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547A -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 Google Patents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547A
KR20100069547A KR1020090061042A KR20090061042A KR20100069547A KR 20100069547 A KR20100069547 A KR 20100069547A KR 1020090061042 A KR1020090061042 A KR 1020090061042A KR 20090061042 A KR20090061042 A KR 20090061042A KR 20100069547 A KR20100069547 A KR 2010006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runner
tubular end
subsequent
cent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803B1 (ko
Inventor
시아-후이 첸
Original Assignee
시아-후이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후이 첸 filed Critical 시아-후이 첸
Publication of KR2010006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45B25/08Devices for fastening or 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0Umbrella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 (100)용 러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축 (L)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 (X)에서 튜브형 러너 (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튜브형 유지 블록 (20) 및 상기 축 (L)을 따라 이동 가능한 튜브형 밀대 요소(30)를 포함한다. 상기 밀대 요소 (30)의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밀대 요소 (30)가 해제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눌려질 때, 상기 우산 프레임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 블록 (20)이 첫 번째 위치로부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져, 그 위에 배치되어진 유지 요소 (26)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맞물림 면 (110)에 맞물려지도록 허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우산, 프레임, 러너, 조립체

Description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A Runner assembly for an umbrella frame}
본 발명은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형 밀대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러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는 러너가 상부 및 하부 위치 사이를 움직이게 만들뿐만 아니라, 상기 러너를 상기 상부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미국 특허 번호 제6,758,229호에 게시된 통상의 우산 프레임의 러너 조립체는, 어깨부 (101)를 가지는 돌기와 함께 형성되어지는 중앙 샤프트 (1)에 슬라이드 가능한 러너 (2)와, 상기 러너 (2)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러너 (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슬리브 요소 (3)를 포함하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상기 러너 (2)는 상기 슬리브 요소 (3)의 캠 표면 (301)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두 개의 반경방향으로 바이어스(bias)된 유지 요소들 (201)을 가지고, 이에 따라 상기 러너 (2)가 상기 어깨부 (101)에 유지되어, 상기 러너 (2)가 개방되어지는 위치에서 이에 의하여 잡혀지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미국 특허 번호 제7,281,542호에서 게시된 또 다른 통상의 우산 프레임의 러너 조립체는, 러너 (4)와, 상기 러너 (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지는 두 개의 결합편들 (5), 및 상기 러너 (4) 주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지는 슬리브 (6)를 포함하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상기 결합편들 (5) 각각은 상기 러너 (4)에 있는 요홈 (402)에 맞물게 되는 중앙 피봇 부분 (501)을 가지고, 그리하여 이의 결합 단부 (502)는 중앙 샤프트 (미도시)의 어깨부에 유지되어지는 상기 러너 (4)에 있는 구멍 (401) 속으로 내부 링 (601)에 의하여 눌려지게 되어 상기 우산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앞에서 기술된 상기 러너 조립체를, 이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어떠한 통상의 우산 프레임들에도 동일하게 적합할 수 있도록 하고, 러너가 샤프트 상에서 상부 위치에 단단히 유지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지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어떠한 통상의 우산 프레임들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의 러너가 샤프트 상에서 상부 위치에 단단하게 유지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우산 프레임에서 사용되어지는 러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러너 조립체는 튜브형 러너, 튜브형 유지 블록, 튜브형 밀대 요소, 및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러너는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들은 이들 사이의 수용 공간을 정의하는 축을 따라 서로로부터 공간을 두며 분리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축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첫 번째 방향에서 안내면을 정의한다.
상기 유지 블록은, 상기 안내면을 따라 가이드 되어 이동 가능한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첫 번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마주보는 선도(leading) 및 후속(trailing) 벽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선도 벽 부품의 외부 선도 표면은 상기 하부 튜브형 단부에 근접하는 범프(bump) 부분을 가진다. 상기 후속 벽 부품의 외부 후속 표면은 상기 상부 튜브형 단부에 근접하는 종동부(follower) 부분을 가진다.
