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139A - 차량용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139A
KR20100070139A KR1020080128750A KR20080128750A KR20100070139A KR 20100070139 A KR20100070139 A KR 20100070139A KR 1020080128750 A KR1020080128750 A KR 1020080128750A KR 20080128750 A KR20080128750 A KR 20080128750A KR 20100070139 A KR20100070139 A KR 2010007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astening
bolt
connection
vehic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663B1 (ko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6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분배연결부(34)에 멀티퓨즈(40)의 연결단자(42)와 전원터미널(50)의 통전부(51)가 차례로 안착된다. 그리고 분배연결부(34)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버스바장착부(37)에는 버스바연결편(62)이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연결편(62)의 저면에는 체결보스(6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64)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적이 작아진다. 상기 체결보스(64)에는 두 개의 슬릿(65)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슬릿(65)에 의해 상기 체결보스(64)는 한 쌍의 체결편(66)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편(66)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보스(64)의 중심축을 향해 오무려지는 걸림부(6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6')는 상기 통전부(51) 및 연결단자(42)의 체결공(미도시)과 상기 분배연결부(34)의 관통홀(35)을 통과한 볼트(B)의 나사산에 걸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B)와 체결보스(64)의 체결에 의해 상기 통전부(51), 연결단자(42), 그리고 버스바연결편(62)이 상기 분배연결부(34)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볼트가 공용되며, 한 번의 볼트 체결작업으로 분배연결부에 안착되는 여러 부품들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차량용 박스, 분배연결부, 버스바, 체결편, 볼트

