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287A - 고정클립 조립체 - Google Patents

고정클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287A
KR20100059287A KR1020080118010A KR20080118010A KR20100059287A KR 20100059287 A KR20100059287 A KR 20100059287A KR 1020080118010 A KR1020080118010 A KR 1020080118010A KR 20080118010 A KR20080118010 A KR 20080118010A KR 20100059287 A KR20100059287 A KR 20100059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ain body
insertion groove
fix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원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8011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287A/ko
Publication of KR2010005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클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측에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클립수용체와, 삽입홈을 통해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하단에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되, 삽입부의 끝단에는 공간부의 상측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상체와의 체결이 용이하고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는 고정클립 조립체를 제공한다.
고정클립, 조립체, 공간부, 삽입홈, 클립수용체, 삽입부, 걸림부, 조립공차

Description

고정클립 조립체{FIXING CLIP ASSEMBLY}
본 발명은 고정클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공차의 흡수가 가능하고, 대상체와의 체결이 용이한 고정클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용 부품을 차체에 결합시에는 체결용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즉, 자동차의 차체에 헤드라이너 어셈블리 등의 고정시에 체결용 클립을 이용하여 결합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립의 본체를 차체에 결합하고, 본체에 장착된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헤드라이너 어셈블리 등의 차량 부품을 고정함으로써, 내장용 부품을 차체에 고정한다.
그러나, 전술한 체결용 클립은 체결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렵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고정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불량 발생의 여지가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결력이 점점 저하되어 자동차의 주행시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측에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클립수용체와, 삽입홈을 통해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하단에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되, 삽입부의 끝단에는 공간부의 상측에 걸리도록 걸림부가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상체와의 체결이 용이하고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는 고정클립 조립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측에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클립수용체와, 삽입홈을 통해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하단에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되, 삽입부의 끝단에는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간부의 상측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조립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고정클립은, 클립수용체의 상측에 지지되는 본체, 및 본체의 상측에서 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가 구비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삽입부는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의 두께와 길이는 삽입홈의 폭과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클립이 삽입홈의 폭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면서 조립 공차의 흡수가 가능하다.
또한, 클립수용체의 삽입홈은 서로 이격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고, 삽입홈에 대응하여 삽입부가 본체의 저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걸림부는 삽입부의 끝단에서 내측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체의 양측에는 비스듬하게 외측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충격흡수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본체와 근접 부품과의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클립 조립체에 의하면, 차량 내장용 부품을 차체에 결합시에 다수의 방향에서 조립 공차의 확보가 가능함으로써, 차량 내장용 부품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장착작업이 진행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장착 후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아울러, 충격 흡수부재를 구비하여 차량 주행시에 주변 부품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사용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100)는, 차체(10)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내장용 부품(20)의 일측에 구비되는 클립수용체(200)와, 이 클립수용체(200)에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차 체(10)에 고정되는 고정클립(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클립수용체(200)는 내부에 공간부(210)를 가진 육면체 형상이며, 클립수용체(200)의 상측에는 공간부(210)에 연통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220)이 서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구비되는데, 후술하는 고정클립(300)이 클립수용체(200)와 결합할 때, 고정클립(3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311)와 걸림부(312)가 이 삽입홈(220)을 통해 공간부(210)에 수용된다.
이때, 클립수용체(200)는 내장용 부품(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내장용 부품(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선루프(sun roof) 패널의 테두리 상측에 클립수용체(200)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300)은, 클립수용체(200)의 상측에 지지되는 본체(310)와, 본체(310)의 상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체(320)를 포함하는데, 이때 고정체(320)에는 서로 대향하여 외측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322)가 구비되며, 이 탄성날개부(322)가 차체(10)에 구비된 결합공(11)에 끼워짐으로써 차체(10)에 고정클립(300)이 고정된다. 아울러, 고정클립(300)은 합성수지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3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사각플레이트 형상이며, 본체(310) 의 저면에는 삽입부(311)가 전후 양측에 각각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삽입부(311)는 클립수용체(200)의 삽입홈(220)에 대응 삽입되는 것으로, 삽입부(311) 상단의 폭은 본체(310)의 전·후 양단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삽입부(311) 하단이 상단의 폭 보다 좁게끔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삽입홈(220)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삽입부(311)의 두께는 삽입홈(220)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삽입부(311)의 길이는 삽입홈(220)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후술하는 고정체(320)를 차체(10)의 결합공(11)에 결합시킬 때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즉, 삽입부(311)가 삽입홈(220)의 폭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 가능함에 따라, 차체(10)의 결합공(11)과 클립수용체(200)의 위치가 약간 어긋나더라도 클립수용체(200)에 결합된 고정클립(300)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러한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311)의 하단에는 걸림부(312)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부(312)는 