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960A -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960A
KR20100066960A KR1020080125491A KR20080125491A KR20100066960A KR 20100066960 A KR20100066960 A KR 20100066960A KR 1020080125491 A KR1020080125491 A KR 1020080125491A KR 20080125491 A KR20080125491 A KR 20080125491A KR 20100066960 A KR20100066960 A KR 20100066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solid case
piston
case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이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수 filed Critical 이재수
Priority to KR102008012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6960A/ko
Publication of KR2010006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03Filling medical containers such as ampoules, vials, syrin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의 내측에 충전물을 주입할 때 피스톤을 이동시켜 한번 이상의 충전과 배출 동작을 통하여 에어포켓의 발생없이 고형케이스내에 충전물을 충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를 지지하는 고정블럭과 피스톤을 지지하는 작동블럭이 이송수단에 연결되어 동작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고형케이스내에 주입되는 에어포켓의 생성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형케이스, 고정블럭, 작동블럭, 실린더

Description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a device for injection of fillers into a solid case and method for injection}
본 발명은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 내측에 충전물을 주입할 때 피스톤을 이동시켜 한번 이상의 충전과 배출 동작을 통하여 에어포켓의 생성없이 고형케이스내에 충전물을 충전하도록 하여 고형케이스내에 주입되는 산소에 의해 충전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체자동충전기의 주요공정은 충전액이 저장된 액체저장탱크에서 액이송펌프로 액체분배탱크까지 액체를 일정량 이동 저장시키는 충전수단과 액체분배탱크에서 충전 노즐까지 주입시켜 주는 이송장치와 노즐 주입관을 통하여 액체 고형케이스 주입구까지 충전시켜 주는 단계로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충전 방식은 고형케이스 주입구 밀폐식으로 가압 또는 진공식으로 충전을 하거나, 프라스틱 고형케이스는 재질의 신축성 때문에 가압 또는 진공식으로는 부적합하며 별도의 센서에 의해 정량/레벨을 측정한 후 주집토록 한다.
그러나, 내용물의 특성상 많은 기포로 인해 정확한 레벨이 곤란하여 정확한 주입이 힘들게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액체자동충전기가 실용신안등록 제10847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액체 저장탱크와, 상기 액체 저장탱크의 하단의 개구부에 호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연동호스 펌프, 상기 연동 호스 펌프로부터 호스를 거쳐 유입된 액상을 고형케이스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노즐부, 충전노즐부의 과포화 액체를 수용하고 체크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는 공기주입구가 중앙에 구비된 진공탱크, 상기 진공탱크의 가압/진공을 위해 진공탱크와 도관으로 연결된 진공펌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체자동충전기는, 액상을 주입시 별도의 진공을 형성하여야 하고, 노즐을 통한 초기 충전시 고형케이스에 주입되는 공기를 배출하지 못하여 장시간 보관시 내용물이 산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진공형성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형케이스내에 주입되는 산소를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고형케이스내 충전물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며, 고형케이스의 크기에 상관없이 충전물이 주입되는 고형케이스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화에 의해 고형케이스내 충전물의 주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포토센서를 통하여 주입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 내측에 충전물을 주입할 때 피스톤을 이동시켜 한번 이상의 충전과 완전배출 동작을 통하여 고형케이스내에 충전물을 충전하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를 하강시켜 충전물이 충진되는 탱크에 고형케이스를 침적한 후 피스톤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완전하강시켜 충전물을 배출한 후 피스톤을 재 상승시켜 충전물을 고형케이스내에 충전하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형케이스의 수직방향 움직임이 방지토록 파지하는 고정블럭에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를 지지한 후 고정블럭에 연결되는 실린더로서 하강시켜 충전물이 충진되는 탱크에 고형케이스를 침적하고, 상기 고형케이스에 밀착되는 피스톤의 수직방향 움직임이 방지토록 파지하는 작동블럭에 피스톤을 지지시켜 작동블럭에 연결되는 실린더로서 피스톤을 하강 또는 상승시켜 충전물을 고형케이스내에 충전과 배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블럭의 전방에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를 지지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형케이스에 주입 또는 