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614A - 옹벽 축조 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614A
KR20100079614A KR1020080138148A KR20080138148A KR20100079614A KR 20100079614 A KR20100079614 A KR 20100079614A KR 1020080138148 A KR1020080138148 A KR 1020080138148A KR 20080138148 A KR20080138148 A KR 20080138148A KR 20100079614 A KR20100079614 A KR 2010007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etaining wall
wall construction
contents
construc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브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브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브록
Priority to KR102008013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614A/ko
Publication of KR2010007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포대들을 적층하는 옹벽 축조에 있어서, 포대의 상호 이,착탈 부재인 벨크로 테이프 접착에 의한 포대 결속을 유도하여 포대의 상호 결속에 따른 옹벽 축조가 가능하여 옹벽 시공에 신속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포대와 그 포대 안에 채우는 내용물 그리고 부속자재들의 분리 운반과 별도 관리가 가능하여 부속자재들의 운반과 진입에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현장 운반이 어려운 고지대, 난공사지역에서도 옹벽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해진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들을 층상으로 쌓아올려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포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제작된 포대 속에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육면체의 형상인 각형의 형상이 나타나도록 내용물을 투입하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로 운반하여 반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옹벽 시공 대상지로 반입된 포대를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옹벽, 포대, 축조, 적층

Description

옹벽 축조 방법{Method of retaining wall-building}
본 발명은 옹벽 축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포대들를 적층하는 옹벽 축조에 있어서, 포대의 상호 이,착탈 부재인 벨크로 테이프 접착에 의한 포대 결속을 유도하여 포대의 상호 결속에 따른 옹벽 축조가 가능하여 옹벽 시공에 신속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포대와 그 포대 안에 채우는 내용물 그리고 부속자재들의 분리 운반과 별도 관리가 가능하여 부속자재들의 운반과 진입에서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현장 운반이 어려운 고지대, 난공사지역에서도 옹벽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옹벽 축조 전후 과정에서 수목 식재가 가능하여 자연친화적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토사의 유출이나 기타 수처리 등의 관리 목적으로 축조하는 옹벽축조에서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포대를 이용한 옹벽 축조에서는 시공 대상지 선정과 옹벽의 너비와 높이 그리고 층상 두께 등을 적절히 고려하여 포대의 크기나 규모 등을 정하여 시공하게 된다.
포대는 일반 자루모양으로 만들어진 것부터 육면체로 만든 것, 그리고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특수하게 제작된 다양한 포대들이 알려져 있는데, 가장 흔히 사용 되는 포대는 자루 모양의 포대이고, 개량된 포대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관련 기술들이 소개되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0736839호의 '6면체 포대를 이용한 옹벽축조 방법'은 특수하게 제작된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 방법으로 제시된 기술이고, 그 외 포대와 포대의 층상 보강과 관련된 다른 기술로서,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0561696호의 '맞물린 축조유니트들을 갖춘 옹벽구조물과 이를 축조하는 방법' 및 제0736832호의 '6면체 포대의 연결기구' 등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상기 기술들은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포대를 쌓을 때 불완전 밀착에 의한 틈 사이로의 토사 유출 방지, 포대와 포대간의 결속부재를 보완하거나 보강, 까다롭고 어려운 여러 시공 조건에 적합한 기능적 포대 및 구조물 그리고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적용되는 포대 간 결속부재로는 포대에 꼽혀져 인서트되는 돌기가 구비하는 판상체를 포대 사이에 끼워서 적층하도록 되어 있었다.
종래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포대들을 층상으로 쌓아올리는 작업이 까다롭고 어려웠다. 즉 포대를 쌓아올리고 상호간 결속을 위하여 별도의 연결 및 결속구조물이 필요하였으며, 여러 부속자재들을 사용하였으므로 구조적으로 지나치게 복잡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시공이 어려웠다.
둘째, 포대의 안정적 옹벽 축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 부속자재의 단순한 적용을 통하여 옹벽의 축조 완성도를 높여 주는 유형이므로, 경제성이 낮고 시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어떠한 구조물이든 복잡한 별도의 보조 구조물을 사용하여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효율적인 자원 활용에 역행하며, 부속자재의 낭비와 공기 지연 손실이 크다.
셋째, 포대 속에 넣는 내용물(모래, 자갈 등) 관리가 지속적이고 표준적으로 관리되지 못하여 통일된 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즉 사전에 포대에 내용물을 채워서 현장에 반입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포대 속에 내용물을 채워 넣는다 하여도 포대 속에 규격화하여 채워 넣지 못하였다.
