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051A - 블라인드 너트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051A
KR20100074051A KR1020090128825A KR20090128825A KR20100074051A KR 20100074051 A KR20100074051 A KR 20100074051A KR 1020090128825 A KR1020090128825 A KR 1020090128825A KR 20090128825 A KR20090128825 A KR 20090128825A KR 20100074051 A KR20100074051 A KR 2010007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lange
blind nut
op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가시무라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7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0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16B37/06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 F16B37/067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the material of the nut being deformed by a threaded member generating axial movement of the threaded part of the nut, e.g. blind riv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B21J15/041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by pushing a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w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너트(blind nut)에 관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너트의 나사부를 볼트의 장착 위치에 근접시킴으로써, 블라인드 너트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소성(塑性) 변형 가능한 관형부(管型部)와, 관형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관형부의 타단 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진다. 관형부는 두께가 얇으며, 좌굴(座屈) 부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에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관형부의 중공(中空) 부분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는 볼트를 나사삽입하는 부분으로서, 나사부의 내부에는, 플랜지의 개구나 관형부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의 표면에 형성한 나사 절결 부분에 개구를 통해 수용된 볼트의 나사 절결 부분을 대응시킴으로써 볼트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나사부는, 관형부보다 두껍게 되어 있고, 또한 플랜지의 개구에 가까운 측의 나사부의 단부 부근에 있어서, 관형부의 내벽과의 사이에 환형(環形)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블라인드 너트, 플랜지부, 나사부, 관형부, 나사 결합, 간극

Description

블라인드 너트{BLIND NUT}
본 발명은, 블라인드 너트(blind nut), 다시 말하자면, 편측(片側) 체결 타입의 블라인드 너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04-11876호 공보나 일본공개특허 제2004-211826호에, 종래의 편측 체결 타입의 블라인드 너트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이들 종래예에서의 블라인드 너트의 구조, 및 이들 종래예에서의 블라인드 너트의 피장착 부재에 대한 체결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50)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체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블라인드 너트(50)는, 소성(塑性) 변형 가능한 관형부(管型部)(55)와, 관형부(55)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57)와, 또한 플랜지(57)와는 반대측의 관형부(55)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부(53)로 이루어진다.
실제의 사용시에는, 블라인드 너트(50)는, 피장착 부재(10)에 미리 체결한 상태로 사용한다. 미리 체결한, 이 피장착 부재(10)에 대하여, 블라인드 너트(50)와 볼트(70)를 이용하여 다른 부재가 장착된다. 블라인드 너트(50)의 관형부(55)는, 두께가 얇고, 또한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고, 피장착 부재(10)에 대한 선 체 결시에 좌굴 부분(66)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57)에는, 관형부(55)의 중공 부분(58)과 연통되는 개구(5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56)를 통해, 볼트(70)를 중공 부분(58)에 수용할 수 있다. 플랜지(57)의 외경은, 피장착 부재(10)(도 2 참조)의 장착공(11)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이로써 블라인드 너트(50)의 장착공(1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나사부(53)는, 볼트(70)를 나사삽입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한다. 전체적으로 같은 직경 원통부로 되어 있고, 내부에는, 플랜지(57)의 개구(56)와 연통되는 나사공(59)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59)의 표면에는 나사 절결 부분(5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절결 부분(54)에 개구(56)를 통해 수용된 볼트(70)의 나사 절결 부분(74)을 대응시킴으로써, 볼트(70)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부(53)는, 관형부(55)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고, 강성(剛性)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 너트(50)를 피장착 부재(10)에 체결할 때, 관형부(55)와 함께 좌굴(座屈)되지 않는다. 나사부(53)의 외경은, 체결 전의 관형부(55)의 외경과 같은 치수로 되어 있고, 이들 치수는 장착공(11)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이와 같은 치수로 함으로써, 블라인드 너트(50)는, 플랜지(57)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피장착 부재(10)의 장착공(11)에 삽입되고, 거기에 걸린 상태로 된다.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 관형부(55)를 좌굴시켜, 관형부(55)의 좌굴 부분(66)과 플랜지(57)와의 사이에서 피장착 부재(10)를 협지함으로써, 블라인드 너트(50)는 피장착 부재(10)에 체결된다. 이 때, 나사부(53)는, 플랜지(57)의 바로 앞 부 근에 고정된다.
