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329B1 -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 Google Patents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329B1
KR102003329B1 KR1020180022103A KR20180022103A KR102003329B1 KR 102003329 B1 KR102003329 B1 KR 102003329B1 KR 1020180022103 A KR1020180022103 A KR 1020180022103A KR 20180022103 A KR20180022103 A KR 20180022103A KR 102003329 B1 KR102003329 B1 KR 10200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housing
arc
side terminal
movable contac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동
Original Assignee
상도전기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도전기통신(주) filed Critical 상도전기통신(주)
Priority to KR1020180022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원과 접속하는 전원 측 터미널과 부하와 접속하는 부하 측 터미널 및 배선차단을 위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하우징을 덮는 상부 하우징과 전원 측 터미널과 부하 측 터미널 사이에 구비되어 전로를 형성하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접촉 또는 분리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벽을 포함하고, 차단벽은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생성된 외력 또는 기체가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하여 내부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차단기의 내부 구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Circuit breaker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preventing internal short}
본 발명은 소형 배선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 또는 기체가 배선차단기의 배선차단을 위한 구성요소로 전달 또는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배선회로에서 발생되는 대표적인 사고로는 누전, 감전사고와 과부하, 단락사고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배선차단기는 전기배선회로에서 고장전류(과부하, 단락) 발생시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전로를 차단함으로써 전기배선회로에서 발생하는 사고 및 2차 파급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안전장치이다. 퓨즈와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기는 하나, 퓨즈의 경우 1회 자동차단이후 교체를 하는 불편이 있는 반면, 배선차단기의 경우 자체 고장이나 소손이 아닌 경우 계속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배선차단기는 전기배선회로 내에서 정격전류 이내의 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개폐기구부는 ON 위치에 있고, 반면 회로 내에 과전류 등이 흐르면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개폐기구부를 OFF 위치로 트립시켜 회로를 차단한다.
트립이란 배선차단기 내에 비정상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차단기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말한다. 트립동작은 통상적으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식에 따라 바이메탈의 만곡 특성을 이용한 열동식(熱動式)과 열동식 기능에 추가하여 고정 및 가동철심을 이용하는 열동전자식(熱動電磁式), 실리콘 오일의 점도를 이용하는 완전전자식(完全電磁式),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는 전자식(電子式)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소형 차단기에 주로 적용되는 열동전자식 배선차단기에 대해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개폐기구, 개폐기구의 ON 또는 OFF 상태에 의해 서로와의 접촉 또는 분리를 통해 전로(電路)를 형성하는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개폐기구에 연결되어 개폐기구를 트립시킬 수 있는 트립바, 가동접촉자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만곡되어 트립바를 움직이게 하는 바이메탈, 바이메탈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마그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격전류보다 높은 전류인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은 특성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에 의해 트립바를 밀어서 레버의 구속을 해제시켜 개폐기구가 OFF 위치로 이동하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분리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진다.
과전류는, 통상적으로, 정격전류의 1배를 약간 넘는 것에서부터 수십, 수백배 되는 경우 모두를 지칭할 수 있으나 정상 사용 상태에서 전위가 서로 다른 지점 사이에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임피던스로 인한 사고로 발생된 과전류는 단락 전류라 칭한다.
한편 과전류가 흘러 순간적으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분리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아크가 발생한다.
아크는 차단현상의 시간적 추이, 접촉되어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변화하나 일반적으로 아크의 온도는 약 800℃ 내지 1200℃에 이르며, 공기의 팽창에 따른 압력에 의해 내부공간으로 역류하여 단락차단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아크의 발생은 기체의 발생을 수반하며 기체가 배선차단기의 배선차단을 위한 내부 구조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에 유입될 경우 기체가 전도체 역할을 수행하여 아크가 발생하여 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전압을 배선차단을 위한 내부 구조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으로 전달하여 배선차단기의 기능을 저하할 수 있다.
한편 아크전압은 배선차단기가 차단 될 때,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분리된 직후에 접촉자간에 아크가 발생하여 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아크의 발생에 따른 외력 또는 기체가 배선차단을 위한 구조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으로부터 소형 배선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보호하는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가 배선차단을 위한 내부구조가 수용되어 있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는 전원과 접속하는 전원 측 터미널과 부하와 접속하는 부하 측 터미널 및 배선차단을 위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하우징을 덮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전원 측 터미널과 부하 측 터미널 사이에 구비되어 전로를 형성하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와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접촉 또는 분리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생성된 외력 또는 기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하여 내부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피봇점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핸들에 의해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부재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아크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보호하는 제3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아크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4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1부재와 접촉하게 구비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에 관계없이 아크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크차단벽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을 시 상기 프레임과 근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바이메탈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키는 절연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차단벽은, 상기 제1부재의 일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1차단벽 및 상기 제1부재의 상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차단벽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차단벽은 상기 제1차단벽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생성된 외력 또는 기체로부터 차단기의 내부 구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시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가 차단기 내부 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바이메탈 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차단기의 분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도1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2의 크로스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는 도1의 배선차단기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b는 도1의 배선차단기의 타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차단기의 분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도1의 내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배선차단기(1)는 상부 하우징(10), 하부 하우징(20), 구성요소(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20)에는 전원 측 터미널(31), 부하 측 터미널(33), 구성요소(30)가 수용될 수 있다.
