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912A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912A
KR20100062912A KR1020090109585A KR20090109585A KR20100062912A KR 20100062912 A KR20100062912 A KR 20100062912A KR 1020090109585 A KR1020090109585 A KR 1020090109585A KR 20090109585 A KR20090109585 A KR 20090109585A KR 20100062912 A KR20100062912 A KR 2010006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ircuit breaker
opening
main body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272B1 (ko
Inventor
더블유.피.헤만다 디실바
아키후미 사토
코지 아사카와
유타카 사토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동 접촉자를 개극(開極)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기능, 및 개폐기구나 조작 핸들로의 아크 가스 확산을 막는 차폐기능을 본체 케이스의 커버 자체에 부여하여, 부품수의 삭감과 가격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량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2)와 커버(3)로 이루어진 몰드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1)에, 고정 접촉자(6), 가동 접촉자(7), 아크 소거 챔버(arc-extinguishing chamber; 9)로 이루어진 전류차단부, 개폐기구(10), 록커식 조작 핸들(11), 및 과전류 트립장치(12)의 각 기능부품을 탑재하고, 또한 상기 개폐기구(10) 및 조작 핸들(11)을 본체 케이스(1)의 좌우 중앙에 구획된 극실(極室)에 수용 배치한 다극형 회로차단기로서, 상기 커버(3)의 내측에는, 아크 소거 챔버(9)의 꼭대기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배리어 격벽(3b)을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배리어 격벽(3b)의 선단부에는 고정 접촉자(6)로부터 개리(開離)하는 가동 접촉자(7)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부(3c)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 누전 차단기 등을 대상으로 한 다극형의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회로차단기의 기능부품을 조립해 넣은 본체 케이스의 구조에 관련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배선용 차단기는, 베이스(base)와 커버(cover)로 이루어진 몰드(mold)수지제의 본체 케이스(case)에, 고정 접촉자, 가동 접촉자, 아크 소거 챔버로 이루어진 전류차단부, 개폐기구, 록커(rocker)식의 조작 핸들(handle), 및 과전류 트립장치의 각 기능부품을 탑재하여 구성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다음으로, 종래의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3상(相) 회로에 적용하는 3극형 회로차단기의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1은 상자형의 베이스(2)와 커버(3)의 분할구조로 된 몰드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 4는 전원측 단자, 5는 부하측 단자, 6은 고정 접촉자, 7은 가동 접촉자, 7a는 가동 접촉자(7)의 지지축, 8은 각 극의 가동 접촉자(7)를 축지지하여 유지시킨 접촉자 홀더(holder), 9는 그리드(grid)식 아크 소거 챔버, 10은 상기 접촉자 홀더(8)에 연 계한 토글 링크(toggle link)기구와 래치를 구비한 개폐기구, 11은 개폐기구(10)에 연계한 록커식 조작 핸들, 11a는 조작 핸들의 손잡이, 12는 바이메탈(bimetal)과 전자석을 조합시킨 열동(熱動)-전자형의 과전류 트립장치, 13은 과전류 트립장치(12)의 기계적인 동작신호를 받아서 개폐기구(10)를 트립동작시키는 트립 크로스 바(trip cross bar)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는 3상 주회로의 R, S, T의 각 상(相)에 대응하는 세 개의 극실이 상간(相間) 격벽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구획되어 있고, 각 극실마다 전원측 단자(4)와 부하측 단자(5)와의 사이에 고정 접촉자(6), 가동 접촉자(7), 및 과전류 트립장치(12)가 접속 배치되며, 또한 가동 접촉자(7)의 개극 이동 경로를 따라 전원측에는 아크 소거 챔버(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극에 공통인 개폐기구(10)와 조작 핸들(11)은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구획된 극실 중, S상에 대응하는 중앙 극실의 상부측(커버측)에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그 수용위치에서 조작 핸들(11)의 손잡이(knob; 11a)가 커버(3)의 상면 중앙에 개구된 핸들 구멍(3a)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차단기의 전류 차단 동작은, 특허문헌 1에 상세하게 언급되어 있으며, 과부하 전류와 같이 비교적 작은 과전류가 계속해서 흐르면, 과전류 트립장치(12)의 바이메탈이 만곡되어 그 조작단(操作端)이 트립 크로스 바(13)의 레버를 가압하고, 이에 종동하여 개폐기구(10)의 래치(latch)를 석방한다. 이에 따라, 개폐기구(10)가 트립동작하여 개폐 스프링이 접촉자 홀더(8)를 시계방향으로 회동(回動)시키고, 상기 접촉자 홀더(8)에 유지된 가동 접촉자(7)를 개 극위치로 이동시켜 전류를 차단한다.
