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1920A - 드릴 본체 및 이를 위한 지지 패드 - Google Patents

드릴 본체 및 이를 위한 지지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1920A
KR20100071920A KR1020090126228A KR20090126228A KR20100071920A KR 20100071920 A KR20100071920 A KR 20100071920A KR 1020090126228 A KR1020090126228 A KR 1020090126228A KR 20090126228 A KR20090126228 A KR 20090126228A KR 20100071920 A KR20100071920 A KR 20100071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d
central axis
drill body
drill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케 다니엘손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07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86Drills for trepanning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54Drill 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5Drills for trepanning for cutting discs from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23B51/063Deep hole drills, e.g. ejector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6Guid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8Screw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5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work-engaging structure other than Tool or tool-support
    • Y10T408/557Frictionally engaging sides of opening in work
    • Y10T408/558Opening coaxial with Tool
    • Y10T408/5583Engaging sides of opening being enlarged by Tool
    • Y10T408/5586Engaging surface subsequent to tool-action on that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892Tool or Tool with support with work-engaging structure detachable from cutting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일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외측부 (19), 내측부, 전방 단부면 (21) 과 후방 단부면 (22) 및, 한쌍의 이격된 측면 (24) 을 포함하는 타입이며 금속 기계 가공 드릴을 위한 지지 패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외측부 (19) 와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단부면 (21) 사이에, 한편으로는 한 쌍을 이루는 전방 경계선 (28) 및 외측부 (19) 에 접경하는 후방 경계선 (29) 과 다른 한편으로는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측방 경계선 (30, 31)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면 (27) 의 후방 경계선 (29) 은 외측부를 향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원호형 선, 더욱 정확하게는 전방으로 향하는 융기부 (36) 를 갖는 원호형 선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한 방식으로, 구멍 벽에 지지 패드가 접촉하는 위치는 정확한 방식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지지 패드를 구비한 드릴 본체에도 관한 것이다.
지지 패드, 드릴 본체

Description

드릴 본체 및 이를 위한 지지 패드{DRILL BODY AS WELL AS SUPPORT PAD THEREFOR}
제 1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주변 절삭 인서트; 지지 패드 및 이격된 한쌍의 측면을 포함하는 종류의,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는 축선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축선을 중심으로 드릴 본체가 회전가능하며 이 축선과 회전 대칭 엔벨로프면은 동심을 이루고, 상기 주변 절삭 인서트는 전방 단부에 위치되며, 회전 축선으로부터 상기 절삭 인서트의 반경 거리는 드릴 본체의 구멍 직경을 결정하며, 상기 지지 패드는 엔벨로프면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 대칭 형상을 갖는 단면이 볼록한 아치형의 외측부, 내측부, 전방 단부면과 후방 단부면 및 이격된 한쌍의 측면을 포함하며, 외측부와 적어도 전방 단부면 사이에, 한편으로는 한 쌍을 이루는 아치형의 전방 경계선 및 외측부에 접경하는 후방 경계선과 다른 한편으로는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측방 경계선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볼록한 아치형 진입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입면은 이 진입면을 따라서 후방 경계선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는 가상의 모선이 지지 패드가 구멍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회전 축선을 향하여 안쪽을 가리키도록 향해 있다.
제 2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지지 패드에도 관한 것이다.
절삭 또는 칩 제거 기계가공을 위한 드릴 본체는 가변형 (type) 의 금속 공작물에 있어서 능률 기계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가장 많이 가변하는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구멍 기계 가공이 실시되는 보통의 재료는 강, 주조 철, 알루미늄, 티타늄, 스테인리스 재료 및 다른 종류의 복합재료이다. 자주 실시되는 기계가공 방법은, 2 개의 개구를 갖는 관통 구멍 또는 바닥부와 단 하나의 개구를 갖는 블라인드 구멍을 형성하는 동안에 단일 작업으로 미리 결정된 직경에서 고형의 재료에 구멍을 뚫는 솔리드 드릴링이다. 이러한 드릴링은 보통 길이가 최대 5 ×D 인 단공 (short hole) 드릴 및 길이가 100 ×D 이상일 수도 있는 장공 (long hole) 드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은 소위 리머 가공이 있는데, 미리 드릴링된 파일럿 또는 중앙 구멍에는 치수 정확도 및 표면 평활도에 관해서 최적의 품질 및 최종 구멍 직경이 부여되어 있다.