넷째, 포대의 용량을 감안하는 규격화된 강도 계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즉 단순히 포대를 쌓아서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제외한 포대와 포대 상호간 밀착력 내지 결속력을 결속부재에 의존하는 옹벽 축조의 경우 포대 사이에 놓이는 별도의 결속부재에 의해 강도가 정해지므로 밀착강도를 산출하기가 구조적으로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포대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리고 상호간 결속을 포대 표면 밀착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연결 및 결속구조물이 없이 구조적으로 단순화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포대 표면을 직접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성과 시공성을 개선하는 옹벽 축조 방법을 제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포대 속에 넣는 내용물을 현장 시공 조건 중심으로 용이하게 관리하여 옹벽 축조의 시공성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층상으로 쌓아올리는 포대 상호간 결속력을 포대의 용량을 감안하여 계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계획적인 옹벽 축조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포대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제작된 포대 속에 내용물을 투입하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로 운반하여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옹벽 시공 대상지로 반입된 포대를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포대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제작된 포대 속에 내용물을 투입하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로 운반하여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옹벽 시공 대상지로 반입된 포대를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되 포대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포대와 포대의 상호 대응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 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된 포대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시공 현장에 반입된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벌려 포대 속에 내용물을 채워 넣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폐쇄하여 육면체의 포대를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된 포대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시공 현장에 반입된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벌려 포대 속에 내용물을 채워 넣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폐쇄하여 포대를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되 포대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포대와 포대의 상호 대응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대 표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윗면과 밑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부착 방향을 다르게 하여 대응되는 상기 포대의 표면과 서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 접착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포대를 이용한 옹벽 축조에 있어서,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리고 상호간 결속을 포대 표면 밀착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연결 및 결속구조물이 없이 구조적으로 단순화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고, 포대 표면을 직접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부속자재가 불필요하여 없이 경제성이 크고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포대 속에 넣는 내용물을 현장 시공 조건 중심으로 용이하게 관리하여 옹벽 축조의 시공성을 개선하고, 층상으로 쌓아올리는 포대 상호간 결속력의 산출이 가능하여 보다 계획적인 옹벽 축조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기본적으로 포대를 쌓아올려 적층함으로서 옹벽을 축조하는 것으로, 정해진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포대를 이용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경제성과 신속 정확성 그리고 시공성 등을 고려한 옹벽 축조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1실시 예와 4실시 예로 구분되며,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포대(10)의 예로서, (a)는 윗면사시도 이고, (b)는 밑면 사시도 이다. 포대(10) 속에 채우는 내용물(11)은 토사(모래, 흙)나 자갈 그리고 인조 및 천연재료 등의 칩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선택이나 사용은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다.
포대(10)는, 합성수지 및 섬유사 기타 천연 및 인조소재로 직조되거나 가공된 부직포나 직물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 가능하며, 내용물(11)을 채울 경우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발명에서 포대의 형상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모두 각형으로 표현되었다).
포대(10)의 일측면에는 내용물(11)을 넣거나 뺄 수 있는 투입구(12)를 두고, 그 내용물 투입구(12)에는 내용물(11)의 유출을 줄이기 위한 덮개판(14)이 설치될 수 있으며, 내용물 투입구(12)의 입구면을 따라서 마무리 조임끈(13)을 설치하여 끈을 당기면 간단히 입구가 봉해지는 구조가 적합하다.
포대(10)의 윗면(15)과 밑면(16)에는 벨크로 테이프(17)를 표면상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배열하여 부착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포대(10)의 윗면(15)에 가로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18)를 부착하였으면, 밑면(16)은 세로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19)를 부착하여, 포대(10)를 쌓아올려 적층하는 경우 해당 접촉면이 되는 가로방향 벨크로 테이프(18)는 세로방향 벨크로 테이프(19)와 접촉되어 포대(10)가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포대(10) 표면에 부착하는 벨크로 테이프(17)는 가로세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길게 부착 할 수 있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불연속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부착방법은 포대(10)에 재봉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부착가능하다.
