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010A -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010A
KR20100065010A KR1020090020841A KR20090020841A KR20100065010A KR 20100065010 A KR20100065010 A KR 20100065010A KR 1020090020841 A KR1020090020841 A KR 1020090020841A KR 20090020841 A KR20090020841 A KR 20090020841A KR 20100065010 A KR20100065010 A KR 2010006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nience
control
vehicle
selection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한태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60Q1/0082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Abstract

제어방법이 유사한 편의시설을 통합하여 제어하도록 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가 제시된다. 제시된 동차 편의기능 제어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된 복수의 편의시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편의시설을 선택받는 선택부; 및 선택부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선택부 및 조절부는 자동차의 조향핸들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venient facilitie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중에 오디오, 차창, 에어컨 등의 자동차 편의기능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17-01, 과제명: 차량 전장용 통합제어 SW 플랫폼 개발].
최근 들어 자동차에는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편의시설이 설치된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편의시설에는 음악이나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오디오,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냉난방기, 도어 윈도우를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전동식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등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에 설치된 편의시설 중에는 그 제어방법이 유사한 것들이 있다. 도어 윈도우를 열고 닫는다든지, 에어컨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춘다든지, 라디오의 볼륨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한다든지, 실내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 등은 동 일한 방식으로 강도 조절이 가능하다.
하지만, 편의시설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어장치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콘솔 박스에 설치된다. 운전자는 설치된 제어장치를 조작하여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하면, 종래에는 다양한 제어장치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익숙하지 못한 운전자인 경우 원하는 편의시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운전 시야에서 눈을 떼어 해당 편의시설의 제어장치를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동시에 교통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운전중에 다른 편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핸들에 제어 장치를 부착한 경우가 있다. 즉, 라디오의 채널이나 볼륨을 제어하는 장치가 핸들에 부착되기도 하고, 창문을 제어하는 장치가 부착되기도 하고, 핸즈프리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가 부착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각각의 편의시설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장치를 설치해야 하지만 조향핸들에 모든 편의시설의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어방법이 유사한 편의시설을 통합하여 제어하도록 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된 복수의 편의시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편의시설을 선택받는 선택부; 및 선택부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선택부 및 조절부는 자동차의 조향핸들에 설치된다.
선택부는, 일면에 복수의 편의시설별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선택부는, 복수의 편의시설별로 형성된 요철부 중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부만 노출된다.
선택부 및 조절부는 조향핸들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선택부는, 휠 형태로 형성되며, 휠이 스크롤됨에 따라 복수의 편의시설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선택부는, 휠 형태의 회전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중에 하나로 형성된다.
조절부는, 휠 형태로 형성되며, 휠의 스크롤 방향에 따른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절부는, 일측 방향으로 휠이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증가시키고, 타측 방향으로 휠이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다.
조절부는, 휠 형태의 회전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중에 하나로 형성된다.
조절부로부터의 서비스 조절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부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는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는 장치를 조향핸들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다양한 편의기능을 간편하게 선택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는 조향핸들에 설치되어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에 시야의 방해 없이 원하는 편의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의기능 제어에 따른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편의시설들을 통합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시설 제어장치에서 통합된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조향핸들의 공간상 한계를 해결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선택부(120), 조절부(14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선택부(120)는 자동차의 조향핸들(600)에 설치되며, 자동차에 설치된 복수의 편의시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편의시설을 선택받는다. 즉, 선택부(120)는 카 오디오, 도어 윈도우, 실내 조명등, 공기조화장치 등과 같이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복수의 편의시설 중에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제어하고자 하는 편의시설을 선택받는다. 이때, 선택부(120)는 음량 조절, 윈도우 개폐, 밝기 조절, 온도 조절 등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강도 조절이 가능한 편의시설 중에서 하나의 편의시설을 선택받는다. 선택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600)의 왼쪽 편에 설치되며, 선택할 수 있는 편의시설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는 장치를 조향핸들(600)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다양한 편의기능을 간편하게 선택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부(120)는 휠 형태로 형성되며, 휠이 스크롤됨에 따라 편의시설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즉, 선택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각각의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이 형성된 휠 형태의 회전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중에 하나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휠 형태로 형성된 선택부(120)를 일측 방향(예컨대, a 방향)으로 스크롤함에 따라 선택부(120)에서는 편의시설이 순차적으로 선택된다. 여기서, 복수의 편의시설이 선택부(120)에서 선택되는 순서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선택부(120)를 스크롤하게 되면 선택부(120)에서는 카 오디오가 선택된다. 카 오디오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부(120)를 계속 스크롤하면 선택부(120)에서는 도어 윈도우가 선택된다. 도어 윈 도우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부(120)를 계속 스크롤하면 선택부(120)에서는 실내 조명등이 선택된다. 실내 조명등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부(120)를 계속 스크롤하면 선택부(120)에서는 공기조화장치가 선택된다.