Description

차량용 박스{Box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다수개의 퓨즈, 릴레이 및 전자 부품등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차량용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박스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박스의 내부에는 퓨즈와 릴레이와 같은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퓨즈와 릴레이 및 전자부품들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와이어가 차량용박스의 내부로 연결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분배연결부의 조립상태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용 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몸체(10)에는 퓨즈와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안착되는 부품안착부(1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일측에는 분배연결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분배연결부(14)에는 이단볼트(15)의 중간에 형성되는 안착단(15')이 안착되는 고정부(14')가 상면에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단볼트(15)의 안착단(15')이 고정부(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단볼트(15)의 일단에는 멀티퓨즈(16)의 연결단자(16')와 전원단자(17)가 너트(N)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단볼트(15)의 타단은 도 2와 같이 상기 분배연결부(14)를 관통하여 메인몸체(10)의 하부로 돌출되는데, 여기에 버스바(19)의 버스바연결편(19')이 너트(N)에 의해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중간에 안착단(15')이 형성된 이단볼트(15)가 사용된다. 이러한 이단볼트(15)는 메인몸체(10)의 분배연결부(14)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어서 그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두 개의 너트에 의한 체결로 각 부품들이 조립된다. 따라서 두 번의 너트 체결작업으로 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배연결부의 체결구성을 간소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분배연결부가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부품안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배연결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멀티퓨즈와; 상기 연결단자의 상면에 안착되는 통전부와, 상기 통전부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둘러 감싸는 바렐부로 구성되는 전원터미널과; 상기 부품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부품안착부에 장착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연결단자와, 상기 분배연결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버스바장착부에 안착되는 버스바연결편으로 구성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전부 및 연결단자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분배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볼트의 선단이 상기 버스바연결편에 형성되는 체결보스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버스바연결편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적이 작아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보스는 선단 지름은 상기 볼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보스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 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편의 선단에는 상기 볼트의 외주면을 둘러 형성된 나사산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보스의 선단이 상기 체결보스의 중심축을 향해 오무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기 볼트의 헤드를 향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볼트가 버스바연결편에 형성된 체결보스와 체결되고, 한 번의 볼트 체결작업으로 전원터미널의 통전부, 멀티퓨즈의 연결단자, 버스바연결편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박스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단볼트가 아닌 일반적인 볼트가 사용되며, 별도의 너트가 불필요하다. 그리고 메인몸체의 분배연결부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만 형성하면 되고, 관통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차량용 박스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메인몸체의 성형을 위한 금형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에서 볼트가 체결되기 전 상태가 부분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에서 볼트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차량용 박스의 외관과 골격을 메인몸체(3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30)는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몸체(3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메인몸체(30)를 차폐시키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각각 결합되기도 한다.
상기 메인몸체(30)에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부품안착부(32)가 구비되는데, 상기 부품안착부(32)에는 릴레이나 퓨즈와 같은 부품(미도시)들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30)에는 분배연결부(34)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2곳에 분배연결부(34)가 형성되는데, 상기 분배연결부(34)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받기 위한 연결단자(42)와 전원터미널(50) 등이 위치된다.
상기 분배연결부(34)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홀(3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5)에는 볼트(B)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통홀(35)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볼트(B)가 체결되지도 않는다. 다만, 상기 볼트(B)가 상기 관통홀(35)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30)의 저면 중 상기 분배연결부(34)와 반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버스바장착부(37)가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장착부(37)에는 후술할 버스바연결편(62)이 밀착된다.
멀티퓨즈(40)는 다수개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40)는 주로 대전류가 필요한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멀티퓨즈(40)는 실제로 다수개의 퓨즈를 합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40)의 골격을 퓨즈몸체(41)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41)는 대략 납작하고 일방향으로 긴 육면체형상이다. 상기 퓨즈몸체(41)의 내부에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를 때,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퓨즈몸체(41)의 양단에는 연결단자(4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42)에는 각각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42)는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단자(42) 중 어느 하나는 발전기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배터리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단자(42)는 상기 퓨즈몸체(41)의 양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선단에서 상기 연결단자(4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는 상기 상기 부품안착부(32)에 퓨즈몸체(4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배연결부(34)에 연결단자(4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원터미널(50)은 상기 볼트(B)에 의해 연결단자(42)와 함께 상기 분배연결부(34)에 결합된다. 상기 전원터미널(50)에는 상기 연결단자(42)와 접촉되어 통전되는 통전부(51)가 구비된다. 상기 통전부(51)에는 상기 연결단자(42)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체결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통전부(51)에는 바렐부(52)가 상기 통전부(51)와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52)는 와 이어(미도시)를 둘러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몸체(30)에는 버스바(60)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60)는 상기 부품안착부(32)에 장착되는 미니퓨즈나 릴레이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스바(60)에는 상기 부품안착부(32)에 각각 삽입되는 부품연결단자(6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60)에는 버스바연결편(62)이 상기 부품연결단자(67)와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연결편(62)은 상기 메인몸체(30)의 버스바장착부(37)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버스바연결편(62)에는 상기 관통홀(35)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63)이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연결편(62)의 저면에 상기 체결홀(6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체결보스(64)가 소정 높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64)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64)의 선단 지름은 상기 볼트(B)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보스(64)와 상기 볼트(B)의 외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보스(64)의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체결보스(64)는 상기 체결보스(64)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슬릿(65)에 의해 한 쌍의 체결편(66)으로 구성된다. 두 개의 슬릿(65)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66)은 각각 상기 볼트(B)의 외주면의 절반 정도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체결편(66)은 그 선단이 자유단이 되어 한 쌍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정도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편(66)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보스(64)의 횡단면이 작아지도록 상기 체결보스(64)의 중심축을 향해 오무려지는 걸림부(6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66')는 상기 볼트(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걸어지며, 상기 볼트(B)가 회전할 때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기 볼트(B)의 헤드방향으로 딸려 올라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66')는 볼트(B)의 나사산에 걸어지도록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선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박스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버스바(60)를 상기 메인몸체(30)에 설치한다.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버스바(60)는 상기 메인몸체(30)의 하면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때, 버스바(60)의 버스바연결편(62)은 상기 버스바장착부(37)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연결단자(67)들은 상기 퓨즈나 릴레이가 장착되는 상기 부품안착부(32)에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버스바(60)는 부품안착부(32)에 장착되는 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퓨즈(40)를 상기 메인몸체(30)의 상면에서 내부로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42)는 상기 분배연결부(34)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멀티퓨즈(40)와 대응되는 메인몸체(30)의 하부에는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멀티퓨즈(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터미널(50)의 통전부(51)를 상기 분배연결부(34)에 안착된 상태의 연결단자(42) 상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통전부(51) 및 연결단자(42) 의 체결공, 분배연결부(34)의 관통홀(35), 그리고 버스바연결편(62)의 체결홀(63)이 모두 연통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와 관통홀(35)에 볼트(B)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볼트(B)는 상기 체결공과 관통홀(35)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홀(63)에 삽입되면서 비로소 체결이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볼트(B)가 상기 체결홀(63)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편(66)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66')가 상기 볼트(B)의 나사산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볼트(B)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66')가 상기 나사산을 타고 올라감으로써 상기 체결보스(64)와 볼트(B)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은 상기 걸림부(66')의 선단이 형성하는 체결보스(64)의 지름이 상기 볼트(B)의 내경 보다 작고, 상기 체결보스(64)에 형성된 슬릿(65)에 의해 체결편(66)들이 어느정도 탄성변형이 되므로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볼트(B) 체결이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버스바연결편(62)이 상기 버스바장착부(37)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연결부(34)에 안착된 연결단자(42)와 상기 전원터미널(50)의 통전부(51)는 상기 볼트(B)의 헤드에 의해 상기 분배연결부(34)와 밀착된다. 그러면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B)가 사용되며, 한 번의 볼트(B) 체결작업으로 분배연결부(34)에 안착되는 여러 부품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종래와 같이 볼트의 양측에 체결되는 너트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연결부(34)의 관통홀(35)은 상기 볼트(B)가 관 통하는 부분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볼트(B)의 체결은 상기 버스바연결편(62)의 체결보스(64)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분배연결부(34)의 관통홀(35)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메인몸체(30)를 성형하는 금형 구조가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체결보스가 두 개의 슬릿에 의해 두 개의 체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슬릿이 셋 이상이 되어 체결편의 개수가 셋 이상이 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분배연결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에서 볼트가 체결되기 전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에서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메인몸체 32: 부품안착부
34: 분배연결부 35: 관통홀
37: 버스바장착부 40: 멀티퓨즈
41: 퓨즈몸체 42: 연결단자
50: 전원터미널 51: 통전부
52: 바렐부 60: 버스바
62: 버스바연결편 63: 체결홀
64: 체결보스 65: 슬릿
66: 체결편 B: 볼트

