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476A - 필름 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 Google Patents

필름 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476A
KR20100077476A KR1020080135421A KR20080135421A KR20100077476A KR 20100077476 A KR20100077476 A KR 20100077476A KR 1020080135421 A KR1020080135421 A KR 1020080135421A KR 20080135421 A KR20080135421 A KR 20080135421A KR 20100077476 A KR20100077476 A KR 20100077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crylate
meth
film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103B1 (ko
Inventor
이광순
이상훈
문기정
전해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양면에 점착 성능을 가지며, 기재 없이 필름 형태로 구비되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되는 겔 분율이 60% 이상이다.
[수학식 1]
겔 분율 = m/M×100
(여기서, M은 점착제 전체 질량이고, m은 점착제 중 겔화된 부분의 질량이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에서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반응성 단량체와 반응성이 없는 단량체를 적절히 배합하는 것으로 유리전이온도(Tg), 겔 분율, 스테인리스와 같은 기재와 유리와 같은 보호재에 대한 전단강도를 제어함으로써, 내구신뢰성이 우수하고, 양면 점착 성능를 가지는 점착제를 구현할 수 있다.
양면 점착제

Description

필름 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Film type adhesive and exterior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제, 특히 가구 또는 전자제품의 외장재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미적 취향도 다양화되고 개성화되면서 각종 가구나 전자 제품 등의 구매시,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 보다 자신의 성향에 따라 제품의 디자인, 색깔 등의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소비자에게 더욱 어필되는 경향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냉장고, 김치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을 비롯한 가전 제품이나 장롱, 옷장 등의 가구와 같이 여성이 소비자인 경우, 제품의 외향 이미지가 시장에서 제품 마케팅의 성패를 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제품들에서는 종래의 통상적인 제품과는 다른 색상, 복잡한 이미지, 자연스러운 이미지, 고급스러운 이미지 등의 미적인 부분은 물론, 견고함과 같은 실용적인 이미지도 나타나고 있다. 그에 따라 제품의 외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표면에는 유리 또는 강화유리와 같은 보호재를 위치시키고, 그 내부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를 위치시키는 구조가 선호되고 있다. 이때 기재의 표면에 는 직물의 이미지나 금속 감의 무늬, 유명화가의 그림이나 여러 가지 문양, 또는 이에 다양한 색상 등의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재에 표현된 이미지는 스테인리스(SUS)나 니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 또는 호일, PVC나 PET와 같은 고분자 필름,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잉크로 표현될 수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7-118840호는 외 표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층에 여러 무늬의 직물층을 부착하고 그 앞에 유리층을 위치시킴으로써 향상된 제품의 외장 이미지를 가지는 외장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직물층과 유리 사이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직물층이 울거나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컬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에 에러가 발생하면 직물 층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격에 변형이 발생하면 간격으로 인해 직물층의 무늬가 이중으로 보여질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 특허 제2003-292913호는 건축자재,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등 일반적인 구조물의 접착 고정을 위해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저장탄성율이 1.0x107~1.0x 104Pa인 0.2~2mm 두께의 양면 점착테이프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건축자재나 자동차 부품 등의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에서의 사용을 위한 것이고, 외장재 점착제로서의 두께로는 지나치게 두껍기 때문에 이러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수치상 수십 ㎛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최근 경량 및 박형화의 추세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일본 공개 특허 제2003-27018호는 가전제품 등 피착체에 달라붙을 수 있고 사용시의 접착성과 사용 후 재박리성을 용이하게 양립할 수 있는 점착시트를 수득하기 위해,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2 종류의 단량체를 이용하여 블록 공중합체 점착수지로 중합하였고, 기재 필름을 수축 필름으로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재박리성이 필요한 보호필름에 적합한 것이므로, 박리가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되는 가구나 가전제품의 외장재로는 적합하지 않다.