또한, 단락전류와 같은 과대전류가 흘렀을 경우에는, 과전류 트립장치(12)의 전자석에 의한 개폐기구(10)의 트립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고정 접촉자(6)와 가동 접촉자(7)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반발력에 의해 가동 접촉자(7)가 먼저 개극동작을 시작하며, 이보다 조금 늦게 개폐기구(10)가 트립동작하여 접촉자 홀더(8)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접촉자 홀더(8)에 유지된 가동 접촉자(7)를 개극위치로 이동시켜 전류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의 전류차단시에 고정 접촉자(6)와 가동 접촉자(7)의 접점간에 발생한 아크(arc)는, 전자구동력, 및 아크의 둘레영역에 발생하는 아크 가스(arc gas)의 압력을 받아 아크 소거 챔버(9)에서 구동되고, 그리드판 사이로 밀려들어가 소멸(한류차단(限流遮斷))됨은 주지된 바대로이다.
한편, 도 7의 회로차단기에서는, 상기한 전류차단 동작시에 폐극위치로부터 개극위치를 향해 급속도로 구동되는 가동 접촉자(7)를 개극 종단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금속제의 스토퍼 핀(stopper pin; 14)을 베이스(2)와 커버(3)의 중첩면에 형성한 요(凹)홈에 끼움결합하여 끼움유지시키고, 개극 종단위치로 이동해 온 가동 접촉자(7)를 스토퍼 핀(14)에 부딪히게 하여 그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폐기구(10) 및 조작 핸들(11)을 수용한 본체 케이스(1)의 중앙 극실에 대해서는, 고정/가동 접촉자간에 발생한 아크의 열에 의해 아크 소거 챔버내의 공간에 생성된 아크 가스(아크 가스 중에는, 고온 아크에 접촉하여 몰드 수지제의 케이스 벽면으로부터 발생한 매연상(煤狀)의 탄화물, 및 고정, 가동 접점표면으로 부터 증산(蒸散)된 금속입자 등을 포함함)가 확산되어 개폐기구(10)나 조작 핸들(11)에 부착되는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조작 핸들의 절연 열화나 개폐기구의 동작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의 구조에서는 아크 소거 챔버(9)의 상면측에 차폐판(절곡 파이버(fiber); 15)을 부설(敷設)하여 아크 소거 챔버(9)의 공간과 개폐기구 및 조작 핸들 사이를 격리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67730호(도 1)
그런데, 도 7에 나타낸 종래예의 회로차단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전류차단 동작, 조작 핸들의 OFF조작에 의해 고정 접촉자로부터 개리된 가동 접촉자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수단, 및 전류차단에 따라 발생하는 아크 가스가 아크 소거 챔버로부터 개폐기구, 조작 핸들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수단으로서, 종래의 구조에서는 스토퍼 핀(14)이나 차폐판(15)과 같은 부품을 본체 케이스(1)에 조합하였는데, 이 때문에 회로차단기의 부품수나, 조립공정수가 증가되어 가격(cost) 상승을 초래하였다.
