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636A -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 Google Patents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636A
KR20100065636A KR1020080124058A KR20080124058A KR20100065636A KR 20100065636 A KR20100065636 A KR 20100065636A KR 1020080124058 A KR1020080124058 A KR 1020080124058A KR 20080124058 A KR20080124058 A KR 20080124058A KR 20100065636 A KR20100065636 A KR 2010006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nanoclay
polypropylene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489B1 (ko
Inventor
고성록
남병국
최창휴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489B1/ko
Priority to CN2009801486781A priority patent/CN102239212B/zh
Priority to IN2768KON2011 priority patent/IN2011KN02768A/en
Priority to JP2011537347A priority patent/JP2012509385A/ja
Priority to PCT/KR2009/005885 priority patent/WO2010067955A2/ko
Priority to DE112009003546T priority patent/DE112009003546T5/de
Priority to US13/133,564 priority patent/US20110245387A1/en
Publication of KR2010006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수 말레산 함량이 높은 변성폴리머를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무를 기초로 한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제조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에 첨가시 고무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막고, 충격강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수말레산 함량이 높은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변성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고분자내에서 분산이 매우 우수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고, 아울러 이러한 무수말레산 고함량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이용하여 굴곡탄성율의 감소가 최소화되고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를 제공한다.
고무,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Description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FABRICATION OF HIGH STRENGTH AND HIGH IMPACT STRENGTH POLYPROPYLENE/NANOCLAY/RUBBER COMPOSITE USING RUBBER/NANOCLAY MASTERBATCH}
본 발명은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수 말레산 함량이 높은 변성폴리머를 상용화제를 이용하여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나노클레이 복합재 연구는 1997년 토요타 중앙 연구개발에서 친수성 나일론에 친수성 표면을 가진 클레이를 완전 박리시켜 얻은 나노 복합재를 개발해 자동차 타이밍 벨트 커버, 자동차 연료 라인에 적용한 이래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플라스틱 소재, 특히 무기 충진재로 강화된 고분자 복합재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뛰어난 성형성, 경량화 효과 등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금속, 세라믹, 목재와 같은 경쟁 소재를 대체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소재, 전기, 전자 재료 분 야에서 요구되는 경량화, 치수 안정성, 내열특성을 보유한 고분자 복합재는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등장으로 인해 추가적인 경량화 노력 및 친환경 시대의 도래로 인한 재활용 특성이 우수한 고분자 복합재의 수요는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분자 복합재의 향상된 물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 및 재활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최근 고분자/클레이 나노 복합재가 부각되고 있으며, 다양한 접근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클레이 나노 복합재는 탈크 등 일반적인 무기 첨가제를 함유한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에 비해 강성 등 전반적인 기계적 물성과 경량화 측면에서 기존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보다 우수한 반면, 충격강도 면에서는 기존 복합재 수준으로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 때문에 그 적용 용도 확대가 상당히 제한되고 있어 고분자/나노 클레이의 충격강도 개선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충격강도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나노 복합재 조성 및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에는 나노 복합재 제조 시 고무를 첨가하는 방법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충격강도 개선 대비 굴곡탄성율 저하라는 단점이 있어 다른 새로운 시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충격강도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나노 복합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대한 선행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5158호에 폴리프로필렌/탈크/고무 복합재 제조 시 고무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 저하를 막고자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5-10중량% 가량 첨가한 것이 있다.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 율과 같은 기본적인 기계적 강성이 높아지고, 충격특성과 조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고무 첨가에 의한 근본적인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막았다기보다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 저하를 막은 것에 불과하여 고무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 저하를 막을 수 있는 획기적인 재료나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 복합재의 기계적 강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한 결과, 나노클레이를 고무와 변성폴리머로 혼합함하여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제조함으로써, 고무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목적하는 충격강도 개선을 이룩하고자 한다.
고무에 나노클레이를 분산 시켰을 때는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여도 나노클레이는 고무 안에 계속 존재하게 되어 고무로 인한 굴곡 탄성율의 저하를 막아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수말레산이 고함량 된 변성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시 나노클레이의 박리를 최대화하였다. 무수말레산은 친수성인 나노클레이와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을 통해 소수성인 고무 상에서의 분산을 도와주는 물질로 무수말레산 함량이 높을수록 나노클레이의 분산은 현저히 상승한다.