상기 밀대 요소는,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와 해제 위치(releasing position)사이를 상기 축을 따라서 상기 러너와 상기 유지 블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상기 작동 위치는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에 근접하는 위치이고, 상기 해제 위치는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이다. 상기 밀대 요소의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첫 번째 방향에서의 상기 외부 후속 및 선도 표면을 각각 마주하는 작동 및 보조 표면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표면 부품은 헤드 부분과 캠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헤드 부분이 상기 종동부 부분(follower region) 위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캠 부분이 종동부 부분과 맞물리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유지 블록이 첫 번째 위치에서 두 번째 위치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표면 부품은 후퇴 부분과 구속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유지 블록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범프 부분이 상기 구속 부분에 대하여 접하게 되어, 상기 밀대 요소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범프 부분이 상기 구속 부분 위로 미끄러지게 되어 상기 후퇴 부분 쪽으로 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후속 벽 부품의 내부 후속 표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유지 블록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질 때, 상기 유지 요소가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의 결합 표면과 맞물리게 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너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1. 상기 러너 (10), 유지 블록 (20), 및 밀대 요소 (20)는 구조면에서 단순하며, 기존에 알려진 일반적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 (1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2. 상기 유지 블록 (20) 전체가, 상기 러너 조립체가 따라서 이동되어지는 방향인 상기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지 요소 (26)와 상기 맞물림 면 (110) 사이, 상기 캠 (322)과 상기 종동부 (213)사이, 및 상기 편평한 부분 (223)과 구속 부분 (311) 사이의 맞물림을 통하여, 상기 러너 (10)는 상기 중앙 샤프트 (100) 상의 상기 상부 위치에서 단단히 유지되어질 수 있다.
3. 상기 축 방향 (L)을 따라 상기 밀대 요소 (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 벽들 (111)과 상기 안내면을 따른 상기 유지 블록 (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러너 조립체의 동작이 부드럽고 성공적일 수 있다.
4. 상기 경사부들 (323, 225)의 제공에 의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유지 블록 (20)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점과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예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히 설명될 것 이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기술하기 전에, 본 명세서를 통하여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어졌음을 먼저 밝힌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에 알려진 우산 프레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이런 종래 우산 프레임은 축 방향에서 축 (L)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위쪽 방향으로 향하는 맞물림 면 (110)을 가지는 중앙 샤프트 (100) 및, 리브(rib) 유닛 (미 도시)을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 사이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지는 펼침 유닛 (미 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러너 조립체는 튜브형 러너 (10), 튜브형 유지 블록 (20), 튜브형 밀대 요소 (30) 및, 유지 요소 (26)로 구성되어짐이 도시되어진다.
상기 튜브형 러너 (10)는 상기 중앙 샤프트 (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리브 되어지도록 적용되어지고, 상부 튜브형 끝단 (11) 및 하부 튜브형 끝단 (12)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은 상기 펼침 유닛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하부 튜브형 끝단 (12)은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이격하여 공간을 두고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같이 작용하여 수용 공간 (14)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 공간 (14)은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가로축의 첫 번째 방향 (X)으로 확장하는 안내면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러너 (10)는 상기 축 방향에서 연장되어서 상 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은 상기 첫 번째 방향 및 상기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두 번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각각 이격되어 놓여지고,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함께하여 상기 안내면을 만든다. 또한, 상기 러너 (10)는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배치되어지는 환상(annular) 시트 (13)를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은 상기 수용 공간 (14)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샤프트 (100)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에 의해 안내되어 첫 번째 위치와 두 번째 위치 사이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이동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상기 유지 블록 (20)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는 선도 및 후속 벽 부품들 (22, 21)을 포함한다. 상기 선도 벽 부품 (22)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맨 윗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선도 표면 (221)과 경사부 (225)를 가지고 있고,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은 각각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가까이 위치한 범프 부분 (222)과,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으로부터 이격되어지는 편평한(leveled) 부분 (223)을 가지고, 상기 경사부 (225)는 범프 부분 (222)과 편평한 부분 (223)사이에 위치되어진다. 