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058A -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058A
KR20100077058A KR1020107013505A KR20107013505A KR20100077058A KR 20100077058 A KR20100077058 A KR 20100077058A KR 1020107013505 A KR1020107013505 A KR 1020107013505A KR 20107013505 A KR20107013505 A KR 20107013505A KR 20100077058 A KR20100077058 A KR 20100077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nob
operator
electric circuit
closing opera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오니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Landscapes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개폐조작장치의 조작손잡이를 개인차에 의하지 않고, 올바르게 잡고 개폐조작을 안정하여 조작할 수 있는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를 얻는다. 조작손잡이(6b)에는 홈(6d)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조작원은 그 엄지의 복면(腹面)을 자연스럽게 홈(6d)에 끼워넣는 상태로 하여 조작손잡이(6b)를 잡을 수 있다. 잡은 상태에서 조작손잡이(6b)를 용이하게 우회전 조작하여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의장패널(6c)과 조작손잡이(6b)와의 사이에 손톱 들어감 방지수단을 마련하면, 조작원의 손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ELECTRIC CIRCUIT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컨트롤센터의 기능유니트에 설치된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JEM-1195(JEM : 일본전기공업회 규격)에는 컨트롤센터의 기능유니트란, 어느 기능을 만족하는데 필요한 주회로 및 보조회로의 기기를 구비한 모터컨트롤센터의 1회로구성 단위로 규정되어 있다. 이 기능유니트 내에는, 통상, 단락시의 통전을 안전하게 차단할 목적으로 차단기가 탑재되어 있다. 차단기에는 이 차단기의 개폐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아울러, 차단기가 ON상태에서는 기능유니트를 인출할 수 없게 하는 인터락(interlock)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조작손잡이를 가지는 외부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배선용 차단기에 외부조작 핸들장치(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를 장착하는 데에 장착자리를 마련하여 이들을 나사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와 함께 반(盤)패널에 체결하고, 다음으로 이 장착자리에 외부조작 핸들장치를 나사로 체결하고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컨트롤센터의 기능유니트에 설치된 조작손잡이를 조작할 때, 후술의 도 10 ~ 도 1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개인차에 의해 조작손잡이의 잡는 방법이 달라, 잘못된 잡는 방법으로 조작을 하려고 하면, 필요한 힘이 들어가지 않고 조작할 수 없는 경우나, 조작을 할 수 있었을 경우에도 손가락에 멍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대형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의 경우에는 조작하중이 커지므로 상기의 문제가 한층 커진다.
또 올바른 잡는 방법으로 조작했을 경우에도 조작원의 손톱의 길이에 따라서는 조작손잡이와 조작손잡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의장패널과의 사이에 손톱이 들어가 걸리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특개평6-519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를 감안하여, 조작손잡이를 잡는 조작원에게 조작손잡이를 취급하기 쉽고, 힘이 들어가기 쉬운 잡는 방법을 감지시키는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손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를 안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는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개폐조작하는 조작손잡이를 가지고, 상기 조작손잡이에는 그것을 잡는 조작원의 엄지의 위치를 지정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는 상기 조작손잡이와 이것에 대향하는 본체의 외면과의 대향간(對向間)에 조작원의 손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손톱 들어감 방지수단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에 의하면, 조작손잡이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그것을 잡는 조작원에게 조작손잡이를 취급하기 쉽고, 힘이 들어가기 쉬운 잡는 방법을 감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손톱 들어감 방지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손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를 안정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이외의 목적, 특징, 관점 및 효과는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조작원이 조작손잡이를 올바르게 잡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서의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조작원이 조작손잡이를 올바르게 잡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서 의장패널로부터 스페이서가 부착된 조작손잡이를 떼어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에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조작손잡이를 잡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조작손잡이를 잡은 다른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에서 조작손잡이를 잡은 상태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실시형태 1.