또한, 상기 스토퍼 핀(14)을 본체 케이스(1)의 베이스(2)와 커버(3)의 맞춤면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 넣은 구조에서는, 조작 핸들(11)을 전면을 향해 보드(盤)내에 설치한 회로차단기의 메인티넌스(maintenance)시에 커버(3)를 벗기면, 스토퍼 핀(14)이 탈락될 우려가 있다. 그 밖에, 아크 열을 받아 고온이 된 금속제의 스토퍼 핀(14)에 가동 접촉자(7; 구리재)가 부딪히면, 양자간이 용착되어 전류차단 후 에 가동 접촉자(7)가 폐극위치로 되돌아오지 않게 되는 문제(trouble)를 일으킬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 접촉자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 기능, 및 개폐기구나 조작 핸들로의 아크 가스 확산을 막는 차폐기능을 본체 케이스의 커버 자체에 부여하여, 부품수의 삭감 및 가격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량한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몰드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에, 고정 접촉자, 가동 접촉자, 아크 소거 챔버로 이루어진 전류차단부, 개폐기구, 록커식의 조작 핸들, 및 과전류 트립장치의 각 기능부품을 탑재하고, 또한 상기 개폐기구 및 조작 핸들을 본체 케이스의 좌우 중앙에 구획된 극실에 수용 배치한 다극형의 회로차단기로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 아크 소거 챔버와 개폐기구 사이를 구획하는 배리어(barrier) 격벽을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배리어 격벽의 선단부에는 고정 접촉자로부터 개리하는 가동 접촉자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형성한다(청구항 1).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작 핸들, 개폐기구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의 중앙 극실에 대해서는, 상기 극실에 형성한 배리어 격벽, 스토퍼부의 몰드 성형 처리에 따라 본체 케이스의 커버에 개구된 빈 부분을 덮어 커버 상면에 차폐 덮개를 피착하는 것으로 하고(청구항 2), 또한, 상기 차폐 덮개는, 조작 핸들의 손잡이부에 끼움부착하여 핸들 조작 방향으로 연장되는 차폐 시트의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밀어넣어 커버와의 사이의 틈새로 안내하는 유지 가이드를 겸용하는 부재로서, 상기 차폐 덮개를 본체 케이스의 커버 상면에 겹친 다음, 체결나사에 의해 베이스에 함께 조여서 고정한다(청구항 3).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종래 구조의 회로차단기에 설치되어 있던 스토퍼 핀, 아크 소거 챔버의 차폐판(도 7 참조)의 각 부품을 생략하고, 본체 케이스의 커버에 일체로 성형된 배리어 격벽, 및 상기 격벽에 형성한 스토퍼부에 의해, 가동 접촉자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기능, 및 개폐기구, 조작 핸들로의 아크 가스 확산을 막는 차폐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구조의 회로차단기에 비해 부품수나 조립공정수의 삭감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격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도 6에 나타낸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회로차단기(배선용 차단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시(側視)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 케이스의 커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커버를 하면측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커버를 상면측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회로차단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커버에 장착하는 차폐 덮개의 구조도이며, 도 7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회로차단기는 기본적으로 도 7에 나타낸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회로차단기의 각 기능부품을 수용하는 몰드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1)에 관하여, 베이스(2)와 조합시키는 커버(3)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의 내측에는 본체 케이스내의 각 극실에 장비한 아크 소거 챔버(9; 도 1 참조)의 꼭대기부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방으로 늘어뜨려져 연장되는 배리어 격벽(3b)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배리어 격벽(3b)의 하단부에는 고정 접촉자(6)로부터 개리하는 가동 접촉자(7)가 부딪혀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부(3c)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에, 커버(3)에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접촉자 홀더(8)의 베어링 