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391A -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391A
KR20100058391A KR1020090016439A KR20090016439A KR20100058391A KR 20100058391 A KR20100058391 A KR 20100058391A KR 1020090016439 A KR1020090016439 A KR 1020090016439A KR 20090016439 A KR20090016439 A KR 20090016439A KR 20100058391 A KR20100058391 A KR 2010005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as
pouch container
permeable membrane
density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준형
차경온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0005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01Blocks, stacks or like assemblies of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는 기체투과성 막을 형성하여 제습, 소취, 방향 및, 방충 등의 기능성을 가진 고체 내용물의 효과를 유지시키며 누액이나 쏟아짐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함은 물론, 제품에서의 용기에 대한 가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우치, 용기, 스탠딩, 기체투과성, 막

Description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Pouch container of standing type}
본 발명은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내용물의 효과를 유지시키며 누액이나 쏟아짐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의 제형(劑形)의 편의를 가져오며 제품에서의 용기에 대한 가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세제, 섬유유연제 등의 액상, 세탁세제 등의 분말 및 겔상 등의 내용물을 포장함에 있어 유리병, 캔, 플라스틱 용기 등(이하 '용기'라 함)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용기는 그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그 용도에 맞도록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제조 비용이 고가이므로 용기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만 리필하여 사용되도록 가격이 저렴한 파우치 용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내용물을 저장하여 사용함에 있어 용기의 파손이나 넘어짐 등에 의하여 내용물이 누액되거나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제습제, 방향제 및 여러 생활용품의 경우 분말 혹은 입상(粒狀) 성분으로 이루어져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서 일정 용기에 담아 상단 등을 개방하여 사 용하고 있다. 이러한 개방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의 충격 등에 의해 용기가 넘어져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방 입구 부분을 좁게 만들거나 겔(gel) 등으로 제형을 한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겔 제형을 제작하기 위해 그 본연의 기능과는 전혀 상관없는 겔화제 등을 투입하게 되고 생산 공정을 까다롭게 하는 등 2차적인 어려움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실내에 적용하는 기능성 원료인 숯, 활성탄, 제올라이트, 베이킹소다 및 염화칼슘 등 탈취 및 제습의 효과를 가진 성분들의 경우 원료 자체의 가격에 비해 이를 포장하기 위한 용기의 가격이 전체 제조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고 형태가 고정되어 필요 이상의 부피를 차지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과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15136 및 국제특허 WO 2003/092865 등의 경우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가정용 제습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제품 하우징을 분해하여 제습액을 손쉽게 처리하고 새로운 리필 제품을 착용할 수 있으나, 새로운 리필 제품을 장착하는 과정이 까다로우며 재사용시 착탈부의 누액 발생 가능성 등에 의해 불편을 끼치게 된다. 또한, 리필 삽입을 위해 하우징을 복잡하게 설계하여야 하며 이는 결국 사출비용 등을 증가시켜 불필요한 가격상승을 가져온다.
아울러, 리필 제품인 파우치 용기의 경우 단순히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용도(제습, 탈취, 방향 등)에 따른 목적 및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은 물론, 용기에 대한 원천적인 문제점인 누액 및 쏟아짐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휴대가 간편하고 포장비용이 저렴한 파우치 용기를 개발하여 상 기 용기를 대체하여 사용성을 증대시키고 포장단가를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정 가격을 가지는 기능성 소재에 대해, 리필 등으로 인한 전체 단가 하락이 아닌 단품으로서의 가격경쟁력을 가지며, 제습, 소취, 방향 및, 방충 등의 기능성 내용물의 누액이나 쏟아짐이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적용 공간에 따라 공간 배치가 용이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및,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제1외벽 및 제2외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벽 상에 구비된 기체투과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며,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을 통하여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체투과성 막은 제1외벽 및 제2외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벽의 일부분 또는 전면(全面)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1외벽, 제2외벽 및 바닥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 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한편, 제1외벽, 제2외벽 및 바닥부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 및 천장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제1외벽, 제2외벽 및, 천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기체투과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며,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을 통하여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체투과성 막은 제1외벽, 제2외벽 및 천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분 또는 전면(全面)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 및, 천장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천장부에만 구비된 기체투과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며,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을 통하여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체투과성 막은 천장부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기체투과성 막은 미세공이 형성된 부직포, 시트(sheet), 개방 직조 멤브레인(membrane) 또는 개방 셀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공은 기체와 액체의 중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기체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체투과성 막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접착제 또는 열에 의하여 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기능성 고체입자는 제습, 소취, 방향, 방충의 기능을 갖는 성분 또는 그 성분을 담지한 담지체로 이루어져 기체의 흐름에 따라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거나 외부의 습기, 악취를 흡수한다.
