 상기 유입공(320)과 연통되는 연결공(322)과, 상기 유로(321)와 연통되는 배기공(323)이 형성된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의 유로(321)를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부(90)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입밸브(34)와;
    상기 하우징(32)의 배기공(323)을 개방하여 상기 실린더부(90)내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밸브(36)와;
    상기 작동부(50)에 의해 상기 유입밸브(34)와 배기밸브(36)를 개폐시키는 개폐레버(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의 전측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작동부(50)가 상기 밸브부(30)의 개폐레버(38)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배기밸브(36)를 개방시키는 스프링(3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KR1020090132906A 2008-12-29 2009-12-29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KR100971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5784 2008-12-29
KR1020080135784 2008-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434A true KR20100080434A (ko) 2010-07-08
KR100971471B1 KR100971471B1 (ko) 2010-07-22

Family

ID=4231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906A KR100971471B1 (ko) 2008-12-29 2009-12-29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71471B1 (ko)
CN (1) CN102264568B (ko)
WO (1) WO201007706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86A1 (ko) * 2011-11-24 2013-05-30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클러치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836B1 (ko) * 2013-03-26 2018-05-04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캔 통신 기반의 클러치 제어 장치
CN104421351B (zh) * 2013-09-04 2018-12-14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摩擦离合器的操纵装置和机动车辆的动力传动系
US10107308B2 (en) 2013-11-14 2018-10-23 Schaeffler Technlogies Ag & Co. Kg Piston-cylinder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3237306A1 (en) 2014-12-22 2017-11-01 Luigi Lavazza S.p.A.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 products
KR102129357B1 (ko) * 2019-01-15 2020-07-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3589A (ja) * 1994-04-20 1995-11-07 Jidosha Kiki Co Ltd 半自動クラッチ操作装置
JP3386974B2 (ja) * 1997-03-11 2003-03-17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クラッチ倍力装置
KR100349839B1 (ko) * 1999-10-18 2002-08-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74941A (ko) * 2001-03-23 2002-10-04 김장수 반자동 변속 자동차용 클러치 작동장치
WO2003019025A1 (en) * 2001-08-24 2003-03-06 Automotive Products (Usa), Inc. Motor vehicle clutch assembly
KR20040024656A (ko) * 2002-09-16 2004-03-22 김장수 자동차용 클러치 작동장치
CN201015960Y (zh) * 2007-03-13 2008-02-06 上海交大神舟汽车设计开发有限公司 液压混合动力城市公交车离合器辅助自动分离装置
KR100814340B1 (ko) * 2007-03-14 2008-03-18 (주)코리아클러치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486A1 (ko) * 2011-11-24 2013-05-30 원광이엔텍 주식회사 클러치 제어 장치
US9163675B2 (en) 2011-11-24 2015-10-20 Wonkwang E & Tech Co., Ltd. Clutch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568A (zh) 2011-11-30
CN102264568B (zh) 2014-11-05
WO2010077066A3 (ko) 2010-09-23
WO2010077066A2 (ko) 2010-07-08
KR100971471B1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471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장치
ITMI980891A1 (it) Autoveicolo con un dispositivo per il comando di una frizione automatizzata
CN103946519A (zh) 作业车辆的发动机控制装置
ITMI982408A1 (it) Autoveicolo con dispositivo per l'azionamento automatizzato di una frizione.
KR101336942B1 (ko) 클러치 제어 장치
KR101751665B1 (ko)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KR20160128476A (ko) 연료 저감용 클러치 제어 장치
KR100814340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장치
KR101028422B1 (ko) 수동변속 차량용 부스터에 구현된 클러치의 자동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의 자동 제어방법
KR101854836B1 (ko) 캔 통신 기반의 클러치 제어 장치
CN204186837U (zh) 一种带气动离合器总泵的离合踏板
KR0144062B1 (ko) 전자식 감응 클러치 제어장치
JPH02114046A (ja) ホイール走行式建設機械の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KR0138524Y1 (ko) 자동차 클러치의 이원화 제어 장치
KR20160147288A (ko) 연료 저감형 클러치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저감 방법
KR20000042269A (ko) 차량용 자동클러치장치의 수동변속 전환장치
KR900000401Y1 (ko) 유압구동식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장치
KR20140068465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하우징 구조
KR0160882B1 (ko) 유압펌프용 구동벨트의 절손시 차속 제한장치
KR100994059B1 (ko) 수동 변속기에 설치되는 세미오토 클러치 제어 시스템
US10125829B2 (en) Fuel reducing clut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reduction using the same
KR890007443Y1 (ko) 자동차의 자동 제동 제어장치
CN201137032Y (zh) 机械驱动单钢轮振动压路机
KR101154755B1 (ko) 원격시동에 따른 유압회로 차단장치
KR101144571B1 (ko) 상용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의 소음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