프레임(3d), 주(主)회로의 R, S, T의 각 상에 대응하여 좌우로 늘어선 극실을 구획하는 상간 격벽(3e)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개폐기구(10) 및 조작 핸들(11)은 중앙의 극실(S상)에 수용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의 상면측에는 조작 핸들(11)의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그 좌우 양측에 보조 스위치, 경보 스위치 등의 부속장치를 삽입하여 세트하는 포켓형상의 오목부(3f)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f)를 덮도록 커버(3)에 개폐가능한 상부커버(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버(3)를 베이스(2)와 조합시킨 본체 케이스(1)에 각 기능부품을 탑재시킨 도 1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트립동작 및 핸들의 OFF조작으로 가동 접촉자(7)가 고정 접촉자(6)로부터 개리하여 개극하면, 가동 접촉자(7)는 그 개극 종단위치에서 커버(3)에 형성한 상기 스토퍼부(3c)의 단면에 부딪혀 그 위치에 정지된다. 또한, 과전류 차단동작에 따라 아크 소거 챔버(9)의 공간에 생긴 아크 가스 는, 상기 배리어 격벽(3b)에 의해 저지되어 개폐기구(10) 및 조작 핸들(11)을 수용한 공간에 직접 분출되지 않고, 아크 소거 챔버(9)의 그리드판 사이를 통해 흘러 본체 케이스(1)의 단부(전원측)로부터 외측으로 방출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종래예의 회로차단기와 같이,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스토퍼 핀(14), 아크 소거 챔버(9)의 상방을 덮는 차폐판(15) 등의 부품을 추가 배치할 필요없이, 몰드 수지제의 커버(3)에 일체로 성형한 배리어 격벽(3b), 스토퍼부(3c)에 의해, 가동 접촉자(7)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기능, 및 개폐기구(10)나 조작 핸들(11)로의 아크 가스 확산을 막는 차폐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예의 회로차단기에 비해, 부품수나 조립공정수(工數)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로차단기의 기종에 따라, 가동 접촉자(7)의 지지축 중심과 상기 가동 접촉자(7)를 축지지하여 유지하는 접촉자 홀더(8)의 회전축 중심이 동심(同心)을 이루는 구조와, 편심되어 있는 구조가 있다. 또한, 후자의 구조에서는, 전자반발력을 받아 개극하는 가동 접촉자(7)의 이동 궤적과, 개폐기구(10)의 트립동작에 의해 접촉자 홀더(8)가 회동하여 가동 접촉자(7)를 개극위치로 구동하는 이동 궤적이 다르다. 이 때문에, 개극 종단위치에서 스토퍼부(3c)에 부딪히는 가동 접촉자(7)의 충돌 위치 및 각도에 다소의 어긋남이 생긴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커버(3)에 형성한 스토퍼부(3c)에서는, 도 3과 같이 가동 접촉자(7)의 충돌 위치 및 각도의 어긋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3c)에 각도를 변화시킨 2단(段)의 충돌 단면(端面)을 형성시켜 두고, 어느 경우라도 개극위치로 이동해 온 가동 접촉 자(7)를 면에 닿게 하여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스토퍼부(3c)는 S상에만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도시된 실시예의 커버(3)에서는, 중앙에 늘어선 극실(S상)의 배리어 격벽(3b)에 형성한 상기 스토퍼부(3c)의 형상이, 조작 핸들(11)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배리어 격벽(3b)의 선단으로부터 개폐기구(10)를 향해 돌출되도록 커트하여 그 상방에 빈 부분(3g)을 형성하였다(도 2 참조). 이 때문에, 커버(3)를 성형하는 몰드 금형에는 상기 스토퍼부(3c)의 언더컷 처리를 위해 슬라이드 코어가 필요하므로, 몰드성형한 커버(3)의 상면에는, 상기 빈 부분(3g)으로 통하는 구멍(슬라이드 코어를 세트하기 위한 구멍)이 개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개구 구멍은 막지 않고 그대로 남겨둘 경우, 상부커버(16; 도 1 참조)를 열어 앞서 언급한 보조 스위치 등의 부속장치를 커버(3)의 오목부(3f)에 탈부착할 때, 드라이버(공구)의 선단이 상기 개구 구멍을 통해 빈 부분(3g)으로 들어가 충전부에 접촉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빈 부분(3g)의 구멍을 막도록 커버(3)의 상면에 별도의 부품인 차폐 덮개(17; 몰드 수지 성형품)을 피착(被着)하였다(도 1 및 도 5 참조).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조작 핸들(11)과 커버(3)의 상면에 개구된 핸들 구멍(3a)의 주연(周緣)과의 사이에 남는 틈새를 막아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케이스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차폐 덮개(17)와는 별도로 조작 핸들(11)의 손잡이부(11a)에 끼움결합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유연성있는 차폐 시트(18)를 부설하였다. 