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45B1 -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45B1
KR101897145B1 KR1020160140230A KR20160140230A KR101897145B1 KR 101897145 B1 KR101897145 B1 KR 101897145B1 KR 1020160140230 A KR1020160140230 A KR 1020160140230A KR 20160140230 A KR20160140230 A KR 20160140230A KR 101897145 B1 KR101897145 B1 KR 10189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webbing guide
hole
package tr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641A (ko
Inventor
설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4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패키지트레이(10)의 장착홀(11)이 측부에 사이드부(12)가 존재하는 폐쇄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웨빙가이드(20)에 형성된 개구홀(26)이 웨빙(3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패키지트레이(10)의 강성이 향상되고 웨빙가이드(20) 설치 부분의 외관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STURCTURE OF REAR SEATBELT WEBBING GUIDE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시트 후방의 패키지트레이에 설치되는 리어시트벨트의 웨빙가이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 중 충돌과 추돌 및 전복 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시트벨트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차 전용 도로 뿐만 아니라 일반도로에서도 리어시트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다.
한편, 리어시트벨트는 리어시트 탑승자의 안전 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미사용시의 정리 상태에 따라 차량의 실내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사용 상태에서 리어시트벨트의 웨빙이 시트백 뒤쪽의 패키지트레이 내부로 당겨지도록 하여 리어시트의 시트백 전면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리어시트벨트의 웨빙이 상기와 같은 상태로 정리되기 위해서는 리트랙터가 리어시트백의 뒤쪽에 설치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리어시트벨트의 웨빙은 패키지트레이를 통과하여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트레이(1)에 웨빙가이드(2)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는 패키지트레이(1)의 측단부에 장착홀(1a)이 형성되고, 장착홀(1a)에 디귿자 형상의 웨빙가이드(2)가 장착되되, 패키지트레이(1)의 장착홀(1a) 및 웨빙가이드(2)의 웨빙홀(2a)이 모두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텅(4)이 패키지트레이(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웨빙(3)상에서 위치가 조절된 후 웨빙(3)이 웨빙가이드(2)의 웨빙홀(2a)에 측방으로부터 끼워지며((b)에서 (c)의 상태), 그 상태에서 패키지트레이(1)가 설치된다.
웨빙(3)을 당겨주는 리트랙터(미도시)는 패키지트레이(1)의 아래쪽에 위치한 바디패널에 선장착되어 있다.
고정브라켓(5)도 리어시트의 쿠션 아래쪽 바디패널에 선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리어시트벨트의 웨빙(3)은 패키지트레이(1)의 내측으로 당겨져서 웨빙가이드(2)의 패키지트레이(1)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는 부분이 리어시트백에 밀착되어 가지런히 정리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조에서는 패키지트레이(1)의 장착홀(1a)과 웨빙가이드(2)의 웨빙홀(2a)이 모두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트레이(1)의 웨빙홀(2a) 양측 부분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웨빙가이드(2) 설치에 의해 패키지트레이(1)의 측면부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웨빙홀(2a)의 개구된 측단부는 웨빙(3)에 의해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항상 외부에서 보이게 되며, 이에 패키지트레이(1)의 외관미가 저하(측면 일부가 잘려져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마감이 덜 된 듯한 느낌을 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2144호(2013.06.1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패키지트레이의 강성과 외관미가 향상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키지트레이의 측단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고 웨빙이 인출되는 웨빙홀이 형성된 웨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은 사방이 폐쇄된 형태로서 패키지트레이의 측단면과의 사이에 사이드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빙가이드의 웨빙홀은 웨빙가이드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웨빙홀의 중간 부분에 차량 전방쪽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홀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의 내측 테두리에 웨빙가이드가 안착되는 장착면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면은 패키지트레이의 표면에 대해 단차를 두고 낮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면의 차량 후방쪽 부분에 한 쌍의 가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웨빙가이드의 대응 부분에 한 쌍의 가조립후크가 형성되며, 가조립후크에 가조립홀이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웨빙가이드가 가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조립후크는 웨빙가이드에 연결된 띠 형태의 굽힘이 자유로운 밴드부와, 밴드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화살촉 형상의 걸림날개를 갖춘 후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면의 차량 전방쪽 부분에 한 쌍의 본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웨빙가이드의 대응 부분에 한 쌍의 본조립후크가 형성되며, 본조립홈에 본조립후크의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려진다.
상기 웨빙가이드의 양측 본조립후크 사이에는 상기 개구홀의 양측에 각각 1개씩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의 양측 본조립홈 사이에 한 쌍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홀에 삽입되어 웨빙가이드의 개구홀 양측 부분의 유동이 억제된다.