기타, 일본 공개 특허 제2007-331225호와 제1995-331188호에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필름을 기재를 사용하는 모바일(mobile)용이나 자동자 부품의 고정용 양면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양면 점착 테이프는 대형사이즈로 하는 경우 열수축팽창이 발생하고 이는 유리, 스테인리스층, 직물층 등의 외장재의 다른 재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치수안정성의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은 최근의 외장재로서 사용되기에는 각각 단점이 있어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얇으면서 내구신뢰성이 우수하고 전단강도가 우수한 점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구신뢰성 및 내충진성, 전단강도가 우수한 외장재용 필름형 점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가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기재(carrier)가 불필요한 무기재(non-carrier film, NCF) 형태의 점착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기재의 필름형 점착제를 이용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내구신뢰성과 전단강도가 우수한 외장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필름형 점착제는 양면에 점착 성능을 가지며, 기재 없이 필름 형태로 구비되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되는 겔 분율이 60% 이상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겔 분율 = m/M×100
(여기서, M은 점착제 전체 질량이고, m은 점착제 중 겔화된 부분의 질량이다)
상기 필름형 점착제를 위한 점착제 수지는 천연고무계, 합성고무계,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일 수 있다.
상기 필름형 점착제를 위한 점착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가 -30~0℃일 수 있다.
상기 필름형 점착제를 위한 점착제 수지가 50 내지 90 중량부의 연성 단량체, 1 내지 48 중량부의 경성 단량체,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연성 단량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이고, 상기 경성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이고, 상기 가교 단량체는 비닐계 단량체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바람직한 일례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과 같은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일 수 있다.
상기 필름형 점착제에 상기 양면에 각각 서로 박리력이 상이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외장재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보호재; 표면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 사이에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를 동시에 점착하는 필름형 점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필름 형태의 투명 점착제를 이용하여 외부 측으로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를 점착하고, 내부 측으로는 각종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를 점착하는 것으로, 외장재를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된 외장재는 각종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에 유리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보호재가 밀착되어 구비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기재에 사용되는 직물층이 울거나, 온도 및 습도에 의한 컬의 발생이 예방된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에서는, 점착제를 구성하는 연성 단량체(반응성 단량체라고도 한다)와 경성 단량체(비반응성 단량체라고도 한다)를 적절히 배합하는 것으로 유리전이온도(Tg), 겔 분율, 스테인리스와 같은 기재와 유리와 같은 보호재에 대한 전단강도를 제어함으로써, 내구신뢰성이 우수하고, 양면 점착 성능를 가지는 점착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양면 점착제 및 양면 테이프는 중간에 기재를 두고 기재의 양면에 점착 물질층을 형성하여 제조되나,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중간에 기재 없이도 양면에 점착 성능 구현이 가능하므로, 외부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더라도 기재에 의한 열 팽창 또는 열 수축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물성이 우수하여, 외장재의 내구성을 위한 유리와 같은 보호재와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 간의 점착에 사용될 때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단 강도와 내구 신뢰성이 우수한 외장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내충진성이 우수하여 기재에 표현된 이미지의 굴곡에도 점착제가 충진되지 않아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된 기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필름 형 점착제를 사용한 외장재는 가구 또는 전자제품 등에 사용할 때, 높은 박리강도와 우수한 내부 응집력을 가지므로, 다양한 기재에 적용시킬 수 있어, 새로운 차원의 외장재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고급스럽고 우아하며, 스타일리쉬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점착제를 이용하는 가구 또는 가전제품 등의 외장재는 기존의 원목 가구나 백색 가전의 이미지와 달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외향을 스타일리쉬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으면서, 고급스럽고 다양하게 연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제를 필름 형태로 구현하는 것으로, 양면 점착 성능은 가지나 기재는 필요하지 않은 무기재 (Non-carrier film, NCF) 양면 점착 시트 및 테이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점착력과 응집력 등의 점착제 물성이 최적화되어, 내구신뢰성 및 박리성, 전단강도가 우수하며, 내충진성이 우수하여 외 장재에 대한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은 조건들은 점착제 성분 중에서 유기 용매에 대해 비상용성을 나타내는 겔화된 부분의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분율이 60% 이상이고, 스테인리스와 같은 기재와 유리와 같은 보호재에 대한 전단강도가 20~500 N/in2인 것으로 달성되었다.