그리고, 상기 차폐 시트(18)로 상기 빈 부분(3g)의 개구 구멍을 덮도록 시트의 단부를 연장시 킨 다음, 그 연장 단부를 상기 차폐 덮개(17)로 안내유지하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그 상세구조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덮개(17)에는 좌우 양 사이드로 돌출된 나사 시트(17a), 덮개판의 하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폐 시트(18)의 단부를 안내유지하는 U형의 가이드(17b), 및 전방으로 뻗은 연장편부(片部)(17c)를 형성시켜 둔다. 한편, 커버(3)의 상면에는, 상기 차폐 덮개(17)의 연장편부(17c)에 대응하는 오목부(3i)를 형성시켜 둔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의 베이스(2)에 각종 기능부품을 탑재한 회로차단기의 최종 조립공정에서, 베이스(2)에 커버(3)를 씌운 다음, 상기 커버 상면에 개구된 상기 빈 부분(3g)의 구멍을 막도록 차폐 덮개(17)를 소정 위치에 겹치고, 이 위치에서 조작 핸들(11)의 손잡이부(11a)에 미리 끼움결합하여 부설(敷設)해 둔 차폐 시트(18)의 단부를 차폐 덮개(17)의 U형 가이드(17b)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차폐 덮개(17)의 나사 시트(17a)와 커버(3)에 형성된 부착나사 구멍(3h)에 걸쳐서 통과된 볼트(19; 도 5 참조)를 베이스(2)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커버(3)와 차폐 덮개(17)를 함께 체결고정한다.
상기 조립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드성형시의 언더컷 처리를 위해 커버(3)의 상면에 개구된 상기 빈 부분(3g)의 구멍이 차폐 덮개(17), 및 차폐 시트(18)에 의해 폐쇄되고, 동시에 상기 차폐 시트(18)의 단부가 커버(3)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3i)와 차폐 덮개(17)의 연장편부(17c)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유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측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체 케이스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를 이면측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버를 상면측에서 바라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회로차단기의 본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차폐 덮개의 구조도로서, (a)는 이면측에서 바라본 외관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종래예의 회로차단기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측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케이스 2 : 베이스
3 : 커버 3a : 핸들 구멍
3b : 배리어 격벽 3c : 스토퍼부
6 : 고정 접촉자 7 : 가동 접촉자
8 : 접촉자 홀더 9 : 아크 소거 챔버
10 : 개폐기구 11 : 조작 핸들
12 : 과전류 트립장치 17 : 차폐 덮개
17a : 나사 시트 18 : 차폐 시트

Claims (3)

  1. 베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몰드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에, 고정 접촉자, 가동 접촉자, 아크 소거 챔버로 이루어진 전류차단부, 개폐기구, 록커식의 조작 핸들, 및 과전류 트립장치의 각 기능부품을 탑재한 다극형의 회로차단기이며, 상기 개폐기구 및 조작 핸들을 본체 케이스의 좌우 중앙에 구획된 극실(極室)에 수용 배치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 아크 소거 챔버과 개폐기구 사이를 구획하는 배리어 격벽을 일체로 성형하고, 또한 상기 배리어 격벽의 선단부에는 고정 접촉자로부터 개리(開離)하는 가동 접촉자를 개극 종단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조작 핸들 및 개폐기구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의 중앙 극실에 대해서는, 상기 극실에 형성한 배리어 격벽 및 스토퍼부의 몰드 성형 처리에 따라 본체 케이스의 커버에 개구된 빈 부분을 덮고, 커버 상면에 차폐 덮개를 피착(被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2항에 있어서,
    차폐 덮개는, 조작 핸들의 손잡이부에 끼움부착하여 핸들 조작 방향으로 연 장되는 차폐 시트의 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밀어넣어 커버와의 사이의 틈새로 안내하는 유지 가이드를 겸하고 있으며, 상기 차폐 덮개를 본체 케이스의 커버 상면에 겹친 다음, 체결나사에 의해 베이스에 함께 조여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1020090109585A 2008-12-02 2009-11-13 회로차단기 KR101061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7098 2008-12-02
JP2008307098A JP4760898B2 (ja) 2008-12-02 2008-12-02 回路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912A true KR20100062912A (ko) 2010-06-10
KR101061272B1 KR101061272B1 (ko) 2011-08-31

Family