선택부(120)는 일면에 복수의 편의시설별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부(122)를 포함한다. 즉, 선택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편의시설에 대해 편의시설별로 요철부(122)가 일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선택부(120)는 카 오디오의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의 종단을 갖는 요철부(122a)가 형성된다. 선택부(120)는 도어 윈도우의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원뿔 형상을 갖는 요철부(122b)가 형성된다. 선택부(120)는 실내 조명등의 경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형태의 홈을 갖는 요철부(122c)가 형성된다. 선택부(120)는 공기조화장치의 경우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홈을 갖는 요철부(122d)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요철부(122)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택부(120)는 복수의 편의시설에 대해 각 편의시설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요철부(122) 중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부(122)만 개구된다. 즉, 선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됨에 따라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부(122)가 형성된 일면이 순환적으로 개폐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a) 내지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각각의 원형판이 선택부(120)에 내장된다. 선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스크롤되어 카 오디오가 선택된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한 원뿔 형상을 갖는 요철부(122)가 형성된 부분이 열리게 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나머지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부(12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손의 요철 감각에 의해 어떤 편의시설이 선택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선택부(120)가 일측방향으로 계속 스크롤되면 선택부(120)에 내장된 원형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원형판에 형성된 돌출부에 해당하는 편의시설이 선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선택부(120)의 내부에 각각의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돌출부가 내장되어 있고, 선택부(120)가 스크롤됨에 따라 선택되는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돌출부만 외부로 돌출되도록 선택부(1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조절부(140)는 자동차의 조향핸들(600)에 설치되며,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다. 즉, 조절부(140)는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음량조절, 윈도우 개폐량 조절, 밝기 조절, 온도 조절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조절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부(120)에 대향되는 방향인 조향핸들(600)의 오른쪽 편에 설치된다.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선택부(120) 및 조절부(140)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처럼,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는 장치를 조향핸들(600)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다양한 편의기능을 간편하게 선택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절부(140)는 휠 형태로 형성되며, 휠의 스크롤 방향에 따른 서비스 조절정 보를 입력받는다. 즉, 조절부(140)는 휠 형태의 회전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중에 하나로 형성된다. 조절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일측 방향(예컨대, b 방향)으로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증가시키고, 타측 방향(예컨대, c 방향)으로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발생한다. 이때, 조절부(140)가 조향핸들(600)의 오른쪽 편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조절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으로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발생한다. 반대로, 조절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하방향으로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발생한다.
제어부(160)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조절부(140)로부터의 서비스 조절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조절부(140)로부터의 서비스 조절정보에 따라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음량, 윈도우 개폐량, 밝기, 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선택부(120)에 의해 카 오디오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절부(140)를 상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제어부(160)는 카 오디오의 볼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선택부(120)에 의해 카 오디오가 선택된 상태에서 조절부(140)를 하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카 오디오의 볼륨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6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는 해당 편의시설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편의시설을 제 어하는 제어유닛인 카 오디오 제어유닛(200), 도어 윈도우 제어유닛(300), 실내등 제어유닛(400), 공기조화장치 제어유닛(500)과 연결된다. 물론,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700)로 편의시설의 제어유닛들(200, 300, 400, 5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차량 내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700)로는 CAN(Control Area Network), LIN, FlexRay 등이 있다. 이처럼,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조향핸들(600)에 설치되어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에 시야의 방해 없이 원하는 편의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의기능 제어에 따른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편의시설들을 통합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시설 제어장치에서 통합된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조향핸들(600)의 공간상 한계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선택부(120) 및 조절부(140)가 각 편의시설을 제어하는 제어유닛(ECU)와 데이터 버스(700)로 직접 연결된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선택부(120) 및 조절부(14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각 편의시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의 작용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카 오디오의 볼륨을 증가시킨 후에 실내의 설정온도를 낮추는 단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동차의 주행 중에 운전자가 조향핸들(600)에 설치된 선택부(120)를 스크롤한다. 그에 따라, 선택부(120)는 선택된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부(122)가 외부로 노출된다.
운전자는 선택부(120)를 스크롤하면서 외부로 노출된 요철부(122)에 손을 가져가 노출된 요철부(122)가 어느 편의시설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운전자는 원하는 편의시설이 아닌 경우 선택부(120)를 계속 스크롤한다.
운전자는 카 오디오에 해당하는 요철부(122)인 것을 확인하면 선택부(120)의 스크롤을 중단하고, 조절부(140)를 스크롤하여 카 오디오의 볼륨을 조절한다. 이때, 운전자는 조절부(140)를 상방향으로 스크롤한다. 그에 따라, 조절부(140)는 카 오디오의 볼륨을 증가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발생한다.
제어부(160)는 조절부(140)로부터의 서비스 조절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카 오디오 제어유닛(200)으로 카 오디오의 볼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에 따라, 카 오디오 제어유닛(200)은 카 오디오의 볼륨을 증가시킨다.
볼륨조절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공기조화장치에 해당하는 요철부(122)를 확인할 때까지 선택부(120)를 스크롤한다.
운전자는 공기조화장치에 해당하는 요철부(122)인 것을 확인하면 선택부(120)의 스크롤을 중단하고, 조절부(140)를 스크롤하여 설정온도를 조절한다. 이때, 운전자는 조절부(140)를 하방향으로 스크롤한다. 그에 따라, 조절부(140)는 설정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발생한다.
제어부(160)는 조절부(140)로부터의 서비스 조절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공기조화장치 제어유닛(500)으로 설정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장치 제어유닛(500)은 설정온도를 감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는 장치를 조향핸들(600)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중에도 다양한 편의기능을 간편하게 선택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조향핸들(600)에 설치되어 편의기능을 선택 및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운전 중에 시야의 방해 없이 원하는 편의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의기능 제어에 따른 교통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100)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는 편의시설들을 통합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편의시설 제어장치에서 통합된 편의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조향핸들(600)의 공간상 한계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선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120: 선택부
122: 요철부 140: 조절부
160: 제어부 200: 카오디오 제어유닛
300: 도어 윈도우 제어유닛 400: 실내등 제어유닛
500: 공기조화장치 제어유닛 600: 조향핸들
700: 데이터 버스