단공 드릴은 보통 절삭 인서트와, 대칭으로 위치해 있는 그 절삭 인서트의 절삭날을 가짐으로써 자가 중심맞춤하고, 반면에 내부 칩 배출을 요구하는 상기의 모든 STS 와 EJECTOR 타입의 장공 드릴은 비대칭으로 위치해 있는 절삭 인서트로 제조됨으로써 자가 중심맞춤할 수 없다. 더욱 정확하게는, 그러한 드릴 본체는 이 드릴 본체의 전방 단부에 3 개의 절삭 인서트 즉, 주변 인서트, 중앙 인서트 및 중간 인서트를 갖추고 있으며, 그 인서트 중에서 상기 먼저 언급한 2 개의 절삭 인서트는 제 1 칩 입구에 인접하게 위치해 있으며, 마지막으로 언급한 절삭 인서트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제 2 칩 입구에 인접하게 위치해 있다. 절삭 인서트는 납땜 또는 나사 조인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방향에서 보았을 때, 2 개의 칩 입구 뒤에는 지지 패드가 드릴 본체의 엔벨로프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지지 패드는 엔벨로프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어서, 그 엔벨로프면의 방사방향으로의 최외측 부분이 주변 절삭 인서트에 의해 생성된 구멍 벽에 접하게 되는데 이 모든 것은 드릴 본체의 축선방향 이송시 이 드릴 본체를 중심 맞춤할 목적을 가진다. 그러한 지지 패드를 구비한 장공 드릴에 대한 실시예가 US 5697737, US 6602028 B1 및 US 6682275 B1 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링을 위한 다른 드릴 본체는 드릴 본체를 중심 맞춤하기 위해 지지 패드를 사용하며 이러한 드릴 본체는 US 4571130, US 4596498, 및 US 5551812 에 예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목적을 위한 개별적인 지지 패드는 평행 6 면체 (보통 기다란) 기본형상을 가지며, 초경합금과 같은 내구성 (hard-wearing) 재료로 이루어지며, 지지 패드는 구멍 벽에 접할 수 있도록 단면이 볼록하게 아치형을 이루는 외측부, 드릴 본체의 장착 포켓의 바닥부를 가압하기 위한 내측부, 전방 단부면 및 후방 단부면 그리고 서로 평행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 범위가 정해진다. 또한, 접촉면이라고 일컬어질 수도 있는 외측부는 일반적으로는 원통형이지만, 이는 또한 뒤를 향하여 최대한 작은 원추도를 가질 수도 있다. 지지 패드 바로 앞에 외측부와 적어도 전방 단부면 사이에는 공작물로 진입하는 절삭 인서트에 의해 개시된 구멍에 지지 패드를 용이하게 진입시키기 위하여 소위 진입면이 전방으로 점감하는 원추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외에, 관통 구멍의 드릴링을 위하여, 더욱 정확하게는 드릴 본체가 구멍을 통해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드릴 본체의 지지 패드의 후방 단부에도 그러한 진입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대부분의 지지 패드의 볼록한 아치형의 외측부의 곡률 반경은 리세스되어야 하는 구멍의 반경보다 다소 작게 선택되며, 구멍 벽과 지지 패드의 접촉은 외측부를 따르는 어느 부분에서 축선 접촉의 형태를 갖는다는 점은 언급되어져야 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지지 패드는 구멍 반경과 일치하는 곡률 반경을 가진 외측부를 갖는 지지 패드와는 다르게 상이한 직경을 갖는 드릴 본체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전에 공지된 지지 패드와 이 지지 패드가 적용되어 있는 드릴 본체에 관련있는 문제들에 기원한다. 따라서, 일전에 공지된 지지 패드의 진입면의 형상은 기하학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결정되고, 그의 기저 (basal) 면은 원통형의 외측부의 곡률 반경과 같은 반경을 가지고, 동시에 원추와 원통은 동축을 이루는데 즉, 원추의 기저면 (및 가상의 원통형의 일 단부면) 이 수직을 이루는 공통의 중앙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는, 진입면의 범위를 한정하는 전방 경계선 및 후방 경계선이 지지 패드의 외측을 향하여 위에서 볼 때 서로 평행하게 되며 동시에 진입면의 2 개의 단부 경계선이 절두 원추형의 모선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상기 형상은 다수의 단점을 수반하는데, 그 중 하나는 구멍 벽에 접하는 외측부의 접촉점 또는 접촉선은 제어되거나 미리 결정될 수 없다 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진입면의 후방 경계선이 개시된 구멍 안으로 진입하면, 그에 따라서 접촉점은 후방 경계선을 따르는 별개의 점들로 나타나고, 이로써 드릴 본체의 중심맞춤이 손상될 수도 있으며 치수 정확도 및 표면 평활도에 관해서 구멍 품질이 2 류가 될 수도 있다. 다른 단점은 진입면의 2 개의 단부 경계선이 꽤 뾰족한 에지부를 형성한다는 점인데, 이 에지부는 드릴 본체가 회전될 때, 진입면을 따르는 다른 모선들과 동일한 원추형 운동 경로로 이동한다. 이로써, 먼저 구멍 에지부에 (드릴 본체의 회전 방향에 따라) 부딪치는 뾰족한 에지부는 구멍 에지부에 쉽게 상처를 내거나 이 에지부를 파낼 (dig) 수도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외측부 및 진입면은 지지 패드가 드릴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연삭되어 그 최종 형상을 얻는다. 진입면의 뾰족한 단부 에지부가 초래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기피하기 위해서, 상기 에지부들은 마무리 가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마무리 가공은 수동적인 방식으로 예컨대 연마 또는 에지부 다듬질에 의해서 실시되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마무리 가공은 상당히 효과적으로 경제성을 창출할 수 있는 능률적인 일련의 제조 공정을 요하는 대량 생산 물품인 지지 패드를 제조하게 만들었다.
본 발명은 이전에 공지된 지지 패드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드릴 본체의 전술한 단점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을 두며 개선된 드릴 본체 및 개선된 지지 패드 및/또는 지지 패드 블랭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구멍 벽과 지지 패드의 외측부 사이의 접촉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드를 구비한 드릴 본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진입면의 2 개의 측방 경계선이 지지 패드가 구멍에 진입할 때 구멍 에지부를 파내면 안된다. 다른 목적은, 어떠한 후처리 없이 몇 가지의 간단한 연삭 작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개별적인 지지 패드를 갖는 드릴 본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소망하는 기능을 달성하면서 즉, 진입면 및 그 뒤에 있는 (원통형의) 외측부를 연삭함으로써 2 개의 간단한 기계 가공 작업에서 지지 패드를 연삭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주요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드릴 본체를 정의하는 독립항인 청구항 1 의 특징부에 정의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본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항인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 에서 한층 더 정의된다.
제 2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지지 패드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 패드의 두드러진 특징은 청구항 12 항으로부터 명백해지고, 이 지지 패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항인 청구항 13 내지 22 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점은 설계사가 지지 패드가 구멍 벽에 접촉되어야 하는 곳을 제어된 방식으로 정확하게 미리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이점은 구멍안으로 지지 패드를 진입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진입면의 2 개의 경계선이 구멍의 에지부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회전방향으로 전방 단부 경계선이 구멍 에 지부를 파내거나 구멍 에지부에 상처를 낼 위험이 없다.