삽입부(311)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부(31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삽입부(311)와 함께 걸림부(312)가 삽입홈(220)으로 삽입될때 걸림부(312)의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걸림부(312)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 보다 좁게끔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수용체(200)에 고정클립(300) 결합시 삽입부(311)와 함께 걸림부(312)가 삽입홈(220)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걸림부(312)는 탄성변형하여 삽입부(311)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걸림부(312)의 상단이 완전히 삽입홈(220)을 통과하여 공간부(210)에 수용되면, 탄성회복력에 의해 걸림부(312)가 삽입부(311)의 반대방향 즉, 공간부(210)의 내측으로 벌어져서 원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부(312)가 공간부(210) 내에 수용되면, 걸림부(312)의 상단이 삽입홈(220)로부터 이격하여 삽입홈(220)의 바깥쪽에 지지됨으로써, 고정클립(300)과 클립수용체(20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데, 고정클립(300)에 대하여 클립수용체(200)에 하측 방향으로 탈거력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부(312)의 상단이 삽입홈(220)의 바깥쪽에 지지됨으로써 삽입부(311)는 걸림부(312)의 반대쪽으로 탄성변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홈(220) 내에서 삽입부(311)가 공간부(210)의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변형됨에 따라 삽입부(311)의 일측이 삽입홈(220)의 모서리에 걸리면서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부(311) 상단에는 강성보강을 위해 두께가 두꺼운 보강리브(311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체(320)는 본체(310)의 상측에서 본체(31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정체(32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으로서 본체(310)의 중앙에서 본체(31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321)와, 지지부(321)의 외주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하향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고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322)를 포함하는데, 탄성날개 부(322)의 끝단에는 결합공(11)의 모서리에 밀착 지지되도록 단턱(32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날개부(322)와 대향하는 지지부(321)의 외주면에는 절개부(321a)가 형성되어, 결합공(11)에 고정체(320) 삽입시 탄성날개부(322)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310)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홀(321b)이 형성되어 지지부(321)의 하단 양측이 절개홀(321b)의 중앙부 외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이 절개홀(321b)은 사출성형시 절개부(321a) 형성을 위한 빼기구배이다.
한편, 본체(310)의 상측에는 고정체(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충격흡수부재(313)가 본체(31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충격흡수부재(313)는 본체(310)의 상측에서 비스듬하게 외측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며, 고정클립(300)의 차체(10) 결합시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차체(10)로부터 고정클립(300)의 본체(3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용 부품(20)의 일측에 클립수용체(200)가 구비되고, 이 클립수용체(200)의 삽입홈(220)에 고정클립(300)의 삽입부(311)를 삽입시켜 끼움결합하는데, 삽입부(311)와 함께 걸림부(312)가 삽입 홈(220)에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탄성회복력에 의해 걸림부(312)가 삽입부(311)로부터 벌어지면서 클립수용체(200)의 공간부(210)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단순히 고정클립(300)을 클립수용체(20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립수용체(200)와 고정클립(300)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체결력을 가하기 곤란한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체결이 용이하고, 특히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는 조립체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후, 고정클립(300)이 결합된 내장용 부품(20)을 차체(10)에 장착할 때에는, 차체(10)에 미리 구비된 결합공(11)에 고정클립(300)의 고정체(320)를 끼워서 고정체(320)의 탄성날개부(322) 단턱(322a)이 결합공(11)의 테두리에 지지되게 하는데, 고정체(320)와 결합공(11)이 정확히 수직으로 위치되지 않고 약간의 공차가 있는 경우에도, 클립수용체(200)의 삽입홈(220) 내에서 삽입부(311)가 전후좌우 약간씩 이동 가능하므로 이 조립 공차를 흡수하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100)를 사용하여 내장용 부품(20)을 차체(10)에 장착한 이후에는, 고정체(320)의 탄성날개부(322)가 차체(10)의 결합공(11)에 끼워지고, 본체(310)의 삽입부(311)가 내장용 부품(20)의 일측에 결합된 클립수용체(200)의 삽입홈(220)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내장용 부품(20)이 차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행중 진동에 의하여 차체(10)와 고정클립(300) 사이에 마찰이 발생 하는 경우에도, 충격흡수부재(313)가 결합공(11)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충격흡수와 함께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내장용 부품(20)에 예기치 못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부(312)의 상단이 삽입홈(220)의 외주면에 지지되면서 삽입부(311)의 하단을 공간부(210)의 바깥쪽으로 밀게 되고, 이에 의해 삽입부(311)가 삽입홈(220)에 비스듬하게 걸쳐지면서 고정됨에 따라 내장용 부품(20)과 고정클립(300)의 예기치 못한 분리가 방지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삽입부(311)와 걸림부(312)가 탄성회복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므로 충격흡수의 역할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 조립체의 사용상태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 11 : 결합공
20 : 내장용 부품
100 : 고정클립 조립체
200 : 클립수용체 210 : 공간부
220 : 삽입홈
300 : 고정클립 310 : 본체
311 : 삽입부 312 : 걸림부
313 : 충격흡수부재 320 : 고정체
321 : 지지부 322 : 탄성날개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상측에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클립수용체와;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하단에 삽입부가 연장 형성되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는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클립수용체의 상측에 지지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본체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한 쌍의 탄성날개부가 구비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두께와 길이는 상기 삽입홈의 폭과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클립이 상기 삽입홈의 폭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면서 조립 공차의 흡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수용체의 삽입홈은 서로 이격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부가 상기 본체의 저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서 내측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양측에는 비스듬하게 외측 상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충격흡수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근접 부품과의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조립체.
KR1020080118010A 2008-11-26 2008-11-26 고정클립 조립체 KR20100059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10A KR20100059287A (ko) 2008-11-26 2008-11-26 고정클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010A KR20100059287A (ko) 2008-11-26 2008-11-26 고정클립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287A true KR20100059287A (ko) 2010-06-04