구성요소(30)는 조작핸들(131), 레버(132), 트립바(133), 바이메탈(134), 프레임(135), 크로스바(136), 가동접촉자(137), 고정접촉자(138), 돌출부재(1331), 피봇점(13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은 하부 하우징(20)의 상부에서 하부 하우징(20)을 덮어 구성요소(30)를 보호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은 전원과 접속하는 전원 측 터미널(31)과 부하와 접속하는 부하 측 터미널(33) 및 배선차단을 위한 구성요소(3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성요소(30)는 전원 측 터미널(31)과 부하 측 터미널(33)을 잇는 전로의 형성과 분리를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측 터미널(31)과 부하 측 터미널(33) 사이에는 접촉 및 분리에 의해 전로를 형성하는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형성되어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접촉하는 경우 통전상태가 되고,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분리되는 경우 비통전상태가 된다.
조작핸들(131)은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를 접촉 또는 분리 할 수 있으며, 프레임(135)에 형성된 피봇점(1351)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 도시되어 있는 조작핸들(131)은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분리되어 있는 비통전상태이며, 조작핸들(131)이 피봇점(1351)을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접촉하여 통전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핸들(131)은 조작핸들(131)의 하측에 구비되는 레버(132)와 연결되고, 레버(132)는 조작핸들(131)이 회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작핸들(131)이 통전상태를 형성하는 위치에 있을 경우 레버(132)는 하향운동을 하게 되고, 조작핸들(131)이 비통전상태를 형성하는 위치에 있을 경우 레버(132)는 상향운동을 하게 된다.
크로스바(136)는 레버(132)의 하측에 구비되어 레버(132)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운동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크로스바(136)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가동접촉자(137)를 상하로 움직여 고정접촉자(138)와 접촉 또는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작핸들(131)이 비통전상태에서 통전상태가 될 때, 조작핸들(131)은 회동하면서 레버(132)를 하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에 의해 레버(132)는 크로스바(136)를 하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크로스바(136)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동접촉자(137)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접촉자(138)와 접촉하도록 한다.
반대로, 조작핸들(131)이 통전상태에서 비통전상태가 될 때, 조작핸들(131)은 회동하면서 레버(132)를 상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에 의해 레버(132)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크로스바(136)를 상부에서 누르던 압력이 사라져 크로스바(136)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137)를 상부에서 누르던 압력이 사라져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는 분리된다.
트립바(133)는 배선차단기(1)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조작핸들(131)을 트립시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트립바(133)는 회로 내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가 흐르는 경우 작동하는 안전장치로서, 자동으로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트립바(133)는 돌출부재(133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돌출부재(1331)는 트립바(133)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의 면을 형성한다.
돌출부재(1331)는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의 일측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이메탈(134)은 열 또는 전류에 의해 한 방향으로 만곡하는 성질을 가지며, 과전류가 흐를 경우 바이메탈(134)은 바이메탈(134)이 갖는 만곡하는 성질에 의해 만곡하여 트립바(133)를 움직여 비통전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3은 도1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상부 하우징(10)은 아크차단벽(111,112), 절연차단벽(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크차단벽은 제1차단벽(111), 제2차단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크(arc)는 상술한바와 같이 회로에 과전류가 흘러 순간적으로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높은 압력과 기체의 발생을 수반할 수 있다.
아크차단벽(111,112)은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가 접촉하고 분리하는 밀실 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아크차단벽(111,112)은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생성된 외력 또는 기체가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하여 내부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은 전원 측 터미널(31), 가동접촉자(137), 고정접촉자(138)와 부하 측 터미널(33)을 제외한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을 지칭한다.
