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885A - 전해 콘덴서 - Google Patents

전해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885A
KR20100076885A KR1020090128172A KR20090128172A KR20100076885A KR 20100076885 A KR20100076885 A KR 20100076885A KR 1020090128172 A KR1020090128172 A KR 1020090128172A KR 20090128172 A KR20090128172 A KR 20090128172A KR 20100076885 A KR20100076885 A KR 20100076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oil
foil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마사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사가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사가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5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 H01G9/151Solid electrolytic capacitors with wound foil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 H01G9/012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soli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Diaphragms;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25Solid electrolytes
    • H01G9/028Organic semiconducting electrolytes, e.g. TCN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양(음)극박이나 격리판지의 어긋 감김이 억제되는 전해 콘덴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음극박의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일방측에 제1 양극박이 배치되고, 음극박의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타방측에 제2 양극박이 배치되어 있다. 음극박의 제1 부분과 제1 양극박 사이에 제1 격리판지가 배치되고, 음극박의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음극박에 대해 타방측에 제2 격리판지가 배치되어 있다. 음극박의 제2 부분과 제2 양극박 사이에 제3 격리판지가 배치되고, 음극박의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음극박에 대해 타방측에 제4 격리판지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해 콘덴서{Electrolytic Capacitor}
본 발명은 전해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극 부재 및 음극 부재 등을 감아 돌린 전해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해질로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푸란 또는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 재료, 혹은 TCNQ 착염(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을 이용한 전해 콘덴서가 주목받고 있다. 이런 종류의 전해 콘덴서에서는 양극박과 음극박을 격리판(separator)을 개재시켜 감음으로써 형성된 콘덴서 소자가 알루미늄의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다. 양극박은 유전체 산화 피막을 형성한 알루미늄박이 적용되고, 음극박은 알루미늄박이 적용된다.
이러한 알루미늄박을 적용한 종래의 전해 콘덴서의 양극박 및 음극박 등의 감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모양의 양극박(140), 음극박(141) 및 2개의 격리판지(紙)(106,107)가 준비되고, 이것들이 양극박(140)과 음극박(141) 사이에 한쪽의 격리판지(106)가 끼워 넣어지 는 동시에, 한쪽의 격리판지(106)와 다른쪽의 격리판지(107) 사이에 양극박(140)이 끼워 넣어진 태양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양극박(140) 및 음극박(141)에는 완성한 전해 콘덴서에 있어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되는 양극 리드선(151)과 음극 리드선(152)이 각각 리드 탭 단자(15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된 양극박(140), 음극박(141) 및 격리판지(106,107)의 일단측을 권심(131a,131b)에 끼워 넣고, 그 상태로 권심(131a,131b)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일단측으로부터 양극박(140) 및 음극박(141) 등이 감아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102)가 형성된다.
그런데, 고체 전해질로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한 고체 전해 콘덴서에서는 ESR(등가 직렬 저항; Equivalent Series Resistance)의 저감이 요구되고, 또 그러한 낮은 ESR의 전해 콘덴서의 수요도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양극박 및 음극박 등을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전해 콘덴서(권회식 전해 콘덴서)에서는 추가적인 ESR의 저감에는 한계가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응하는 권회식 전해 콘덴서로서,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서 복수매의 양극박을 적용한 전해 콘덴서를 제안하였다. 복수의 양극박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양극 리드선의 개수도 복수가 되어 멀티(다) 단자가 된다. 예를 들어, 양극 리드선의 개수를 2개로 하면 음극 리드선의 개수도 2개가 되어, 합계 4개의 리드선이 콘덴서 소자에 접속되게 된다.