블라인드 너트를 피장착 부재에 체결하는 방법은, 상기 공보에도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주지(周知)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전용의 체결 공구(도시하지 않음)의 노즈(nose) 선단을 나사부(53)의 나사 절결 부분(54)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나사부(53)를 노즈에 유지한다.
그 후, 체결 공구를 작동시킴으로써, 노즈 선단의 나사 부분(53)을 노즈 후방으로 강한 힘으로 뽑아내어, 나사부(53)를 플랜지(57) 측으로 강하게 끌어올린다. 이 결과, 나사부(53)의 선단 부근으로부터 강한 인상력(引上力)이 가해져, 관형부(55)의 얇은 중공 부분(58)은 피장착 부재(10)의 배면에 있어서 직경이 팽창되도록 소성 변형된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팽창된 좌굴 부분(66)이, 피장착 부재(10)의 배면에 인접하는 부분에 관형부(55)의 전 주위에 걸쳐 형성되고, 좌굴 부분(66)과 플랜지(57)에 의해 블라인드 너트(50)는 피장착 부재(10)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나사부(53)는 피장착 부재(10)에 고착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4-1187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4-211826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피장착 부재(10)에 대한 블라인드 너트(50)의 체결은, 나사부(53)의 나사 절결 부분(54)을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체결력에 견디는 나사 강도로 하기 위해서는, 체결 공구와의 관계상, 일반적으로, 나사 절결 부분(54)의 나 사산으로는 7산 ~ 8산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결과, 블라인드 너트(50)에 있어서, 이와 같은 길이 부분(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길이 부분 「b」)은 필수적인 길이 부분이 된다. 또한, 전술한 장착 방법에 의하면, 구조 상의 스페이스 「a」가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고, 블라인드 너트(50)는, 적어도, 이들 필수적인 길이 부분과 구조 상의 스페이스에 대응하는 길이 부분의 합계 길이, 즉 「a+b」를 가지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은 긴 블라인드 너트(50)는, 모재(母材) 내부에 있어서의 다른 구조물의 설치를 방해하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등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50)의 구조는, 볼트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상황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50)에 볼트(70)를 나사삽입하기 위해서는, 볼트(70)의 나사 절결 부분(74)을 블라인드 너트(50)의 나사 절결 부분(54)에 도달시키기 위하여, 구조 상의 스페이스 「a」에 대응하는 불필요한 길이 부분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원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블라인드 너트의 나사부를 볼트의 장착 위치에 근접시킴으로써, 블라인드 너트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나사부의 나사 절결 부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긴 볼트로 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성 변형 가능한 관형부와, 상기 관형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와는 반대측의 상기 관형부의 타단 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 는 블라인드 너트로서, 상기 관형부는 두께가 얇으며, 좌굴 부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 나사 고정되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부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볼트를 나사삽입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나사부의 내부에는, 상기 플랜지의 개구나 상기 관형부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 절결 부분에 상기 개구를 통해 수용된 상기 볼트의 나사 절결 부분을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볼트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관형부보다 두껍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랜지의 개구에 가까운 측의 상기 나사부의 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의 내벽과 상기 나사부의 외벽과의 사이에 환형(環形)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가 제공된다.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너트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플랜지의 개구를 향해 앞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플랜지의 개구에 가까운 쪽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개구로부터 먼 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블라인드 너트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고, 또한 볼트 길이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는, 상기 설명한 도 3, 도 4에 각각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너트(20)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체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블라인드 너트(20)는, 소성 변형 가능한 중공의 관형부(25)와, 이 관형부(25)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7)와, 플랜지(27)와는 반대측의 관형부(25)의 타단 측에 형성된 나사부(23)를 가진다.
블라인드 너트(20)는,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재질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지만, 소성 변형 가능하면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질이어도 된다. 일체로 성형되므로, 블라인드 너트의 부품이 탈락하는 등의 우려는 없다.
관형부(25)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게 되어 있다. 얇게 함으로써, 블라인드 너트(20)를 피장착 부재(10)에 체결할 때, 좌굴 부분(36)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관형부(25)는, 체결 전에 있어서는 큰 중공 부분(28)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체결 후에는, 나사부(23)에 의해 점유된 상태로 된다.