Family

ID=4236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010A KR20100059287A (ko) 2008-11-26 2008-11-26 고정클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2726A (zh) * 2014-12-05 2017-08-0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将系统部件保持在车辆的连接件处的的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2726A (zh) * 2014-12-05 2017-08-01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用于将系统部件保持在车辆的连接件处的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850B2 (en) Window panel support structure
US7913455B2 (en) Plastic door module for a motor vehicle door
AU2009266714A1 (en) Cushion clip
US9308942B2 (en) Cowl cover device
US10457238B2 (en) Impact absorber
JP6817818B2 (ja) クリップ及びドアトリムの取り付け構造
KR101937696B1 (ko)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프레임의 일체형 패드
KR20100059287A (ko) 고정클립 조립체
KR10149356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US10442383B2 (en) Impact absorber
JP4781900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CN112721592B (zh) 一种车辆用后挡板的内侧板结构
KR200467350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JP4291722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5093923B2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KR102261764B1 (ko) 다단 결합형 차량용 고정구
KR102456787B1 (ko) 패스너 홀더와 패스너의 결합 구조
KR101501905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KR102527668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후부 장착용 브래킷
KR101584407B1 (ko) 파스너
KR101181337B1 (ko) 파노라마 루프의 사이드 몰딩 고정 구조
KR101856523B1 (ko) 자동차의 선루프 헤드라이닝 조립 구조
KR100941504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815B1 (ko) 자동차의 플로어콘솔 장착 구조
JP2009220620A (ja) ベルトモール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0

Effective date: 201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