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795A -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 Google Patents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795A
KR20100060795A KR1020080119541A KR20080119541A KR20100060795A KR 20100060795 A KR20100060795 A KR 20100060795A KR 1020080119541 A KR1020080119541 A KR 1020080119541A KR 20080119541 A KR20080119541 A KR 20080119541A KR 20100060795 A KR20100060795 A KR 2010006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output
output devi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475B1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475B1/ko
Priority to US12/466,619 priority patent/US8730180B2/en
Priority to EP09166196.7A priority patent/EP2192475B1/en
Publication of KR2010006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95A/ko
Priority to US14/280,293 priority patent/US93446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와 그 입출력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이동 단말기는,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근방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입력 동작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 터치, 근접 센서, 입출력 장치, 입출력 제어

Description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Controlling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를 통해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입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그 제공하는 기능이 다양화되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러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음성, 화상 또는 텍스트와 같은 각종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위해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에 구비된 입출력 장치의 입력 또는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키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조작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단말기에 인가되도록 한다.
그러나 각종 기능의 실행과 입출력 장치의 제어를 키입력부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만 일일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복잡한 키 조작 또는 메뉴 조작 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에서 입출력 장치의 터치를 통해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이동단말기로의 각종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입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각종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근방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입력 동작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근방에 대한 접촉 터치 및 근접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기설정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출력 장치 및 입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동작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입력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입출력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 동작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출력 제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의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적어도 한번의 터치,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터치, 및 기설정된 형태로 수행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각각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각각 별개로 제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장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의 발광에 따른 발광 면적 및 발광되는 빛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중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이동 단말기로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은,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입력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동작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을 제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각종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에 따라 간편하게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뉴 구조를 탐색하거나 키버튼을 조작할 필요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직접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접촉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통해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출력의 제어에 따른 입출력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 동작으로 입출력 제어가 가능하여, 입출력 제어를 위한 별도의 키버튼이 필요없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의 선택 폭이 넓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 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 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 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 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 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16 및 117)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6)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7)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 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부(116)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 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 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는, 근접 터치와 직접 터치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터치 입력은 이러한 터치의 시작(Touch Down) 또는 완료(Touch Up), 터치에 잇다른 기설정된 유지 시간의 경과 또는 터치의 이동(Drag and Drop) 등 터치의 변화에 대응하는 각종 입력 신호등 터치의 횟수, 유지 시간, 행태, 방식의 변화에 따른 가능한 모든 터치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A/V 입력부(120)의 카메라(121), 마이크(122) 및/또는 출력부(150)의 디스플레이(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및/또는 실험 또는 경험에 따라 상기 입출력 장치를 지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정도의 상기 입출력 장치의 근 방에는 앞서 설명한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및/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가 설치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입출력 장치의 터치에 따라 정도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이하, '입출력 장치의 근방'이라 하면 해당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을 다양한 방식으로 직접 터치하여 발생하는 접촉 터치에 따라 해당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장치의 터치에 따른 정보 입출력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의 근방을 특정 방식으로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이에 따라 해당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를 통해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입력 방식에 대한 예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각각의 터치 입력 방식에 대해서는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해당 터치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해당 입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센싱부(14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기설정된 방식의 터치 동작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센싱부(140) 는 이러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터치 동작에 따른 검출 신호를 센싱부(140)로부터 인가받고, 이를 해석하여 상기 검출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입출력 장치 및 검출 신호에 따른 기설정된 제어 명령을 파악하여 이에 따라 해당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도 5의 예에서 입출력 장치의 근방에서의 특정 방향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 중 음향 출력 모듈(152)이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특정 동작, 예를 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으로 터치하며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이러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한 