상기 장착면의 내측 테두리면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웨빙가이드의 유동을 억제하는 안착돌기가 웨빙가이드의 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홀은 웨빙홀을 통과하는 웨빙에 의해 항상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웨빙의 단부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웨빙에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한 텅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과 텅은 장착홀을 통해 패키지트레이의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 빼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키지트레이의 웨빙가이드 장착홀이 패키지트레이의 측면으로 개구되지 않고, 또한 웨빙가이드의 웨빙홀 역시 웨빙가이드의 측면으로 개구되지 않음으로써 패키지트레이의 웨빙가이드 설치부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빙가이드와 패키지트레이에 웨빙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측방으로 개구되는 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패키지트레이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패키지트레이의 웨빙가이드 설치부의 외관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b),(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가 적용된 패키지트레이의 정면도 및 웨빙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가 적용된 패키지트레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패키지트레이의 장착홀과 그에 조립되는 웨빙가이드의 확대 사시도.
도 5와 도 6은 웨빙가이드 가조립 상태에서 실시되는 웨빙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웨빙 설치 후 웨빙가이드의 본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웨빙가이드 조립 완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가 적용된 패키지트레이의 정면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트레이(10)의 양측 단부에 근접하여 웨빙가이드(20)가 설치되고, 패키지트레이(10) 내측에 설치된 리트랙터(60)로부터 인출된 웨빙(30)이 웨빙가이드(20)를 통해 인출되어 있다.
패키지트레이(10) 외측의 웨빙(30) 단부에는 고정브라켓(50)이 구비되어 리어시트 쿠션 하측의 바디패널에 고정되며, 웨빙(30)의 중간 부분에는 텅(40)이 자유로이 위치 조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웨빙가이드(20)의 설치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트레이(10)에 장착홀(11)이 형성된다. 장착홀(11)은 패키지트레이(10)의 측단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것으로, 사면이 폐쇄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홀이다. 즉, 종래와 다르게 장착홀(11)은 패키지트레이(10)의 측단면쪽으로 개구되지 않고 그 부분이 막혀 있는 형상이다. 막힌 부분을 사이드부(12)로 지칭하기로 한다.
장착홀(11)의 내측 테두리 부분에는 테두리 전체 둘레를 따라 웨빙가이드(20)가 장착되는 장착면(13)이 형성된다. 장착면(13)은 패키지트레이(10)의 표면에 대해 하방으로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면(13)에 웨빙가이드(20)가 장착되었을 때 단차에 의해 웨빙가이드(20)의 테두리 부분이 패키지트레이(10)의 표면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의 미려함을 더해주게 된다.
차량 설치 상태에서 장착면(13)의 후방부 양측에는 횡방향 슬릿인 가조립홀(14)이 형성된다. 또한 장착면(13)의 전방부 양측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형상의 본조립홈(15)이 형성된다.
장착면(13)의 전방부 중간 부분에는 종방향 슬릿인 고정홀(16)이 형성된다.
웨빙가이드(20)는 전체적으로 장착홀(1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도시된 면)의 후방(도면에서 하방) 단부 양측에 가조립후크(21)가 형성되며, 전방 단부 양측에 본조립후크(22)가 형성된다.
양측 본조립후크(22)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홀(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고정돌기(23)가 형성된다.
또한 웨빙가이드(20)에는 장착 상태에서 전방 즉, 본조립후크(22)에 근접하여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웨빙(30)의 폭보다 김) 웨빙홀(25)이 형성되며, 웨빙홀(25)의 중간 부분은 웨빙가이드(20)의 전방 단부쪽으로 개구되어 개구홀(2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3)는 개구홀(26)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된 부분에 각각 1개씩 형성된 것이다.
가조립후크(21)는 웨빙가이드(20) 저면에 연결되고 자유로이 구부러질 수 있는 띠 형태의 밴드부(21a)와, 밴드부(21)의 단부에 연결된 후크부(21b)로 이루어지는데, 후크부(21b)는 양측에 걸림날개(21c)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화살촉과 유사한 형상을 이룬다.
본조립후크(22)는 웨빙가이드(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며, 단부의 전방쪽(도면에서 상방)면에 걸림턱(22a)이 형성된다.