도 1 ~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에 대해 실시형태 1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1은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이하 간단히 '개폐조작장치'로 약칭함)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3의 확대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조작원이 조작손잡이를 올바르게 잡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한편, 도 10은 종래의 개폐조작장치에서의 상기 도 3에 대응하는 부분확대도, 도 11은 상기 도 4에 대응하는 확대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조작손잡이를 잡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컨트롤센터의 기능유니트(1a)는 전원과 접속되는 접속자(1b)를 가지고, 또 배선용 차단기(1c), 본 발명의 개폐조작장치의 일례로서의 개폐조작장치(1d), 전류센서·영상(零相) 변류기(1e), 전자개폐기(1f), 제어회로 보호퓨즈(1g), 제어회로용 단자대(1h), 각종 순서를 실현하기 위한 전자 계전기(1j) 및 기능유니트로부터 부하에 전력을 보내기 위한 커넥터(1k)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 도 5, 도 10 및 도 11에서 개폐조작장치(1d)는 조작손잡이(6b), 조작손잡이(6b)에 형성된 홈(6d) 및 개폐조작장치(1d)의 ON-OFF상태를 표시하는 의장패널(6c)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홈(6d)은 조작손잡이(6b)의 길이방향의 좌측면(도 3에서는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른손잡이의 손잡이 조작원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엄지의 복면(腹面)을 자연스럽게 홈(6d)에 끼워넣는 상태로 하여 조작손잡이(6b)를 잡게 된다. 그 상태에서 조작손잡이(6b)를 용이하게 우회전 조작하여 OFF상태로부터 ON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조작원이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조작손잡이(6b)의 우측면(도 3에서는 상측면) 위에 상기 홈(6d)에 대신하는 홈을 형성하여 우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손잡이 조작원이 오른손잡이인 자와 왼손잡이인 자가 교대하는 경우에는 조작손잡이(6b)의 좌우면의 각각에 홈(6d)을 형성해 두면 된다. ON상태로부터 OFF상태로 할 때에는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조작손잡이(6b)를 좌회전 조작하게 된다. 또한 홈(6d)의 면적, 최대 깊이 및 형상 등에 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요점은 조작손잡이(6b)를 잡은 조작원이 자연스럽게 그 위치를 인식 가능하면 된다.
상기에 대해서 홈(6d)이 형성되지 않은 종래기술에서는 손잡이 조작원은 조작손잡이(6b)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끝으로 잡거나 혹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을 돌려서 잡거나 하게 되고, 그 결과, 힘이 들어가기 어렵고 또 손가락이나 팔이 아프게 되는 문제가 생겨 무리하게 조작하면, 손가락에 멍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실시형태 2.
도 6 ~ 도 9는 본 발명의 개폐조작장치에 대한 실시형태 2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6은 상기 도 3과 동일한 상기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6의 확대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조작원이 조작손잡이를 올바르게 잡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의장패널로부터 스페이서가 부착된 조작손잡이를 떼어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4는 종래의 개폐조작장치에서 조작손잡이를 잡은 상태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9에서 의장패널(6c)과 조작손잡이(6b)와의 사이에는 손톱 들어감 방지수단인 성상체(盛上體, protuberant body)의 일례로서의 원반모양의 스페이서(6e)가 끼워 설치되어 있고, 스페이서(6e)는 조작손잡이(6b)와 맞물려 결합되며, 조작손잡이(6b)의 회동과 함께 스페이서(6e)도 회동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6d)의 윤곽은 대략 타원모양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원의 손톱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조작원의 엄지가 홈(6d) 내에 위치하도록 조작손잡이(6b)를 잡음으로써,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조작손잡이(6b)에 홈(6d)이 없고, 또 스페이서(6e)도 없는 종래의 조작손잡이(6b)의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장패널(6c)과 조작손잡이(6b)와의 사이에 조작원의 손톱이 들어가, 조작손잡이(6b)의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손톱을 다치는 사고마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 1, 2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형태 1, 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의 정신에 준거한 각종의 변형 형태도 포함한다. 조작손잡이로서도 도 3이나 도 6에 나타내는 형상 이외의 형상의 것이라도 된다.