배출압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블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럭과 작동블럭은 베이스블럭에 지지되는 복수의 이송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동작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블럭과 작동블럭은 분할되는 구성으로 가변수단을 통하여 고형케이스 또는 피스톤을 지지하는 장착홈의 폭의 조절토록 설치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고형케이스내 충진되는 충전물의 상태를 파악토록 포토센서가 더 구비되며, 충전물이 저장되는 탱크가 베이스블럭의 전방에 위치토록 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케이스내에 주입되는 산소를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고형케이스내 충전물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고형케이스의 크기에 상관없이 충전물이 주입되는 고형케이스 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화에 의해 고형케이스내 충전물의 주입이 가능토록 되며, 포토센서를 통하여 주입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피스톤(313)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충전물(300)을 주입할 때 피스톤(313)을 이동시켜 한번 이상의 충전과 배출 동작을 통하여 고형케이스(310)내에 충전물(300)을 충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313)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310)를 하강시켜 충전물(300)이 충진되는 탱크(T)에 고형케이스(310)를 침적한 후 피스톤(313)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스톤(313)을 완전하강시켜 충전물(300)을 배출한 후 피스톤(313)을 재 상승시켜 충전물(300)을 고형케이스(310)내에 충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형케이스(310)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토록 파지하는 고정블럭(200)에 피스톤(313)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310)를 지지한 후 고정 블럭(200)에 연결되는 제1실린더(210)로서 고형케이스(310)를 하강시켜 충전물(300)이 충진되는 탱크(T)에 고형케이스를 침적한다.
이어서, 상기 고형케이스(310)에 연결되는 피스톤(313)의 수직방향 움직임이 방지토록 파지하는 작동블럭(400)에 피스톤(313)을 지지시켜 작동블럭(400)에 연결되는 제2실린더(410)로서 피스톤(313)을 하강 또는 상승시켜 고형케이스(310)내에 충전과 배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주입방법을 적용한 본 발명의 주입장치는, 베이스블럭(100)의 전방에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310)를 지지하는 고정블럭(200)과 상기 고형케이스(310)에 주입 또는 배출압을 제공하는 피스톤(313)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블럭(400)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200)과 작동블럭(400)은 베이스블럭(100)에 지지되는 복수의 이송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동작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수단은,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는 제1,2실린더(210)(410)로서 이루어 지며, 일측에 가이드(510)가 더 구비된다.
계속하여, 상기 고정블럭(200)에는 고형케이스에 대응되는 제1밀착홈(23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밀착유니트(230)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블럭(400) 역시 피스톤에 대응되는 제2밀착홈(43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밀착유니트(4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밀착홈(231)의 내측에 고형케이스의 일측을 크기에 상관없이 밀착지지토록 제1밀착부재(240)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제2밀착홈(431)의 내측에 피스톤의 일측을 크기에 상관없이 밀 착지지토록 제2밀착부재(4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밀착유니트(230)는, 분할되는 구성으로 가변수단(500)을 통하여 고형케이스 또는 피스톤을 지지하는 제1,2밀착홈의 폭의 조절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변수단(500)은, 상기 밀착유니트에 구비되는 나선홈(501)과 상기 나선홈에 치합되면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액튜에이터(503) 및 밀착유니트가 이동되는 가이드레일(505) 및 가이드홈(50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고형케이스내 충진되는 충전물의 상태를 파악토록 포토센서(530)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물(300)을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초기 주입할 때 충전물(300)과 함께 주입되는 공기에 의한 에어포켓의 형성을 방지토록 고형케이스(310)에 주입되는 충전물(300)을 고형케이스(310)에서 배출한 후 다시금 주입토록 함으로써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에어포켓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즉, 상기 고형케이스(310)를 충전물(300)이 보관되는 탱크(T)에 주입할 때 상기 충전물(300)이 고형케이스(310)의 주입부와 피스톤(313) 사이 까지는 완전 접촉되지 못하여 에어포켓을 형성하게 되나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에어포켓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주입 및 배출동작을 통하여 고형케이스(310)내 공기의 주입을 방지함으로써 장시간 보관시 에어포켓에 의한 충전물(300)의 산화를 방지토록 한다.