도 1 에는 관 (tube) (미 도시) 과 함께 유용한 장공 드릴을 형성하기 위해 관의 전방 단부에 함께 결합되게 되어 있는 타입의 드릴 본체 (1) 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 단부 (2) 와 후방 단부 (3) 사이에는 축선 (C1) 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축선을 중심으로 드릴 본체 (1) 가 회전가능하며 이 축선과 회전 대칭 엔벨로프면 (envelope surface; 4) 은 동심을 이룬다. 엔벨로프면 (4) 은 원통형일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는 뒤를 향하여 점감하는 맨 끝이 약간 원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방 단부 (2) 에는 3 개의 절삭 인서트 즉 주변 인서트 (5), 중앙 인서트 (6) 및 중간 인서트 (7) 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인서트들은 드릴 본체의 슬리브형 후부 (10) 내측에 관통 중공 공간 (도면 부호 없음) 의 형태로 공통의 칩 플루트 (flute) 와 연통하는 2 개의 칩 입구 (9a, 9b) 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더욱 정확하게는 주변 인서트 (5) 와 중앙 인서트 (6) 는 서로 제 1 칩 입구 (9a) 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중간 인서트 (7) 는 제 2 칩 입구 (9b) 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 중간 인서트 (7) 는 주변 인서트 (5) 와 중앙 인서트 (6) 사이의 틈에 의해 남겨진 링-형상의 재료 릿지부 (ridge) 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에 명백히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나사 (11) 는 드릴 본체의 후부 외측에 드릴 관의 대응되는 암 나사에 조여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절삭 인서트 (5,6,7) 외에, 2 개의 지지 패드가 드릴 본체의 전방 단부 (2) 근처에 장착되는데, 이 경우에 이 지지 패드들은 동일하며 이로써 이들은 서로 도면부호 8 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 동일부들은 그들의 위치에 대하여 접미사 a 와 b 에 의해 구별된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패드는 편평한 바닥면 (13), 축선방향의 후방 지지면 (14) 및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면 (15, 16) 을 포함하는 포켓 (12a, 12b) 에 각각 장착되는데, 상기 면들 중에서 하나의 면 즉, 드릴 본체의 회전 방향 (R) 으로 바라보았을 때 바닥면 (13) 의 뒤에 위치되는 면 (15) 은 지지 패드에 접촉하여 이 지지 패드를 위한 측방 지지면으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보통 지지 패드는 면 (16) 에 접촉하지 않는다. 도 2 에서 더욱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 (5, 6, 7) 는 유사한 포켓 또는 시팅부 (51, 61, 71) 에 장착되고, 이 시팅부는 이러한 절삭 인서트와 그의 고정이 본 발명에 있어서 흔히 있는 일이기 때문에 도면 부호가 미 지정된 2 개의 제한 측면, 바닥면, 축선방향 후방 지지면으로 각각 한정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절삭 인서트와 지지 패드가 적합한 개수의 계면을 납땜질하여 부속 포켓 내에 고정된다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개별적인 지지 패드 (8) 는 적어도 바닥면 (13), 측방 지지면 (15) 및, 적합하게는 후방 지지면 (14) 에도 납땜질되어 접속되지만, 측면 (16) 에는 납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접속시, 회전방향으로 지지 패드 뒤에 위치해 있는 측방 지지면 (15) 은, (회전방향으로) 뒤에 있는 립 (17) 의 전방면으로서 만들어져서 측면 (16) 보다 더 넓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 에는 어떻게 개별적인 지지 패드의 주변부뿐만 아니라 주변 절삭 인서트 (5) 의 최외측 모서리 (5b) 가 드릴 본체의 엔벨로프면 (4) 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4 에서 도면 부호 18 은 드릴 본체에 의해 공작물에 형성되는 구멍을 표시한다. 회전 축선 (C1) 과 주변 절삭 인서트 (5) 의 최외측 모서리 (5b) 사이의 반경방향 길이에 의해 상기 구멍 (18) 의 직경 또는 반경이 결정된다. 개별적인 지지 패드 (8) 가 구멍 내에서 소망하는 방식으로 드릴 본체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멍 벽에 접촉하는 지지 패드의 최외측부가 주변 절삭 인서트의 모서리 (5b) 로서 회전 축선 (C1) 으로부터 동일한 반경방향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야 한다. 도 3 에는 각각의 지지 패드 (8a, 8b) 가 절삭 인서트 (5, 6, 7) 뒤에 축선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는 절삭 인서트가, 지지 패드가 구멍에 진입하기 전에 얼마간 구멍을 개시할 시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관련되어, 드릴 본체가 지지 패드가 신뢰할 만하게 정상 작동 상태가 될 때까지 특정한 부싱에 의해 안내되고 중심 맞춤되는 것이 주목되어져야 한다).
또,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때때로 2 개의 지지 패드에 다른 도면부호를 사용한다는 것도 언급되어야 한다. 이로써, 주변 인서트 (5) 와 중앙 인서트 (6) 회전 방향으로 뒤에 위치하는 패드 (8a) 는 흔히 "지지 (bearing) 패드" 라고 불리고, 다른 패드 (8b) 는 "안내 패드" 라고 불린다. 그 이유는 패드 (8a) 는 가장 큰 절삭력을 받는 2 개의 절삭 인서트 (5,6) 뒤에 위치되어 패드 (8b) 보다 더 큰 응력을 받게 되고, 패드 (8b) 는 적당히 부하를 받는 중간 인서트 (7) 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되어 지지 기능보다는 안내 기능을 이행하기 때문이다. 도 4 에는 또한 2 개의 지지 패드가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나타나 있 는데, 즉 지금까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포켓 (12a, 12b) 의 바닥부 (13) 가 회전 축선 (C1) 에 대하여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가상의 반경으로 다른 각도를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실제로 구멍 벽에 대한 접촉은 각각의 지지 패드의 외측을 따르는 다른 지점에서 이루어진다. 또, 지지 패드의 볼록한 외측 또는 접촉 면 (19) 의 곡률 반경이 구멍 (18) 의 반경보다 작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제, 지지 패드 (8) 의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5 내지 도 12 를 참조한다. 