특히, 멀티 단자의 경우에는 2 단자의 경우에 비해 양극박 등에서의 리드 탭 단자의 설치 위치가 리드 탭 단자의 인출 위치 및 감는 방향과의 관계에서 보다 제 약을 받는다. 여기서, 그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2 단자의 전해 콘덴서의 경우에는 양극박에서의 리드 탭 단자가 접속되는 위치에 의해 감은 후의 콘덴서 소자에서의 리드 탭 단자의 위치가 정해져 버린다. 이 때문에, 리드 탭 단자를 접속하는 위치는 용이하게는 변경할 수 없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양극박(161)의 일단측(A)로부터 감는 경우에 양극박(161)의 길이를 C(예를 들어, 약 120 ㎜ 정도)로 하면, 리드 탭 단자를 다는 위치(163)는 일단측(A)으로부터 거리b(약 30 ㎜ 정도)의 위치가 된다.
다음에, 멀티 단자의 전해 콘덴서로 2매의 양극박을 적용한 전해 콘덴서를 상정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ESR를 최대한으로 억제하고 나서, 2매의 양극박(161a,161b)의 치수를 동일한 치수(C/2)로 하고, 각각의 양극박(161a,161b)의 긴 방향의 중앙 부근에 리드 탭 단자를 다는 위치(163a,163b)를 설정한 배치가 이상적인 배치로 여겨진다.
그런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박(161a)의 일단측(A)으로부터 감기 시작하는 경우에는 감은 후의 리드 탭 단자의 피치 및 배치 관계를 고려하면, 1개째의 리드 탭 단자를 접속하는 위치(163a)는 일단측(A)으로부터 약 30 ㎜의 위치에 접속할 필요가 있고, 2개째의 리드 탭 단자를 접속하는 위치(163b)는 1개째의 리드 탭 단자를 접속하는 위치(163a)로부터 약 6 ㎜의 위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각각 동일한 치수의 2매의 양극박(161a,161b)에서는 한쪽의 양극박(161a)에 2개의 리드 탭 단자가 접속되고, 다른쪽의 양극박(161b)에는 리드 탭 단자가 접속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1개째의 리드 탭 단자를 한쪽의 양극박에 접속하고, 2개째의 리드 탭 단자를 다른쪽의 양극박에 접속하려고 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양극박(161a,161b)의 길이(D,E)를 바꿀 필요가 있어, 한쪽의 양극박(161a)의 길이(D)는 약 35∼45 ㎜가 되고, 다른쪽의 양극박(161b)의 길이(E)는 약 85∼80 ㎜가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멀티 단자인 경우에 있어서, 양극박의 일단측으로부터 감기 시작하는 수법에서는 1개째의 리드 탭 단자와 2개째의 리드 탭 단자의 접속 위치의 제약으로부터 상기의 이상적인 배치를 채용할 수 없다.
발명자들은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문헌(일본 특개2007-173773호 공보)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고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박 등(양극박(103,104), 음극박(105) 및 격리판지(106,107))을 그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감는 수법을 제안하였다. 또, 발명자들은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감기 시작할 때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격리판지(106,107) 사이에 음극박(105)을 끼워 넣은 상태로 권심(131a,131b)에 의해 감는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이 경우 제1 양극박(103)에는 리드 탭 단자(150)를 통해 제1 양극 리드선(111)이 접속되고, 제2 양극박(104)에는 리드 탭 단자(150)를 통해 제2 양극 리드선(112)이 접속되어 있다. 또, 음극박(105)에는 각각 리드 탭 단자(150)를 통해 제1 음극 리드선(113)과 제2 음극 리드선(114)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전해 콘덴서의 일련의 개발의 일환으로 추가적인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양(음)극박이나 격리판지의 어긋 감김이 억제되는 전해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해 콘덴서는 각각 띠모양의 음극박,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제1 격리판지, 제2 격리판지, 제3 격리판지 및 제4 격리판지를 감아 돌린 전해 콘덴서로서, 음극박과 제1 양극박과 제2 양극박과 제1 격리판과 제2 격리판과 제3 격리판과 제4 격리판을 구비하고 있다. 음극박은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단측의 제1 단부에 도달하는 제1 부분과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의 제2 단부에 도달하는 제2 부분을 대향시키는 태양으로, 긴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감기 시작함으로써 감아 돌려지고 있다. 제1 양극박은 감아 돌려진 음극박 중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제1 부분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양극박은 감아 돌려진 음극박 중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에 대향하도록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격리판은 음극박의 제1 부분과 제1 양극박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격리판은 음극박의 제1 부분과 제2 양극박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격리판은 제2 양극박과 음극박의 제2 부분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 격리판은 