[수학식 1]
겔 분율 = m/M×100 (m = m'- F)
(여기서, M은 점착제 전체 질량이고, m은 점착제 중 겔화된 부분의 질량이다)
구체적으로, 점착제의 겔 분율이 60% 미만이 되면 장 시간이 경과하거나 고온의 경우 응집력이 떨어질 수 있어서 전단강도가 감소되어 목적하는 위 조건들을 달성할 수 없다. 겔 분율은 7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점착수지의 단량체와 가교제 사이에 가교에 의한 공중합으로 이루어지는데, 가교가 일어난 부분은 겔(gel)화가 되어서 용매에 의해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겔 분율을 통해서 가교 반응 정도, 즉 경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에서 택 특성은 점착제를 이루는 단량체 성분 중에서 연성(부드러운) 단량체와 경성(단단한) 단량체의 배합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연성 단량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고 택특성이 증 가하게 되며 경성 단량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점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고 택 특성이 낮아지게 된다.
택 특성은 점착제의 끈적한 특성을 나타내는데, 택 특성이 증가하게 되면 점착제의 대상에 대한 젖음성(wetting)이 좋아져 대상에 잘 스며들게 되므로 점착제의 점착력이 높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량체의 연성(부드러움)과 경성(단단함)은 상대적인 의미로서 특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이 속하는 산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명확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에서 유리전이온도의 조절은 택 특성의 조절을 의미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0℃인 경우 목적하는 택 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30~0℃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 기재와 보호재 사이에 필름형 점착제가 사용될 때, 계면의 접착력과 점착제 내면의 응집력의 균형을 달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30℃ 미만이면 점착제의 택(tack) 특성이 증가되어서 점착력은 상승하나, 고온에서 점착제의 응집력이 감소하여 전단강도가 취약하게 되며,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0℃ 을 초과하면 점착제의 내열성이나 응집력은 증가하나 점착제의 택(tack) 특성이 감소되어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기재와 유리와 같은 보호재 사이의 계면이 약해져 전체적으로 전단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에서는 둘 이상의 상이한 특성의 단량체들 을 공중합하는 것으로 -30~0℃ 의 유리전이온도와 목적하는 택 특성을 달성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화 가능한 관능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외장재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시각적으로 헤이즈나 색상이 없어야 하며 광학적 특성이 우수해야 하므로, 점착제 수지로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천연고무계, 합성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수지가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점착제는 연성 단량체 50~90 중량부, 경성 단량체 1~48중량부, 및 가교 관능기를 가지는 가교 단량체 1~1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연성 단량체는 본 발명의 점착제에 유연성과 점착력을 부여하며, 경성 단량체는 본 발명의 점착제에 응집력을 부여하며, 가교 단량체는 연성 단량체와 경성 단량체를 공중합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연성 단량체로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성 단량체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교 단량체는 비닐계 단량체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바람직한 일례로 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과 같은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외장재는 보호재와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를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로 서로 접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호재는 유리 또는 강화 유리로 이루어져, 기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가구나 가전 제품 등에 시각적 아름다움을 부가한다.
그리고, 기재의 표면에는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다양한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으며, 그 재질로는 스테인리스(SUS)나 금속판, 또는 고분자 필름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는 기재 없이 양면에 점착 성능을 나타내며, 영구 점착 성능을 가지게 되므로, 가구나 가전 제품 등을 위한 외장재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점착제 공중합체(아크릴 공중합체)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주입 장치가 구비된 500ml의 화학 반응기에, 연성 단량체, 경성 단량체 및 가교 단량체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순서대로 도입하고,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100g을 가하고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니트릴(AIBN) 0.02g을 첨가 한 후, 질소 기류 하에서 55℃에서 10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 후 중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00g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목적하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필름형 점착제 제조
수득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 2.0 중량부를 투입하고 적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중박리 시트로 2축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RPC-101, (주)도레이새한)의 실리콘 이형코팅면에 코팅하여 건조하여, 25㎛의 균일한 필름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이후에 필름형 점착제에 경박리 시트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 RPS-101, (주)도레이새한)로 합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보관하여 충분히 숙성하여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를 완성하였다.