보통, 지지 패드는 적합하게는 평행 6 면체의 기본 형상을 가지는 초경합금체를 형성하는 동안에 대량의 분말 (powder mass) 의 가압 및 소결에 의해 제조된다(지지 패드는 또한 초경합금과는 다른 내마모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기하학적으로 본체는 외측부 (19), 대향 내측부 (20), 전방 단부면 (21) 및 후방 단부면 (22) 각각에 의해 그리고 한 쌍의 측면 (23,24) (이 경우에 이 측면들은 편평하고 서로 평행한다) 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구멍 벽에 접하는 지지 패드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외측부 (19) 는 볼록한 아치형이고, 이 경우에 대향 내측부 (20) 는 평면이다. 이론적으로, 외측부 (19) 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약간 원추형상이 바람직한데 더욱 정확하게는 후방으로 수렴하는 원추형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원추도는 매우 작아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다. 아치형의 외측부 (19) 와 측면 (23, 24) 사이에는 모따기된 평면 (25) 이 있으며, 이 평면은 측면 (23, 24) 과 둔각을 이루고, 이번에는 측면들은 편평한 내측부 (20) 와 직각을 이룬다. 이 외에, 상기의 경우에는 전방 단부면 (21) 에 인접하는 전방의 편평한 챔퍼면 (26) 이 존재한다. 또한, 면 (21, 26) 은 서로 둔각을 이룬다. 도시된 본체에는 종래의 방식으로 리세스된 구멍안으로 지지 패드를 용이하게 진입시키기 위한 진입면 (27) 이 더 포함되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드릴 본체와 그의 지지 패드는 모두 본질적으로 이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입부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전에 공지된 지지 패드의 진입면은 정확하게 원추형이며, 외측부의 아치 형상을 결정하는 회전 대칭면과 동심을 이룬다. 이로써, 구멍 벽에 접하는 외측부의 접촉점 또는 접촉선의 위치가 제어될 수 없다는 단점 및 진입면의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단부가 구멍 에지부를 파낼 수도 있는 뾰족한 에지부를 형성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단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진입면 (27) 은 진입면의 후방 경계선 (29) 이 지지 패드의 외측부를 향하여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볼록 형상이 되도록(도 6 참조), 더욱 정확하게는 원호형의 선의 융기부 (crest) 가 전방을 향하도록 형상 및 위치를 취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한편으로 지지 패드의 외측부가 회전 대칭하는 제 1 중심 축선과 다른 한편으로는 진입면이 회전 대칭하는 제 2 중심 축선이 서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볼록한 원호형의 선 (29) 이 제공된다. 각각 상기 면들에 대한 제 1 중심 축선과 제 2 중심 축선이 어긋나 있는 것은 실제로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도 12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어긋나 있는 것은 본래 원추 형상을 갖는 진입면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지만, 그 원추와 동심을 이루는 제 2 중심 축선이, 지지 패드 의 회전 대칭 외측부가 동심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에 대하여 편심으로 위치되는 곳에서 실현되고, 그와 동시에 원추의 기저면 (basal plan) 은 외측부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다 (도 13 참조). 대안적인 제 2 실시형태에서, 소망하는 어긋남 (도 15 참조) 은 지지 패드의 외측부가 동심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과 예각 (β) 을 이루는 제 2 중심 축선과 동심을 이루는 기하학적 원통형으로 나타낸 원통 형상을 진입면에 부여함으로써 제공된다.
도 5 내지 도 11 에서 어떻게 진입면 (27) 이 한편으로는 전방 경계선 (28) 과 후방 경계선 (29) 각각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선 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측방 경계선 (30, 31) 으로 범위가 한정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에서 후방 경계선 (29) 은 볼록한 외측부 (19) 에, 그리고 전방 경계선 (28) 은 - 이러한 경우에는- 전방의 편평한 챔퍼면 (26) 에 연결된다. 측방 경계선 (30, 31) 은 패드의 측방면을 따르는 2 개의 챔퍼면 (25) 으로 진입면 (27) 의 경계를 형성한다. 완결시키기 위해서, 외측부 (19) 는 챔퍼면 (25) 으로부터, 측방 경계선 (30, 31) 이 경계선 (29) 의 각각의 말단과 만나는 지점 (33) 으로부터 뻗어 있는 직선의 경계선 (32) 을 경유하여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패드의 임계면, 즉 볼록한 외측부 (19) 및 볼록한 진입면 (27) 의 정확한 최종 형상은 지지 패드가 드릴 본체에 고정되었을 때 연삭되어 적합하게 얻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것은 납땜함으로써 수행된다. 마무리-연삭 가공된 지지 패드의 디자인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제 도 12 내지 도 14 의 개략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2 개의 회전 가능한 연삭 본체는 각각 34 와 35 로 표시되는데, 이들은 실시예에서 그 연삭 본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양상을 보이며 연삭면은 회전 대칭면 (각각 원통 및 원뿔형) 이다. 도 12 에 따른 볼록한 외측부 (19) 를 연삭하기 위해서, 연삭 본체 (34) 와 그의 엔벨로프면은 원형로 (CP2) (또한, 도 14 참조) 로 이동하게 되며, 이 원형로의 중심은 외측부 (19) 의 길이 연장 (실시예에서는 편평한 내측부 (20)) 에 평행하는 제 1 중심 축선 (C2) 으로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중심 축선 (C2) 과 엔벨로프면 즉, 연삭 본체 (34) 의 연삭면 사이의 반경 방향 길이는 R2 로 표시된다. 또, 이 경우에 연삭 본체 (34) 의 회전 축선 (G1) 은 중심 축선 (C2) 과 평행하며 이로써 지지 패드상에 형성된 볼록한 외측부 (19) 는 원통 형상이 된다(지지 패드를 따라 뒤를 향하여 약간 점감하는 원추-형상을 형성하길 소망하는 경우에는 연삭 본체의 회전 축선 (G1) 과 제 1 중심 축선 (C2) 은 서로에 대하여 몇 분 또는 몇 초 경사질 수 있다).
