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587A - 스캐너 - Google Patents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587A
KR20100068587A KR1020080126990A KR20080126990A KR20100068587A KR 20100068587 A KR20100068587 A KR 20100068587A KR 1020080126990 A KR1020080126990 A KR 1020080126990A KR 20080126990 A KR20080126990 A KR 20080126990A KR 20100068587 A KR20100068587 A KR 20100068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tor
motor
driving
uni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587A/ko
Priority to US12/625,132 priority patent/US8508815B2/en
Publication of KR2010006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08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 H04N1/0414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2Details of the method used
    • H04N1/0443Varying the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2Details of the method used
    • H04N1/0455Details of the method used using a single set of scanning elements, e.g. the whole of and a part of an array respectively for different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26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using a belt or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2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 H04N1/193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one main scanning line using electrically scanned linear arrays, e.g. linear CCD arrays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구조가 개선된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캐너{SCANNER}
본 발명은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구조가 개선된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Scanner)는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정보를 읽어 들이는 장치로서, 근래에는 팩시밀리, 디지털복사기, 복합기 등의 다양한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 등록특허 제6,765,749호에는 이러한 스캐너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6,765,749호에 개시된 스캐너는 스텝모터와, 스텝모터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DC모터를 포함하며, 개시된 스캐너의 동작 시에 스텝모터 및 DC모터 중 하나의 모터만이 구동되고 나머지 하나의 모터는 구동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스캐너는, 원하는 해상도, 스캔속도 등에 따라, 스텝모터 및 DC모터 중 하나의 모터를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캐너에서는 스텝모터와 DC모터가 기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스텝모터 및 DC모터 중 하나의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에 구동되지 아니하는 다른 모터에도 구동력이 전달되어 동력손실, 소음, 진동 등이 발생하는 문 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텝모터에 의한 구동시, 스텝모터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DC모터는 스텝모터에 일종의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스텝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DC모터의 회전자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DC 모터는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구조적으로 코깅토크(cogging torque)라 하는 일종의 부하변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코깅토크는 스텝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동을 발생시켜 스캔성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물론, DC모터의 구동시에도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구조가 개선된 스캐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모터는 DC모터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기어는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스윙기어와,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스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클러치의 온/오프에 따라 전자클러치를 통한 구동력 전달이 선택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클러치는 코일을 내장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가 결합되는 허브와, 일단은 상기 허브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마추어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의 타측으로 상기 아마추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센서와,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형 엔코더스트립과, 상기 디스크형 엔코더스트립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어 진퇴하는 스캐닝캐리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는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모터는 DC모터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센서와,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어 진퇴하며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정보를 읽어드리는 스캐닝유 닛이 장착되는 스캐닝캐리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캐닝유닛과, 상기 스캐닝유닛이 장착되며, 진퇴운동하는 스캐닝캐리어와, 상기 스캐닝캐리어에 연결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를 지지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구동풀리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윙기어와,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캐닝유닛과, 상기 스캐닝유닛이 장착되며, 진퇴운동하는 스캐닝캐리어와, 상기 스캐닝캐리어를 진퇴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상호간에는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에서는 구동구조가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본체(1)와, 커버(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의 상부에는 원고가 놓여지는 스캐닝윈도우(3)가 마련되고, 본체(1)의 내부에는 스캔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수용된다. 그리고, 커버(2)는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스캔 시 원고를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캐너는 제1구동모터(10), 제2구동모터(20), 작동부(30)와, 동력전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제1구동모터(10)는 DC모터이고, 제2구동모터(20)는 스텝(step)모터이다.
작동부(30)는 구동풀리(31)와, 구동풀리(31)와 구동벨트(33)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32)와, 구동벨트(33)에 연결되어 진퇴하는 스캐닝캐리어(34)를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38는 스캐닝캐리어(34)와 구동벨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나타내고, 미설명부호 39는 구동풀리와 일체로 형성된 구동기어를 나타낸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71, 72는 스캐닝캐리어(34)의 진퇴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로드를 나타낸다.
스캐닝캐리어(34)에는 스캐닝유닛(37)이 장착되고, 스캐닝유닛(37)은 스캐닝캐리어(34)에 의해 진퇴하며 원고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정보를 읽어 드린다. 스캐닝유닛(37)은 원고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미도시)과,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며, 이미지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IS(Contact Image Sensor)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소정의 픽셀수로 아날로그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작동부(30)는 제1구동모터(10) 및 제2구동모터(20) 중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스캐너는 제1구동모터(10)의 구동력 및 제2구동모터(20)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작동부(30)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부(14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a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40)는 제1구동모터(1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스윙기어(141)와, 제2구동모터(2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스윙기어(143)를 포함한다.