이와 같은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인가받으면, 해당 검출 신호는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한 것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드래그 동작은 볼륨 업이라는 제어 명령에 해당함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대해 음향 출력 모듈(152)을 제어하여 그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의 드래그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이에 따라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입출력 장치의 근방을 터치하는 횟수에 대응하여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음향 출력 모듈(152)의 근방을 터치하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예를 들면 한번 터치할 때마다 기설정된 레벨 만큼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터치가 반복되면 볼륨이 점점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입출력 장치의 근방에 대한 터치가 지속되는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음향 출력 모듈(152)의 근방을 길게 터치하여 터치가 지속되면 제어부(180)는 터치가 지속된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여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도 8의 예에서는, 입출력 장치의 근방에서 특정 방식으로 드래그를 수행함에 따라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사용자가 음향 출력 모듈(152)의 근방에서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이에 따라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80)는 시계 방향의 드래그에 대해서는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예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 중 음향 출력 모듈(152)이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드래그가 수행됨에 따라 좌측 도면(A)에서 중앙부 도면(B) 및 우측 도면(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의 수행 정도에 따라 점차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길이 또는 진행 정도에 대응하여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예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 중 마이크(122)이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드래그가 수행됨에 따라 좌측 도면(A)에서 중앙부 도면(B) 및 우측 도면(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의 수행 정도에 따라 점차 마이크(152)의 출력 레벨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마이크(122)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길이 또는 진행 정도에 대응하여 마이크(122)의 출력 레벨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입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두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에 따라 상기 두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출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 제어 동작은 상기 터치된 두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출력 제어 동작 외에도 상기 터치된 두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입출력 동작, 예를 들어 음성 출력 모듈(152)과 터치 스크린(151)이 터치된 경우에 음성 출력 모듈(152)과 관련된 녹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동작으로서 메모리(160)로의 음성 데이터 입력(기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동작은 상기 두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터치가 수행된 순서가 달라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두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는 횟수, 유지 시간, 행태, 방식 등에 있어서 동일한 종류의 터치일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종류의 터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한번 터치된 수 소정 시간 내에 다른 입출력 장치가 한번 터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터치된 후 소정시간 내에 다른 입출력 장치에 대한 드래그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예는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와 더불어 다른 입출력 장치,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51)에 대한 터치가 조합되어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정보의 입출력이 제어되는 경우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입출력 장치의 근방을 터치하고 이러한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터치 스크린(151)의 내부까지 드래그를 수행하거나 반대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채로 특정 입출력 장치의 근방까지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이러한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입출력 장치를 제어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예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각각의 터치 입력 방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또는 근접 센서가 장착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터치 센서 또는 근접 센서는 터치 스크린(151)과의 경계선과 맞닫도록 충분한 크기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 경계선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제어부(180)는 입출력 장치의 근방에 장착된 터치 센서 또는 근접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와 터치 스크린(151)으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를 조합하여 해당 검출 신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어 명령을 파악한다.
이 경우 입출력 장치의 근방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감지된 검출 신호와 터치 스크린(151)의 터치 입력으로부터 감지된 검출 신호의 시간 적 선후 관계와 터치 입력의 발생 시간 간격 및 그 터치 입력 형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해 기설정된 제어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입출력 장치의 근방이 터치 된 후 기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터치 스크린이 터치되는 경우 이를 해당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 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두 개의 터치 입력의 형태를 조합하여 제어 명령의 종류를 파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출력 장치 중 카메라(121)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채 연달아 드래그를 수행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내부까지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경우 제어부(180)에는 상기 카메라(121)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검출 신호가 인가되며 기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연이어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대한 드래그 동작에 따른 검출 신호가 인가된다. 특히 터치 스크린(151)에 대한 드래그 동작은 상기 카메라(151)가 위치하는 방향의 터치 스크린(151) 경계 부분으로부터 터치 스크린(151) 중앙 부분으로의 방향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이러한 일련의 터치 입력 동작이 카메라(121)에 대한 제어 명령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터치 입력 동작이 카메라(121)의 기능을 시작하는 온(On) 명령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러한 터치 입력에 따른 검출 신호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카메라(121)의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향 출력 모듈(152)이 터치되고 연달아 터치 스크린(151)으로의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검출 신호를 인가받는다.
또한, 제어부(180)는 검출 신호 인가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또다른 검출 신호를 인가받으며, 이 두번째 검출 신호는 음향 출 력 모듈(152) 방향의 터치 스크린(151) 경계부로부터 터치 스크린(151) 중앙부로의 방향성을 갖는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검출 신호의 조합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이러한 검출 신호의 조합이 이동 단말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발행하여 인가된 경우에는,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기능과 연관된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를 수행 중에 상술한 터치 입력 동작이 이루어져 이에 따른 검출 신호의 조합이 연달아 제어부(18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모듈(152)를 제어하여 스피커 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음성 통화 기능 수행 중 마이크(122)가 터치되고 연달아 터치 스크린(151)으로의 드래그가 수행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터치 입력에 따른 검출 신호의 조합에 따라 상기 음성 통화 기능에 따른 상기 마이크(122)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122)의 출력 레벨을 '0'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음성 통화 수행 중 터치 스크린(151)이 터치되어 음성 출력 모듈(152)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까지 이어서 드래그가 수행된다.