이렇게 제조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첨가하고 이중 압출에 의해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공정을 발명하였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고무 수지 20~70 중량%, 나노클레이 10~50 중량%, 무수말레산 그라프트된 변성폴리머 20~5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변성폴리머는,
10,000~1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 말레산 4~8 중량부를 포함하는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옥텐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EPD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용용지수가 0.1 내지 40g/10분, 옥텐 함량이 1 내지 20중량% 및 중량 평균분 자량이 10,000 내지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나노클레이는,
층간거리가 10~50Å범위인 유기오늄이온으로 층간 치환된 유기클레이인 것인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유기 클레이는,
테트라 알킬 암모늄염, 알킬과 아릴로 이루어진 4급 암모늄염, 테트라 알킬 포스포늄염, 또는 알킬과 아릴로 구성된 4급 암모늄염으로 층간 삽입된(intercalated)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사포나이트, 마가다이트 및 합성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7) 상기 (1) 내지 (6)의 기재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1~50 중량%, 폴리프로필렌 수지 50~99 중량% 포함하고 이들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고무수지를 1~4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8)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옥텐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EPD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9)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는,
굴곡탄성율 10,000~19,000Kg/cm2, 열변형 온도가 100~140℃, 저온 충격강도 (-30oC) 4~10Kgcm/cm이고 비중이 0.91 내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10)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고무를 기초로 한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제조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에 첨가 하는 경우 고무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막고, 충격강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무수말레산 함량이 높은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변성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고분자내에서 분산이 매우 우수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고, 아울러 이러한 무수말레산 고함량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이용하여 굴곡탄성율의 감소가 최소화되고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무 첨가에 의한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막고자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시 사용하는 고분자 수지를 일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옥텐이 공중합 된 폴리에틸렌 고무를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용융점이 약 164oC로 압출 시 170~200oC 가량 압출기 배럴 온도를 유지해야 하나,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압출 시 다량의 나노클레이에 의해 발열이 심해지는 단점과 그에 따라 나노클레이 층간 삽입되어 있는 유기화제의 탄화가 진행되어 다량의 가스 발생, 폴리프로필렌의 산화에 의한 주 사슬 분해 등 전체적으로 복합재의 물성저하를 가져온다.
그에 비해 옥텐이 공중합 된 폴리에틸렌 고무의 경우 용융점이 약 38~80oC로서 압출기 배럴 온도를 나노클레이 유기화제 분해온도인 200oC 보다 낮게 설정하여도 압출이 가능해 나노클레이의 열적 안정성에 큰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제시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는 고무의 낮은 굴곡탄성율 및 강도를 고함량 나노클레이 첨가에 의해 보강하였다. 이렇게 강도가 보강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는 폴리프로필렌에 첨가 시 충격강도 개선 과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4 중량% 이상의 무수말레산이 공중합 된 변성폴리머를 사용함으로 나노클레이의 분산을 극대화하였다. 나노클레이는 1nm 두께의 판상구조로 8 ㎛ 나노클레이를 분산시킬 시 약 3,000 개 이상의 판상 나노클레이가 생성된다. 나노클레이 박리 정도가 강도 향상과 직결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소수성인 고무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내에서 친수성인 나노클레이의 박리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무수말레산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상용화제를 사용하였다.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시 무수말레산은 변성폴리머의 친수성기로 나노클레이의 박리를 돕는 물질이기에 나노클레이의 큰 표면적을 고려할 때 다량의 무수말레산이 공중합 된 변성폴리머를 다량 사용하여야 나노클레이의 분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은 고무수지 20~70 중량%, 나노클레이 10~50 중량%, 변성폴리머 20~50 중량%를 포함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로서, 상기 변성폴리머는 10,000~1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 말레산 4~8중량부를 포함하는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강성 및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는 폴리프로필렌 50~99 중량%, 상기의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1~50 중량%를 포함하고, 이들 폴리프로필렌과 고부/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양을 더한 총량에 대하여 고무수지 1~40 중량%를, 용융혼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시 고무수지 20 중량% 이하의 조성은 나노클레이, 무수말레산이 공중합 된 변성폴리머의 함량이 너무 많아져 압출의 어려움이 있 고, 70 중량%이상의 조성은 나노클레이의 함량이 너무 적어 고무의 굴곡탄성율 저하를 막기가 어려운바 고무 수지는 20~70 중량%가 가장 적절하다.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1)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제조
(A) 고무 성분으로는, 용융지수 0.8g/10min이고, 옥텐 함량이 12.5중량%인 에틸렌-옥텐 코폴리머를 30, 40, 50중량%로 포함한다.