ID=4234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585A KR101061272B1 (ko) 2008-12-02 2009-11-13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60898B2 (ko)
KR (1) KR101061272B1 (ko)
CN (1) CN10175215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2B1 (ko) * 2011-11-10 2013-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2003329B1 (ko) * 2018-02-23 2019-07-25 상도전기통신(주)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8450B (zh) * 2011-09-13 2014-12-10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一种单指操作的多极开关
JP5665716B2 (ja) * 2011-09-30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N103594298B (zh) * 2013-11-22 2016-04-06 王克诚 电控塑壳断路器及逻辑互锁式塑壳断路器
CN111640628B (zh) * 2020-05-21 2022-07-12 温州金旭电气有限公司 一种微型漏电断路器
KR102286660B1 (ko) * 2020-08-07 2021-08-05 라웅재 복합형 전기안전 차단기
KR102623172B1 (ko) 2021-11-08 2024-01-09 오병후 교량가설단정용 회로차단기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5657A1 (de) * 1998-05-08 1999-11-10 Schurter AG Schaltschloss für einen Schutzschalter
JP2006073200A (ja) 2004-08-31 2006-03-1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
JP4760311B2 (ja) * 2005-11-07 2011-08-3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4253701B2 (ja) * 2006-06-01 2009-04-1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遮断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2B1 (ko) * 2011-11-10 2013-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WO2013070047A1 (ko) * 2011-11-10 2013-05-16 엘에스산전(주) 배선용 차단기
US9818560B2 (en) 2011-11-10 2017-11-14 Lsis Co., Ltd. Molded-case circuit breaker
KR102003329B1 (ko) * 2018-02-23 2019-07-25 상도전기통신(주)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272B1 (ko) 2011-08-31
CN101752154B (zh) 2013-03-13
CN101752154A (zh) 2010-06-23
JP2010135080A (ja) 2010-06-17
JP4760898B2 (ja)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272B1 (ko) 회로차단기
US7834290B2 (en) Protection switch
KR100944173B1 (ko) 회로 차단기
KR100963738B1 (ko) 회로 차단기
US5084689A (en) Compact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creased ampere rating
KR20140012034A (ko) 회로 차단기
JP3959684B2 (ja) 回路遮断器
US6518530B2 (en) Current-limiting contact arrangement
US7009129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breaker mechanism
JP5845698B2 (ja) 回路遮断器
EP2779199B1 (en) Molded-case circuit breaker
US5049846A (en) Compact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creased ampere rating
US10460898B2 (en) Circuit breakers
US5153545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rc baffle insert
US6844514B2 (en) Arc extinguisher with an attachment for low voltage switchgear
AU2004237833B2 (en) Slot motor including legs engaging openings of circuit breaker housing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4147347B2 (ja) 配線用遮断器
CN108022812B (zh) 一种具有磁脱扣器的断路器
US6150908A (en) Circuit breaker with metal melt isolation device
EP3227900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pole shaft catch assembly therefor
JP2903642B2 (ja) 回路遮断器
KR101255475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120041098A (ko) 회로 차단기
JP2019046652A (ja) 回路遮断器
JP2022165074A (ja) 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