이에 따른 검출 신호들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음성 출력 모듈(152)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었으며 현재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가 수행되고 있으므로 이 러한 조합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기능, 즉 음성 통화와 연관된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이경우 상기 음성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라는 제어 명령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출력 모듈(152)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도록 한다.
도 15는 도 1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예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 중 카메라(121)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채 연달아 드래그를 수행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내부까지 드래그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이 경우 상기 카메라(121)에 대한 터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151)으로의 드래그라는 연이어 발생하는 두 종류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121)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중앙부의 도면(B)을 참조하면 카메라(121)가 활성화됨에 따라 피사체가 화면에 나타난다.
그리고 우측의 도면(C)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하는 피사체의 컷이 화면에 나타났을 때 예를 들면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예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 중 음향 출력 모듈(152)이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채 연달아 드래그를 수행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내부까지 드래그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이 경우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한 터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151)으로의 드래그라는 연이어 발생하는 두 종류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러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중이었다면 상기 입력 동작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을 제어하여 현재 수행되는 통화를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상기 터치 입력만으로 즉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을 제어하여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 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즉, 중앙부의 도면(B)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에 예를 들면 "예" 및 "아니오"와 같은 사용자 선택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을 각각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을 제어하여 스피커 폰 모드를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우측 도면(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스피커 폰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예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성 통화 기능 수행 중 마이크(122)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채 연달아 드래그를 수행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내부까지 드래그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이 경우 상기 마이크(122)에 대한 터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151)으로의 드래그라는 연이어 발생하는 두 종류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마이크(152)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122)의 출력 레벨을 '0'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상기 터치 입력만으로 즉시 상기 마이크(122)를 제어하여 묵음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 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즉, 중앙부의 도면(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을 각각 표시하고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마이크(122)를 제어하여 출력 레벨을 '0'으로 함으로써 묵음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출력 장치 중 카메라(121)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터치하고 터치를 유지한 채 연달아 드래그를 수행하여 터치 스크린(151)의 내부까지 드래그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이 경우 상기 카메라(121)에 대한 터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151)으로의 드래그라는 연이어 발생하는 두 종류의 입력뿐만 아니라 현재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152)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본 예에서 사용자가 이러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가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중이었다면 상기 입력 동작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현재 수행되는 통화를 영상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경우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상기 터치 입력만으로 즉시 상기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 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즉, 중앙부의 도면(B)과 같이 사용자 선택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을 각각 표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적인 터치 입력에 따라 영상 통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4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 예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성 통화 수행 중 터치 스크린(151)의 특정 영역을 터치한 후 드래그를 수행하여 음향 출력 모듈(152)의 위치 또는 그 근방까지 드래그를 유지한다.
제어부(180)는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서의 드래그와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라는 두 종류의 입력뿐만 아니라 현재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 및/또는 기설정된 타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경우 수행되는 기능은 예를 들 면 음향 출력 모듈(180)에 의해 연상되는 기능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술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서의 상술한 터치 입력에 따라 현재 수행되는 통화의 내용을 녹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에 따라 메모리(160)를 제어하여 음성 통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대한 별도의 확인 절차 없이 상기 터치 입력만으로 즉시 녹음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 절차를 거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에 대한 접촉 터치외에도 근접 터치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는 센싱부(140)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가 장착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카메라(121')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장착된 근접 센서가 감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에 근접하나 이격된 위치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근접 센서에 다가가는 근접 터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센싱부(140)는 이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인가된 검출 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카메라(121')에 대한 제어 명령임을 확인한 후 상기 카메라(121')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현재 입력 된 영상을 촬상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근접 터치에 대응하는 입출력 장치의 제어 방식을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입출력 장치에 대한 근접 터치가 감지된 경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입출력 동작 상태를 변경시키거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특정 입출력 장치 뿐만 아니라 상기 기능 수행에 관련된 타 장치를 함께 제어하거나, 상기 특정 입출력 장치가 아닌 타 입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호를 연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사용자의 얼굴에 접근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이 이동 단말기의 예를 들면 음향 출력 모듈(152)의 근방 또는 바디 전면의 터치 스크린(151) 근방에 근접하게 되면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의 이동 통신 모듈(112)을 제어하여 수신되는 호를 연결하고 음성 출력 모듈(152)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고 마이크(12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라 특정 입출력 장치의 기능을 제어한 후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근접 터치 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촉 터치에 따라 상기 입출력 장치의 세부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좌측 도면(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121')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을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상기 카메라(121')를 턴온하여 기능을 활성화한 후에 우측 도면(B 또는 C)에서와 같이 카메라(121')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을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를 수행하면 이에 따라 이미지 촬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근접 터치에 따라 이미지 촬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 카메라(121') 터치 또는 키버튼 클릭 등을 통한 이미지 떨림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입출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입출력 장치를 표시 장치로 활용하여 입출력 장치의 제어에 따른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입출력 장치들은 그 위치 또는 근방에 서로 다른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각각 별도로 제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발광 장치는 LED, OLED와 같은 공지된 일반적인 발광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각각 별개로 제어하여 상기 입출력 장치의 제어와 연계하여 입출력 장치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입출력 장치 근방에서 발광되는 면적 또는 발광되는 빛의 색상 등이 가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입출력 장치 예를 들면 카메라는 그 주위에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원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발광 장치를 장착한다.