Claims (10)

  1. 자동차에 설치된 복수의 편의시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편의시설을 선택받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택부 및 조절부는 상기 자동차의 조향핸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일면에 상기 복수의 편의시설별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편의시설별로 형성된 요철부 중에서 상기 선택된 편의시설에 해당하는 요철부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 및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향핸들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휠이 스크롤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편의시설이 순차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휠 형태의 회전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중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휠의 스크롤 방향에 따른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휠이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증가시키고,
    타측 방향으로 상기 휠이 스크롤되면 서비스 제공 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서비스 조절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휠 형태의 회전 다이얼 및 조그 다이얼 중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로부터의 서비스 조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편의시설의 서비스 제공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KR1020090020841A 2008-12-05 2009-03-11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KR20100065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3468 2008-12-05
KR1020080123468 2008-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010A true KR20100065010A (ko) 2010-06-15

Family

ID=4236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41A KR20100065010A (ko) 2008-12-05 2009-03-11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0225B2 (en) 2013-12-09 2016-05-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0225B2 (en) 2013-12-09 2016-05-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62982B (zh) 车辆操作功能的提示方法及系统和汽车
KR101729825B1 (ko) 차량 실내의 조명 제어 장치
US6842677B2 (en) Vehicle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EP3725591B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vehicle atmosphere lamps
US6240347B1 (en) Vehicle accessory control with integrated voice and manual activation
US73795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programmable features of a motor vehicle
CN110949248A (zh) 一种车辆多模式氛围灯控制系统及方法
DE102005032993A1 (de) Fahrzeugzubehör-Steuerpaneel
US10493816B2 (en) Control device for a comfort system of a motor vehicle, comfort system having a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having a comfort system
US7791219B2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loads of a vehicle
KR101725549B1 (ko) 실내등 조작 장치 및 그 방법
EP3799609B1 (en) Power window sync switch
CN208827916U (zh) 汽车方向盘及车辆
CN112463011A (zh) 触摸屏、具有触摸屏的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JP5000421B2 (ja) 輝度調整機能付車載装置
KR20100065010A (ko) 자동차 편의시설 제어장치
JP4892754B2 (ja) 携帯機器制御方法および携帯機器
JP2004262437A (ja) 車両用入力装置
CN113844396B (zh) 一种智能调节车窗颜色的控制方法
JP2020121667A (ja) 機器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CN107831825B (zh) 用于安装到参与车辆上并在其间转移用户配置文件的柔性模块化屏幕装置
CN113715756B (zh) 车辆设备管理方法、系统及相应的车辆
CN115709679A (zh) 一种方向盘氛围灯控制方法、相关组件及方向盘
CN212677409U (zh) 一种智能氛围灯系统
US20240132079A1 (en) Comprehensive us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