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066Y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066Y1
KR200297066Y1 KR2020020027721U KR20020027721U KR200297066Y1 KR 200297066 Y1 KR200297066 Y1 KR 200297066Y1 KR 2020020027721 U KR2020020027721 U KR 2020020027721U KR 20020027721 U KR20020027721 U KR 20020027721U KR 200297066 Y1 KR200297066 Y1 KR 200297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upled
elastic body
fixture
elev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홍
Original Assignee
송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홍 filed Critical 송주홍
Priority to KR2020020027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06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살이 결합되는 고정구와 받침살이 결합되는 승강관에 뾰족한 돌기들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구와 승강관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의 안내홈들에 각각 결합되어 전체적인 우산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특징은,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의 상단 고정구(20)에는 방수용 천(22)들이 씌워진 우산살(21)들이 힌지(21a) 결합되고, 우산대(10)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관(30)과 우산살(21)들 사이에는 받침살(31)들의 양단이 각각 힌지(31a)(31b) 결합되어 승강관(30)을 밀어 올리면 받침살(31)들이 상승되면서 우산살(21)과 받침살(31)이 갖는 탄성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상승되면 우산살(21)이 완전히 펼쳐짐과 동시에 받침살(31)들이 고정구(20)에 근접되면서 고정되는 우산(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의 하부면에 형성된 뾰족한 돌기(20a)들은 그 하부에 결합된 탄성체(4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고, 승강관(30)의 상부에 형성된 뾰족한 돌기(30a)들은 탄성체(40)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어 우산(1)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고정구(20), 탄성체(40), 승강관(30)이 서로 밀착되어 일체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우산{a umbrella}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살이 결합되는 고정구와 받침살이 결합되는 승강관에 뾰족한 돌기들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구와 승강관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의 안내홈들에 각각 결합되어 전체적인 우산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금속제 우산살에 방수가 가능한 천을 씌워서 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주로 방수용 천과 함께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우산살과 우산대 및 우산살이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받침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에서도 본인이 선 등록한 "우산"(실용신안등록 제0229481호 참조)에서는 받침살들이 방사형으로 결합된 승강관을 밀어 올리면 받침살들이 상승되면서 우산살과 받침살이 갖는 탄성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설정된 임계각 이상으로 상승되면 우산살이 완전히 펼쳐짐과 동시에 받침살들이 그 상측의 우산살 고정구에 근접되면서 고정되어 펼쳐진 우산이 접혀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력을 이용한 우산을 제안한 바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본인의 선등록은 우산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바람과 같은 외부의 조건에 의하여 우산이 흔들리는 경우에는 우산대를 중심으로 승강관과 함께 우산살과 받침살이 양측으로 회동되면서 심하게 유동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우산대에서 승강관, 우산살, 받침살이 함께 회동되는 경우에는 우산이 쉽게 고장날 뿐 아니라 결국 우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우산살이 결합되는 고정구와 받침살이 결합되는 승강관에 뾰족한 돌기들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구와 승강관 사이에 위치한 탄성체의 안내홈들에 각각 결합되어 전체적인 우산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그 수명을 상당기간 연장시킬 수 있는 우산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의 상단 고정구(20)에는 방수용 천(22)들이 씌워진 우산살(21)들이 힌지(21a) 결합되고, 우산대(10)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관(30)과 우산살(21)들 사이에는 받침살(31)들의 양단이 각각 힌지(31a)(31b) 결합되어 승강관(30)을 밀어 올리면 받침살(31)들이 상승되어 우산살(21)과 받침살(31)이 갖는 탄성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상승되면 우산살(21)이 완전히 펼쳐짐과 동시에 받침살(31)들이 고정구(20)에 근접되면서 고정되는 우산(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의 하부면에 형성된 뾰족한 돌기(20a)들은 그 하부에 결합된 탄성체(4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고, 승강관(30)의 상부에 형성된 뾰족한 돌기(30a)들은 탄성체(40)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어 우산(1)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고정구(20), 탄성체(40), 승강관(30)이 서로 밀착되어 일체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우산대(10)의 하부에는 완만한 경사면(51)을 갖는 지지관(50)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우산(1)이 접혀졌을 때 하강된 승강관(30)이 지지관(50)에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손잡이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우산 10 : 우산대
11 : 손잡이 20 : 고정구
20a, 30a : 돌기 21 : 우산살
21a, 31a, 31b : 힌지 22 : 방수용 천
30 : 승강관 31 : 받침살
40 : 탄성체 40a : 안내홈
50 : 지지관 51 : 경사면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대(10)의 하부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손잡이(11)가 결합되어 있고, 우산대(10)의 상단에는 고정구(20)가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20)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우산살(21)들이 각각 힌지(21a) 결합되어 방사형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우산살(21)들의 외부에는 방수용 천(22)이 씌워져 고정된다.