영상 통화 수행 중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51)으로부터 카메라(121)로 터치 및 드래그를 수행하면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1) 및 관련된 구성요소, 예를 들면 마이크(122)와 메모리(160)를 제어하여 상기 영상 통화의 음성 및 영상 내용을 기록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에 상기 영상 통화가 기록 중임을 나타내거나 이와 동시에 카메라(121)의 주위에 장착된 발광 장치를 예를 들면 적색을 나타내도록 턴온하여 상기 카메라(121)가 동작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입출력 장치 예를 들면 음향 출력 모듈(152)는 그 위치 예를 들면 음향 출력 모듈(152)이 장착된 위치의 뒷편, 이동 단말기 내부쪽에 색상이 가변 제어될 수 있는 발광 장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복수개의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개의 발광 장치 또는 색상이 가변 제어되는 램드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의 위치에서 방사되는 색상이 다르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 모듈(152)의 근방에서 드래그와 같은 터치 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을 점차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장착된 발광 장치의 색상을 노란색에서 주황색 그리고 적색으로 차츰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의 볼륨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마이크(122)는 그 장착된 위치의 뒷편, 이동 단말기의 내부 쪽에 색상이 가변 제어될 수 있는 발광 장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복수개의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마이크(122)의 근방에서 드래그와 같은 터치 입력이 수행됨에 따라 마이크(152)의 볼륨을 점차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장착된 발광 장치의 색상을 노란색에서 주황색 그리고 적색으로 차츰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이크(122)의 볼륨이 점차 커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카메라(121)는 예를 들면 그 주위에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원형의 발광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도 23에서는 영상 통화를 수행 중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51)으로부터 카메라(121) 방향으로 터치 및 드래그를 수행하였으나, 도 26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대기 상태에 있는 중에 사용자가 카메라(121)로부터 터치 스크린(151) 방향으로 터치 및 드래그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여 원하는 피사체가 화면에 잡혔을 때 예를 들면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의 기능이 활성화되면 카메라(121) 주의에 장착된 발광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카메라(121)가 활성화되어 이동 단말기가 카메라 촬영 모드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3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 또는 현재 활성화된 기능에 따라 동일하거나 유사한 터치 입력 동작에 대해서도 입출력 장치의 제어 동작이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카메라(121')는 그 주변에 원형을 이루며 각각 별도로 제어가능한 복수개의 발광 장치를 장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121') 근방을 터치하면(A)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턴온하여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카메라(121')의 기능 활성화를 나타내기 위해 카메라(121') 주위에 장착된 발광 장치를 턴온하여 특정 색상의 빛을 방사하도록 한다.
이어서, 카메라(121')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카메라(121') 근방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의 줌인 기능의 레벨을 변화시켜 점차 높은 배율로 줌인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드래그가 수행됨에 따라 카메라(121')의 줌인 배율을 25%에서 50%로 이어서 75% 그리고 100%로 점차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카메라(121')의 줌인 배율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카메라(121')의 줌인 배율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카메라(121') 주의에 장착된 발광 장치 중 턴온된 발광 장치의 비율을 1/4에서 1/2로 이어서 3/4 그리고 전체로 점차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카메라(121')는 그 주변에 원형을 이루며 색상이 가변 제어되는 발광 장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개의 발광 장치를 장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121') 근방을 터치하면(A)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턴온하여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카메라(121')의 기능 활성화를 나타내기 위해 카메라(121') 주위에 장착된 발광 장치를 턴온하여 특정 색상의 빛을 방사하도록 한다.