제1스윙기어(141)는 제1액추에이터(142)에 의해 이동되어 제1구동모터(10)의 출력기어(11)와 구동풀리(31)의 구동기어(39)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스윙기어(143)는 제2액추에이터(144)에 의해 이동되어 제2구동모터(20)의 출력기어(21)와 구동풀리(31)의 구동기어(39)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구동모터(10)의 구동시(도 3b 참조), 제1스윙기어(141)는 제1액추에이터(142)에 의해 이 동되어 제1구동모터(10)의 출력기어(11) 및 구동풀리(31)의 구동기어(39)에 동시에 치합된다. 이후, 제1구동모터(10)의 구동력은 제1구동모터(10)의 출력기어(11), 제1스윙기어(141), 구동기어(39) 및 구동풀리(31)를 통해 구동벨트(33)에 전달되어, 스캐닝캐리어(34)의 진퇴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2구동모터(20)의 구동시(도 3b 참조), 제2스윙기어(143)는 제2액추에이터(144)에 의해 이동되어 제2구동모터(20)의 출력기어(21) 및 구동풀리(31)의 구동기어(39)에 동시에 치합된다. 이후, 제2구동모터(20)의 구동력은 제2구동모터(20)의 출력기어(21), 제2스윙기어(143), 구동기어(39) 및 구동풀리(31)를 통해 구동벨트(33)에 전달되어, 스캐닝캐리어(34)의 진퇴운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에서는 원하는 해상도, 스캔속도 등에 따라, 제1구동모터(10) 및 제2구동모터(20) 중 원하는 모터를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스캔 등을 위해 스캐닝캐리어의 고속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DC모터인 제1구동모터(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해상도 스캔 등을 위해 스캐닝 캐리어의 정밀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텝모터인 제2구동모터(20)를 구동시킬 수있다. 다시 말해, 원하는 속도대역의 구동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캐너에서는 동력전달부(140), 즉 제1스윙기어(141) 및 제2스윙기어(143)에 의해 제1구동모터(10) 및 제2구동모터(20)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이 제1구동모터(10) 및 제2구동모터(20)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10)의 구동시, 제1스윙기어(141)는 제1구동모 터(10)의 출력기어(11) 및 구동기어(39)와 치합되고 제2스윙기어(143)는 제2구동모터(20)의 출력기어(21) 및 구동기어(39)로부터 분리되므로, 제1구동모터(10)의 구동력이 제2구동모터(20)에 전달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제2구동모터(20)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아니하므로, 제2구동모터(20)의 불필요한 동작이 발생되지 아니하고, 제2구동모터(20)에서의 동력손실, 소음, 진동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물론, 제2구동모터(20)가 구동되고, 제1구동모터(10)가 구동되지 아니할 때도 마찬가지로 제1구동모터(10)에서의 동력손실, 소음, 진동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는 스캐닝캐리어(34)의 위치 및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센싱부(150)와, 센싱부(15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센싱부(150)는 작동부(30)의 스캐닝캐리어(34)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엔코더센서(151, 152)와, 본체(1)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엔코더스트립(153, 154)을 구비한다. 제1엔코더센서(151)는 제1엔코더스트립(153)에 형성된 슬릿(s)을 감지하여, 스캐닝캐리어(34)의 위치 및 속도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2엔코더센서(152)는 제2엔코더스트립(154)의 제1부(155) 및 제2부(156)를 감지하여 스캐닝캐리어(34)의 시점 및 종점에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60)는 제1엔코더센서(151) 또는 제2엔코더센서(152)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구동모터(10) 또는 제2구동모터(20)를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2구동모터(20)는 입력되는 펄스 신호수에 비례하여 회전축의 회전각도가 결 정되는 스텝모터지만, 본 실시예의 스캐너에서는 센싱부를 이용하여 스텝모터의 더욱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스텝모터의 구동시에 기어공차 등에 의한 오차 및 스텝모터 자체의 탈조(脫調)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센싱부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고 탈조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240)는 제1구동모터(1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스윙기어(241)와, 제2구동모터(2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스윙기어(244)를 포함한다. 제1스윙기어(241) 및 제2스윙기어(244)는 제1구동모터(10)의 출력기어(11)의 회전축 및 제2구동모터(20)의 출력기어(21)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레버(243) 및 제2레버(246)에 연결되고, 제1레버(243) 및 제2레버(246)는 제1액추에이터(242) 및 제2액추에이터(245)에 의해 회동된다. 이때, 제1레버(243) 및 제2레버(246)의 회동은 제1구동모터(10)의 출력기어(11) 및 제2구동모터(20)의 출력기어(21)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스윙기어의 구동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스윙기어 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340)는 제1구동모터(10)와 작동부(30)를 연결하는 제1전자클러치(341)와, 제2구동모터(20)와 작동부(30)를 연결하는 제2전자클러치(347)를 포함하며, 제1전자클러치(341) 및 제2전자클러치(347)의 온(on)/오프(off)에 따라 각 전자클러치(341, 347)를 통한 작동부(30)로의 구동력 전달이 선택적으로 연결/차단된다. 이에 의해, 제1구동모터(10) 및 제2구동모터(20) 상호간의 동력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각 전자클러치(341, 347)는 코일(343, 349)을 내장하는 로터(342, 348)와, 로터(342, 348)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아마추어(344, 350)와, 아마추어(344, 350)가 결합되는 허브(345, 351)와, 일단은 허브(345, 3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마추어(344, 350)에 고정되어 로터(342, 348)의 타측으로 아마추어(344, 3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346, 352)을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353, 354는 베어링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로터(342, 348)의 코일(343, 349)에 전원이 인가되면, 아마추어(344, 350)는 판스프링(346, 35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로터(342, 348)에 밀착된다. 이후, 구동모터(10, 2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력이 발생되면, 구동모터(10, 2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은 허브(345, 351), 아마추어(344, 350) 및 로터(342, 348)를 통해 구동기어(39)로 전달된다. 미설명부호 342a, 348a는 구동기 어(39)와 치합되도록 로터(342, 348)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을 나타낸다.