음극박의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제2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해 콘덴서는 각각 띠모양의 음극박,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제1 격리판지, 제2 격리판지, 제3 격리판지 및 제4 격리판지를 감아 돌린 전해 콘덴서로서, 이하와 같이 감아 돌려진 콘덴서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즉, 콘덴서 소자는 제1 양극박을, 음극박 중,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단측의 제1 단부에 도달하는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음극박에 대해 제1방측에 배치하고, 제2 양극박을, 음극박 중,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의 제2 단부에 도달하는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음극박에 대해 제1방측과는 반대인 제2방측에 배치하고, 제1 격리판을 음극박의 제1 부분과 제1 양극박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하고, 제2 격리판을 음극박의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음극박에 대해 제2방측에 배치하고, 제3 격리판을 음극박의 제2 부분과 제2 양극박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하고, 제4 격리판을 음극박의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음극박에 대해 제1방측에 배치하고, 음극박에서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대향시키는 태양으로, 음극박의 긴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음극박,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제1 격리판, 제2 격리판, 제3 격리판 및 제4 격리판을 소정의 방향으로 감기 시작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전해 콘덴서에 의하면, 음극박의 제1 양극박측에 음극박의 긴 방향에 대해 제1 격리판과 제4 격리판의 2개의 격리판이 배치되고, 제2 양극박측에 제2 격리판과 제3 격리판의 2개의 격리판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음극박 및 4개의 격리판을 감을 때에 권심을 음극박에 직접 접촉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음극박 및 격리판의 어긋 감김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해 콘덴서에 의하면, 음극박의 제1방측에 제1 격리판과 제4 격리판의 2개의 격리판이 배치되고, 음극박의 제2방측에 제2 격리판과 제3 격리판의 2개의 격리판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음극박의 긴 방향에 격리판이 2분되고,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음극박 및 4개의 격리판을 감을 때에 권심을 음극박에 직접 접촉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음극박 및 격리판의 어긋 감김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이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해 콘덴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해 콘덴서의 콘덴서 소자는 각각 띠모양의 2매의 양극박과 1매의 음극박과 4매의 격리판지를 감음으로써 형성된다. 양극박으로, 예를 들어 에칭 처리 및 화성 처리를 실시한 알루미늄박이 적용된다. 또, 양극박과 대향하는 음극박으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이 적용된다.
콘덴서 소자의 분해 사시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띠모양으로 연재(延在)하는 음극박(5) 중,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단측의 제1 단부에 도달하는 제1 부분(5a)과 대향하도록 음극박(5)에 대해 일방측에 제1 양극박(3)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음극박(5) 중,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의 제2 단부에 도달하는 제2 부분(5b)과 대향하도록 음극박(5)에 대해 일방측과는 반대인 타방측에 제2 양극박(4)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음극박(5)의 제1 부분(5a)과 제1 양극박(3) 사이에 개재하도록 제1 격리판지(6)가 배치되고, 음극박(5)의 제1 부분(5a)과 대향하도록 음극박(5)에 대해 타방측에 제2 격리판지(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박(5)의 제2 부분(5b)과 제2 양극박(4) 사이에 개재하도록 제3 격리판지(8)가 배치되고, 음극박(5)의 제2 부분(5b)과 대향하도록 음극박(5)에 대해 일방측에 제4 격리판지(9)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양극박(3)에는 리드 탭 단자(10)를 통해 제1 양극 리드선(11)이 접속되고, 제2 양극박(4)에는 리드 탭 단자(10)를 통해 제2 양극 리드선(12)이 접속되어 있다. 또, 음극박(5)에는 각각 리드 탭 단자(10)를 통해 제1 음극 리드선(13)과 제2 음극 리드선(14)이 접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콘덴서 소자에서는 음극박(5)에 대해 일방측에는 제1 격리판지(6)와 제4 격리판지(9)가 배치되고, 또 음극박(5)에 대해 타방측에는 제2 격리판지(7)와 제3 격리판지(8)가 배치되어 있다. 즉, 음극박(5)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격리판지는 음극박(5)의 긴 방향에 대해 2개로 나누어져 있다.