Claims (4)

  1.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개폐조작하는 조작손잡이를 가지고, 상기 조작손잡이에는 그것을 잡는 조작원의 엄지의 위치를 지정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손잡이와 이것에 대향하는 본체의 외면과의 대향간(對向間)에 상기 조작원의 손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손톱 들어감 방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톱 들어감 방지수단은 상기 조작손잡이와 이것에 대향하는 본체의 외면과의 대향간에 끼워 설치된 스페이서이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조작손잡이와 맞물려 상기 조작손잡이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배선용 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KR1020107013505A 2008-04-22 2008-04-22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KR20100077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7765 WO2009130763A1 (ja) 2008-04-22 2008-04-22 電気回路開閉操作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058A true KR20100077058A (ko) 2010-07-06

Family

ID=4121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505A KR20100077058A (ko) 2008-04-22 2008-04-22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12498B2 (ko)
KR (1) KR20100077058A (ko)
CN (1) CN101978457A (ko)
TW (1) TW200945399A (ko)
WO (1) WO20091307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3339A (en) * 1975-02-07 1978-10-31 Andco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contaminant removal from liquid media
JPS51103672U (ko) * 1975-02-19 1976-08-19
JPS6222882Y2 (ko) * 1980-01-17 1987-06-11
JPS5942581B2 (ja) * 1980-01-31 1984-10-16 宇部興産株式会社 自硬性鋳物砂組成物
JPS596225A (ja) * 1982-07-02 1984-01-13 Toyo Ink Mfg Co Ltd 着色用組成物
JPS596225U (ja) * 1982-07-02 1984-01-14 東亜特殊電機株式会社 回転つまみ
JPH0337727A (ja) * 1989-07-04 1991-02-19 Nec Corp コンパイラにおける最適化方式
JPH065191A (ja) * 1992-06-23 1994-01-14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4127137B2 (ja) * 2003-07-03 2008-07-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JP4872756B2 (ja) * 2007-03-30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8457A (zh) 2011-02-16
JPWO2009130763A1 (ja) 2011-08-11
JP4912498B2 (ja) 2012-04-11
TW200945399A (en) 2009-11-01
WO2009130763A1 (ja)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0261B2 (en) Variable speed switch
CN104167314B (zh) 布线管连接装置
US20140028223A1 (en) Power Tool Having Display That Displays Residual Capacity Of Battery
CN105304370A (zh) 车辆用开关装置
EP3141357A1 (en) Electric scissors
JP5505879B2 (ja) 回路遮断器
KR20100077058A (ko) 전기회로 개폐조작장치
JP6353012B2 (ja) リングメインユニッ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EP3677466A1 (en) Electric saddled vehicle
WO2016042761A1 (ja) 感電保護構造及び方法、電気機器筐体
JP5111569B2 (ja) 試験支援器具および低圧気中遮断器の試験方法
EP2875904A1 (en) Switching device for electrically driveable garden tools
US10121620B2 (en) Control unit and actuator with control unit
US8217290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charging assembly and charging handle therefor
EP2317611B1 (en) Fused interlocked socket with rotary disconnect switch
US20220238291A1 (en) Industrial cut-off switch for visual identification of power system cut-off status
FR2835589A1 (fr) Appareil de manoeuvre a deux mains a commande electronique
JP2003068380A (ja) 開閉器の端子装置
KR940006740Y1 (ko) 승용차 뒷좌석 아암레스트 내부공간을 이용한 리모트콘트롤 안착장치
KR101138189B1 (ko) 분리형 레버를 이용한 잠금식 배선용 차단기
KR20160146174A (ko) 전자석 트렁크 개폐장치
JP2007014521A (ja) フードプロセッサー
JP6604898B2 (ja) プラグのアタッチメント
JP2016051684A (ja) サービスプラグ取付構造
JP5950412B2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