로터(342, 348)의 코일(343, 349)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아마추어(344, 350)는 판스프링(346, 352)에 의해 로터(342, 348)와 이격되어, 로터(342, 348)와 아마추어(344, 350) 사이의 동력연결이 해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440)는 제1구동모터(1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연결기어(441)와, 제2구동모터(2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연결기어(443)를 포함한다. 제1연결기어(441)는 제1리니어모터(442)에 의해 승강하며 제1구동모터(1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고, 제2연결기어(443)는 제2리니어모터(444)에 의해 승강하며 제2구동모터(20)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540)는 제1구동모터(10) 및 제2구동모터(20) 중 하나의 구동모터와 작동부(3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윙기어(541)를 포함하며, 스윙기어(541)의 구동축은 이동장치(미도시)에 의해서 구동기어(39) 주위를 이동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센싱부(650)는 동력전달부(64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풀리(31)에 고정결합되는 디스크형 엔코더스트립(651)과, 디스크형 엔코더스트립(651)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65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엔코더센서(651)는 구동풀리(31)의 회전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60)로 전달하고, 제어부(60)는 이에 기초하여 스캐닝캐리어(34)의 위치 및 속도를 계산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스캐너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구동장치의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는 스캐너 이외의 다른 제품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구동모터는 DC모터이고, 제2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이지만,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는 모두 DC모터가 될 수 있다. 물론,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가 모두 스텝모터가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체에 하나 이상의 엔코더센서가 마련되고, 스캐닝캐리어에 상기 엔코더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스트립이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스캐닝캐리어의 위치 또는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엔코더센서 이외의 다른 타입의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실시예의 동력전달부는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와 작동부는 제1실시예의 스윙기어에 의해 동력이 연결되고, 제2구동모터와 작동부는 제3실시예의 전자클러치에 의해 동력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작동부는 2개의 풀리 및 구동벨트를 구비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작동부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부는 스캐닝캐리어에 결합되는 랙기어와,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 되는 평기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캐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본체 2 커버
3 스캐닝윈도우 10 제1구동모터
20 제2구동모터 30 작동부
31 구동풀리 32 종동풀리
33 구동벨트 34 스캐닝캐리어
39 구동기어 140 동력전달부
141 제1스윙기어 142 제1액추에이터
143 제2스윙기어 144 제2액추에이터
150 센싱부 151 제1엔코더센서
152 제2엔코더센서 153 제1엔코더스트립
154 제2엔코더스트립

Claims (20)

  1.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모터는 DC모터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스캐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기어는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스윙기어와,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클러치의 온/오프에 따라 전자클러치를 통한 구동력 전달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클러치는 코일을 내장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아마추어와, 상기 아마추어가 결합되는 허브와, 일단은 상기 허브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아마추어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의 타측으로 상기 아마추어에 탄성력을 제 공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센서와,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스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디스크형 엔코더스트립과, 상기 디스크형 엔코더스트립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엔코더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어 진퇴하는 스캐닝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11.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동작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작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모터는 DC모터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구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동작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센서와, 상기 작동부 및 상기 본체 중 나머지 하나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엔코더스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벨트에 연결되어 진퇴하며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정보를 읽어드리는 스캐닝유닛이 장착되는 스캐닝캐리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18.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캐닝유닛과,
    상기 스캐닝유닛이 장착되며, 진퇴운동하는 스캐닝캐리어와,
    상기 스캐닝캐리어에 연결되는 구동벨트와,