다음에,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박(5)의 긴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음극박(5)을 직접 끼워 넣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도 1에 나타내는 배치 태양으로 제3 격 리판지(8), 제2 양극박(4), 제1 격리판지(6), 제1 양극박(3)이 끼워 넣어지고, 또한 제2 격리판지(7)(도시하지 않음) 및 제4 격리판지(9)(도시하지 않음)가 끼워 넣어져,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2)가 되는 제1 양극박(3), 제2 양극박(4), 음극박(5) 및 제1 격리판지(6)∼제4 격리판지(9)가 감아 돌려진다.
이렇게 하여, 음극박(5)은 긴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단측의 제1 단부에 도달하는 제1 부분(5a)과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의 제2 단부에 도달하는 제2 부분(5b)을 대향시키는 태양으로, 소정의 방향으로 감기 시작되어 감아 돌려진다. 제1 양극박(3)은 감아 돌려진 음극박(5) 중,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5a)과 대향하도록 제1 부분(5a)보다 내측에 배치되게 된다. 제2 양극박(4)은 감아 돌려진 음극박(5) 중,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5b)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5a)에 대향하도록 제1 부분(5a)과 제2 부분(5b)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제1 격리판지(6)는 음극박(5)의 제1 부분(5a)과 제1 양극박(3)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제2 격리판지(7)는 음극박(5)의 제1 부분(5a)과 제2 양극박(4)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제3 격리판지(8)는 제2 양극박(4)과 음극박(5)의 제2 부분(5b)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제4 격리판지(9)는 음극박(5)의 제2 부분(5b)과 대향하도록 제2 부분(5b)의 외측에 배치되게 된다.
다음에, 콘덴서 소자(2)에 대해 양극박 등의 절단면 등에 화성 처리가 실시되고, 또한 온도 150℃∼300℃ 정도의 열처리가 실시된다. 다음에, 중합에 의해 도전성 고분자가 되는 모노머로 예를 들어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산화제 용액 으로 예를 들어 p-톨루엔 설폰산 제2철 알코올 용액의 혼합 용액을 콘덴서 소자(2)에 함침시킨다. 그 후, 열화학 중합시킴으로써 콘덴서 소자(2)의 양극 사이에 도전성 고분자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아울러, 전해질로는 이 외에 예를 들어 폴리피롤, 폴리푸란 또는 폴리아닐린 등의 도전성 고분자 재료, 혹은 TCNQ 착염(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을 이용해도 된다.
다음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2)에 봉지용 고무 패킹(21)이 장착되고, 콘덴서 소자(2)는 소정 크기의 알루미늄 케이스(20)에 수납된다. 다음에, 알루미늄 케이스(20)의 개구부가 옆조임(lateral drawing)과 컬링(curling)에 의해 봉지되고, 에이징 처리가 수행된다. 그 후, 알루미늄 케이스(20)의 컬 면에 플라스틱제의 좌판(22)이 장착되고, 양극 리드선 및 음극 리드선을 전극 단자로 하여 프레스 가공과 절곡(折曲) 가공을 함으로써 전해 콘덴서(1)가 완성된다.