포대(10)의 윗면(15)과 밑면(16)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17)의 부착방향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부착 방향을 다르게 하는 이유는 대응되는 포대(10)의 적층에서 서로 가로세로 방향으로 교차 접착으로 적층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포대(10)를 쌓아 적층하면 가로세로 방향 벨크로 테이프(17)에 의해 포대(10)는 "+" 자형 교차 접촉으로 결속되며, 이러한 접촉은 "ㅡ"자형 접촉이나 다른 어긋난 접촉에 비해 결속력이 크다. 미설명부호 'A'는 포대(10)의 윗면(15)에 부착된 운반용 손잡이이고, 'B'는 조임끈을 고정하는 결속클립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결속부재의 삽입 과정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포함한 일반적 결속부재의 사용은 포대의 적층에서 결속강도를 크게 하는 요인이 되는 바, 결속부재의 형상 및 구조가 결속력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결속부재(20)는, 도 2와 같이, 포대(10)의 적층면 사이에 삽입되는 판상의 결속판(21)과, 그 결속판(21)의 윗면(22)과 밑면(23) 표면상으로 각각 돌출되고, 그 돌출 위치는 지그재그형으로 결속판(21)의 윗면(22)과 밑면(23) 표면상으로 1개 이상 배열되어 포대(10)에 꽂히는 돌기(24)를 구비하는 형상으로서, 포대(10)에 꽂히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턱(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윗면(22)과 밑면(22)에 돌기(24)를 대칭형상으로 두지 않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두는 것은 금형에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포대(10)의 표면에 꽂히는 부분이 위아래 동일 축에 놓이지 않고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결속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며, 1개 이상으로 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포대(10)에 대한 결속력 강화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포대(10)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는 포대(10)의 적층에서 벨크로 데이프(17)에 의한 접착상태를 평면상으로 나타낸 도식도이다. 도 5는 포대(10)의 적층면 사이에 결속부재(20)를 삽입하는 적층 설명도이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도 6의 공정도와 같이, 먼저 옹벽 시공 대상지(30)에 포대(10)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10)의 윗면(15)과 밑면(16)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포대를 준비하고(S101), 그 포대(10) 속에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육면체의 형상이 나타나도록 내용물(11)을 투입하되 내용물(11)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12)를 폐쇄한 뒤(S102), 내용물(11)이 채워진 포대(10)를 옹벽 시공 대상지(30)로 반입하 고(S103), 반입된 포대(10)를 시공 대상지(30)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1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한다(S104).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도 7의 공정도와 같이, 먼저 옹벽 시공 대상지(30)에 포대(10)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10)의 윗면(15)과 밑면(16)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17)가 부착된 포대를 준비하고(S201), 그 포대(10) 속에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육면체의 형상이 나타나도록 내용물(11)을 투입하되 내용물(11)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12)를 폐쇄 한 뒤(S202), 내용물(11)이 채워진 포대(10)를 옹벽 시공 대상지(30)로 반입하고(S203), 반입된 포대(10)를 시공 대상지(30)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10)와 포대(10)의 상호 대응 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20)를 삽입하며(S204),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1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한다(S205).
제 3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도 8과 같이, 옹벽 시공 대상지(30)에 포대(10)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입구(12)를 구비하는 동시에 윗면(15)과 밑면(16) 표면상으로 벨크로 테이프(17)가 각각 부착된 포대(10)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고(S301), 시공 현장에 반입된 포대(10)의 내용물 투입구(12)를 벌려 포대(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로 되는 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포대(10) 속에 내용물(11)을 채워 넣고(S302), 내용물(11)이 채워진 포대(10)의 내용물 투입구(12)를 폐쇄하여 육면체의 포대(10)를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며(S303), 내용물(11)이 채워진 포대(10)를 옹벽 시공 대상지(30)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와 상호 접착되도록 포대(1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한다(S304).
제 4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 방법은, 도 9와 같이, 옹벽 시공 대상지(30)에 포대(10)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입구(12)를 구비하는 동시에 윗면(15)과 밑면(16) 표면상으로 벨크로 테이프(17)가 각각 부착된 포대(10)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고(S401), 시공 현장에 반입된 포대(10)의 내용물 투입구(12)를 벌려 포대(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로 되는 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포대(10) 속에 내용물(11)을 채워 넣고(S402), 내용물(11)이 채워진 포대(10)의 내용물 투입구(12)를 폐쇄하여 육면체의 포대(10)를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며(S403), 내용물(11)이 채워진 포대(10)를 옹벽 시공 대상지(30)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10)와 포대(10)의 상호 대응 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20)를 삽입하며(S404),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10)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와 상호 접착되도록 포대(1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한다(S40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특징과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는, 옹벽 시공 대상지(30)에 내용물(11)이 채 워진 상태의 포대(10)를 반입하여 곧바로 옹벽을 축조하는 것으로, 시공 현장에서 내용물(11)을 채우지 않고, 후 공정인 포대(10) 쌓기 공정으로 