바람직하게,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의 미사용시 기체투과성 막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체투과성 막을 덮도록 불투과성 막을 더 구비하되, 불투과성 막은 박리(剝離)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알루미늄 박막 또는 나일론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밀봉된 파우치 용기에 기체투과성 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에 따른 목적 및 효과(소취, 방향, 제습, 방충 등)를 달성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누액 및 쏟아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내용물의 성상에 구애받지 않아 겔화제 등의 추 가 제조경비를 줄일 수 있다.
둘째, 강성 플라스틱 재질, 캔, 유리병 등의 불필용한 용기 및 포장비용을 줄여 경제적이다.
셋째, 목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는, 기능성 고체입자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110) 및, 본체(110)에 설치된 기체투과성 막(1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103)를 구비한다. 본체(11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확장된 바닥부(103)에 의하여 스탠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바닥부(103)를 절첩하여 본체(110)를 눕히지거나, 접첩된 바닥부(103)를 펼쳐 면적을 확장시킴에 따라 본체(110)를 세울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는 통상적으로 포장 백의 제조에 사용되는 연밀봉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예컨대,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합성수지에 각종 첨가제를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는 2종 또는 3종의 열가소성 합성수지가 필름으로 제조되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제작시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필요 이상의 강도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구부러지며, 특히 하단부의 지지력이 떨어지게 되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가 똑바로 서 있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2종 또는 3종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접합하는 경우 각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상호보완적으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외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접착제에 의한 보강효과를 가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의 두께가 하한치에 미치지 못하면 사용 중에 찢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강성 특성이 크게 나타나게 되어 사용 및 작업에 무리를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는 그 내부공간에 저장되는 내용물(기능성 고체입자)이 누액되지 않도록 기체불투과성 막으로 이루어진다.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벽(101)(102) 상에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의 일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외벽(102) 또는 제1외벽(101)과 제2외벽(10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에 기체투과성 막(120)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외벽(101)과 제2외벽(102)의 제조시 기체투과성 막(120)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은 천공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투과성 막(120)에는 미세공(미도시)이 형성되어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기체투과성 막(120)은 미세공이 형성된 부직포, 시트(sheet), 개방 직조 멤브레인(membrane) 또는 개방 셀 스폰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세공은 기체와 액체의 중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기체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기체에 대해서 투과성을 가지며 액체에 대해서는 불투과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체투과성 막(120)은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기능성 고체입자)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기능성 고체입자가 제습제일 경우 기체투과성 막(120)의 하단선이 내부공간에 저장된 높이의 1/2 지점 이상에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체투과성 막(120)을 통해 유입되는 습기가 액체로 변환되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에 수용될 경우 기체투과성 막(120)이 수용된 액체의 상측에 위치되어 효율적으로 제습을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기체투과성 막(120)은 500g, 보다 바람직하게 1,000g, 가장 바람직하게 하루에 2,000g의 수증기/㎡를 허용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기체투과성 막(12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 중 어느 하나의 외벽(101)(102) 상에 접착제 또는 열에 의하여 접합된다. 바람직하게,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의 내측에 접합된다. 여기서 기체 투과성 막(120)은 열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열에 의하여 기체투과성 막(120)이 제1·제2외벽(101)(102)에 긴밀하게 접합됨에 따라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가 넘어지거나 눕혀놓은 경우에 내용물이 접합된 틈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은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 고체입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가 밀봉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이루어지고,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120)을 통하여 제습, 소위, 방향, 방충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능성 고체입자는 제습, 소취, 방향 및 방충 등의 기능을 가지는 성분 혹은 그 성분을 담지한 담지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기능성 고체입자는 