도 13 에는 어떻게 진입면 (27) 이 한편으로는 원통면 (19) 과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패드의 전방 단부면 (21) (그리고 또한 이 경우에는 단부면에 인접한 챔퍼면 (26)) 사이의 영역에서 연삭됨으로써 형성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원추형을 갖는 것으로 예시된 회전 가능 연삭 본체 (35) 가 사용되며 이 연삭 본체는 중심 축선 (C3) 의 형태를 갖는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운동의 원형로 (CP3) 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원형 (CP3) 의 반경 (R3), 더욱 정확하게는 중심 축선 (C3) 과 연삭 본체 (35) 의 엔벨로프면을 따르는 지점 (P) 간의 반경 거리가 반경 (R2) 보다 작다. 다시 말해, 회전하는 연삭 본체의 엔 벨로프면을 따르는 지점 (P) 은 연삭 본체 (34) 의 엔벨로프면이 이동하는 원형보다 작은 원형에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삭 본체 (35) 의 원추도는 진입면 (27) 에 부여되는 원추도를 결정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진입면 (27) 의 원추도는 연삭 본체 (35) 를 따르는 모선 및 외측부 (19) 와 중심 축선 (C3) 사이의 각도 (α) 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연삭 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소망하는 원추 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축선 (C3) 에 대하여 적합한 각도로 경사질 수도 있다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
연삭 본체 (35) 가 전술한 방식으로 이동하게 되면, 계면 (27) 의 후방 경계선 (29) 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원호형 선의 융기부 또는 전방 지점 (36) 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형상을 갖는다. 중심 축선 (C2, C3) 의 형태로 원 (CP2, CP3) 의 2 개의 중심이 측면 (23, 24) 사이의 중간 부분에 원형면 (19) 과 교차하는 공통의 축선방향 평면 (A)(도 14 참조) 에 놓여있기 때문에, 상기 융기부 (36) 는 측방 경계선 (30, 31) 사이의 중간에서 중심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면 (19, 27) 은 축선방향 평면 (A) 에 대하여 대칭으로 위치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또한, 도 5 참조).
이제 어떻게 면 (19, 27) 의 제 1 축선과 제 2 축선이 도 12 내지 도 14 와는 다른 방식으로 어긋나는지를 도시하는 도 15 를 참조한다(축선 (C2, C3) 이 서로에 대해 편심을 이루고, 원추면 (27) 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이 원통형면의 곡률 반경 (R2) 보다 작다). 따라서, 도 15 에 따른 어긋남의 특징은, 한편으로는 중심 축선 (G2) 을 갖는 원통을 따르는 모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연삭 본 체 (35) 의 연삭면과 다른 한편으로는 원형로를 그리기 위하여 연삭 본체가 놓여지는 제 2 중심 축선 (C3) 이 서로 평행하고 외측부 (19) 의 제 1 중심 축선 (C2) 에 대하여 각도 (β) 로 기울어져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경우에 반경 (R3) 은 원통형 외측부 (19) 에 있어서 상응하는 반경 (R2) 보다 작을 수도 있고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점에 의해 연삭 본체 (35) 에 의해 형성된 진입면 (27) 이 원통 형상이 된다. 그러나, 연삭 본체의 연삭면이 외측부 (19) 의 길이 연장에 대하여 각 (β) 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 진입면 (27) 의 후방 경계선 (29) 또한 지지 패드의 단부면 (21) 을 향해 마주보는 융기부로 아치형을 이룬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패드 (8) 는 도 12 내지 도 15 에 간단하게 개략화된 상태로 도시되는데 더욱 정확하게는 도 5 내지 도 11 에 따른 챔퍼면 (25, 26) 이 없이 도시되어 있는 점이 주목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도 12 내지 도 15 로부터 상기 챔퍼면은 실제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진입면 (27) 은 전방 경계선 (28) 을 경유하는 지지 패드의 전방 단부면 (21) 및 단부 경계선 (30, 31)(이 경계선은 위에서 볼 때 서로 분기되지 않으며 측면 (23, 24) 의 연장으로 보여진다) 을 경유하는 측면 (23, 24) 에 바로 인접한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아치형 후방 경계선 (29) 의 융기부 (36) 는 진입면 (27) 이 도 14 에 따라, 즉 축선 방향 평면 (A) 에 공통으로 놓여진 중심 축선 (C2, C3) 으로 연삭될 때, 중심에 위치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도 16 에는 또한 어떻게 원호형 선의 융기부 (36) 가 간편한 수단에 의해 측 방향으로 변위될 수도 있는지 그리고 지지 패드의 2 개의 측면 (23, 24) 사이에 소망하는 지점에 위치되는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융기부 (36) 의 측방향 변위는 연삭 본체 (34) 의 중심 축선 (C2) (도 14 참조) 이 놓이는 축선방향 평면 (A) 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변위되는 연삭 본체 (35) 의 운동 경로의 중심 축선 (C3) 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융기부 (36) 의 측방향 위치는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 에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연삭 본체가 회전 대칭 본체로서 예시되며, 이 본체의 엔벨로프면은 연삭 면이다. 그러나, 실제로, 다른 종류의 연삭 본체 예컨대 편평한 면이 연삭면으로서 작용하는 디스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술한 치수 및 각도는 원통 및 원추 각각의 모선 대신에 디스크의 편평한 연삭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 및 이점
드릴 본체 (1) 의 개별적인 지지 패드 (8) 가 절삭 인서트 (5, 6, 7) 에 의해 개시된 드릴 구멍 (18) 에 진입할 때, 진입면 (27) 의 후방 아치형 경계선 (29) 을 따르는 융기부 (36) 는 먼저 구멍안으로 진입하고 동일한 경계선의 잔여부가 진입하기 전에 구멍 벽과의 지지 패드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촉은 융기부 (36) 를 따르는 점 또는 선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점은 설계사가 지지 패드가 구멍 벽에 접촉되어야 하는 곳을 제어된 방식으로 정확하게 미리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5 내지 도 15 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앙 융기부 (36) 를 경유하는 접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6 을 따 르는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에지면 (23) 을 향하여 변위되는 경계선 (29) 의 융기부 (36) 에 의해 접촉 지점의 비대칭 위치가 취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융기부 (36) 의 상기 측방향 변위 그리고 이리하여 접촉 지점은 도 12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또는 도 15 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지지 패드가 연삭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이점은 구멍안으로 지지 패드를 진입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진입면의 2 개의 측방 경계선이 구멍의 에지부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드릴링 동안에 개별적인 측방 경계선은 후방 경계선의 융기부의 축선방향으로 전방에 위치해있는 모선이 회전하는 원추-형상 경로 내부에 놓인 원추형 경로 (즉, 드릴의 회전 축선에 더욱 근접해 있는) 로 회전된다. 