상기 선도 벽 부품 (22)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선도 표면 (224)을 더 가진다. 상기 후속 벽 부품 (21)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뒤에서 후속하며,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후속 표면 (214)과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대하여 가까이 위치하는 돌출된 종동부 부분 (213)과, 상기 상부 튜브 형 끝단 (11)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후속 부분 (212)을 가지는 외부 후속 표면 (211)을 가진다.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는 상기 유지 블록 (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 표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에 각각 짝을 이루는 전방 및 후방 슬롯 부분 (31)을 가져, 상기 러너 (10) 및 상기 유지 블록 (20)에 대하여 상기 축(L)을 따라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가까운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와 상기 밀대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멀어지는 해제 위치 (releasing position)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각각, 상기 외부 후속 표면 (211)을 직면하는 작동 표면 부품 (32)과,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을 직면하고 있는 보조 표면 부품 (3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동 표면 부품 (32)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으로부터 각각, 가깝게 배치된 헤드 부분 (321)과, 멀리 배치된 캠 부분 (322) 및 상기 헤드 부분 (321)과 캠 부분 (322) 사이에 배치되어지는 경사부 (323)를 가진다. 상기 보조 표면 부품 (31)은 구속 부분 (311)과 후퇴 부분 (312)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분 (311)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가깝게, 상기 후퇴 부분 (312)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서 멀리 배치되어진다. 또한 상기내부 슬리브 표면은 상기 구속 부분 (311)과 후퇴 부분 (312) 사이에 배치되어지는 환상 어깨(shoulder)부 (36)를 가진다.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에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 어져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 상에 배치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진다.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러너 (10)가 상기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지 블록 (20)은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으며, 상기 밀대 요소 (30)는 상기 해제 위치(releasing position)에 있다. 특히,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과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상기 환형 어깨부 (36)는 상기 환형 시트 (13)와 접하고 있어서, 상기 해제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밀대 요소 (30)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예방하도록 한다. 이에 추가하여, 상기 종동부 부분 (213)은 상기 헤드 부분 (321)에 배치되어지고, 상기 후속 부분 (212)은 상기 캠 부분 (322)에 접촉되어져 있고, 상기 러너 조립체는 상기 축 (L)을 따라 상기 중앙 샤프트 (100) 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에 대하여 위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다시 말하면, 상기 경사부 (323)의 정렬에 의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헤드 부분 (321)은 부드럽게 상기 종동부 부분(following region) (213) 위로 움직여서 상기 캠 부분 (322)이 상기 종동부 부분 (213)과 맞물려서 상기 유지 블록 (20)에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유지 블록 (20)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서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전환되게 한다. 반면에,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위로 미끄러져 상기 후퇴 부분 (312)으로 빠지게 되어, 상기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지도록 한 다. 일단 상기 유지 요소 (26)가 맞물림 면 (110)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유지 요소 (26)와 상기 맞물림 면 (110)이 맞물리게 되면, 상기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져, 상기 편평한 부분 (223)은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작동 위치에 머물러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 부분 (311)에 대하여 마찰적 결합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맞물림 면 (110)에 유지되어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완전히 펼쳐지는 위치로부터 벗어나려는 상기 리브 유닛의 이동을 막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가 되도록 아래 방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경사부 (225)의 정렬에 의해, 상기 유지 블록 (20)은 부드럽게 상기 첫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고, 상기 내부 선도 표면 (224)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접촉하도록 가져가져 상기 유지 블록 (20)의 이동의 확장이 상기 첫 번째 위치로 향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너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1. 상기 러너 (10), 유지 블록 (20), 및 밀대 요소 (20)는 구조면에서 단순하며, 기존에 알려진 일반적 우산 프레임의 중앙 샤프트 (1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2. 상기 유지 블록 (20) 전체가, 상기 러너 조립체가 따라서 이동되어지는 방향인 상기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상기 첫 번째 방향(X)에서, 상기 두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지 요소 (26)와 상기 맞물림 면 (110) 사이, 상기 캠 (322)과 상기 종동부 (213)사이, 및 상기 편평한 부분 (223)과 구속 부분 (311) 사이의 맞물림을 통하여, 상기 러너 (10)는 상기 중앙 샤프트 (100) 상의 상기 상부 위치에서 단단히 유지되어질 수 있다.