(B) 상용화제 성분으로는, 무수말레산이 4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 40,000인 변성폴리프로필렌을 30중량%로 포함한다.
(C) 유기 나노클레이 성분으로는, 미국 나노코사에서 제조한 유기나노클레이 I.44P를 20, 30, 40 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각 혼합비에 따라 혼합하여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500 rpm에서 1분 및 1500 rpm에서 1분, 총 2분 동안 충분이 혼합한 후, 160~180℃, 500 rpm의 가공 조건에서 L/D 40인 동 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조성비에 따라 [표1]에 M/B1, M/B2 및 M/B3로 기재하였다.
[표 1]
M/B1 M/B2 M/B3
Clay(%) 20 30 40
상용화제(%) 30 30 30
고무(%) 50 40 30
비중 0.98 1.0 1.1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A)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3(M/B3)를 이용하여 각각 5, 10, 15, 20, 25 중량% 및;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성분으로, 용융지수 35g/10min, 중량평균분자량 216,000인 에틸렌 7.7중량%와 공중합 된 폴리프로필렌 95, 90, 85, 80, 75 중량%를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물성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아래 기재와 같은 ASTM규격에 의거하여 물성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는 [표2]에 기재하였다.
- 용융지수: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oC, 2.16 Kg에서 측정,
- 밀도: ASTM D1505에 의거하여 2mm 두께의 시편으로 측정,
-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율: ASTM D790에 의거하여 6mm 두께의 시편, 스팬(span) 100mm, 사속 5mm/min에서 측정,
- 열변형온도(HDT): HDT 측정기를 사용하여 4.6 kg의 하중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온도 측정
[표 2]
항목 NC1 NC2 NC3 NC4 NC5
Recipe M/B3 (%) 5 10 15 20 25
PP(%) 95 90 85 80 75
물성 굴곡탄성률(Kg/cm2) 14,710 15,550 16,400 17,240 18,090
Izod (Kgcm/cm) 37 39 42 44 45
-30oC충격강도(Kgcm/cm) 5.3 5.2 5.1 5.2 5.3
열변형온도(oC) 111 112 111 113 112
하기의 비교예1에서와 같이 고무만 첨가한 폴리프로필렌/고무 복합재는 고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굴곡탄성율의 저하가 뚜렷하나,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동일 함량 넣어준 실시예 2에서는 충격강도는 유지되면서 굴곡탄성율은 오히려 증가하는 획기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굴곡탄성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M/B3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나노클레이도 비례적으로 증가되어 첨가되기 때문이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고무 복합재 제조
(A) 고무 성분으로는, 용융지수 0.8g/10min이고, 옥텐 함량이 12.5중량%인 에틸렌-옥텐 코폴리머를 각각 5, 10, 15, 20, 25중량% 포함하고,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성분으로, 용융지수 35g/10min, 중량평균분자량 216,000인 에틸렌 7.7 중량%와 공중합 된 폴리프로필렌을 각각 95, 90, 85, 80, 75중량%로 하여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조성비에 따라 [표3]에 PR1, PR2, PR3, PR4, PR5로 기재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3]
항목 PR1 PR2 PR3 PR4 PR5
Recipe Rubber (%) 5 10 15 20 25
PP(%) 95 90 85 80 75
물성 굴곡탄성률(Kg/cm2) 12,900 11,500 10,500 9,450 8,400
Izod (Kgcm/cm) 9.7 14.3 25 49 73.4
-30oC충격강도(Kgcm/cm) 5.7 6.7 7.6 9.2 10.8
열변형온도(oC) 108 99 98 94 91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A)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3(M/B3)를 이용하여 각각 17.5, 25 중량% 및;
(B)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성분으로, 용융지수 35g/10min, 중량평균분자량 216,000인 에틸렌 7.7중량%와 공중합 된 폴리프로필렌 68.8, 59 중량%;
(C) 고무 성분으로는, 옥텐 함량 12.5중량%인 에틸렌-옥텐 코폴리머를 각각 13.7, 16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조성비에 따라 [표4]에 NCP1, NCP2로 기재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표4]
항목 NCP1 NCP2
Recipe M/B3 (wt%) 17.5 25
PP(wt%) 68.8 59
Rubber (wt%) 13.7 16
조성 Clay(wt%) 7 10
상용화제(wt%) 4.2 6
전체 Rubber (wt%) 20 25
물성 밀도 (g/cm3) 0.92 0.93
굴곡탄성률(Kg/cm2) 13,800 11,600
충격강도 (Kgcm/cm) 57.2 64.3
-30oC 충격강도(Kgcm/cm) 5.5 6.5
열변형온도(oC) 105 96
수축율 (%) 0.72 0.54
특별히 고무 성분을 추가한 이유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외에 추가적으로 고무를 넣어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의 강성은 하락하지 않으면서 충격강도가 상승하는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고무를 첨가하여 전체적인 고무함량이 각각 20, 25중량%가 되었음에도 비교예1과 비교 하였을 때, 동일 고무함량에서 굴곡탄성율이 각각 4,350Kg/cm2, 3,200 Kg/cm2 나 상승 하였는바 확연히 우수한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고무수지 20~70 중량%, 나노클레이 10~50 중량%, 무수말레산 그라프트된 변성폴리머 20~5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폴리머는,