다시 말해, 회전방향으로 전방 단부 경계선이 구멍 에지부를 파내거나 구멍 에지부에 상처를 낼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은 단일의 공통 축선을 중심으로 진입면 및 외측부 또는 접촉면 각각을 연삭하는 대신에 도 12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방식 또는 도 15 에 도시된 방식으로 진입면의 제 2 축선으로부터 원통형의 외측부의 제 1 축선을 어긋나게 하는 간단한 조치에 의해 전술한 이점이 발생되고, 진입면의 후방 경계선에 융기부를 갖는 원호 형상이 주어지고, 그 위치는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패드는 2 개의 다른 방식 즉 마무리 연삭 가공 상태 및 비 연삭 상태로 상업화될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한다. 마지막에 언 급한 경우에는, 지지 패드가 특정한 연삭 공차 및, 드릴 본체에 지지 패드를 고정시키고 표면 (19, 17) 의 연삭 후에 얻어지는 형상에 정밀하게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미리 형성된 블랭크로 구성된다. 적당한 연삭 공차를 가지고 지지 패드를 미리 형성함으로써, 필수적인 연삭 깊이가 매우 알맞게 되며, 이로 인해 드릴 본체에 고정되는 지지 패드의 중요한 면 (19, 27) 의 최종 연삭이 매우 빠르게 그리고 일련의 제조 공정에서 능률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행 가능한 변형예
본 발명은, 전술되어지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또한 장공 드릴을 위한 드릴 본체와는 다른 드릴 본체 예컨대 위에 언급한 US 4571130 에 예시된 종류의 보링 공구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지지 패드 및/또는 절삭 인서트는 납땜과는 다른 방식 예컨대 나사 조인트 (예컨대 US 5697737 참조) 에 의하여 드릴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지지 패드의 디자인은 독립항인 청구항 12 및 그에 종속하는 청구항 13 내지 22 항의 범위내에서 다방면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패드의 내측부 및 외측부는 서로 반드시 평행해야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에 대하여 상당한 각도를 이룰 수도 있으며, 드릴 본체의 수용 포켓은 유사한 방식으로 개량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초경합금체를 가압하고 소결하는 기술이 더욱 개량되는 미래에는, 지지 패드를 연삭할 필요없이 전술한 디자인을 갖는 지지 패드를 용이하게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더욱 정확하게는 장공 드릴의 전방 드릴 본체의 형태의 드릴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절삭 인서트 및 지지 패드가 없는 드릴 본체를 나타내는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따른 드릴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구멍 벽으로 둘러싸인 동일한 드릴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드릴 본체에 포함된 지지 패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은 지지 패드의 외측을 향해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좌측으로부터 바라본 지지 패드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본 지지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6 의 Ⅸ-Ⅸ 으로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도 6 의 Ⅹ-Ⅹ으로의 확대된 부분 상세 측면도이다.
도 11 은 도 7 의 ⅩΙ-ⅩΙ으로의 유사한 수직방향 상세도이다.
도 12 는 지지 패드의 외측 연삭을 위해 적용되며 그 지지 패드의 형상을 한정하는 기하학적 조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련의 도면들이다.
도 13 은 어떻게 지지 패드의 진입면의 제 1 실시형태가 연삭 본체에 의해 제공되는지를 나타내는 일련의 유사 도면들이다.
도 14 는 어떻게 도 13 에 도시된 연삭 본체가 진입면을 형성하는 동안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 는 어떻게 지지 패드의 진입면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연삭되는지를 보여주는 도 13 에 대응되는 일련의 도면들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패드의 추가적인 대안의 실시형태의 연삭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Claims (22)

  1. 전방 단부 (2) 와 후방 단부 (3); 주변 절삭 인서트 (5); 지지 패드 (8) 를 포함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로서,
    상기 전방 단부 (2) 와 후방 단부 (3) 사이에는 축선 (C1) 이 연장되어 있는데, 이 축선을 중심으로 드릴 본체가 회전가능하며 이 축선과 회전 대칭 엔벨로프면 (4) 은 동심을 이루고,
    상기 주변 절삭 인서트 (5) 는 전방 단부 (2) 에 위치되며, 회전 축선 (C1) 으로부터 상기 절삭 인서트의 반경 거리는 드릴 본체의 구멍 직경을 결정하며,
    상기 지지 패드 (8) 는 엔벨로프면 (4) 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 대칭 형상을 갖는 단면이 볼록한 아치형의 외측부 (19), 내측부 (20), 전방 단부면 (21) 과 후방 단부면 (22) 및 이격된 한쌍의 측면 (23, 24) 을 포함하며,
    외측부 (19) 와 적어도 전방 단부면 (21) 사이에, 회전 대칭 형상을 가지며, 한편으로는 한 쌍을 이루는 전방 경계선 (28) 및 외측부 (19) 에 접경하는 후방 경계선 (29) 과 다른 한편으로는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측방 경계선 (30, 31)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볼록한 아치형 진입면 (27) 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입면 (27) 은 이 진입면을 따라서 후방 경계선 (29) 으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는 가상의 모선이 지지 패드가 구멍 (18) 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회전 축선 (C1) 을 향하여 안쪽을 가리키도록 향해 있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로서,