3. 상기 축 방향 (L)을 따라 상기 밀대 요소 (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 벽들 (111)과 상기 안내면을 따른 상기 유지 블록 (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러너 조립체의 동작이 부드럽고 성공적일 수 있다.
4. 상기 경사부들 (323, 225)의 제공에 의해, 상기 밀대 요소 (30)가 상기 유지 블록 (20)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시되어지고, 상부 측으로 마주보는 맞물림 면 (110)을 형성하는 바이어스된 (biased) 활 (111)을 가지는 통상의 중앙 샤프트 (100)에 사용되도록 적용되어진다.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근접하게 배치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러너 조립체는 어떠한 통상의 우산 프레임에도 사용이 적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1은 기존 러너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기존 러너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하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상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러너 조립체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하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두번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상부 위치에서의 러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축 방향에서 축 (L)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위쪽 방향으로 향하는 맞물림 면 (110)을 가지는 중앙 샤프트 (100) 및, 우산 프레임의 리브(rib) 유닛을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 사이를 움직이도록 배치되어지는 펼침 유닛을 포함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로서,
    상기 펼침 유닛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와 전체적으로 펴도록 하는 위치에 각각 상응하는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부 튜브형 끝단 (11); 및,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이격하여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같이 작용하여 수용 공간 (14)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 (14)은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가로축의 첫 번째 방향 (X)으로 확장하는 안내면을 형성하는 하부 튜브형 끝단 (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샤프트 (100)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슬리브 되어지도록 적용되어지는 튜브형 러너 (10);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맨 윗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가까이 위치한 범프 부분 (222)을 포함하는 외부 선도 표면 (221)을 가지는 선도 벽 부품 (22); 및, 상기 선도 벽 부품 (22)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 샤프트 (100)의 뒤에서 후속하며,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후속 표면 (214) 및,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대하여 가까이 위치하는 종동부 부분 (213)을 포함하는 외부 후속 표면 (211)을 가지는 후속 벽 부품 (21);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 (14)에서 상기 중앙 샤프트 (100)를 둘러싸고 있으며, 첫 번째 위치와 두 번째 위치 사이의 상기 안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튜브형 유지 블록 (20);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내부 슬리브 표면(31)을 가지는 튜브형 밀대 요소 (30)로서,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가까운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와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과 멀어지는 해제 위치 (releasing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튜브형 러너 (10) 및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31)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외부 후속 표면 (211)을 직면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으로부터 각각, 가깝게 배치된 헤드 부분 (321)과, 멀리 배치된 캠 부분 (322)을 가지며,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헤드 부분 (321)은 상기 종동부 부분(following region) (213) 위로 움직이도록 가져가져서, 상기 캠 부분 (322)이 상기 종동부 부분 (213)과 맞물려서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을 상기 첫 번째 위치에서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지는 작동 표면 부품 (32); 및,
    상기 첫 번째 방향 (X)에서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을 직면하도록 배치되어지고,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으로부터 각각, 가깝게 배치된 구속 부분 (311)과, 멀리 배치된 후퇴 부분 (312)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과 경계를 접하게 되고,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작동 위치로 움직일 때, 상기 범프 부분 (222)은 상기 구속 부분 (311)위로 미끄러져 상기 후퇴 부분 (312)으로 빠지게 되어,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이 허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는 보조 표면 부품 (31)