여기서, 경박리와 중박리 시트는 필름형 점착제의 양면을 각각 보호하는 보호 시트인데, 서로 박리력이 차이가 나도록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필름형 점착제가 양면 점착 성능을 가지므로, 필름형 점착제를 보호하는 양 시트의 박리력이 동일하게 되면 하나의 시트를 박리할 때 다른 시트도 박리되는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리력 차이는 경박리 시트의 경우 낮을수록 좋으며 중박리 시트의 경우 높을수록 우수하다. 경박리 시트의 경우 1~10g, 중박리 시트의 경우 2~30g 정도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연성 단량체 n-BA
80g
n-BA
80g
n-BA
75g
n-BA
75g
n-BA
95g
n-BA
100g
경성 단량체 MMA
20g
MMA
20g
MMA
25g
MMA
25g
MMA
5g
-
가교 단량체 AA 5g
2-HEA 1g
AA 10g
2-HEA 1g
AA 5g
2-HEA 1g
AA 10g
2-HEA 1g
AA 5g
2-HEA 1g
AA 5g
2-HEA 1g
유리전이 온도 Tg(℃) -27 -25 -24 -22 -43 -47
n-BA : n-부틸아크릴레이트
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AA : 아크릴 산
2-HEA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와 같은 실시예 1 내지 4,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겔 함량, 박리강도, 전단강도, 내충진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겔 함량 측정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겔 분율은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측정되나, 점착제에서 용해되지 않은 수지의 질량(m)을 직접 구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아래와 같이 제조된 점착제를 용해시킨 후, 이를 필터를 통해 여과시키고, 겔화된 수지가 걸러진 필터의 무게(m')에서 사용한 필터의 무게(F)를 차감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 약 0.2g을 취하여 200 메쉬 스테인레스 망에 보관한 후, 에틸아세테이트(EtAc) 50g을 첨가하고 3일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용해되지 않고 겔 상태로 남아 있는 성분을 걸러내었다. 그리고 100℃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고 난 후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잔류하는 질량을 측정하고 초기의 질량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구하였다.
겔 분율 = m/M×100 (m = m'-F)
M은 점착제 전체의 질량이고, m은 점착제 중 겔화가 되어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되지 않은 점착제 수지의 질량이고, m'는 필터로 사용된 메쉬 스테인레스 망에 겔화된 점착제 전체의 무게이고, F은 메쉬 스테인레스 망 자체의 무게를 나타낸다.
박리강도 평가
실시예 1 내지 4,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 한 후 100㎛ PET 필름에 적층하고,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적층 필름을 폭 25mm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비-알칼리성 유리판에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부착시켰다. 그후, 50℃ 온도 조건, 0.5 MPa 압력 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 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켐인스트루먼트(ChemInstruments) 사의 AR-1000를 사용하여 박리각도를 180°로 하고, 박리속도를 300mm/min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전단강도 평가
내열 처리 전:
실시예 1 내지 4,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 한 후 100㎛ PET 필름에 적층하고,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하였다. 그 후, 적층 필름을 가로 세로 모두 1 인치로 절단하였다.
그리고 비-알칼리성 유리판에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부착시켰다. 그후 50℃ 온도 조건, 0.5 MPa 압력 조건 하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 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인스트론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300mm/min 의 속도로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내열 처리 후:
경시 안정성을 평가 하기 위해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한 샘플을 85℃의 건조 오븐에서 120 시간 동안 방치하여 내열처리 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내충진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4,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에서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 한 후, 200mm x 200mm 사이즈의 강화 유리에 적층하여 외장재 반제품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외장재 반제품에서 중박리 시트를 제거 한 후, 무늬가 에칭된 스테인리스에 적층한 후 60℃ 온도 조건, 0.5 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1 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 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에칭된 부분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무늬에 충진되었는지 여부를 아래와 같이 판단하였다.
○ :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자국에 충진되지 않은 상태
△ :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자국에 일부 충진된 상태
X : 필름형 점착제가 에칭 자국에 충진 된 상태
구분 겔 함량
(%)
박리강도
(N/inch)
전단강도(N/inch2) 내충진성
내열처리전 내열처리후
실시예 1 61 15 241 318
실시예 2 80 17 285 361
실시예 3 67 12 251 304
실시예 4 78 14 260 327
비교예 1 48 13 143 189
비교예 2 51 10 87 108 X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필름형 점착제는 겔 함량이 60% 미만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는 겔함량이 60% 이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비교예 1 및 2의 필름형 점착제는 내열 처리전과 후 모두 전단 강도가 낮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는 내열 처리 전과 후 모두 전단 강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는 내충진성이 모두 우수하여 필름형 점착제가 기재에 형성된 에칭 자국에 충진되지 않으나,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는 기재에 형성된 에칭 자국에 충진되어 이미지의 미감을 저감시켜 외장재에의 적용이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는 비교예 1 및 2에 의해 제조된 필름형 점착제에 비해 박리 강도 역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양면에 점착 성능을 가지며, 기재 없이 필름 형태로 구비되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측정되는 겔 분율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점착제.