이어서, 카메라(121')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카메라(121') 근방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의 줌인 기능의 레벨을 변화시켜 점차 높은 배율로 줌인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카메라(121')의 줌인 배율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카메라(121')의 줌인 배율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카메라(121') 주의에 장착된 발광 장치의 색상을 가변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 장치를 턴온하여 색상을 예를 들면 노랑에서 초록으로 이어서 파랑으로 그리고 적색으로 점차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 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121': 카메라 122: 마이크
151: 디스플레이부(터치 스크린)
152: 음성 출력 모듈
160: 메모리 180: 제어부

Claims (24)

  1. 각종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근방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입력 동작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근방에 대한 접촉 터치 및 근접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기설정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장치 및 입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동작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입력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입출력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 동작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출력 제어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의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적어도 한번의 터치,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터치, 및 기설정된 형태로 수행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각각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각각 별개로 제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장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의 발광에 따른 발광 면적 및 발광되는 빛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중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이동 단말기로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가 장착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입력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동작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을 제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근방에 대한 접촉 터치 및 근접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에서,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 단계는, 적어도 상기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기설정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동작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에 대한 터치와 출력 장치 및 입력 장치로서 기능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기설정된 입출력 제어 동작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출력 제어 동작을 또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시점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적어도 한번의 터치,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터치, 및 기설정된 형태로 수행되는 드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각각 별개로 제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력 제어 동작에 따른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장치의 발광에 따른 발광 면적 및 발광되는 빛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장치 중 두 개 이상의 입출력 장치의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 상기 터치의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방법.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입출력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정보에 대한 이동 단말기로의 입력 또는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입출 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입출력 제어 방법.
KR1020080119541A 2008-11-28 2008-11-28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KR10154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541A KR101544475B1 (ko) 2008-11-28 2008-11-28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US12/466,619 US8730180B2 (en) 2008-11-28 2009-05-15 Control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EP09166196.7A EP2192475B1 (en) 2008-11-28 2009-07-23 Control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US14/280,293 US9344622B2 (en) 2008-11-28 2014-05-16 Control of input/output through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541A KR101544475B1 (ko) 2008-11-28 2008-11-28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95A true KR20100060795A (ko) 2010-06-07
KR101544475B1 KR101544475B1 (ko) 2015-08-13

Family

ID=4169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541A KR101544475B1 (ko) 2008-11-28 2008-11-28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730180B2 (ko)
EP (1) EP2192475B1 (ko)
KR (1) KR1015444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5207A (zh) * 2016-11-25 2017-05-3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显示屏的切换控制方法、切换控制装置和终端
US9699544B2 (en) 2011-06-29 2017-07-04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2681A (ko) * 2016-03-02 201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485022Y1 (ko) * 2017-06-13 2017-12-20 (주)에핏라이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
US10671258B2 (en) 2016-10-28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hole area and method of controlling hole area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8867A1 (en) * 2011-12-09 2013-08-01 Z124 A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Devices Providing Authorized Power Transfer and Facility Access
US8907904B2 (en) 2010-10-01 2014-12-09 Z124 Smartpad split screen desktop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20090122018A1 (en) * 2007-11-12 2009-05-14 Leonid Vymenets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8095119B2 (en) * 2009-06-02 2012-01-10 Microsoft Corporation In-call contact information display
KR20110007848A (ko) * 2009-07-17 201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5197521B2 (ja) * 2009-07-29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US9571208B2 (en) * 2009-08-18 2017-02-14 Rohm Co., Ltd. Input/output device, mobile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US8280432B2 (en) * 2009-10-06 2012-10-02 Sony Mobile AB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1101184A (ja) * 2009-11-05 2011-05-19 Sony Corp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56638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310994B2 (en) *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274682B2 (en) *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9965165B2 (en) *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20110209098A1 (en) * 2010-02-19 2011-08-25 Hinckley Kenneth P On and Off-Screen Gesture Combinations