    상기 진입면 (27) 의 후방 경계선 (29) 은 외측부를 향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원호형 선, 더욱 정확하게는 전방을 향하는 융기부 (36) 를 갖는 원호형 선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 (8) 의 외측부 (19) 가 회전 대칭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 (C2) 과 진입면 (27) 이 회전 대칭을 이루는 제 2 중심 축선 (C3) 은 원호형 선 (29) 에 볼록한 형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 (8) 의 진입면 (27) 은 원추 형상을 갖고 이 원추 형상은 외측부 (19) 가 동심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 (C2) 에 대하여 편심을 이루지만 제 1 중심 축선에 평행한 제 2 중심 축선 (C3) 과 동심을 이루며, 진입면 (27) 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은 외측부 (19) 의 곡률 반경 (R2)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 (8) 의 진입면 (27) 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이 외측부 (19) 의 곡률 반경 (R2) 의 최대 8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5. 제 3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 (8) 의 진입면 (27) 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이 외측부 (19) 의 곡률 반경 (R2) 의 최소 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후방 경계선 (29) 의 융기부 (36) 는, 제 1 중심 축선 (C2)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지지 패드 (8) 의 2 개의 측면 (23, 24) 사이의 중간에 외측부 (19) 와 교차하는 축선 방향 평면 (A) 에 진입면 (27) 과, 외측부 (19) 의 중심 축선 (C2, C3) 의 중심이 공통으로 놓여 있기 때문에 지지 패드 (8) 의 2 개의 측면 (23, 24) 사이에 중간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후방 경계선 (29) 의 융기부는, 제 1 중심 축선 (C2)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지지 패드 (8) 의 2 개의 측면 (23, 24) 사이의 중간에 외측부 (19) 와 교차하는 축선 방향 평면 (A) 에 떨어져서 진입면 (27) 의 제 2 중심 축선 (C3) 이 놓여 있기 때문에 지지 패드의 2 개의 측면 (23, 24) 중 다른 하나의 측면보다는 2 개의 측면 (23, 24) 중 하나의 측면에 더 가까이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 (8) 의 진입면 (27) 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부 (19) 가 동심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 (C2) 과 예각 (β) 을 이루는 제 2 중심 축선 (C3) 과 동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기 패드 (8) 의 2 개의 측면 (23, 24) 중 각 하나의 측면과 외측부 (19) 사이에 챔퍼면 (25)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챔퍼면은, 지지 패드의 외측부를 향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진입면 (27) 의 후방 경계선 (29) 으로부터 전방 경계선 (28) 을 향하여 분기하는 상기 측방 경계선 (30, 31) 을 경유하여 진입면 (27) 에 접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을 따르는 가상의 모선은 2 개의 측방 경계선 (30, 31) 의 근방에서 가장 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 (19) 와, 지지 패드 (8) 의 진입면 (27) 은 드릴 본체 (1) 에 지지 패드를 장착시킨 후에 2 개의 단독 작업으로 연삭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작물에 구멍을 기계 가공하는 드릴 본체.
  12. 회전 대칭 형상을 갖는 볼록한 아치형 외측부 (19), 내측부 (20), 전방 단부면 (21) 과 후방 단부면 (22) 및 상기 외측부 (19) 와 적어도 전방 단부면 (21) 사이에 형성된 회전 대칭 형상을 갖는 볼록한 아치형 진입면 (27) 을 포함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로서, 상기 진입면은 한편으로는 한쌍을 이루는 전방 경계선 (28) 및 상기 외측부 (19) 에 접경하는 후방 경계선 (29) 과 다른 한편으로는 접선방향으로 이격된 2 개의 측방 경계선 (30, 31)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의 후방 경계선 (29) 은 외측을 향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볼록한 원호형 선, 더욱 정확하게는 전방으로 향하는 융기부 (36) 를 갖는 원호형 선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 (19) 의 외측부가 회전 대칭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 (C2) 과 진입면 (27) 이 회전 대칭을 이루는 제 2 중심 축선 (C3) 이 상기 원호형 선 (29) 에 볼록한 형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은 원추 형상을 갖고 이 원추 형상은 외측부 (19) 가 동심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 (C2) 에 대하여 편 심을 이루지만 제 1 중심 축선에 평행한 제 2 중심 축선 (C3) 과 동심을 이루며, 진입면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은 외측부 (19) 의 곡률 반경 (R2) 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이 외측부 (19) 의 곡률 반경 (R2) 의 최대 8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의 가장 큰 곡률 반경 (R3) 이 외측부 (19) 의 곡률 반경 (R2) 의 최소 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후방 경계선 (29) 의 융기부 (36) 는, 제 1 중심 축선 (R2)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2 개의 측면 사이의 중간에 외측부 (19) 와 교차하는 축선 방향 평면 (A) 에 진입면 (27) 과, 외측부 (19) 의 중심 축선 (R2, R3) 의 중심이 공통으로 놓여 있기 때문에 지지 패드의 2 개의 측면 (23, 24) 사이에 중간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8.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후방 경계선 (29) 의 융기부 (36) 는, 제 1 중심 축선 (C2)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2 개의 측면 사이의 중간에 외측부 (19) 와 교차하는 축선 방향 평면 (A) 에 떨어져서 진입면의 제 2 축선 (C3) 이 놓여있기 때문에 지지 패드의 2 개의 측면 (23, 24) 중 다른 하나의 측면보다 2 개의 측면 (23, 24) 중 하나의 측면에 더 가까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19.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측부 (19) 가 동심을 이루는 제 1 중심 축선 (C2) 과 예각 (β) 을 이루는 제 2 중심 축선 (C3) 과 동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20.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측면 (23, 24) 중 각 하나의 측면과 외측부 (19) 사이에 챔퍼면 (25)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챔퍼면은, 진입면의 후방 경계선 (29) 으로부터 전방 경계선 (28) 을 향하여 분기하는 상기 측방 경계선 (30, 31) 을 경유하여 진입면 (27) 에 접경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면 (27) 을 따르는 가상의 모선은 2 개의 측방 경계선 (30, 31) 의 근방에서 가장 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22.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비 연삭된 외측부 (19) 와 진입면 (27) 을 갖는 미리 가공된 블랭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계 가공 드릴용 지지 패드.
