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961A -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961A
KR20100077961A KR1020080136059A KR20080136059A KR20100077961A KR 20100077961 A KR20100077961 A KR 20100077961A KR 1020080136059 A KR1020080136059 A KR 1020080136059A KR 20080136059 A KR20080136059 A KR 20080136059A KR 20100077961 A KR20100077961 A KR 2010007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knob
driving
air ven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854B1 (ko
Inventor
이석희
이한영
문찬성
곽성복
박진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8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온기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 상기 노브와 일체로 연동하며 노브의 유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라인, 상기 구동라인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하로 유동하는 제 1구동링크 및 상기 제 1구동링크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프론트윙과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제 2구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냉/온기 방향의 정확성을 높이고, 에어벤트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에어벤트, 노브, 구동라인, 구동링크

Description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wing adjusting device for air vent}
본 발명은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에서 공급되는 냉/온기의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에어벤트는 냉난방 장치의 덕트와 연결되어 에어컨 작동 시 냉공기가, 히터 작동시 더운 공기가 실내로 분출되는 최종 출구 역할의 부품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에어벤트의 구성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 냉난방장치의 덕트와 연결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댐퍼(12)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장착되는 종방향 날개 (14) 및 횡방향 날개(16)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구(18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구(18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종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2)와 상기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와 상기 댐퍼(12)간을 연결하는 링크(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횡방향 날개(16)의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36)가 상기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에 형성된 제1슬롯(26)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24)의 전단부에 형성된 돌기(28)가 상기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에 형성된 제2슬롯(30)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링크(24)의 후단부에는 히스테리시스 루프(Hysteresis Loop)와 같은 곡선형 슬롯(32)이 형성되고, 이 곡선형 슬롯(32)에는 상기 댐퍼(12)의 일측면에 형성된 핀(34)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벤트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회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횡방향 날개(16)가 상하로 각도 변경되면서 공기의 상하 토출각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의 회전 조작과 함께 상기 링크(24)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회동하고, 동시에 상기 댐퍼(12)의 각도가 변위되도록 댐퍼(12)의 핀(34)이 링크(24)의 곡선형 슬롯(32)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댐퍼(12)의 각도 변경에 따라 덕트의 공기통로 면적이 가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종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2)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종방향 날개(14)의 좌우 각도가 가변되면서 공기의 좌우 토출각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상기 횡방향 날개용 조절노브(20)를 회전시켜 공기의 상하 토출각이 조절됨과 동시에 공기통로 면적이 가변 조절되 면서 공기 유입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횡방향 날개와 종방향 날개 조절 노브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횡방향 날개와 종방향 날개 노브가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조작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상에 종방향과 횡방향을 일체로 조작할 수 있는 하나의 노브가 구비되어 방향을 조절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날개 조작 노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 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가운데 날개(a)의 일부를 절개하여 노브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야 하지만, 절개로 인한 냉/온기의 방향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에어벤트의 구조가 단순 사각형상에서 차량의 인테리어 디자인 개선을 위하여 마름모 형상이나 원형상 등 다양하게 디자인 되고 있으나, 종래의 방향 조작노브는 횡방향 날개와 종방향 날개가 직교하게 교차시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다른 형상으로 인해 종방향 날개와 횡방향 날개가 직교하지 않을 때에는 적용하기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윙과 리어윙의 방향을 조작하는 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온기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윙 조작 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구조의 에어벤트에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온기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 상기 노브와 일체로 연동하며 노브의 유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라인, 상기 구동라인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하 유동하는 제 1구동링크 및 상기 제 1구동링크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프론트윙과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제 2구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는, 상기 구동라인은,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구동라인은, 리어윙의 내측으로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 2구동링크는, 다수의 결합홈이 프론트윙의 간격과 대응하게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상기 프론트윙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윙의 절개로 인한 방향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벤트의 디자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윙의 비 직교시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노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는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온기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100)와, 상기 노브와 일체로 연동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라인(110)과,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하로 유동하는 제 1구동링크(120) 및 상기 프론트윙과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제 2구동링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브(100)는 리어윙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리어윙과 프론트윙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냉/온기의 방향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리어윙(200)과 프론트윙(300)은 차량에 따라 종방향 윙 또는 횡방향 윙으로 달리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리어윙(rear wing)을 횡방향, 프론트윙(front wing)을 종방향으로 가정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노브(100)는 다수의 리어윙 중 하나에 설치하여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노브는 리어윙을 중앙부분을 일정영역 감싸도록 설치되며, 노브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리어윙으로는 가이드 홈(101)이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 영역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노브에는 걸림부(10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노브를 리어윙에 설치하기 위해 윙에 구비되는 가이드 홈(101)과 노브에 구비되는 걸림부로 구성하여 노브가 일정간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안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노브가 리어윙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다면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며, 이러한 범위내에서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동라인(110)은 상기 노브에 고정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것으로, 노브의 가해진 조작력을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구동라인(11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형성된 와이어(철심)로 구비되는데, 노브가 결합되는 리어윙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홀(111)이 형성되어 여기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라인은 리어윙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통과하면서 노브의 걸림부(102)에 고정되며, 리어윙의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노브가 상/하로 일정간격 조작되면, 노브와 일체로 구동라인이 상/하로 유동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라인은 비교적 지지력이 높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르게는 플라스틱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라인이 삽입되는 홀(111)은 위의 회동부(미부호)를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리어윙 방향 전환시에도 구동라인의 위치가 단속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 1구동링크(120)는 에어벤트의 커버(미부호) 상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라인의 일단과 연결되어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쪽이 상/하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1구동링크(120)는 길이형상의 부재로써 소정길이로 구비되며, 양단으로 구동라인이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거나, 또는 접합 고정된다.
또한,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가운데 형성된 지지부(121)가 에어벤트의 커버에 고정 설치되어 이를 중심으로 제 1구동링크가 시소(seesaw) 방식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라인(110)이 연결된 일단이 노브 조작을 통해 상향 이동하면 타단은 하향 이동하게 되고 하향 노브 조작이 이루어지면 타단은 상향 이동하는 동작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 2구동링크(130)는 상기 제 1구동링크의 타단과 연결되어 프론터윙(3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 2구동링크(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의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프론터윙(300)이 일측으로 형성된 결합부(310)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131)은 홈 또는 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의 결합부(310)가 프론터윙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구동링크가 제 1구동링크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면 상향 이동하면서 다수의 프론터윙을 일체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구동링크와 제 2구동링크는 상기 구동라인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제 2구동링크를 연장 형성시켜 제 1구동링크와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기 위해 노브(100)를 상/하, 좌/우로 조절한다.
좌/우로 조절하게 되면 리어윙(200)이 일체로 연동하면서 좌/우 방향을 결정하게 되고, 상/하로 조작하기 위해 상기 노브(100)를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키면, 노브와 일체로 연동하는 구동라인(110)이 대응하게 이동하게 된다.
상향 조절 시 구동라인은 상향 이동하게 되면서 끝단에 연결된 제 1구동링크 일단을 상향 이동 시킨다. 그러면 시소방식으로 동작하는 제 1구동링크의 타단은 회동점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타단과 연결된 제 2구동링크는 하향 이동하게 되면서 프론터윙의 방향을 상향 조절하게 된다.
다시 냉/온기 방향을 하향으로 원할 경우 노브(100)를 하향 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는 구동라인(110)이 하향 이동하게 되고 제 1구동링크와 연결된 일단을 하향시키면 타단은 상향 이동하여 제 2구동링크가 프론터윙을 하향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에어벤트의 다양한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방향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에어벤트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리어윙과 프론터윙이 직교하게 교차하지 않아도 적용가능하며, 냉/온기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벤트의 대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벤트의 종방향과 횡방향 날개의 조절 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종방향 날개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노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브
101 : 가이드 홈
102 : 걸림부
110 : 구동라인
120 : 제 1구동링크
130 : 제 2구동링크
200 : 리어윙
300 : 프론터윙