    10,000~1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수 말레산 4~8중량부를 포함하는 무수말레산 그라프트 폴리프로필렌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옥텐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EPD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텐 코폴리머는,
    용용지수가 0.1 내지 40 g/10분, 옥텐 함량이 1 내지 20 중량%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클레이는,
    층간거리가 10~50Å 범위인 유기오늄이온으로 층간 치환된 유기클레이인 것인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클레이는,
    테트라 알킬암모늄염, 알킬과 아릴로 이루어진 4급 암모늄염, 테트라 알킬 포스포늄염, 또는 알킬과 아릴로 구성된 4급 암모늄염으로 층간 삽입된(intercalated)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벤토나이트, 사포나이트, 마가다이트 및 합성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
  7. 제 1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1~50 중량%, 폴리프로필렌 수지 50~99 중량% 포함하고, 이들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고무수지를 1~4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 레이/고무 복합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의 코폴리머, 폴리에틸렌-옥텐 코폴리머, 폴리에틸렌 부타디엔 코폴리머 및 EPDM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는,
    굴곡탄성율 10,000~19,000 Kg/cm2, 열변형 온도가 100~140℃, 저온 충격강도 (-30oC) 4~10 Kgcm/cm이고 비중이 0.9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KR1020080124058A 2008-12-08 2008-12-08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KR10100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58A KR101005489B1 (ko) 2008-12-08 2008-12-08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CN2009801486781A CN102239212B (zh) 2008-12-08 2009-10-13 制备橡胶/纳米粘土母料的方法,以及使用其制备高强度、高抗冲击聚丙烯/纳米粘土/橡胶复合材料的方法
IN2768KON2011 IN2011KN02768A (ko) 2008-12-08 2009-10-13
JP2011537347A JP2012509385A (ja) 2008-12-08 2009-10-13 ゴム/ナノクレイ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高剛性、高衝撃強度のポリプロピレン/ナノクレイ/ゴム複合材の製造方法
PCT/KR2009/005885 WO2010067955A2 (ko) 2008-12-08 2009-10-13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DE112009003546T DE112009003546T5 (de) 2008-12-08 2009-10-13 Herstellung von hochfestem und hochschlagzähem Polypropylen/Nanoton/Kautschuk-Komposit unter Verwendung einer Kautschuk/Nanoton-Vormischung
US13/133,564 US20110245387A1 (en) 2008-12-08 2009-10-13 Method for preparing rubber/nanoclay masterbatches, and method for preparing high strength, high impact-resistant polypropylene/nanoclay/rubber composite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58A KR101005489B1 (ko) 2008-12-08 2008-12-08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36A true KR20100065636A (ko) 2010-06-17
KR101005489B1 KR101005489B1 (ko) 2011-01-04

Family

ID=4224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058A KR101005489B1 (ko) 2008-12-08 2008-12-08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45387A1 (ko)
JP (1) JP2012509385A (ko)
KR (1) KR101005489B1 (ko)
CN (1) CN102239212B (ko)
DE (1) DE112009003546T5 (ko)
IN (1) IN2011KN02768A (ko)
WO (1) WO2010067955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18B1 (ko) * 2020-03-30 2021-09-29 이현정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
KR20220001045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뱃치
KR20220001044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폐 폴리올레핀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폴리올레핀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1046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1042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1041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9556B2 (ja) * 2010-09-29 2015-05-20 住友理工株式会社 水系ホース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水系ホース
JP2019131708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110317407A (zh) * 2018-03-30 2019-10-11 合肥杰事杰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耐刮擦pp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64823B1 (ko) * 2020-03-26 2021-06-15 주식회사 엘라스코 연료 주입관 제조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3209B2 (en) 2001-09-06 2003-06-24 Equistar Chemicals, Lp Propylene polymer composites having improved melt strength