    [수학식 1]
    겔 분율 = m/M×100
    (여기서, M은 점착제 전체 질량이고, m은 점착제 중 겔화된 부분의 질량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 점착제를 위한 점착제 수지가 천연고무계, 합성고무계,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필름형 점착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필름형 점착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수지가
    50 내지 90 중량부의 연성 단량체, 1 내지 48 중량부의 경성 단량체,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필름형 점착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단량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이고,
    상기 경성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이고,
    상기 가교 단량체는 비닐계 단량체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바람직한 일례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과 같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또는 아크릴 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과 같은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선택된 둘 이상의 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필름형 점착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에 각각 서로 박리력이 상이한 보호 시트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필름형 점착제.
  7. 유리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보호재;
    표면에 이미지가 구현되어 있는 기재; 및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 사이에 상기 기재와 상기 보호재를 동시에 점착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름형 점착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장재.
KR1020080135421A 2008-12-29 2008-12-29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KR10107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421A KR101071103B1 (ko) 2008-12-29 2008-12-29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421A KR101071103B1 (ko) 2008-12-29 2008-12-29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476A true KR20100077476A (ko) 2010-07-08
KR101071103B1 KR101071103B1 (ko) 2011-10-07

Family

ID=4263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421A KR101071103B1 (ko) 2008-12-29 2008-12-29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47B1 (ko) * 2010-12-30 2013-1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CN103450818A (zh) * 2012-06-05 2013-12-18 祐鼎(福建)光电材料有限公司 使用透明压克力单体的光学胶
WO2019045336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두산 무기재형 실리콘 점착필름
CN115071242A (zh) * 2022-07-20 2022-09-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盖板及包含该显示盖板的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75B1 (ko) * 2009-11-12 2012-08-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547B1 (ko) * 2010-12-30 2013-1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필터
CN103450818A (zh) * 2012-06-05 2013-12-18 祐鼎(福建)光电材料有限公司 使用透明压克力单体的光学胶
CN103450818B (zh) * 2012-06-05 2015-10-28 祐鼎(福建)光电材料有限公司 使用透明压克力单体的光学胶
WO2019045336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두산 무기재형 실리콘 점착필름
KR20190024386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두산 무기재형 실리콘 점착필름
CN115071242A (zh) * 2022-07-20 2022-09-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盖板及包含该显示盖板的显示装置
CN115071242B (zh) * 2022-07-20 2024-05-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盖板及包含该显示盖板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103B1 (ko) 201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38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P2644670B1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display device for touch panel including same
KR101824852B1 (ko) 점착 시트
WO2011129200A1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CN110105896A (zh) 一种曲面屏幕保护膜及其制备方法
JP5174204B2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JP5254766B2 (ja) 積層シート、それを貼り付けた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37653B1 (ko)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KR101548411B1 (ko) 고온에서의 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071103B1 (ko) 필름형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TW201127929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H04216886A (ja) 耐ブリスター性粘着シート
CN103865445A (zh) 粘结剂层及粘结膜
CN103865409A (zh) 粘结剂层及粘结膜
JP2008101168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KR20150016561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02372619A (ja) 電子ディスプレイ用着色粘着剤付フィルム
JP2008127431A (ja) 粘着剤組成物
JP2017106000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150072357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부착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H09145925A (ja) 粘着型偏光板
KR101171275B1 (ko) 무기재 점착필름, 이를 이용한 점착 테이프 및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외장재
JP5997405B1 (ja) 粘着剤組成物及び積層体
TWI793330B (zh) 雙面黏著帶
JP2012207194A (ja) 透明両面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