[실시예 1]
다음에, 상술한 전해 콘덴서에 대해 수행한 어긋 감김의 평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해 콘덴서로는 4V 품(φ8 ㎜×L12.0 ㎜: 도 5 참조)의 전해 콘덴서를 평가 대상으로 하였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배치 구조의 전해 콘덴서를 비교예로 하고, 각각의 시료 수를 1,000으로 하였다. 그리고, X선에 의해 어긋 감김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처리 수 어긋 감김 발생 수
실시예(도 1) 1,000p 0p
비교예(도 13) 1,000p 9p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해 콘덴서에서는 처리 수(시료 수)가 1,000에 대해 어긋 감김이 생긴 전해 콘덴서는 0 이었다. 한편, 비교예에 관한 전해 콘덴서에서는 9개의 전해 콘덴서에 어긋 감김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어긋 감김에 의해 격리판지와 양극박 혹은 격리판지와 음극박이 상대적으로 어긋나고, 양극박과 음극박이 부분적으로 접촉하면, 전기적으로 단락하여 누설 전류(LC 특성)가 증가하거나 내압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 어긋 감김이 발생하면, 콘덴서 소자의 형상이 찌그러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전해 콘덴서로 조립할 때에 콘덴서 소자가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LC 특성, 내압 특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음에 상술한 전해 콘덴서에 대해 수행한 전기적 특성의 평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해 콘덴서로는 4V 품(φ8 ㎜×L 12.0 ㎜: 도 5 참조)의 전해 콘덴서를 평가 대상으로 하였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배치 구조의 전해 콘덴서를 비교예 1로 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배치 구조의 전해 콘덴서를 비교예 2로 하여, 각각의 시료수를 30으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단자 수 감아 돌린
방법
Cap.
(μF)
tan δ
(%)
ESR
(mΩ)
LC
(μA)
실시예 4 도 1 1,522 1.3 2.4 3
비교예 1 4 도 13 1,520 1.3 2.4 11
비교예 2 2 도 6 1,570 1.3 6.1 12
표 2에 있어서, Cap.은 정전 용량을 나타내고, tan δ는 유전 정접(dielectric loss tangent)을 나타낸다. ESR는 등가 직렬 저항을 나타내고, LC는 누설 전류를 나타낸다. 또, Cap.와 tan δ의 측정은 주파수 120 Hz 하에서 수행하고, ESR의 측정은 주파수 100 kHz 하에서 수행하였다. 또, LC는 정격 전압 인가 후 2분 후의 값으로 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전해 콘덴서에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하여 LC가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비교예 2에 대하여 ESR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전해 콘덴서에서는 어긋 감김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는 것이 실증되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전해 콘덴서에서는 격리판지(6,7,8,9)가 음극박(5)의 긴 방향에 대해 2개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제1 양극박(3), 제2 양극박(4), 음극박(5) 및 격리판지(6∼9)를 감을 때에, 권심(31a,31b)을 음극박(5)에 직접 접촉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양극박(3), 제2 양극박(4), 음극박(5) 및 격리판지(6∼9)의 어긋 감김이 없어져서, ESR이나 LC 등을 큰 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전해 콘덴서에서는 제1 양극박(3)에 제1 양극 리드선(11)을 접속하고, 제2 양극박(4)에 제2 양극 리드선(12)을 접속하며, 또 음극박(5)에 제1 음극 리드선(13)과 제2 음극 리드선(14)을 각각 접속하고, 리드선의 개수로는 합계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각 리드선의 수는 이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번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예시이며,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해 콘덴서에서의 콘덴서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공정이 수행된 후의 감아 돌려진 콘덴서 소자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공정 후에 수행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공정 후에 수행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전해 콘덴서에서의 콘덴서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공정 후에 수행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양극박과 탭 단자의 접속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평면도이다.
도 10은 양극박과 탭 단자의 접속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평면도이다.
도 11은 양극박과 탭 단자의 접속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3 평면도이다.