상기 웨빙가이드(20)와 웨빙(30)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조립후크(21)가 가조립홀(14)에 삽입된다. 가조립후크(21)의 후크부(21b)가 가조립홀(14)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려진다. 이때 걸림날개(21c)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면서 용이하게 삽입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원형으로 복귀되면서 가조립홀(14)의 양측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후크부(21b)가 가조립홀(14)에서 빠지지 않고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조립후크(21)의 밴드부(21a)는 얇은 띠 형상으로서 자유로이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가조립상태에서 웨빙가이드(20)는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빙가이드(20)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패키지트레이(10)가 조립라인에 투입된다.
이후 조립라인에서는 차체의 바디패널(패키지트레이(10)가 설치될 위치의 하부에 위치한 바디패널)에 먼저 장착되어 있는 리트랙터로부터 웨빙(30)을 인출하여 패키지트레이(10)의 배면으로부터 장착홀(11)을 통과시켜 패키지트레이(10)의 전면으로 빼낸다.
이때 웨빙(30)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50)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텅(40)을 장착홀(11)을 통과시켜 패키지트레이(10)의 전면으로 함께 빼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50)과 텅(40)을 장착홀(11)에서 빼낸 뒤에는 웨빙(30)을 웨빙홀(25)에 삽입한다. 먼저 웨빙(30)을 개구홀(26)로 삽입하되 삽입하면서 웨빙(30)을 비틀어 웨빙홀(25)의 한쪽 방향(①번 방향)으로 웨빙(30)을 완전히 삽입하고, 이어 웨빙(30)을 웨빙홀(25)의 타측 방향(②번 방향)으로 이동시켜 웨빙(30)이 잘 펼쳐진 상태에서 웨빙홀(25)의 중간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도 7과 같이 웨빙가이드(2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본조립후크(22)를 본조립홈(15)에 삽입 고정한다. 본조립후크(22)의 걸림턱(22a)이 본조립홈(15)의 내측 테두리부분(즉, 장착면의 본조립홈(15)측 모서리 부분)에 걸려짐으로써 본조립후크(22)가 본조립홈(15)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본조립후크(22) 역시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의 후크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이므로 이후 필요에 의해 웨빙가이드(20)를 어느 정도 힘을 주어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걸림턱(22a)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서 웨빙가이드(20)를 가조립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조립후크(22)가 본조립홈(15)에 결합될 때 본조립후크(22)의 사이에 형성된 고정돌기(23)는 본조립홈(15) 사이에 형성된 고정홀(16)에 삽입된다. 고정홀(16)은 고정돌기(23)가 삽입되었을 때 고정돌기(23)의 횡방향 유동을 억제해주는 것으로 이에 의해 개구홀(26)에 의해 양측 부분으로 분할된 웨빙가이드(20)의 전방단부 부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조립이 완료되면 도 8과 같이 웨빙가이드(20)는 장착홀(11)을 완전히 막으면서 패키지트레이(10)에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때 웨빙가이드(20)는 장착면(13)에 밀착될 뿐만 아니라 장착면(13)과 패키지트레이(10) 표면이 이루는 단차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 안착됨으로써 웨빙가이드(20)의 표면이 패키지트레이(10)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외관상의 미려함을 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착 상태에서 웨빙가이드(20)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돌기(24)(도 4 참조)가 장착면(13)의 내측 단면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웨빙가이드(20)의 유동 억제 성능을 한층 강화해준다. 안착돌기(24)는 장착면(13)의 내측 테두리면중 양쪽 측면과 후방측면을 따라 연결된 상태로 디귿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도 8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웨빙가이드(20)와 웨빙(3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웨빙가이드(20)는 패키지트레이(10)의 장착홀(11)에 완전히 안착 결합되어 있으며, 웨빙(30)은 웨빙홀(25)의 중간 부분에 잘 펼쳐진 상태로 위치해 있게 된다. 웨빙(30)에 의해 웨빙홀(25) 중앙의 개구홀(26)이 완전히 가려지기 때문에 개구홀(26)에 의한 외관미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패키지트레이(10)의 조립이 실시되고, 또한 웨빙(30)의 단부에 구비된 고정브라켓(50)을 리어시트 쿠션 하측의 바디패널에 볼트 결합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텅(40)을 당겨 리어시트버클(미도시)에 체결하면 리트랙터, 고정브라켓(50), 상기 텅(40) 및 리어시트버틀에 의해 웨빙(30)의 3점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리어시트벨트 착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웨빙가이드(20) 장착홀(11)은 사면이 폐쇄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장착홀(11)로부터 패키지트레이(10)의 측단면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장착홀(11)의 측부에 사이드부(12)가 존재함으로써 장착홀(11) 형성 부분의 강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패키지트레이(10)의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빙가이드(20)의 웨빙홀(25)에 웨빙(30)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홀(26)이 웨빙가이드(20) 및 웨빙(30)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웨빙(30)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웨빙가이드(20)의 개구홀(26)에 의한 외관미 저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웨빙가이드(20) 설치 부분의 외관미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웨빙가이드 설치에 따른 패키지트레이 강성 저하 및 설치부분의 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패키지트레이 11 : 장착홀