바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내용물(11)이 담겨져 있는 포대(10)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수송과 운반에서 인력과 장비가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포대(10) 쌓기를 통한 적층에서 포대(10)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벨크로 테이프(17)의 간단한 위치 확인만으로 포대(10)를 올려놓기 방법으로 상호 접촉시켜 쌓아올리면 되므로 다른 부속자재 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옹벽 시공이 가능하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는, 상기 1실시 예에서의 특징과 같고, 포대(10)의 적층 과정에서 포대(10)와 포대(10)의 사이 상호 대응 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20)를 삽입함으로서 보다 견고한 상태의 포대(10) 적층상태를 얻을 수 있으나, 결속부재(20) 적용에 따른 부속자재의 사용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결속부재(20)는, 비교되는 다른 유사 결속부재들에 비해, 지그재그형으로 결속판(21)의 윗면(22)과 밑면(23) 표면상으로 돌기(24)를 돌출시켜 결속면적의 확장을 꾀할 수 있어 포대(10)의 견고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는, 옹벽 시공 대상지(30)에 내용물(11)을 채운 상태의 포대(10)를 반입하는 것이 아니고, 내용물(11)과 포대(10)를 별도로 반입하여 시공 현장에서 포대(10)에 내용물을 채운 뒤, 후 공정인 포대(10) 쌓기로 옹벽을 축조하는 것으로, 시공 현장에서 내용물(11)을 포대(10) 속에 채워야 하는 불편과 단점이 있으나, 시공 현장까지 경량화된 상태로 포대(10)를 수송하고 운반 할 수 있어 포대 반입에 따른 인력과 장비의 소모가 없고, 특히 진입이 어려운 고지대, 난공사 등에서 그 효과가 크며, 마찬가지로 포대(10) 쌓기를 통한 적층에서 포대(10)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벨크로 테이프(17)의 간단한 위치 확인만으로 포대(10)를 올려놓기 방법으로 상호 접촉시켜 쌓아올리면 되므로 다른 부속자재 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옹벽 시공이 가능하다.
제 4 실시 예에 따른 옹벽 축조는, 상기 제 3 실시 예의 특징과 같고, 포대(10)의 적층 과정에서 포대(10)와 포대(10)의 사이 상호 대응 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20)를 삽입함으로서 보다 견고한 상태의 포대(10) 적층상태를 얻을 수 있으나, 결속부재(20) 적용에 따른 부속자재의 사용에 따라 경제성과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결속부재(20)는, 비교되는 다른 유사 결속부재들에 비해, 지그재그형으로 결속판(21)의 윗면(22)과 밑면(23) 표면상으로 돌기(24)를 돌출시켜 결속면적의 확장을 꾀할 수 있어 포대(10)의 견고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공통적으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포대(10)는, 부직포나 합성수지 및 섬유사 기타 이에 준하는 천연 및 인조소재로 직조되거나 가공된 다양한 소재가 사용 가능하며, 포대(10)의 내용물 투입구(12)에는 내용물(11)의 유출을 줄이기 위한 덮개판(14)을 설치하고, 내용물 투입구(12)의 입구면을 따라 설치된 마무리 조임끈(13)을 당기면 간단히 내용물 투입구(12)를 봉할 수 있어 내용물(11)을 담거나 빼내기 용이하다. 여기서, 내용물 투입구(12)를 따라 설치되는 조임끈(13)을 당기면 덮개판(14)과 함께 투입구(12)가 주름이 지면서 오므라들어 내용물(11) 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대(10)의 윗면(15)과 밑면(16)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17)는, 포대(10)의 윗면(15)을 가로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18)로 부착한 경우, 밑면(16)은 세로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19)를 부착함으로서, 포대(10)를 적층하는 경우 해당 접촉면이 되는 가로방향 벨크로 테이프(18)에는 세로방향 벨크로 테이프(19)가 접촉되어 서로 "+"자형으로 교차되는 포대(10)의 적층상태를 얻을 수 있어 결속부재(20)의 사용유무에 관계없이 큰 결속력이 유지되어 포대(10)의 유동으로 인한 기울어짐이나 쓰러짐 그리고 허물어지는 등의 유실이나 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대(10)의 윗면(15)과 밑면(16)의 넓이와 높이로 정해지는 포대의 전체 용량에서 벨크로 테이프(17)의 치수 면적을 고려하여 상호 접촉강도의 산술적인 수치 계산이 어느 정도 가능하여 불가능 하였던 포대의 옹벽 강도를 산출하여 계획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도 1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대의 구성 예로서, (a) 윗면도, (b)는 밑면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구성 예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대의 옹벽 축조 적층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대의 접촉상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대의 옹벽 축조 적층의 다른 예.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 예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2실시 예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의 3실시 예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4실시 예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대
11: 내용물
12: 투입구
13: 조임끈
14: 덮개판
15:윗면
16:밑면
17: 벨크로테이프
18: 가로방향 벨크로테이트
19: 세로방향 벨크로테이프
20: 결속부재
21: 결속판
22: 윗면
23: 밑면
24: 돌기
25: 단턱

Claims (10)

  1.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포대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제작된 포대 속에 내용물을 투입하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로 운반하여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옹벽 시공 대상지로 반입된 포대를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2.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포대의 윗면과 밑면에 각각 가로세로 방향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포대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제작된 포대 속에 내용물을 투입하되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투입구를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로 운반하여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옹벽 시공 대상지로 반입된 포대를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되 포대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포대와 포대의 상호 대응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교차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3.