상기 우산대(10)에는 승강관(30)이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승강관(30)과 우산살(21)들 사이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받침살(31)들의 양단이 각각 힌지(31a)(31b)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관(30)을 밀어 올리면 받침살(31)들이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상승되어 우산살(21)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관(30)을 계속하여 밀어 올려 우산살(21)과 받침살(31)이 갖는 탄성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상승되면 우산살(21)이 완전히 펼쳐짐과 동시에 받침살(31)들이 고정구(20)에 근접되면서 고정되고,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승강관(30)을 잡아당기기 전에는 우산(1)이 접혀지지 않는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우산살(21)과 받침살(3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우산(1)을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기술은 본인의 선 등록에서 이미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고정구(20)와 승강관(30)에 뾰족한 돌기(20a)(30a)들이 각각 형성되어 탄성체(40) 상,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우산(1)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우산대(10)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구(20)의 하부 주연부에는 뾰족한 돌기(20a)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고정구(20)의 하부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체(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4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우산대(10)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부면이 고정구(20)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고정구(20)의 상부 주연부에는 안내홈(40a)들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40a)들에는 고정구(20)의 돌기(20a)들이 삽입되어 탄성체(4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관(30)의 상부 주연부에는 뾰족한 돌기(30a)들이 형성되어 있고,승강관(30)의 돌기(30a)들은 탄성체(40)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어 승강관(3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20)는 우산대(10)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그 하부에 결합된 탄성체(40)는 고정구(2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뾰족한 돌기(20a)들과 안내홈(40a)들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탄성체(40)가 고정구(20)에 일체로 고정되어 그 회동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승강관(30)을 밀어 올려 우산살(21)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면 승강관(30)의 상부면이 탄성체(4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승강관(30)의 돌기(30a)들이 탄성체(4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어 승강관(30)의 회동이 방지되는 것이므로 결국 고정구(20), 탄성체(40), 승강관(30)이 일체로 고정되어 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40)는 고무와 같이 완충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우산(1)을 펼치기 위하여 승강관(30)을 상측으로 밀어 올렸을 때 승강관(30)이 탄성체(40)에 강하게 부딪히더라도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우산(1)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우산(1)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람과 같은 외부의 조건에 의하여 우산(1)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우산대(10)를 중심으로 고정구(20), 탄성체(40), 승강관(30)이 일체로 고정되어 그 회동이 방지되는 것이므로 그 구조가 매우 견고할 뿐 아니라 우산(1)이 쉽게 고장나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산의 수명을 상당기간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우산대(10)의 하부에는 완만한 경사면(51)을 갖는 지지관(50)이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50)은 우산(1)이 접혀졌을 때 승강관(30)이 하강되면 지지관(50)이 승강관(3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경사면(51)에 의하여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이므로 우산(1)이 접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면(51)을 갖는 지지관(50)이 승강관(3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본 고안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접혀진 우산(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우산대(10)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볼을 장치하여 승강관(30)을 고정시키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구조의 견고성을 높여줄 수 있고 우산의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돌기(20a)와 안내홈(40a)에 의하여 고정구(20) 하부에 탄성체(40)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관(30)을 밀어 올려우산살(21)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하면 승강관(30)이 탄성체(40)에 밀착되면서 승강관(30)의 돌기(30a)들이 탄성체(40)의 안내홈(40a)들에 삽입 고정되어 그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우산(1)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람과 같은 외부의 조건에 의하여 우산(1)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우산대(10)를 중심으로 고정구(20), 탄성체(40), 승강관(30)이 일체로 고정되어 그 회동이 방지됨에 따라 그 구조가 매우 견고하여 우산의 수명을 상당기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우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손잡이(11)를 갖는 우산대(10)의 상단 고정구(20)에는 방수용 천(22)들이 씌워진 우산살(21)들이 힌지(21a) 결합되고, 우산대(10)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관(30)과 우산살(21)들 사이에는 받침살(31)들의 양단이 각각 힌지(31a)(31b) 결합되어 승강관(30)을 밀어 올리면 받침살(31)들이 상승되면서 우산살(21)과 받침살(31)이 갖는 탄성력의 한계를 극복하여 상승되면 우산살(21)이 완전히 펼쳐짐과 동시에 받침살(31)들이 고정구(20)에 근접되면서 고정되는 우산(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의 하부면에 형성된 뾰족한 돌기(20a)들은 그 하부에 결합된 탄성체(40)의 상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고, 승강관(30)의 상부에 형성된 뾰족한 돌기(30a)들은 탄성체(40)의 하부 주연부에 형성된 안내홈(40a)들에 삽입되어 우산(1)이 완전히 펼쳐졌을 때 고정구(20), 탄성체(40), 승강관(30)이 서로 밀착되어 일체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대(10)의 하부에는 완만한 경사면(51)을 갖는 지지관(50)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우산(1)이 접혀졌을 때 하강된 승강관(30)이 지지관(50)에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2020020027721U 2002-09-16 2002-09-16 우산 KR200297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21U KR200297066Y1 (ko) 2002-09-16 2002-09-16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721U KR200297066Y1 (ko) 2002-09-16 2002-09-16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066Y1 true KR200297066Y1 (ko) 2002-11-30

Family

ID=7307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721U KR200297066Y1 (ko) 2002-09-16 2002-09-16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03B1 (ko) 2008-12-16 2011-12-01 시아-후이 첸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803B1 (ko) 2008-12-16 2011-12-01 시아-후이 첸 우산 프레임용 러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5222B (zh) 一种折叠式五星脚
KR200297066Y1 (ko) 우산
KR200403063Y1 (ko) 우산
KR100742157B1 (ko) 우산
CN211021299U (zh) 伞骨单元以及庭院伞
CN209732806U (zh) 一种遮阳伞
KR200361563Y1 (ko) 뒤집어지지 않는 접이식 우산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CN205947310U (zh) 一种新型多功能理疗伞
KR200373088Y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CN200987422Y (zh) 多功能伞
KR100719175B1 (ko) 손잡이가 틸팅 된 우산
KR20190127131A (ko) 역방향으로 접히는 살없는 내장형 우산
KR200285444Y1 (ko) 절첩식 천막용 골조
CN210644365U (zh) 一种担架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348625Y1 (ko) 확장식 파라솔 장치
CN206836449U (zh) 一种上翻折叠伞支架
CN209421141U (zh) 一种带卡扣固定的自动伞
CN207803659U (zh) 一种便于收折和展开的伞具结构
CN2462664Y (zh) 端部固定式多级伸缩鱼竿
CN2582436Y (zh) 雨伞防风器
KR200293697Y1 (ko) 우산
CN217658495U (zh) 一种反转式折伞结构
KR100497965B1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