즉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은 회로의 통전, 비통전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핸들(131), 레버(132), 트립바(133), 바이메탈(134), 프레임(135), 크로스바(136)가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차단벽(111)은 제2차단벽(112)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후방은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으로 더 진입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벽(111)은 크로스바(136)의 후방에 위치하여 크로스바(136) 움직임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절연차단벽(113)은 상부 하우징(10)이 하부 하우징(20)의 상부에서 하부 하우징(20)을 덮을 시 프레임(135)과 근접하게 구비되어 프레임(135)과 바이메탈(134)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트립바(133)의 돌출부재(1331)는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의 일측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키며, 절연차단벽(113)은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의 타측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4는 도2의 크로스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고하면, 크로스바(136)는 제1부재(1361), 제2부재(1362), 제3부재(1363), 제4부재(1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1361)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동접촉자(137)의 상부에 구비되어 가동접촉자(137)를 하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부재(1362)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동접촉자(137)의 하부에 구비되어 가동접촉자(138)를 상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부재(1363)는 한 쌍의 제1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4부재(1364)는 제2부재(1362)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직축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5a는 도1의 배선차단기의 일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5b는 도1의 배선차단기의 타측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를 참고하면, 배선차단기 일측 단면에서의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는 제3부재(1363), 제4부재(1364), 제1차단벽(111)에 의해 형성된 밀실 된 공간에 구비되며,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에 의한 외력 또는 기체가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부재(1363)는 가동접촉자(137)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외력 또는 기체를 차단할 수 있으며,
제4부재(1364)는 가동접촉자(137)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외력 또는 기체를 차단할 수 있으며,
제1차단벽(111)은 제1부재(1361)의 일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전면에서 유입될 수 있는 외력 또는 기체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절연차단벽(113)은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의 타측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5b를 참고하면, 배선차단기 타측 단면에서의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는 제4부재(1364), 제2차단벽(112)에 의해 형성된 밀실 된 공간에 구비되며, 가동접촉자(137)와 고정접촉자(138) 사이에서 발생한 아크에 의한 외력 또는 기체가 하부 하우징(20)의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부재(1364)는 가동접촉자(137)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외력 또는 기체를 차단할 수 있으며,
제2차단벽(112)은 제1부재(1361)의 상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전면에서 유입될 수 있는 외력 또는 기체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재(1331)는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의 일측 사이 공간에 구비되어 바이메탈(134)과 프레임(135)간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바와 같이 아크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 또는 기체의 유입을 막기 위한 구성요소 또는 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가 각각 상부 하우징(10), 크로스바(136), 트립바(133)에 분배되어 구비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하나의 구성부품이 받는 외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배선차단기
10 : 상부 하우징
111,112 : 아크차단벽
111 : 제1차단벽
112 : 제2차단벽
113 : 절연차단벽
20 : 하부 하우징
30 : 구성요소
31 : 전원 측 터미널
33 : 부하 측 터미널
131 : 조작핸들
132 : 레버
133 : 트립바
1331 : 돌출부재
134 : 바이메탈
135 : 프레임
1351 : 피봇점
136 : 크로스바
1361 : 제1부재
1362 : 제2부재
1363 : 제3부재
1364 : 제4부재
137 : 가동접촉자
138 : 고정접촉자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원과 접속하는 전원 측 터미널과 부하와 접속하는 부하 측 터미널 및 배선차단을 위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 하우징을 덮는 상부 하우징;
    상기 전원 측 터미널과 부하 측 터미널 사이에 구비되어 전로를 형성하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접촉 또는 분리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벽은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생성된 외력 또는 기체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전달 또는 유입하여 내부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하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피봇점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조작핸들에 의해 수직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며,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부재;
    상기 가동접촉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구비되어 아크에 의한 외력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보호하는 제3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제1부재와 접촉하게 구비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위치에 관계없이 아크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아크차단벽;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을 덮을 시 상기 프레임과 근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과 바이메탈의 절연성능을 향상시키는 절연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차단벽은,
    상기 제1부재의 일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1차단벽; 및
    상기 제1부재의 상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차단벽;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차단벽은 상기 제1차단벽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KR1020180022103A 2018-02-23 2018-02-23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KR10200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03A KR102003329B1 (ko) 2018-02-23 2018-02-23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03A KR102003329B1 (ko) 2018-02-23 2018-02-23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329B1 true KR102003329B1 (ko) 2019-07-25

Family

ID=6746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103A KR102003329B1 (ko) 2018-02-23 2018-02-23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3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912A (ko) * 2008-12-02 2010-06-1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회로차단기
KR20110084039A (ko) * 2010-01-15 2011-07-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슬림형 과부하 및 누전 겸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912A (ko) * 2008-12-02 2010-06-10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회로차단기
KR20110084039A (ko) * 2010-01-15 2011-07-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슬림형 과부하 및 누전 겸용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007A (en) Current breaking device with solid-state switch and built-in protective circuit breaker
CA2785605C (en) Switchgear unit for switching high dc voltages
JPS6243027A (ja) 回路遮断器
RU2623503C2 (ru) Блок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KR20090045789A (ko) 소형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장치
US3796980A (en) Disposable circuit breaker
CA2789187C (en) Limiter including a number of gas channels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2003329B1 (ko) 내부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소형 배선차단기
KR20180065483A (ko) 누전 및 배선차단기를 위한 순시트립장치
KR102003328B1 (ko) 개선된 트립바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배선차단기
US3040144A (en) Circuit breakers
US3513275A (en)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current path and contact means
CN109786182B (zh) 具有自清洁触点的小型断路器
RU139886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ключатель модульного исполнения
JPS5840716A (ja) 配線用しや断器
CN110808197B (zh) 具有多个快动作触点的断路器
KR10043433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 검출장치
US5917390A (en) Circuit breaker with current limiting contact structure
KR200428491Y1 (ko) 모터보호용 차단기의 트립아세이 고정장치
US11764022B2 (en) Slim circuit breaker
US11804345B2 (en) Low-voltage circuit breaker
CN219696380U (zh) 一种断路器
KR10073250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압트립장치
KR101252409B1 (ko) 히터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N115298789A (zh) 独立于操作者的紧凑式速动开关机构和机电保护开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