도 12는 양극박과 탭 단자의 접속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4 평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다른 전해 콘덴서에서의 콘덴서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다른 전해 콘덴서의 제조 방법의 한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
[부호의 설명]
1 전해 콘덴서, 2 콘덴서 소자, 3 제1 양극박, 4 제2 양극박, 5 음극박, 5a 제1 부분, 5b 제2 부분, 6 제1 격리판지, 7 제2 격리판지, 8 제3 격리판지, 9 제4 격리판지, 10 리드 탭 단자, 11 제1 양극 리드선, 12 제2 양극 리드선, 13 제1 음극 리드선, 14 제2 음극 리드선 20 알루미늄 케이스, 21 봉지용 고무 패킹, 22 좌판, 31a 권심, 31b 권심

Claims (6)

  1. 각각 띠모양의 음극박,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제1 격리판, 제2 격리판, 제3 격리판 및 제4 격리판을 감아 돌린 전해 콘덴서로서,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단측의 제1 단부에 도달하는 제1 부분과 상기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의 제2 단부에 도달하는 제2 부분을 대향시키는 태양으로, 상기 긴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감기 시작함으로써 감아 돌려진 음극박과,
    감아 돌려진 상기 음극박 중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부분보다 내측에 배치된 제1 양극박과,
    감아 돌려진 상기 음극박 중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양극박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양극박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 제1 격리판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양극박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 제2 격리판과,
    상기 제2 양극박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 제3 격리판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의 외측에 배치된 제4 격리판을 구비한 전해 콘덴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박의 소정의 위치에 접속된 제1 양극 리드선과,
    상기 제2 양극박의 소정의 위치에 접속된 제2 양극 리드선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1 부분에 접속된 제1 음극 리드선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2 부분에 접속된 제2 음극 리드선을 구비한 전해 콘덴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해질로 폴리피롤계, 폴리티오펜계 및 폴리아닐린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성 고분자 재료, 또는 TCNQ 착염(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을 포함하는 전해 콘덴서.
  4. 각각 띠모양의 음극박, 제1 양극박, 제2 양극박, 제1 격리판, 제2 격리판, 제3 격리판 및 제4 격리판을 감아 돌린 전해 콘덴서로서,
    제1 양극박을, 음극박 중,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일단측의 제1 단부에 도달하는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음극박에 대해 제1방측에 배치하고,
    제2 양극박을, 상기 음극박 중, 상기 긴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타단측의 제2 단부에 도달하는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음극박에 대해 상기 제1방측과는 반 대인 제2방측에 배치하고,
    제1 격리판을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1 양극박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하고,
    제2 격리판을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1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음극박에 대해 상기 제2방측에 배치하고,
    제3 격리판을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양극박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하고,
    제4 격리판을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2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음극박에 대해 상기 제1방측에 배치하고,
    상기 음극박에서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대향시키는 태양으로, 상기 음극박의 상기 긴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음극박, 상기 제1 양극박, 상기 제2 양극박, 상기 제1 격리판, 상기 제2 격리판, 상기 제3 격리판 및 상기 제4 격리판을 소정의 방향으로 감기 시작함으로써 형성된 콘덴서 소자를 구비한 전해 콘덴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박의 소정에 위치에 접속된 제1 양극 리드선과,
    상기 제2 양극박의 소정의 위치에 접속된 제2 양극 리드선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1 부분에 접속된 제1 음극 리드선과,
    상기 음극박의 상기 제2 부분에 접속된 제2 음극 리드선을 구비한 전해 콘덴 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전해질로 폴리피롤계, 폴리티오펜계 및 폴리아닐린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전성 고분자 재료, 또는 TCNQ 착염(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을 포함하는 전해 콘덴서.