US9367205B2 (en) *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8799827B2 (en)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8707174B2 (en) *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8751970B2 (en) 2010-02-25 2014-06-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8473870B2 (en) * 2010-02-25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drag gesture
US20110209089A1 (en) * 2010-02-25 2011-08-25 Hinckley Kenneth P Multi-screen object-hold and page-change gesture
US9454304B2 (en) *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8539384B2 (en) * 2010-02-25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US9075522B2 (en)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WO2011158054A1 (en) * 2010-06-14 2011-12-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egulation of audio volume and/or speed responsive to user applied pressure and related methods
EP2619646B1 (en) 2010-09-24 2018-11-0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WO2012037688A1 (en) 2010-09-24 2012-03-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Transitional view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141256B2 (en) 2010-09-24 2015-09-22 2236008 Ontari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20218202A1 (en) 2010-10-01 2012-08-30 Sanjiv Sirpal Windows position control for phone applications
US8842080B2 (en) 2010-10-01 2014-09-23 Z124 User interface with screen spanning icon morphing
US10303357B2 (en)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KR101725550B1 (ko) * 2010-12-16 201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JP5652652B2 (ja) * 2010-12-27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KR101779505B1 (ko) * 2011-06-29 2017-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생체신호 측정 방법
KR101844903B1 (ko) * 2011-08-31 2018-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842057B2 (en) 2011-09-27 2014-09-23 Z124 Detail on triggers: transitional states
CN102385457A (zh) * 2011-12-12 2012-03-21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能够操控手机的触摸显示器
US9990119B2 (en) * 2011-12-15 2018-06-05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pertaining to display orientation
US9030407B2 (en) * 2011-12-21 2015-05-12 Nokia Technologies Oy User gesture recognition
US9324300B2 (en) * 2012-02-15 2016-04-26 Mario Diez Extending battery life by automatic control of display illumination
US20130215071A1 (en) * 2012-02-17 2013-08-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2629185A (zh) * 2012-02-29 2012-08-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操作的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8862104B2 (en) * 2012-06-29 2014-10-14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based management
US20140007019A1 (en) * 2012-06-29 2014-01-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ed user inputs
KR101397084B1 (ko) *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898184B2 (en) * 2012-09-14 2018-02-20 Asustek Computer Inc. Operation method of operating system
KR20140036584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8854361B1 (en) 2013-03-13 2014-10-07 Cambridgesoft Corporation Visually augmenting a graphical rendering of a chemical structure representation or biological sequence representation with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WO2014163749A1 (en) 2013-03-13 2014-10-09 Cambridge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sharing of data between separate electronic devices
US20140347326A1 (en) * 2013-05-21 2014-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using hovering input
US9535519B1 (en) * 2013-06-14 2017-01-03 Google Inc. Smart housing for extending trackpad sensing
KR102179056B1 (ko) * 2013-07-19 2020-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16683A (ko) * 2013-08-05 2015-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176635B2 (en) * 2013-10-14 2015-11-03 Parade Technologies, Ltd. Virtual buttons for a touch interface
CN103546841A (zh) * 2013-10-16 2014-01-29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wifi实现对数字音响音量控制的方法及系统
US9227141B2 (en) * 2013-12-31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screen game controller
KR20150103972A (ko) * 2014-03-04 201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촬영 기능과 통화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CN105224269A (zh) * 2014-06-26 2016-01-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DE102014119727A1 (de) * 2014-06-27 2015-12-31 Lenovo (Beijing) Co., Lt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informationen und elektronisches gerät
CN104065788B (zh) * 2014-06-30 2015-08-12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调节音量的方法和移动终端
US9864979B2 (en) * 2014-08-29 2018-01-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ransaction terminal device
KR20160046633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4936094A (zh) * 2015-05-26 2015-09-23 广州番禺巨大汽车音响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nfc实现音响控制的方法及系统
US20160366330A1 (en) * 2015-06-11 2016-12-15 Martin Paul Boliek Apparatus for processing captured video data based on capture device orientation
KR20170017401A (ko) * 2015-08-06 2017-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CN106484273B (zh) * 2015-08-28 2020-11-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手机的方法、装置及手机支架
CN105827807B (zh) * 2015-09-18 2019-07-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量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0331260B2 (en) 2015-10-30 2019-06-25 Essential Products, Inc. Variable transparency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754526B2 (en) 2015-10-30 2017-09-05 Essential Products, Inc. Mobile device with display overlaid with at least a light sensor
US9864400B2 (en) 2015-10-30 2018-01-09 Essential Products, Inc. Camera integrated into a display