이상과 같은 충전물(300)의 주입방법은, 먼저 충전물(300)이 충진되는 탱크(T)에 고형케이스(310)을 침전시킨 후 상기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313)을 승,하강시켜 한번 이상의 반복적인 주입과 배출동작을 수행하여 고형케이스(310)내에 충전물(300)을 충전하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형케이스(310)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토록 파지하는 고정블럭(200)에 고형케이스(310)를 지지한 후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313)을 작동블럭(400)에 지지한다.
이때, 상기 작동블럭(400) 역시 피스톤(313)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하여 파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럭(200)에 지지되는 제1실린더(210)와 작동블럭(400)에 설치되는 제2실린더(410)를 동시에 하강시켜 고형케이스(310)의 하단을 충전물(300)이 충진되는 탱크(T)에 고형케이스를 침적한다.
계속하여, 상기 작동블럭(400)에 연결되는 제2실린더(410)만을 상승시킬 때 고형케이스(310)에 설치되는 피스톤(313)이 상승되어 충전물(300)을 고형케이스내에 주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물(300)과 함께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주입되는 공기는 제2실린더(410)의 하강동작에 의해 피스톤(313)을 압축함으로써 고형케이스(310)에서 배출토록 되고, 상기 제2실린더(410)를 다시금 상승시키면 순수한 충전물(300) 만이 고형케이스의 내측에 주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충전물의 주입 및 배출동작은 에어포켓의 생성이 감지 되면 연속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상기와 같은 고형케이스내 에어포켓의 유입감지는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별도의 포도센서(530)를 통하여 감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고형케이스(310)와 피스톤(313)을 승,하강시키는 제1,2실린더는 베이스블럭(100)에 연결될 때는 고형케이스(310)의 하강시 제1,2실린더가 동시에 구동토록 되나, 도5에서와 같이 제1실린더(210)가 베이스블럭(100)에 제2실린더(410)가 고정블럭(200)에 구분설치될 경우 제1실린더(210)만 동작하여도 고형케이스(310)의 하강이 가능토록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고정블럭(200)에는 제1밀착홈(23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제1밀착유니트(23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밀착홈(231)에 고정턱(미도시)를 갖는 고형케이스가 각각 지지토록 되고, 상기 작동블럭(400) 역시 제2밀착홈(43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밀착유니트(430)가 구비되어 고형케이스(310)에 연결되는 피스톤(313)이 지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제1,2밀착유니트(230)는, 분할되는 구성으로 가변수단(500)을 통하여 고형케이스 또는 피스톤을 지지하는 제1,2밀착홈의 폭의 조절토록 설치됨으로써 일반적인 주사기나 실리콘등이 충진되는 방수용 실리콘고형케이스등 그 직경에 상관없이 지지하여 충전물(300)의 충전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가변수단(500)은, 상기 밀착유니트에 구비되는 나선홈(501)과 상기 나선홈에 치합되면서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액튜에이터(503) 및 밀착유니트가 이동되는 가이드레일(505)로서 이루어져 액튜에이터(503)의 회전시 나선홈(501)을 통하여 치합되는 제1,2밀착유니트가 가이드레일(505)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그 내측에 고형케이스 또는 피스톤을 지지토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고형케이스의 직경에 상관없이 에어포켓의 생성이 없는 순순한 충전물(300) 만을 고형케이스(310)의 내측에 충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물 주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고정블럭 300...충전물
310...고형케이스 313...피스톤
400...작동블럭 503...액튜에이터
510...가이드 530...포토센서

Claims (10)

  1.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 내측에 충전물을 주입할 때 피스톤을 이동시켜 한번 이상의 충전과 배출 동작을 통하여 고형케이스내에 충전물을 충전하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2. 피스톤을 갖는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를 하강시켜 충전물이 충진되는 탱크에 고형케이스를 침적한 후 피스톤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완전하강시켜 충전물을 배출한 후 피스톤을 재 상승시켜 충전물을 고형케이스내에 충전하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3. 고형케이스의 수직방향 움직임이 방지토록 파지하는 고정블럭에 피스톤을 갖는 고형케이스를 지지한 후 고정블럭에 연결되는 이송수단으로서 하강시켜 충전물이 충진되는 탱크에 고형케이스를 침적하고, 상기 피스톤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방지토록 파지하는 작동블럭에 피스톤을 지지시켜 작동블럭에 연결되는 이송수단으로서 피스톤을 하강 또는 상승시켜 충전물을 고형케이스내에 충전과 배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4. 