액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용물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사용 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고 유통 중에 파손 등에 의한 누액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 고체입자는 제습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등의 조해성물질과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및 숯 입자 등의 다공성 물질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비용 상의 최대 효과를 위하여 염화칼슘 및 염화칼슘-염화마그네슘 혼합물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능성 고체입자는 소취 및 탈취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술한 다공성 물 질 및 악취원을 흡착하기에 적절한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미세 다공성 물질 및 화학적 중화효과를 가지며 상온에서 휘산이 용이한 천연 식물 추출물 및 이들의 담지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기능성 고체입자는 방향 및 방충 효과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온 휘산이 가능한 향료, 식물 정유 및 살충제 등을 적용하거나 이들의 휘산속도 조절 등을 위해 적절한 케리어에 담지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담지체로는 기공되어 있거나 실제 상용되는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및 SAP(Super Absorbent Polymer) 등의 수지 성분 등을 응용할 수 있다.
이들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120)을 통해 유입된 습기, 악취 등을 조해성 물질 또는 다공성 입자 및 소취성분에 의해 정화하고, 또한 향료 및 방충성분 등을 휘산하여 기체투과성 막(120)을 통과시켜 일정 공간 내에 방사하여 방향 및 방충의 목적 효과를 갖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본체(110)는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가 기능성 고체입자를 수용하도록 밀봉된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는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 각각이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제1외벽(101)과 제2외벽(102)이 서로 마주보도록 겹쳐져서 상부 및 측부 테두리가 열융착되고, 그 하부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103)가 열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이 하부가 개방된 봉투 형상으로 제조되어 그 하부에 절첩되어 확장 가능한 바닥부(103)가 열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스탱드형 파우치 용기(100)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혀져서 측부 테두리가 열융착되고, 그 하부에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103)가 열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내부에 기능성 고체입자가 저장되어 기능성 고체입자의 기능(소취, 제습, 방향 및, 방충)을 수행하도록 기체투과성 막(120)이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벽(101)(102)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는 기능성 고체입자가 쏟아지거나 누액 없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200)는, 기능성 고체입자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210) 및, 본체(210)에 설치된 기체투과성 막(1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3에서의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바닥부(103) 및,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 실시예의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바닥부(103) 및, 기체투과성 막(120)과 동일하다. 다만, 본체(210)에 천장부(204)가 더 구비되는 점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본체(210)의 상부는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천장부(204)가 형성된다. 상기 천정부(204)는 서로 마주보게 겹쳐진 제1외벽(101)과 제2외벽(102)의 상부에 열융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천장부(204)는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과 용이하게 열융착되도록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천장부(204)는 확장되도록 이루어져 내부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술된 바닥부(103)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천장부(204)가 절첩 또는 확장되는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천장부(204)의 재질 및 두께는 전술한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와 동일한 재질 및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천장부(204)에는 기체투과성 막(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체투과성 막(120)은 본체(210)의 내부에 저장되는 기능성 고체입자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기체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천장부(204)의 절첩에 의해 함께 접혀지거나 확장에 의해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투과성 막(120)이 천장부(204)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외벽(101)에 형성되거나 제2외벽(10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과 제2외벽(102)에 형성되거나 천장부(204)와 제1외벽(101) 등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200')는 제1외벽(101)에 기체투과성 막(1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투과성 막(120)은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천장부(2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200)(200')에 기체투과성 막(120)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천장부(204)의 제조시 기체투과성 막(120)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은 천공된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200)(200')는 미사용시 기능성 고체입자의 성분이 방출되거나 습기 및 악취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체투과성 막(120)을 밀봉하도록 불투과성 막(130)을 구비한다. 