플랜지(27)에는, 관형부(25)의 중공 부분(28)과 연통되는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볼트(40)는, 이 개구(26)를 통해 블라인드 너트(20)에 수용된다. 플랜지(27)의 외경은, 피장착 부재(10)(도 2 참조)의 장착공(11)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 되어 있고, 이로써, 피장착 부재(10)의 장착공(11)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나사부(23)는, 볼트(40)를 나사삽입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한다.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형상이지만, 플랜지(27)의 개구(26)를 향해 부풀어 오른 형상을 하고 있고, 또한 앞쪽이 좁고 종단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나사부(23)의 내부에는, 플랜지(27)의 개구(26)나 관형부(25)의 중공 부분(28)과 연통되는 나사공(29)이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 나사 절결 부분(24)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절결 부분(24)에, 개구(26)를 통해 수용된 볼트(40)의 나사 절결 부분(44)을 대응시킴으로써, 볼트(40)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부(23)는, 관형부(25)보다도 두껍게 되어 있고,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 너트(20)를 피장착 부재(10)에 체결할 때, 관형부(25)와 함께 좌굴되지 않는다. 나사부(23)의 근원 부근의 최대 외경은, 체결 전의 관형부(25)의 외경과 같은 치수로 되어 있고, 이 치수는 장착공(11)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이와 같은 치수로 함으로써, 블라인드 너트(20)는, 플랜지(27)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피장착 부재(10)의 장착공(11)에 삽입되고, 거기에 걸린 상태로 될 수 있다. 한편, 나사부(23)의 선단 부근, 바꾸어 말하면, 플랜지(27)의 개구(26)에 가까운 측의 나사부(23)의 단부 부근의 최소 외경은, 체결 전후의 관형부(25)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하고, 이로써, 나사부(23)의 선단 부근에 있어서, 관형부(25)의 내벽(35)과 나사부(23)의 외벽(33)과의 사이에 환형의 간극(30)을 형성하고 있다. 나사부(23)는, 플랜지(27)의 개구(26)를 향해 앞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간극(30)은, 플랜지(27)의 개구(26) 측을 향해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플랜지(27)의 개구(26)에 가까운 측의 간극 부분(30b)은, 플랜지(27)의 개구(26)로부터 먼 쪽의 간극 부분(30b)보다 크다.
블라인드 너트(20)를 피장착 부재(10)에 체결할 때는, 전용의 체결 공구로 관형부(25)를 좌굴시키고, 관형부(25)의 좌굴 부분(36)과 플랜지(27)와의 사이에서 피장착 부재(10)를 협지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간극(30)을 이용하여 나사부(23)를 관형부(25)의 중공 부분(28)에 삽입되도록 하여 플랜지(27) 측으로 밀어올리고, 플랜지(27)의 개구(26) 부근에 나사부(23)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나사부(23)를 관형부(25)의 중공 부분(28), 바꾸어 말하면, 블라인드 너트(20)의 구조 상의 스페이스 「a」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브랜드 너트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볼트(40)가 나사결합되어 나사부(23)를 플랜지(27)의 개구(26) 부근에 위치하게 하여, 볼트의 나사 절결 부분(44)과 나사부(23)의 나사 절결 부분(24)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 볼트를 불필요하게 길게 할 필요도 없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블라인드 너트(20)는, 편측 체결의 블라인드 너트 전반에 관한 것이며, 블라인드 너트(20)의 보디 형상이나 플랜지(27)의 형상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보디는, 예를 들면, 룰렛(roulette) 가공된, 육각, 사각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플랜지(27)의 형상도, 예를 들면, 평평한 헤드, 접시형 헤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라인드 너트(20)는, HB 볼트와 같이, 볼트가 내장된 구조의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나사부(23)의 부풀어 오름을 보다 높게 함으로써, 스페이서 너트로서도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너트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 너트의 체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의 체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장착 부재
11: 장착공
20: 블라인드 너트
23: 나사부
24: 나사 절결 부분
25: 관형부
26: 개구
27: 플랜지
28: 중공 부분
29: 나사공
30: 간극
33: 외벽
35: 내벽
36: 좌굴 부분
40: 볼트
44: 나사 절결 부분
50: 블라인드 너트

Claims (4)

  1. 소성(塑性) 변형 가능한 관형부(管型部)와, 상기 관형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와는 반대측의 상기 관형부의 타단 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블라인드 너트(blind nut)로서,
    상기 관형부는 두께가 얇으며, 좌굴(座屈) 부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 나사 고정되는 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부의 중공(中空) 부분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볼트를 나사삽입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나사부의 내부에는, 상기 플랜지의 개구나 상기 관형부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의 표면에 형성한 나사 절결 부분에 상기 개구를 통해 수용된 상기 볼트의 나사 절결 부분을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볼트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관형부보다 두껍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랜지의 개구에 가까운 측의 상기 나사부의 단부 부근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의 내벽과 상기 나사부의 외벽과의 사이에 환형(環形)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너트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블라인드 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플랜지의 개구를 향해 앞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플랜지의 개구에 가까운 쪽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개구로부터 먼 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블라인드 너트.