AUPS146402A0 (en) * 2002-03-28 2002-05-09 Compco Pty Ltd Nanofiller compositions
KR100546792B1 (ko) 2003-09-17 2006-01-25 삼성토탈 주식회사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를 포함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0713703B1 (ko) 2005-02-28 2007-05-02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강성 특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5068971B2 (ja) 2006-08-28 2012-11-07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複合材料組成物、複合材料成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18B1 (ko) * 2020-03-30 2021-09-29 이현정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
KR20220001045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뱃치
KR20220001044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폐 폴리올레핀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폴리올레핀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1046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1042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220001041A (ko) * 2020-06-26 2022-01-05 문성철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39212A (zh) 2011-11-09
CN102239212B (zh) 2013-04-24
DE112009003546T5 (de) 2012-08-30
WO2010067955A2 (ko) 2010-06-17
WO2010067955A3 (ko) 2010-08-05
US20110245387A1 (en) 2011-10-06
JP2012509385A (ja) 2012-04-19
KR101005489B1 (ko) 2011-01-04
IN2011KN02768A (ko) 2015-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89B1 (ko) 고무/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 고충격강도 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고무 복합재 제조
US8674010B2 (en) Blends of nanocomposites and their use
KR101143749B1 (ko) 장기 내열성이 뛰어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2215155B1 (en) Polyolefin nanocomposites materials
JP2011236443A (ja) 植物系樹脂含有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系樹脂含有成形体
KR100706422B1 (ko) 칫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나노복합 수지
KR100902179B1 (ko) 고강성 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재, 이의 제조방법,및 복합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웨더 스트립
Chuayjuljit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VC/EVA/organomodified 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US20060155084A1 (en)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nanofillers
KR100872859B1 (ko) 고함량 나노클레이 마스터배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폴리프로필렌/나노클레이 복합재 제조
KR100529365B1 (ko) 폴리프로필렌-층상구조점토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US20070185248A1 (en) Intumescent polylefin nanocomposites and their use
KR100684929B1 (ko) 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재
KR101580957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1681314A1 (en) Nanocomposite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US20060252870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polyolefin nanocomposite
JP4099354B2 (ja) 自動車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体
KR101042503B1 (ko) 나노클레이 함유 복합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 외장용 부품
EP1345989B1 (en) Use of a nanofiller-containing polyolefi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improved articles
EP2294008B1 (en) Method for exfoliating organoclay to produce a nanocomposite
KR20120131961A (ko) 폴리유산과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블렌드의 생분해성 필름
KR102631525B1 (ko) 섬유 질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43641B1 (ko) 폴리프로필렌-층상구조점토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38830B1 (ko)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나노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89181A (ko) 상용성이 우수한 나일론/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