    상기 구동벨트를 지지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구동풀리에 전달하고,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하나로부터 발생된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중 나머지 하나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윙기어와,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20. 원고에 광을 조사하여 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캐닝유닛과,
    상기 스캐닝유닛이 장착되며, 진퇴운동하는 스캐닝캐리어와,
    상기 스캐닝캐리어를 진퇴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 상호간에는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KR1020080126990A 2008-12-15 2008-12-15 스캐너 KR20100068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90A KR20100068587A (ko) 2008-12-15 2008-12-15 스캐너
US12/625,132 US8508815B2 (en) 2008-12-15 2009-11-24 Sc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90A KR20100068587A (ko) 2008-12-15 2008-12-15 스캐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87A true KR20100068587A (ko) 2010-06-24

Family

ID=4224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90A KR20100068587A (ko) 2008-12-15 2008-12-15 스캐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8815B2 (ko)
KR (1) KR201000685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9098B2 (en) * 2011-07-13 2014-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gear assembly
US8717641B2 (en) 2011-07-13 2014-05-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edge identification to position components of a scanner
SG2012086039A (en) * 2012-11-22 2014-06-27 Cal Comp Prec Singapore Ltd Scan mechanism and scan module
US9013761B2 (en) 2013-04-16 2015-04-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anner with a scan sensor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platen
JP6253248B2 (ja) * 2013-04-25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15066245A1 (en) * 2013-10-31 2015-05-07 Cms Technologies Holdings, Inc. Membrane separation of ionic liquid solutions
US9675381B2 (en) * 2015-08-18 2017-06-13 E. Mishan & Sons, Inc. Dual head pedi apparatus
JP6658139B2 (ja) * 2016-03-14 2020-03-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188A (ja) * 1996-04-26 1997-11-11 Konica Corp フィルムスキャナ
US6271912B1 (en) * 1998-12-28 2001-08-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Film scanning device
JP2000236414A (ja) * 1999-02-15 2000-08-29 Rohm Co Ltd 画像処理装置
TW475805U (en) * 2000-07-07 2002-02-01 Umax Data Systems Inc Transmission mechanism of optical scanner
TW525880U (en) * 2000-07-07 2003-03-21 Veutron Corp Transmission mechanism of scanner
JP3810643B2 (ja) * 2001-03-02 2006-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100449715B1 (ko) * 2002-01-23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텝 모터 구동방법
US6756749B2 (en) * 2002-01-23 2004-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both a stepper motor and a DC motor
US7477425B2 (en) * 2002-07-19 2009-0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asable drive for an image scanner carriage
JP2007199184A (ja) 2006-01-24 2007-08-09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US7534183B2 (en) * 2006-10-31 2009-05-19 Foxlink Image Technology Co., Ltd. Conveying device for adjusting scanning re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8815B2 (en) 2013-08-13
US20100149605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8587A (ko) 스캐너
US6964449B2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for opening-closing member of vehicle
EP0955769B1 (en) Optical scanner including exposure control
US871764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5487238B2 (ja) 動力伝達装置
US7477425B2 (en) Biasable drive for an image scanner carriage
US6756749B2 (en) Mo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both a stepper motor and a DC motor
JP5815621B2 (ja) 画像読取装置
KR20110051323A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US6069464A (en) Driving apparatus for an image processing system
US7855522B2 (en) Motor control method and motor control apparatus
US6189395B1 (en) Change gear transmission device and scanner employing such device
US8373374B2 (en) Apparatus equipped with motor and driving method for the motor
US5791646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US20060279805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102512467B1 (ko) 탄성 구동장치
JP4761242B2 (ja) 複合駆動装置
KR100294225B1 (ko) 스캐너의 구동장치
JP2008052269A (ja) 画像読取装置
JP3198262B2 (ja) ハンドスキャナおよび一方向クラッチ
KR200142832Y1 (ko) 컴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기구 구동장치
GB2405048A (en) Using stepper motor pulses to sense scan carriage position.
KR20220138941A (ko) 차량용 트렁크의 구동 액츄에이터
JP4258962B2 (ja) 駆動伝達装置
JP2002303941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