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350Y1 -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350Y1
KR200467350Y1 KR2020120001411U KR20120001411U KR200467350Y1 KR 200467350 Y1 KR200467350 Y1 KR 200467350Y1 KR 2020120001411 U KR2020120001411 U KR 2020120001411U KR 20120001411 U KR20120001411 U KR 20120001411U KR 200467350 Y1 KR200467350 Y1 KR 200467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hook
assembly
guide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승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1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몸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는 벨트커버가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공간부의 테두리 하단에는 가이드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 하단과 후방 하단에 측면후크와 후방후크가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는 웨빙 가이드를 포함하며, 가이드부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형성되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에 삽입되고, 측면후크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후크 조립홀에 결합하며, 후방후크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의 후방 테두리에 형성된 후방후크 조립홀에 결합하되, 후방후크 조립홀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ASSEMBLY OF REAR SEAT BELT WEBBING FOR VEHICLE}
본 고안은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웨빙 가이드 조립시, 웨빙 가이드의 하단에 구비되는 후크를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조립홀에 끼워서 결합하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시트벨트의 조립을 가능케 하고, 시트벨트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한편, 리턴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때,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내부가 외관상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시트벨트가 리어 패키지 트레이 내부로 리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서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홈 부분을 별도의 커버를 사용하여 가려주게 되는데, 도 1과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1)는 자동차 리어 시트(2)의 후방에 설치되며, 리어 패키지 트레이(3)의 상부에 마련되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4)에 웨빙 가이드(5)가 안착되는데, 웨빙 가이드(5)의 내측에는 벨트커버(6)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웨빙 가이드(5)를 통해 시트벨트(B)가 인출된다.
이때, 웨빙 가이드(5)의 전방 하단에는 양쪽에 보스(5a)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후방 하단에는 양쪽에 걸림부(5b)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웨빙 가이드(5)의 조립시에는 웨빙 가이드(5)의 보스(5a)가 웨빙 가이드 조립홀(4)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보스 삽입홀(4a)에 삽입되어 너트 스프링(7)으로 고정되고, 웨빙 가이드(5)의 걸림부(5b)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4)의 후방 테두리 저면에 지지된다.
즉, 조립시에는 먼저, 웨빙 가이드(5)의 걸림부(5b)를 웨빙 가이드 조립홀(4)에 삽입하여 웨빙 가이드 조립홀(4)의 후방 테두리 저면으로 밀어 넣고, 이후 웨빙 가이드(5)의 보스(5a)를 보스 삽입홀(4a)에 삽입하며, 리어 패키지 트레이(3)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보스(5a)에 너트 스프링(7)을 끼워 넣어서 고정시키는 순서로 웨빙 가이드(5)의 조립이 진행된다.
따라서, 웨빙 가이드(5)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너트 스프링(7)을 제작 및 준비해야 하고, 조립 공정상에서 리어 패키지 트레이(3)에 웨빙 가이드(5)의 조립이 누락되면, 리어 패키지 트레이(3)가 차체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너트 스프링(7)의 조립이 불편하여 다시 리어 패키지 트레이(3)를 분해한 후 웨빙 가이드(5)를 조립해야 하는 등, 부품 조립성이 떨어져서 제작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품질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너트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있어서, 몸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벨트커버가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공간부의 테두리 하단에는 가이드부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 하단과 후방 하단에 측면후크와 후방후크가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는 웨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형성되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에 삽입되고, 상기 측면후크는 상기 웨빙 가이드 조립홀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후크 조립홀에 결합하며, 상기 후방후크는 상기 웨빙 가이드 조립홀의 후방 테두리에 형성된 후방후크 조립홀에 결합하되, 상기 후방후크 조립홀은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 양측의 가이드부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벨트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가 상기 힌지공에 힌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부 양측의 가이드부에 상기 벨트커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벨트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턱과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후크와 상기 후방후크는, 상기 웨빙 가이드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면과, 상기 삽입면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웨빙 가이드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의하면, 웨빙 가이드의 구조가 간단하고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제작비용과 시간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웨빙 가이드 보스와 너트 스프링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빙 가이드가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조립된 모습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하부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빙 가이드와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결합 부분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인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10)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20) 상에 조립되는 웨빙 가이드(30)를 포함하며, 이때 웨빙 가이드(30)는 시트벨트(B, 도 1 참조)의 인출 방향을 가이드하고, 시트벨트(B)의 리턴시에는 시트벨트(B)가 리어 패키지 트레이(2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웨빙 가이드(3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패널 형태의 몸체(31)와, 몸체(31)의 양측 하단과 후방 하단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를 포함한다.