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된 포대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시공 현장에 반입된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벌려 포대 속에 내용물을 채워 넣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폐쇄하여 포대를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는 과정에서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4.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층상으로 옹벽 구조물로 완성하는 옹벽 축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 축조 시공 대상지에 포대를 층상으로 쌓아올려 시공하기 위하여 내용물 투입구를 구비하는 동시에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부착된 포대를 시공 현장으로 반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시공 현장에 반입된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벌려 포대 속에 내용물을 채워 넣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의 내용물 투입구를 폐쇄하여 포대를 옹벽 시공 현장에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내용물이 채워진 포대를 옹벽 시공 대상지의 기초 적층면을 기준으로 차례대로 쌓아 적층하되 포대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포대와 포대의 상호 대응접촉면 사이에 결속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가 대응되는 상대측 포대의 표면에 부착된 벨크로 테이프와 상호 접착되도록 포대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표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윗면과 밑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부착 방향을 다르게 하여 대응되는 상기 포대의 표면과 서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 접착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표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윗면과 밑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부착 방향을 다르게 하여 대응되는 상기 포대의 표면과 서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 접착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표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윗면과 밑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부착 방향을 다르게 하여 대응되는 상기 포대의 표면과 서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 접착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표면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는 윗면과 밑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서로 부착 방향을 다르게 하여 대응되는 상기 포대의 표면과 서로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 접착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9.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 삽입단계에서 사용되는 결속부재는,
    상기 포대와 포대의 적층면상 사이에 삽입되는 판상의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의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각각 돌출되고, 그 돌출 위치는 지그재그형으로 상기 결속판의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1개 이상 배열되어 상기 포대에 꽂히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 삽입단계에서 사용되는 결속부재는,
    상기 포대와 포대의 적층면상 사이에 삽입되는 판상의 결속판과,
    상기 결속판의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각각 돌출되고, 그 돌출 위치는 지그재그형으로 상기 결속판의 윗면과 밑면 표면상으로 1개 이상 배열되어 상기 포대에 꽂히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 방법.
KR1020080138148A 2008-12-31 2008-12-31 옹벽 축조 방법 KR20100079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48A KR20100079614A (ko) 2008-12-31 2008-12-31 옹벽 축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48A KR20100079614A (ko) 2008-12-31 2008-12-31 옹벽 축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14A true KR20100079614A (ko) 2010-07-08

Family

ID=4264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48A KR20100079614A (ko) 2008-12-31 2008-12-31 옹벽 축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9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805A (zh) * 2015-12-15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一种基于利用集装箱进行沿河线路路堤抢修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805A (zh) * 2015-12-15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军事交通学院 一种基于利用集装箱进行沿河线路路堤抢修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465B1 (ko) 압출 성형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 축조시스템
CA2822601C (en) Storage composite, and storage tank and permeable storage tank using same
WO2017150138A1 (ja) 貯留ユニット
KR20100079614A (ko) 옹벽 축조 방법
JP4967105B2 (ja) 建築物における免震方法
WO2014009892A1 (en) Stackable, interlockable building elements and a system including such elements
JP3793434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及び浸透施設
JP2014530975A (ja) 捨石が除去された防波堤構造物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JP3795681B2 (ja) 地下貯水槽用の充填部材
JP4933867B2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20100007077U (ko) 옹벽 축조 포대
KR102067784B1 (ko) 격막식 기초 보강 백
JP3937343B2 (ja) 雨水の貯留浸透施設
US20190078286A1 (en) A sheet for use in ground works
JPH0667545U (ja) 擁壁の構造
JP3410090B1 (ja) 貯留浸透装置
TWI637096B (zh) 地下儲水槽的儲水構造及儲水工法
CN218233126U (zh) 一种多功能桥箱
KR100843331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시공방법
JP6777831B1 (ja) 雨水貯留施設及び雨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
JP3749189B2 (ja) 発泡樹脂成形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積層体
JP2003147813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200433699Y1 (ko) 보강토 옹벽
JP3383660B1 (ja) ブロック状積層体及び雨水等貯留/浸透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