    을 포함하는 튜브형 밀대 요소 (30); 및,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 상에 배치되어지는 유지 요소 (26)로서,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두 번째 위치로 이동 되어질 때, 상기 유지 요소 (26)가 맞물림 면 (110)에 맞물리도록 가져가져, 이와 함께 유지되어져, 이에 의하여 상기 완전히 펼쳐지는 위치로부터 벗어나려는 상기 리브 유닛의 이동을 막도록 하는 유지 요소 (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러너 (10)는 상기 축 방향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을 서로 연결하는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을 포함하 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튜브형 끝단들 (11, 12)은 상기 첫 번째 방향 (X) 및 상기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두 번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하여 각각 이격되어 놓여지고,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과 함께하여 상기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전방 및 후방 안내 벽들 (111)에 의하여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위치 사이를 이동되어지도록 가이드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 벽 부품 (22)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직면하고 있는 내부 선도 표면 (224)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선도 표면 (224)은 상기 중앙 샤프트 (100)와 접촉하도록 가져가져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의 이동의 확장이 상기 첫 번째 위치로 향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선도 표면 (221)은 각각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으로부터 이격되어지는 편평한 부분 (223)을 가지고, 상기 편평한 부분 (223)은 상기 튜브형 밀대 요소 (30)가 상기 작동 위치에 머물러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속 부분 (311)에 대하여 마찰적 결합상태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후속 표면 (211)은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후속 부분 (212)을 가지고, 상기 튜브형 유지 블록 (20)이 상기 첫 번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속 부분 (212)은 상기 캠 부분 (322)에 접촉되도록 가져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에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어져, 상기 상부 튜브형 끝단 (11)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 (26)는 상기 내부 후속 표면 (214)에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어져,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러너 (10)는 상기 하부 튜브형 끝단 (12)에 배치되어지고 위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환상 시트 (13)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슬리브 표면 (31)은 상 기 구속 부분 (311)과 후퇴 부분 (312) 사이에 배치되어지는 환상 어깨부 (36)를 가져, 상기 환형 어깨부 (36)는 상기 환형 시트 (13)와 접하고 있어서, 상기 해제위치에서 벗어나는 상기 밀대 요소 (30)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KR1020090061042A 2008-12-16 2009-07-06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KR101088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201899522U CN201398566Y (zh) 2008-12-16 2008-12-16 伞巢定位装置
CN200820189952.2 200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47A true KR20100069547A (ko) 2010-06-24
KR101088803B1 KR101088803B1 (ko) 2011-12-01

Family

ID=4150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042A KR101088803B1 (ko) 2008-12-16 2009-07-06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7936B1 (ko)
EP (1) EP2198732B1 (ko)
JP (1) JP5048027B2 (ko)
KR (1) KR101088803B1 (ko)
CN (1) CN201398566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60B1 (ko) * 2011-01-06 2013-02-21 시아-후이 첸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3617A1 (en) * 2010-09-27 2012-03-29 Glenn Kupferman Umbrella Having An Improved Locking Mechanism
TW201216890A (en) * 2010-10-25 2012-05-01 Shu-Min Zhang capable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an umbrella in the state of opening
CN103371579B (zh) * 2012-04-19 2015-12-23 宁波万汇休闲用品有限公司 快速挂骨上下巢结构及相关伞具和快速挂骨方法
USD731166S1 (en) * 2013-03-13 2015-06-09 Oliver Joen-An Ma Umbrella hub
USD738610S1 (en) * 2013-09-19 2015-09-15 Oliver Joen-An Ma Umbrella runner
USD848139S1 (en) 2015-05-15 2019-05-14 Oliver Joen-An Ma Umbrella frame