KR102434866B1 (ko) * 2016-01-07 2022-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42671B2 (en) * 2016-02-19 2018-11-27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9843736B2 (en) * 2016-02-26 2017-12-12 Essential Products, Inc. Image capture with a camera integrated display
CN106231098B (zh) 2016-08-01 2019-06-04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终端设备的音量调节方法及系统
CA3033824C (en) * 2016-08-18 2021-06-15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condary feature
KR20180084550A (ko) * 2017-01-17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160205A1 (en) 2017-03-03 2018-09-07 Perkinelmer Informa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and indexing documents comprising chemical information
JP6416995B1 (ja) * 2017-07-12 2018-10-3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型情報処理装置、携帯型情報処理装置のコマンド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CN108499104B (zh) * 2018-04-17 2022-04-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中的方位显示方法、装置、电子装置及介质
US10976989B2 (en) * 2018-09-26 2021-04-13 Apple Inc. Spatial management of audio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US11863860B2 (en) * 2020-09-30 2024-01-02 Snap Inc. Image capture eyewear with context-based sendi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5359B2 (en) * 1997-08-26 2008-06-10 Philips Solid-State Lighting Solutions, Inc. Information systems
US20070177804A1 (en) * 2006-01-30 2007-08-02 Apple Computer,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6349225B1 (en) * 1999-04-01 2002-02-19 Ericsson Inc. Hearing prot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7006613B2 (en) * 2001-07-27 2006-02-28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incoming video communications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6927384B2 (en) * 2001-08-13 2005-08-09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ouch pad unit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EP1503273A1 (en) * 2003-07-29 2005-0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utput interface
US20050219228A1 (en) * 2004-03-31 2005-10-06 Motorola,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KR100677321B1 (ko) * 2004-04-3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 볼륨 제어 장치 및 방법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8381135B2 (en) * 2004-07-30 2013-02-19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7228255B2 (en) 2004-12-22 2007-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dication means i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rvice levels provided by service providers
KR100662121B1 (ko) 2005-04-29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 스크린을 통해 채널탐색속도 및/또는 볼륨레벨조절이 가능한 리모콘
US20070116199A1 (en) * 2005-11-17 2007-05-24 Juha Arrasvuori Method, mobile device, system and software for establishing an audio note journal
KR20070113025A (ko)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20090278806A1 (en) * 2008-05-06 2009-11-12 Matias Gonzalo Duarte Extended touch-sensitive control area for electronic device
US20080055263A1 (en) 2006-09-06 2008-03-06 Lemay Stephen O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7996792B2 (en) * 2006-09-06 2011-08-09 Apple Inc. Voicemail manager for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006002B2 (en) 2006-12-12 2011-08-23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peripherals
US8689132B2 (en) * 2007-01-07 2014-04-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s and lists
KR100842733B1 (ko) 2007-02-05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KR101331947B1 (ko) 2007-02-27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이벤트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090319893A1 (en) * 2008-06-24 2009-12-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Tactile Cue
US8237807B2 (en) * 2008-07-24 2012-08-07 Apple Inc.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544B2 (en) 2011-06-29 2017-07-04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02681A (ko) * 2016-03-02 201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71258B2 (en) 2016-10-28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hole area and method of controlling hole area thereof
CN106775207A (zh) * 2016-11-25 2017-05-3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双显示屏的切换控制方法、切换控制装置和终端
KR200485022Y1 (ko) * 2017-06-13 2017-12-20 (주)에핏라이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4622B2 (en) 2016-05-17
KR101544475B1 (ko) 2015-08-13
US20100137027A1 (en) 2010-06-03
US8730180B2 (en) 2014-05-20
EP2192475B1 (en) 2017-05-31
US20140253775A1 (en) 2014-09-11
EP2192475A2 (en) 2010-06-02
EP2192475A3 (en)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475B1 (ko) 터치를 통한 입출력 제어
KR1020807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43591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2823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030968A (ko)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542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맵 표시 방법
KR2010002886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KR2014005171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1005526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201000421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출력 제어 방법
KR20100077982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1811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85909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26818B1 (ko) 이동단말기의 터치영역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51454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터치 감도 설정방법
KR2010005958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636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201000296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41331A (ko) 광센서가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응용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93740A (ko) 단말기 및 그의 외부 장치 제어 방법
KR201000557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