또한,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에는 웨빙 가이드(30)가 안착되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21)과, 웨빙 가이드(30)의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후크 조립홀(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웨빙 가이드(30) 조립시에는 웨빙 가이드(30)의 몸체(31) 테두리가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테두리 상측에 안착되고, 웨빙 가이드(30)의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가 각각의 후크 조립홀(22)에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웨빙 가이드(30)의 몸체(31) 내측에는 장방형의 공간부(311)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311)는 후술하는 벨트커버(40)의 상하방향 회동을 위한 공간으로 제공된다.
몸체(31)의 저면에는 공간부(311)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폭의 가이드부(34)가 하향 돌출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부(34)는 웨빙 가이드(30)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20) 조립시 그 조립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조립시 웨빙 가이드(30)의 가이드부(34)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의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에 삽입되어 웨빙 가이드(30) 몸체(31)의 조립방향을 안내하게 되며, 조립 후에는 웨빙 가이드(3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내주면에 지지됨으로써 웨빙 가이드(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웨빙 가이드(30)의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는 몸체(31)의 테두리 저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데, 몸체(31)의 공간부(311) 방향을 내측으로 볼 때, 전술한 가이드부(34)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측면후크(32)는 몸체(31)의 양측 하단에 형성되고, 후방후크(33)는 몸체(31)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후크(32)의 경우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하는 한 쌍으로, 그리고 후방후크(33)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후단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가 대응 결합되는 후크 조립홀(22)의 개수 역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코너부 가까이에 각각 측면후크 조립홀(221) 또는 후방후크 조립홀(2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벨트커버(40)는 웨빙 가이드(30)의 공간부(311)에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형태의 벨트커버(40)는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부(41)를 구비하며, 이 한 쌍의 힌지부(41)는 웨빙 가이드(30) 몸체(31) 양측의 가이드부(34)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힌지공(341)에 힌지 결합한다.
이때, 힌지공(341)은 가이드부(34)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가이드부(34)의 전단부에는 걸림턱(342)이 공간부(311) 방향 즉,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342)은 벨트커버(40)의 하향 회동시 그 회동 가능한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힌지부(41)를 중심으로 벨트커버(40)를 상향 회동시켜 공간부(311)를 통해 시트벨트(B)를 자유롭게 인출하거나 인입한 후 벨트커버(40)를 하향 회동시켜 닫으면, 벨트커버(40)의 저면이 걸림턱(342)의 상부에 걸리면서 공간부(311)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웨빙 가이드(30)의 걸림턱(342)에 대응되도록 벨트커버(40)의 저면 양측에 걸림홈(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벨트커버(40)의 하향 회동시 걸림턱(342)이 걸림홈(4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웨빙 가이드에 벨트커버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웨빙 가이드(30)에 벨트커버(40)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수단(43)이 벨트커버(40) 또는 웨빙 가이드(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벨트커버(40)의 전단부에는 시트벨트(B)의 인출 및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절개부(44)가 절개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빙 가이드가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조립된 모습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하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빙 가이드와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결합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가이드(30)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20) 조립시, 웨빙 가이드(30)의 가이드부(34)가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에 삽입되어,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된다.
또한, 웨빙 가이드(30)의 측면후크(32)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측면후크 조립홀(221)에 결합되고, 웨빙 가이드(30)의 후방후크(33)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후방후크 조립홀(222)에 결합된다.
이때, 시트벨트(B)의 인출 및 인입시 후방후크(33) 쪽에 더욱 큰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후방후크가 결합되는 후방후크 조립홀에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의 저면에서 후방후크 조립홀(222)의 테두리는 측면후크 조립홀(221)의 테두리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된다.