KR1020090128825A 2008-12-22 2009-12-22 블라인드 너트 KR20100074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5513A JP2010144901A (ja) 2008-12-22 2008-12-22 ブラインドナット
JPJP-P-2008-325513 2008-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051A true KR20100074051A (ko) 2010-07-01

Family

ID=4249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825A KR20100074051A (ko) 2008-12-22 2009-12-22 블라인드 너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144901A (ko)
KR (1) KR20100074051A (ko)
CN (1) CN101761538A (ko)
TW (1) TW2010334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652A (zh) * 2018-10-17 2019-01-25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钢结构柱子的连接节点及装配工艺
KR102301181B1 (ko) 2021-01-26 2021-09-10 삼우엠씨피 주식회사 팝 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279B (zh) * 2013-08-28 2016-04-13 陈业朋 铆接螺母
EP3287648A4 (en) * 2015-04-21 2018-12-26 Newfrey LLC Blind nut and mounting structure for same
CN109502047B (zh) * 2018-12-18 2022-01-25 贵州贵飞飞机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飞机结构单面连接不合格螺栓孔的补偿方法
CN113513526B (zh) * 2021-05-10 2022-09-3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拉铆螺母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561A (en) * 1990-11-08 1992-01-07 Illinois Tools Works, Inc. Plastic expansion nut
JP2006038201A (ja) * 2004-07-22 2006-02-09 Sakamura Sangyo Kk ブラインドナ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652A (zh) * 2018-10-17 2019-01-25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钢结构柱子的连接节点及装配工艺
KR102301181B1 (ko) 2021-01-26 2021-09-10 삼우엠씨피 주식회사 팝 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3484A (en) 2010-09-16
CN101761538A (zh) 2010-06-30
JP2010144901A (ja)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4051A (ko) 블라인드 너트
TWI458895B (zh) 金屬套環及金屬套環之安裝方法
JP6349609B2 (ja) ブラインドナット
JP5607527B2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
US9003634B2 (en) Blind rivet and fastening method thereof
RU2668857C2 (ru) Заклепочная гайка, детал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TW201337117A (zh) 盲螺帽及其安裝方法
WO2016170835A1 (ja) ブラインドナットとその取付構造
JP2010513816A5 (ko)
US11326640B2 (en) Fastening element
US20100101177A1 (en) Anchor device with double-sectioned hea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200011381A1 (en) Steering shaft assembly
GB1599070A (en) Threaded insert particularly for securing to thin sheets
JP2020020367A (ja) ブラインドボルト
JP2007327535A (ja) ねじの緩み止め構造
WO2003086694A3 (en) Blind nut
US9011057B2 (en) Blind rivet and fastening method thereof
RU2007116155A (ru) Соединение ручки для руч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или руч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11821448B2 (en) Blind bolt
JP2011043233A (ja) スタッドボルト及びスタッドボルトを備えた構造体
JP2004011876A (ja) ブラインドナット
KR102301181B1 (ko) 팝 너트
US20080089621A1 (en) Bushing assembly for reducing backlash
JP2018204614A (ja) ブラインドボルト
JP2001099127A (ja) 雌ネジ構造および光電スイッチの取付孔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