베이스블럭의 전방에 실린더형상의 고형케이스를 지지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형케이스에 주입 또는 배출압을 제공하는 피스톤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블 럭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럭과 작동블럭은 이송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하 동작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에는 고형케이스에 대응되는 제1밀착홈을 갖는 복수의 제1밀착유니트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블럭 역시 피스톤에 대응되는 제2밀착홈을 갖는 복수의 제2밀착유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홈에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제1밀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밀착홈 역시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제2밀착부재가 더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과 작동블럭은, 제1,2밀착유니트가 각각 분할되는 구성으로 가변수단을 통하여 고형케이스 또는 피스톤을 지지하는 장착홈의 폭의 조절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밀착유니트에 구비되는 나선홈과 상기 나선홈에 치합되면서 양측에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액튜에이터 및 밀착유니트가 이동되는 가이드레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은, 그 전방에 고형케이스 충전물의 상태를 파악토록 포토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공압 또는 유압을 사용하면서 고정블럭 또는 작동블럭에 연결되는 제1,2실린더로서 이루어 지며, 일측에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장치
KR1020080125491A 2008-12-10 2008-12-10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KR20100066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491A KR20100066960A (ko) 2008-12-10 2008-12-10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491A KR20100066960A (ko) 2008-12-10 2008-12-10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960A true KR20100066960A (ko) 2010-06-18

Family

ID=4236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491A KR20100066960A (ko) 2008-12-10 2008-12-10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69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791A (zh) * 2022-06-08 2022-08-16 成都科建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脂质体的注入装置
KR20220117531A (ko) *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에스앤비랩 바늘없는 주사기형 용기의 충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531A (ko) *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에스앤비랩 바늘없는 주사기형 용기의 충진장치
CN114906791A (zh) * 2022-06-08 2022-08-16 成都科建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脂质体的注入装置
CN114906791B (zh) * 2022-06-08 2023-06-23 成都科建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脂质体的注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62708U (zh) 一种电池电解液真空加注设备
JP5419616B2 (ja) 気泡混入防止機構および該機構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並びに液体材料吐出方法
CN102963550A (zh) 灌装机
CN106067536B (zh) 带抽真空功能的锂电池电解液注液系统
CN106784594A (zh) 一种直线式圆柱电池真空注液机构
CN106099027A (zh) 带自动封口机构的锂电池电解液注液系统
KR20100066960A (ko) 고형케이스의 충전물 주입방법 및 장치
CN102674223A (zh) 自动等液位灌装机
CN103000857A (zh) 电池电解液注液装置及注液方法
CN103599726B (zh) 一种香精自动化生产系统
CN207536160U (zh) 一种润滑油灌装机
CN106099028B (zh) 带自动输送机构的锂电池电解液注液系统
JP2008044198A5 (ko)
CN209418638U (zh) 一种新型圆柱形锂电池注液装置
KR20110035358A (ko) 리프트용 그리스 도포장치
CN108860685B (zh) 一种点滴瓶灌装机的药水定量补灌装置
JP6284784B2 (ja) 充填装置
CN205900691U (zh) 带自动输送机构的锂电池电解液注液机
CN206069334U (zh) 一种生产药物辅料的液体灌装机
CN109546072A (zh) 一种电池组装的注液封盖机构
CN202495515U (zh) 一种蓄电池组用加酸机
CN209383362U (zh) 一种灌油机
KR101762673B1 (ko) 그리스 카트리지용 그리스 주입장치
KR101346553B1 (ko) 진공 형성부를 갖는 주사기 충진 장치
CN207199736U (zh) 用于锂电池软包注液机的抽真空注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