상기 불투과성 막(130)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불투과성 막(130)은 기체투과성 막(120)을 덮도록 이루어져 박리(剝離)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를 사용시 불투과성 막(130)을 박리시키고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스탱드형 파우치 용기(100)를 놓아둔다. 이러한 불투과성 막(130)은 점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 박막 또는 나일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투과성 막(130)이 열 실링되어 기체투과성 막(120)을 덮어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불투과성 막(130)은 기체투과성 막(120)이 형성된 테두리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 전체를 감싸 밀봉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200)(2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외벽(101)과 제2외벽(102)이 서로 마주보도록 겹쳐져서 열융착되는 구조의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를 구비한 본체(110)를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종 또는 3종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된 필름이 접합되어 제조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의 미려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인쇄성, 열봉합성 등 생산성의 문제로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은 2종 또는 3종의 재질이 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벽(101)의 일부면에 기체투과성 막(120)이 형성되도록 제1외벽(101)의 일부가 천공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기체투과성 막(120)을 전면(全面)에 걸쳐 형성하거나 제2외벽(102)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외벽(101), 제2외벽(102) 및 바닥부(103)의 생산 과정에서 압력 등에 의해 기체투과성 막(120)이 손상될 수 있으며, 필요이상의 열기 등에 의해 기체투과성 막(120)에 형성된 미세공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기체투과성 막(120)과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는 별도로 제작한 다음에 열실링을 통해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기계적 물성 및 심미적인 효과를 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연신된 프로필렌 등 투명성을 가진 합성수지를 표면층 재질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또 다른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필름과 합지될 면에 미리 원하는 도안 및 색상을 연속적으로 인쇄하는 방식을 통해 제1외벽(101) 및 제2외벽(102)을 형성하고, 상술한 기체투과성 막(120)을 내용물(기능성 고체입자)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여 열실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 제작 과정에서 기능성 고체입자를 충진하기 위해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의 상단 혹은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은 열융착하지 않고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비융착된 부분은 기체투과성 막(120)의 크기 및 생산 공정 등에 준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아울러,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기능성 고체입자의 성분이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능성 고체입자를 충진한 직후에 열융착을 통하여 비접착면을 완전히 밀봉하도록 하며, 또한 기체투과성 막(12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불투과성 막(130)을 점착 테이프 및 열실링법 등을 이용하여 기체투과성 막(120)을 밀봉하거나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 전체를 포장하여 기능성 고체입자의 효능 및 효과를 감소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100)를 제조하는 과정을 참조하여 천장부가 형성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200)(200')를 제조하는 것은 이 기술에 속한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천장부가 형성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의 제조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기체투과성 막이 부착된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의 기체투과성 막을 밀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200' :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01 : 제1외벽
102 : 제2외벽 103 : 바닥부
110 : 본체 120 : 기체투과성 막
130 : 불투과성 막 204 : 천장부

Claims (17)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및,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제1외벽 및 제2외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벽 상에 구비된 기체투과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며,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을 통하여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기체투과성 막은 제1외벽 및 제2외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벽의 일부분 또는 전면(全面)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및 바닥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및 바닥부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5.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 및, 천장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제1외벽, 제2외벽 및, 천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기체투과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며,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을 통하여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기체투과성 막은 제1외벽, 제2외벽 및, 천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분 또는 전면(全面)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9. 내부공간이 형성된 파우치 용기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절첩 또는 확장 가능한 바닥부 및, 천장부를 구비하고 밀폐된 상기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및