Claims (4)

  1. 에어벤트를 통해 유입되는 냉/온기의 방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제공받는 노브;
    상기 노브와 일체로 연동하며 노브의 유동에 따라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라인;
    상기 구동라인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하로 유동하는 제 1구동링크; 및
    상기 제 1구동링크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프론트윙과 연결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제 2구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라인은,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라인은,
    리어윙의 내측으로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링크는,
    다수의 결합홈이 프론트윙의 간격과 대응하게 구비되고,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상기 프론트윙의 일측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KR1020080136059A 2008-12-29 2008-12-29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KR10109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059A KR101098854B1 (ko) 2008-12-29 2008-12-29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059A KR101098854B1 (ko) 2008-12-29 2008-12-29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961A true KR20100077961A (ko) 2010-07-08
KR101098854B1 KR101098854B1 (ko) 2011-12-26

Family

ID=4263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059A KR101098854B1 (ko) 2008-12-29 2008-12-29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3971A2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에어벤트
US9701176B2 (en) 2011-12-23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Wing knob adjusting device for air vent
CN109130790A (zh) * 2018-09-25 2019-01-04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用空调出风调节构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459B1 (ko) * 2015-11-05 2016-10-14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자동차 에어벤트의 자동 구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3971A2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에어벤트
WO2011083971A3 (ko) * 2010-01-08 2011-11-0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에어벤트
US9701176B2 (en) 2011-12-23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Wing knob adjusting device for air vent
CN109130790A (zh) * 2018-09-25 2019-01-04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用空调出风调节构造
CN109130790B (zh) * 2018-09-25 2024-03-26 东莞广泽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车用空调出风调节构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854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9834B2 (en) Air conditioner
CN111271772B (zh) 空调室内机
CN103124647A (zh) 在点式姿态与扩散姿态之间转换的用于机动车的通风和加热模块的空气排出器
US9616729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US11754313B2 (en) Air conditioner
US20180354346A1 (en) Air vent for a vehicle
KR101098854B1 (ko) 에어벤트의 윙 조절장치
US11285785B2 (en) Air vent for automobile
KR10093507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20170057325A1 (en) Remote outlet vane control system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495610B1 (ko) 차량용 에어벤트
CN107345709B (zh) 导风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211195781U (zh) 用于将不同方向的气流引导到车辆内部的通气孔
KR101763671B1 (ko)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차량 공기조화용 풍향조절장치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EP2149464B1 (en) Air conditioning assembly for vehicles
KR20190017538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045797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1008453B1 (ko) 에어벤트의 개폐장치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154285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JP200610366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6097823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3108908U (zh) 车辆通风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