KR1020090126228A 2008-12-19 2009-12-17 드릴 본체 및 이를 위한 지지 패드 KR201000719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850157-9 2008-12-19
SE0850157A SE533277C2 (sv) 2008-12-19 2008-12-19 Borrkropp samt stödlist härfö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920A true KR20100071920A (ko) 2010-06-29

Family

ID=4202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228A KR20100071920A (ko) 2008-12-19 2009-12-17 드릴 본체 및 이를 위한 지지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6269B2 (ko)
EP (1) EP2198996A3 (ko)
JP (1) JP5551427B2 (ko)
KR (1) KR20100071920A (ko)
CN (1) CN101758273B (ko)
SE (1) SE533277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431A1 (ko) * 2012-12-28 2014-07-03 한국야금 주식회사 깊은 홀 가공을 위한 드릴용 지지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0581A (ja) * 2008-06-23 2010-01-07 Yunitakku Kk 深孔切削用ドリルヘッド
DE102010018959A1 (de) * 2010-04-23 2011-10-27 Tbt Tiefbohrtechnik Gmbh + Co Bohrkopf für ein Tiefbohrwerkzeug zum BTA-Tiefbohren und Tiefbohrwerkzeug
EP2682211A1 (en) * 2011-02-28 2014-01-08 Tungaloy Corporation Guide pad, cutting tool body, and cutting tool
CN103402677B (zh) * 2011-02-28 2015-11-25 株式会社钨钛合金 导向块、切削工具主体以及切削工具
CN103596715B (zh) * 2011-06-13 2017-09-22 伊斯卡有限公司 切割工具、切割工具本体及用于其的切割工具支承垫
EP2700463B1 (en) 2012-08-22 2016-10-1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pport pad
DE102013214019B3 (de) * 2013-07-17 2014-09-11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von Werkstücken, Werkzeug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Verfahren zum Positionieren von Werkstücken mittels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EP2862655A1 (en) * 2013-10-16 2015-04-2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guide pad and a cutter head for a cutting tool
US9676044B2 (en) * 2013-12-19 2017-06-13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having disk-shaped cutter body provided with support pads
EP2946862A1 (en) * 2014-05-21 2015-11-2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support pad, and a cutter head for a rotating cutting tool
WO2017053295A1 (en) * 2015-09-22 2017-03-30 Allied Machine & Engineering Corp. Drilling system and methods for deep hole drilling
DE102017216860B4 (de) 2017-09-22 2020-03-19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Bearbeit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JP6835194B1 (ja) * 2019-12-12 2021-02-2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穴あけ工具
USD1009108S1 (en) 2020-09-21 2023-12-26 Kyocera Unimerco Tooling A/S Drill
JP7150254B1 (ja) 2022-05-02 2022-10-11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ガイドパッド、及びガイドパッドを有するガンドリ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9379A (en) * 1963-02-15 1965-08-10 Madison Ind Inc Method of manufacturing trepanning head
SE347450B (ko) * 1969-11-24 1972-08-07 Sandvikens Jernverks Ab
DE3226799C1 (de) * 1982-07-17 1990-04-19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Kress KG, 7080 Aalen Einmesser-Reibahle
DE3307398C1 (de) * 1983-03-02 1984-06-20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Kress KG, 7080 Aalen Reibahle
DE4329553C2 (de) * 1993-09-02 1997-12-18 Beck August Gmbh Co Einmesser-Reibahle
SE504331C2 (sv) * 1994-09-12 1997-01-13 Sandvik Ab Stödlist för borr
DE19545646A1 (de) * 1995-12-07 1997-06-12 Hilti Ag Drehschlag-Wendelbohrer
SE517446C2 (sv) * 1999-06-21 2002-06-04 Sandvik Ab Stödlist/Ledare
SE517361C2 (sv) * 1999-06-21 2002-05-28 Sandvik Ab Långhålsborr
JP3899271B2 (ja) * 2002-01-16 2007-03-28 ユニタック株式会社 ドリルヘッド用ガイドパッド
JP4460868B2 (ja) * 2003-09-30 2010-05-12 ユニタック株式会社 深孔切削工具
SE527809C2 (sv) * 2004-06-21 2006-06-1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tödlister för borrhuvuden
JP4768998B2 (ja) * 2005-03-04 2011-09-07 ユニタック株式会社 深孔切削用ドリルヘッド
WO2007050009A1 (en) * 2005-10-26 2007-05-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short-hole drill and a drill body therefor
JP4917471B2 (ja) * 2007-04-02 2012-04-18 ユニタック株式会社 深穴切削装置
JP4961246B2 (ja) * 2007-04-02 2012-06-27 ユニタック株式会社 深穴切削装置
CN201046510Y (zh) * 2007-06-04 2008-04-16 正河源机械配件有限公司 可更换刀座的钻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431A1 (ko) * 2012-12-28 2014-07-03 한국야금 주식회사 깊은 홀 가공을 위한 드릴용 지지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8273B (zh) 2015-09-23
US8696269B2 (en) 2014-04-15
JP2010142949A (ja) 2010-07-01
CN101758273A (zh) 2010-06-30
EP2198996A2 (en) 2010-06-23
EP2198996A3 (en) 2016-07-27
SE533277C2 (sv) 2010-08-10
US20100158623A1 (en) 2010-06-24
SE0850157A1 (sv) 2010-06-20
JP5551427B2 (ja)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1920A (ko) 드릴 본체 및 이를 위한 지지 패드
US6039515A (en) Drill having radially overlapping indexable cutting inserts
US8342781B2 (en) Drill body
EP1902799B2 (en) A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nd a cutting insert therefor
KR0150427B1 (ko) 연마 드릴
US8882406B2 (en) Milling cutter, especially a round-head milling cutter
KR101791703B1 (ko) 회전가능한 드릴 공구 및 이 드릴 공구의 기본체
KR102133164B1 (ko)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CZ299732B6 (cs) Britová vložka pro celní frézování s velkými posuvy
KR102554780B1 (ko) 곡선의 이차 절삭 에지와 코너 절삭 에지를 가진 정사각형 형태의 절삭 인서트 및 회전 절삭 공구
KR20070075314A (ko) 선삭 인서트 및 선삭 공구
JP2013525125A (ja) Bta深穴穿孔のための深穴穿孔工具用のドリルヘッド、および深穴穿孔工具
US20160243626A1 (en) Guide pad and cutter head for a cutting tool
JP2018529535A (ja) 旋削インサート
SE1050877A1 (sv) Skär med radieparti, verktyg och anordning för fräsning
US4768901A (en) Drill having two or more cutting edges comprising exchangeable cutting members
RU2146986C1 (ru) Сверло
CN110603112B (zh) 钻体和钻
JP7162657B2 (ja) 金属切削のための旋削ツール及び方法
JP2011504810A (ja) 被加工物の切削加工用の工具
JP2014083667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S5946723B2 (ja) 穿孔工具
US9085033B2 (en) Drilling tool
JP2009050994A (ja) 穴加工工具
JPH05365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