Claims (6)

  1. 부품안착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분배연결부가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부품안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분배연결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멀티퓨즈와;
    상기 연결단자의 상면에 안착되는 통전부와, 상기 통전부에서 연장되어 와이어를 둘러 감싸는 바렐부로 구성되는 전원터미널과;
    상기 부품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부품안착부에 장착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연결단자와, 상기 분배연결부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버스바장착부에 안착되는 버스바연결편으로 구성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전부 및 연결단자를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분배연결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볼트의 선단이 상기 버스바연결편에 형성되는 체결보스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스는 상기 버스바연결편의 저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보스는 선단으로 갈수록 그 횡단면적이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스는 선단 지름은 상기 볼트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스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체결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편의 선단에는 상기 볼트의 외주면을 둘러 형성된 나사산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보스의 선단이 상기 체결보스의 중심축을 향해 오무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기 볼트의 헤드를 향해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KR1020080128750A 2008-12-17 2008-12-17 차량용 박스 KR10146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750A KR101462663B1 (ko) 2008-12-17 2008-12-17 차량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750A KR101462663B1 (ko) 2008-12-17 2008-12-17 차량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139A true KR20100070139A (ko) 2010-06-25
KR101462663B1 KR101462663B1 (ko) 2014-11-17

Family

ID=4236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750A KR101462663B1 (ko) 2008-12-17 2008-12-17 차량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1979A (zh) * 2016-03-22 2018-10-23 住友电装株式会社 电气连接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919A (ja) * 1996-05-22 1997-12-02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3698030B2 (ja) * 2000-08-04 2005-09-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組立方法
KR100796301B1 (ko) 2007-05-04 2008-02-04 한국야스카와전기(주) 로봇핸드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1979A (zh) * 2016-03-22 2018-10-23 住友电装株式会社 电气连接箱
CN108701979B (zh) * 2016-03-22 2020-10-16 住友电装株式会社 电气连接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663B1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018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20080200045A1 (en) Electric junction box
WO2013136618A1 (ja) 高電圧用電気接続箱
US106862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160204555A1 (en)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JP5299698B2 (ja) 電気接続箱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809569B2 (ja) 電気接続箱
US20190319377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809848B2 (ja) 電気機器と電線端末端子との接続構造、及び、電気接続箱
KR20100070139A (ko) 차량용 박스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KR20100039052A (ko) 박스
JPH0950836A (ja) ヒューズの接続構造
JP5915941B2 (ja) 電気接続箱
KR100796030B1 (ko) 링터미널 및 링터미널의 고정구조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KR200410105Y1 (ko)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JP6499409B2 (ja) 電源分岐構造
JP5851721B2 (ja) ボルト締め端子の端子斜め防止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553156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KR200458067Y1 (ko) 조인트 박스
KR20090004245U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