KR1020090128172A 2008-12-26 2009-12-21 전해 콘덴서 KR20100076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2286A JP5159598B2 (ja) 2008-12-26 2008-12-26 電解コンデンサ
JPJP-P-2008-332286 2008-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885A true KR20100076885A (ko) 2010-07-06

Family

ID=4228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172A KR20100076885A (ko) 2008-12-26 2009-12-21 전해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20104B2 (ko)
JP (1) JP5159598B2 (ko)
KR (1) KR20100076885A (ko)
CN (1) CN101783244B (ko)
TW (1) TW2010307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9459B2 (en) * 2009-07-30 2012-06-12 Medtronic, Inc. Energy device with a first and second separator material
JP2011187876A (ja) * 2010-03-11 2011-09-22 Sanyo Electric Co Ltd 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91129A (ja) * 2011-03-14 2012-10-04 Sanyo Electric Co Ltd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電解コンデンサ
US9312072B2 (en) * 2013-03-18 2016-04-12 Apaq Technology Co., Ltd. Winding-type solid electrolytic capacitor package structure using a carrier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187508A1 (en) * 2013-12-26 2015-07-02 Minwax Electronic Enterprise Ltd. Electrolytic Capacitor
KR20170125229A (ko) * 2016-05-04 2017-11-14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복합 전극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
DE102016125733A1 (de) 2016-12-27 2018-06-28 Epcos Ag Hybrid-Polymer-Aluminium-Elektrolytkondens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CN108987114A (zh) * 2018-06-29 2018-12-11 南通江海电容器股份有限公司 一种抗击穿电容器及其制备方法
CN113871198B (zh) * 2021-09-24 2022-11-29 深圳康诚达电子有限公司 防短路电容器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6141B2 (de) * 1974-02-08 1976-10-2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lytkondensator und seine verwendung
JPH02276216A (ja) * 1989-04-18 1990-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JPH03286514A (ja) * 1990-04-02 1991-12-17 Nitsuko Corp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のフィルム巻回方法
JP2772297B2 (ja) * 1990-04-11 1998-07-02 ジエルマックス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2950575B2 (ja) * 1990-04-17 1999-09-20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JPH0686327U (ja) * 1993-05-25 1994-12-13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素子
US5843599A (en) * 1997-07-29 1998-12-01 Eastman Kodak Company Erasable ceramic bar-code
US6275729B1 (en) * 1998-10-02 2001-08-14 Cardiac Pacemakers, Inc. Smaller electrolytic capacitors for implantable defibrillators
US6366445B1 (en) * 1999-04-02 2002-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Cartridge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509735B2 (ja) * 2000-10-25 2004-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筒型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US6831826B2 (en) * 2002-11-29 2004-12-14 Honda Motor Co., Ltd. Polarized electrode for electric double-layer condenser, and electric double-layer condens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sheet for electric double-layer condenser, and laminating apparatus
JP4587996B2 (ja) * 2005-11-22 2010-11-24 佐賀三洋工業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
CN1971785B (zh) * 2005-11-22 2014-09-17 三洋电机株式会社 电解电容器
US7881043B2 (en) * 2005-12-01 2011-02-01 Panasonic Corporation Wound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CN101604579B (zh) * 2008-06-13 2012-02-29 万裕三信电子(东莞)有限公司 引线式铝电解电容器
TW201015595A (en) * 2008-09-22 2010-04-16 Sanyo Electric Co Winding-type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138977A (ja) * 2009-12-29 2011-07-14 Sanyo Electric Co Ltd 電解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59598B2 (ja) 2013-03-06
US8320104B2 (en) 2012-11-27
JP2010153701A (ja) 2010-07-08
CN101783244B (zh) 2013-01-16
TW201030782A (en) 2010-08-16
CN101783244A (zh) 2010-07-21
US20100165545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6885A (ko) 전해 콘덴서
US7663864B2 (en) Electrolytic capacitor
US8243421B2 (en)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592792B2 (ja) 電解コンデンサ
US8400757B2 (en) Electrolytic capacitor
US8320105B2 (en) Electrolytic capacitor
JP5072857B2 (ja)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US8218293B2 (en) Winding-type electrolytic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122547A1 (en) Electrolytic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396214B (zh) 電解電容器
JP5334757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5334758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H03231414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5334756B2 (ja) 電解コンデンサ
KR20080069734A (ko) 알루미늄 적층형 고분자 콘덴서의 콘덴서 소자 및 적층방법
KR20080028020A (ko) 권취형 알루미늄 고분자 전해 콘덴서.
JP2014120488A (ja) 固体電解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