달리 설명하자면,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의 저면에서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후방 테두리 양측에 보강부(223)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이 보강부(223)에 후방 후크 조립홀(22)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는 각각 측면후크 조립홀(221)과 후방후크 조립홀(222)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한편, 조립 완료시에는 예기치 못한 이탈 방지를 위해 측면후크 조립홀(221)의 테두리와 후방후크 조립홀(222)의 테두리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후방후크(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가이드(30)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35)와, 연장부(3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측면후크(32) 역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후크부(36)는, 연장부(3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면(361)과, 삽입면(36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면(3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후방후크(33)를 후방후크 조립홀(222)에 조립할 때, 후크부(36)의 삽입면(361)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후방후크 조립홀(222)의 테두리에 밀리면서 연장부(35)가 탄성 변형되며, 후방후크(33)가 후방후크 조립홀(222)에 완전히 삽입되어 조립이 완료되면, 후크부(36)의 걸림면(362)이 후방후크 조립홀(222)의 테두리 하단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연장부(35)에 대하여 삽입면(361)의 경사각도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면(362)의 경사각도는 삽입면(36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10)에 의하면, 웨빙 가이드(30)의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를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의 측면후크 조립홀(221)과 후방후크 조립홀(222)에 각각 끼움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감에 따른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이때, 웨빙 가이드(30)의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4)가 웨빙 가이드(30) 몸체(31)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게 되므로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후방후크 조립홀(222)의 테두리에 보강부(223)가 형성되므로 웨빙 가이드(30)의 예기치 못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B : 시트벨트
10 :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20 : 리어 패키지 트레이 21 : 웨빙 가이드 조립홀
22 : 후크 조립홀 30 : 웨빙 가이드
31 : 몸체 32 : 측면후크
33 : 후방후크 34 : 가이드부
40 : 벨트 커버 41 : 힌지부
42 : 걸림홈 43 : 고정수단
44 : 절개부

Claims (5)

  1.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에 있어서,
    몸체(31) 내측에 공간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11)에는 벨트커버(40)가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공간부(311)의 테두리 하단에는 가이드부(34)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양측 하단과 후방 하단에 측면후크(32)와 후방후크(33)가 각각 하향 돌출 형성되는 웨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34)는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에 형성되는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에 삽입되고, 상기 측면후크(32)는 상기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후크 조립홀(221)에 결합하며, 상기 후방후크(33)는 상기 웨빙 가이드 조립홀(21)의 후방 테두리에 형성된 후방후크 조립홀(222)에 결합하되, 상기 후방후크 조립홀(222)은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22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311) 양측의 가이드부(34)에 힌지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벨트커버(40)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41)가 상기 힌지공(341)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311) 양측의 가이드부(34)에 상기 벨트커버(4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34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벨트커버(4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턱과 대응하는 걸림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후크(32)와 상기 후방후크(33)는, 상기 웨빙 가이드(30)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35)와, 상기 연장부(3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36)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36)는, 상기 연장부(35)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면(361)과, 상기 삽입면(36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면(3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빙 가이드(3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KR2020120001411U 2012-02-23 2012-02-23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KR200467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11U KR200467350Y1 (ko) 2012-02-23 2012-02-23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11U KR200467350Y1 (ko) 2012-02-23 2012-02-23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350Y1 true KR200467350Y1 (ko) 2013-06-10

Family

ID=5138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411U KR200467350Y1 (ko) 2012-02-23 2012-02-23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3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1908A (zh) * 2015-08-04 2016-02-03 苏州逗乐儿童用品有限公司 加强型儿童安全座椅
KR101610728B1 (ko) * 2014-12-29 2016-04-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웨빙 가이드 장치
KR20180045641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581B1 (ko) 2002-11-26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 구조
KR100940556B1 (ko) 2008-10-14 2010-02-03 한일이화주식회사 웨빙 가이드 커버 일체형 리어 패키지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581B1 (ko) 2002-11-26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 구조
KR100940556B1 (ko) 2008-10-14 2010-02-03 한일이화주식회사 웨빙 가이드 커버 일체형 리어 패키지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728B1 (ko) * 2014-12-29 2016-04-1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웨빙 가이드 장치
CN105291908A (zh) * 2015-08-04 2016-02-03 苏州逗乐儿童用品有限公司 加强型儿童安全座椅
CN105291908B (zh) * 2015-08-04 2017-09-26 苏州逗乐儿童用品有限公司 加强型儿童安全座椅
KR20180045641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KR101897145B1 (ko) * 2016-10-26 2018-09-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4468B2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シールド構造
US8979171B2 (en) Vehicular door trim
US9669778B2 (en) Clamping member
KR200467350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US9004583B2 (en) Structure for front por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US9308942B2 (en) Cowl cover device
JP5639392B2 (ja) 車両用内装部材
JP4120951B2 (ja) フロ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940556B1 (ko) 웨빙 가이드 커버 일체형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101999789B1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JP5797888B2 (ja) 車両用デッキボード
JP6653288B2 (ja) グロメット
JP5878321B2 (ja) レッグカバー及び該レッグカバー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417968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5120096B2 (ja) シフトレバー周辺構造
JP6248427B2 (ja) 車両用内装材
JP2012228910A (ja) ドアトリム
EP2727805A1 (en) Housing structure in saddle type vehicle
JP5632707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EP2899078A1 (en) Multifunctional windshield wiper connection structure
JP5235524B2 (ja) カップホルダー取付構造
JP6010448B2 (ja) カウルサイドトリムとスカッフプレートとの合わせ部の構造
JP3764870B2 (ja) ファスナ及び車両用リヤパッケージトレイの保持構造
JP6327142B2 (ja) 燃料タンク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6069374B2 (ja) 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