USD820581S1 (en) 2015-05-22 2018-06-19 Oliver Joen-An Ma Umbrella runner
USD814172S1 (en) 2015-05-22 2018-04-03 Oliver Joen-An Ma Umbrella runner
USD808634S1 (en) 2016-10-19 2018-01-30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8635S1 (en) 2016-10-19 2018-01-30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9775S1 (en) 2016-10-19 2018-02-13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9283S1 (en) 2016-10-19 2018-02-06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9284S1 (en) 2016-10-19 2018-02-06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808636S1 (en) 2016-10-19 2018-01-30 ZHUN-AN Ma Umbrella runner
CN107594797A (zh) * 2017-08-04 2018-01-19 浙江天合雨具设计有限公司 一种雨伞的快速省力开合装置
USD847487S1 (en) 2017-09-27 2019-05-07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935762S1 (en) 2019-11-08 2021-11-16 ZHUN-AN Ma Umbrella runner
USD1017222S1 (en) * 2022-06-30 2024-03-12 Linhai Jiade Leisure Products Co., Ltd Hand-held umbrella hub
USD1016470S1 (en) * 2022-06-30 2024-03-05 Linhai Jiade Leisure Products Co., Ltd Hand-guided umbrella hub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854A (en) * 1962-05-30 1965-01-20 Wellcome Found 5-acyloxyuracils
IT1009845B (it) * 1974-04-12 1976-12-20 Redaelli Giuseppe & Fllo Spa Perfezionamento agli ombrelli
IT1074869B (it) * 1977-01-07 1985-04-20 Badellino Vittorita Cannolino scorrevole per l'apertura e la chiusura di ombrelli
JPH03108731U (ko) * 1990-02-23 1991-11-08
US5515878A (en) * 1995-02-24 1996-05-14 Wu; Tsun-Zong Simplified umbrella without externally-extended spring positioning means
US5615698A (en) * 1996-05-21 1997-04-01 Ko; Chin-Sung Umbrella folding and unfolding device
KR200297066Y1 (ko) 2002-09-16 2002-11-30 송주홍 우산
TW587430U (en) 2002-12-10 2004-05-11 Sheng-He Wang Device for positioning parasol runner
JP3880932B2 (ja) * 2003-01-21 2007-02-14 勝和 王
US6941960B2 (en) * 2003-08-15 2005-09-13 Lu Tsai Huang Runner lock device for umbrella
US7281542B2 (en) 2004-04-28 2007-10-16 Ko Chin-Sung Positioning structure for umbrella runner
DE202004009551U1 (de) * 2004-06-16 2004-11-18 Ko, Chin-sung, Ho Mei Positionierungskonstruktion für den Schieber eines Schirms
KR200411232Y1 (ko) 2005-12-28 2006-03-15 천한위 우산 절첩 전개장치
CN101164470B (zh) * 2006-10-17 2010-09-29 张书闵 水平扣合的多折伞手拉开收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60B1 (ko) * 2011-01-06 2013-02-21 시아-후이 첸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7936B1 (en) 2010-01-19
JP5048027B2 (ja) 2012-10-17
JP2010142635A (ja) 2010-07-01
KR101088803B1 (ko) 2011-12-01
EP2198732A1 (en) 2010-06-23
CN201398566Y (zh) 2010-02-10
EP2198732B1 (en)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803B1 (ko)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JP6735059B2 (ja)
US8870213B1 (en) Single-hand foldable baby stroller
US5645293A (en) Collapsible structure for a stroller
CA2357611C (en) Stroller with folding frame and retractable handlebar
KR101235960B1 (ko)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JP2007222591A (ja) 折畳式傘
CA2952686A1 (en) Telescopic handle for pieces of luggage
US7461666B2 (en) Automatic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a multi-folding umbrella
JP6516823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CN108720382A (zh) 滑轨总成
KR101573440B1 (ko) 자동으로 펼쳐지는 지지체
KR101707129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구
US4936332A (en) Simply-constructed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US5060684A (en) Automatic umbrella foldably retained by tip cap
TW201536489A (zh) 用於手工具之伸縮桿
JP4516573B2 (ja) 側面ボタンを備えている筆記用具
WO2018084181A1 (ja)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JP2007302234A (ja) 複数の機構のそれぞれをロープを介して動作させる装置
JP5824174B1 (ja) 伸縮機能付きステッキ
CN212280236U (zh) 方便开收的顺杆式折叠伞
CN109247676B (zh) 机械伞
TWI358490B (ko)
US3698410A (en) Telescopic umbrel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