    기체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천장부에만 구비된 기체투과성 막;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이루어져서 내부공간에 저장된 기능성 고체입자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며, 기능성 고체입자는 기체투과성 막을 통하여 제습, 소취(消臭), 방향(芳香), 방충(防蟲)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기체투과성 막은 천장부의 일부분 또는 전면(全面)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간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변성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2. 제9항에 있어서,
    제1외벽, 제2외벽, 바닥부 및 천장부는, 그 두께가 5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투과성 막은 미세공이 형성된 부직포, 시트(sheet), 개방 직조 멤브레인(membrane) 또는 개방 셀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공은 기체와 액체의 중간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기체에 대해서만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투과성 막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투과성 막은 접착제 또는 열에 의하여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고체입자는 제습, 소취, 방향, 방충의 기능을 갖는 성분 또는 그 성분을 담지한 담지체로 이루어져 기체의 흐름에 따라 성분을 외부로 방출하거나 외부의 습기, 악취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시 기체투과성 막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기체투과성 막을 덮도록 불투과성 막을 더 구비하되, 불투과성 막은 박리(剝離)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알루미늄 박막 또는 나일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KR1020090016439A 2008-11-24 2009-02-26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KR20100058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819 2008-11-24
KR20080116819 2008-11-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62U Division KR20150003704U (ko) 2008-11-24 2015-08-28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391A true KR20100058391A (ko) 2010-06-03

Family

ID=423600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439A KR20100058391A (ko) 2008-11-24 2009-02-26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KR2020150005762U KR20150003704U (ko) 2008-11-24 2015-08-28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62U KR20150003704U (ko) 2008-11-24 2015-08-28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5839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39B1 (ko) * 2013-01-25 2014-01-13 이보름 제습기
WO2014200200A1 (ko) * 2013-06-11 2014-12-18 Lee Bo Rum 제습기
KR20180124458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한국지러스트 수분차단성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317404A1 (en) * 2017-12-25 2020-10-08 Toyo Seikan Co., Ltd. Pouch and liquid content-containing pouch
US20220089348A1 (en) * 2019-06-13 2022-03-24 Toyo Seikan Co., Ltd. Pouch and liquid-containing pou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54B1 (ko) * 2017-11-21 2019-09-24 조원길 식품용 비닐포장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39B1 (ko) * 2013-01-25 2014-01-13 이보름 제습기
WO2014200200A1 (ko) * 2013-06-11 2014-12-18 Lee Bo Rum 제습기
KR20180124458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한국지러스트 수분차단성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317404A1 (en) * 2017-12-25 2020-10-08 Toyo Seikan Co., Ltd. Pouch and liquid content-containing pouch
US20220089348A1 (en) * 2019-06-13 2022-03-24 Toyo Seikan Co., Ltd. Pouch and liquid-containing pou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704U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029B2 (en) Membrane device for the release of volatile compositions
US4998671A (en) Multiple compartment flexible package
JP6100253B2 (ja) 揮発性物質蒸発用の装置
KR20150003704U (ko) 스탠딩형 파우치 용기
EP2941276B1 (en) Fragrance delivery system
JPH03164403A (ja) 二酸化塩素発生体
JPH10113382A (ja) 袋入芳香又は消臭材
US5170886A (en) Plastic multicompartment package for solid and liquid products
US20200069832A1 (en) Fragrance releasing device
JPH0717582A (ja) インジケーター付き除湿剤用包装袋
JP3162278U (ja) 包装袋
CN117580695A (zh) 用于感应密封件的活性聚合物衬垫及其制备和使用方法
JP2008081179A (ja) 包装袋
JP2004359292A (ja) 包装袋
JPH06312770A (ja) 密封包装用容器
JPH0235656Y2 (ko)
JP3380701B2 (ja) 多孔質袋体、これを用いた発熱体、脱酸素体、脱臭体、追熟体、乾燥材、除湿材及び匂い袋
CN217806214U (zh) 一种自立式除湿袋
JPH08971Y2 (ja) 除湿器
JPH0730522Y2 (ja) 容器用パッキング材
JPH084461Y2 (ja) シート状製品の容器包装体
ES2319867T3 (es) Dispositivo deshumidificador de tipo deslaminante de pelicula de revestimiento.
JPS6259666B2 (ko)
CN215555492U (zh) 一种新型除湿袋
JP2017018865A (ja) 除湿器と取り替え用除湿剤収容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