12 : 사이드부 13 : 장착면
14 : 가조립홀 15 : 본조립홈
16 : 고정홀 20 : 웨빙가이드
21 : 가조립후크 22 : 본조립후크
23 : 고정돌기 24 : 안착돌기
25 : 웨빙홀 26 : 개구홀
30 : 웨빙 40 : 텅
50 : 고정브라켓

Claims (11)

  1. 패키지트레이의 측단면에 인접하여 형성된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고 웨빙이 인출되는 웨빙홀이 형성된 웨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은 사방이 폐쇄된 형태로서 패키지트레이의 측단면과의 사이에 사이드부가 존재하고,
    상기 장착홀의 내측 테두리에 웨빙가이드가 안착되는 장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면의 차량 후방쪽 부분에 한 쌍의 가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웨빙가이드의 대응 부분에 한 쌍의 가조립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가조립후크는 웨빙가이드에 연결된 띠 형태의 굽힘이 자유로운 밴드부와, 밴드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화살촉 형상의 걸림날개를 갖춘 후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조립홀에 가조립후크가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웨빙가이드가 장착면에 가조립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되면서 상기 장착홀을 개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빙가이드의 웨빙홀은 웨빙가이드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웨빙홀의 중간 부분에 차량 전방쪽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은 패키지트레이의 표면에 대해 단차를 두고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의 차량 전방쪽 부분에 한 쌍의 본조립홈이 형성되고, 상기 웨빙가이드의 대응 부분에 한 쌍의 본조립후크가 형성되며, 본조립홈에 본조립후크의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웨빙가이드의 양측 본조립후크 사이에는 상기 개구홀의 양측에 각각 1개씩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의 양측 본조립홈 사이에 한 쌍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홀에 삽입되어 웨빙가이드의 개구홀 양측 부분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의 내측 테두리면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웨빙가이드의 유동을 억제하는 안착돌기가 웨빙가이드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40230A 2016-10-26 2016-10-26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KR10189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30A KR101897145B1 (ko) 2016-10-26 2016-10-26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230A KR101897145B1 (ko) 2016-10-26 2016-10-26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41A KR20180045641A (ko) 2018-05-04
KR101897145B1 true KR101897145B1 (ko) 2018-09-10

Family

ID=6219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230A KR101897145B1 (ko) 2016-10-26 2016-10-26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50Y1 (ko) * 2012-02-23 2013-06-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JP2014218157A (ja) * 2013-05-08 2014-11-2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のベゼル
JP2016055752A (ja) * 2014-09-09 2016-04-21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引き出し口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80B1 (ko) 2011-12-02 2014-04-09 현대자동차(주) 차량용 뒷좌석 시트벨트의 웨빙 루트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50Y1 (ko) * 2012-02-23 2013-06-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JP2014218157A (ja) * 2013-05-08 2014-11-2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のベゼル
JP2016055752A (ja) * 2014-09-09 2016-04-21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引き出し口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41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9425B2 (ja) 内装部材構造
EP1209044B1 (en) Airbag device
KR101294199B1 (ko) 차량의 정면센터커튼에어백
KR20190023203A (ko) 차량의 가변형 코너 베인 어셈블리
CN107685608B (zh) 车辆用空调装置
JP4719783B2 (ja) 車両用シート
US7857365B2 (en) Vehicle bumper assembly
KR10189714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벨트 웨빙가이드 구조
JP2014218157A (ja) シートベルト用のベゼル
JP2007309420A (ja) 自動車の内装部材と車体パネルとの連結構造
JP6576634B2 (ja) ガイドアンカー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200467350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웨빙 어셈블리
JP2009274607A (ja) 車両用縁取り部材の尖端部掛止構造
JP417968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5165525B2 (ja) 車両用内装材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EP3020608B1 (en) Seatbelt device bezel
JP5605150B2 (ja) シートベルトのウエビングガイド装置
US7565940B2 (en) Orifice cover
JP6280708B2 (ja) 車両用内装材
JP6164484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JP4146547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GB2573054A (en) Car seat with belt guide
JPH07329631A (ja) ヘッドランプとフロントバンパーとの位置決め構造
KR100550628B1 (ko) 에어백 도어 조립구조
KR101081183B1 (ko) 차량용 폴리우레탄 스티어링 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