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7343A -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7343A
KR20100057343A KR1020080116342A KR20080116342A KR20100057343A KR 20100057343 A KR20100057343 A KR 20100057343A KR 1020080116342 A KR1020080116342 A KR 1020080116342A KR 20080116342 A KR20080116342 A KR 20080116342A KR 20100057343 A KR20100057343 A KR 20100057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smonate
compound
methyl
och
cdc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878B1 (ko
Inventor
정지형
유은숙
당테흥
김동규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8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7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는 LPS-활성화 RAW 264.7 세포에서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및 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76906-PAT00001
자스모네이트, 항염증제, 면역억제제, NO, IL-6, TNF-α

Description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New jasmonate analogue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본 발명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세포에서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질환의 치료제 및 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의 조절이 염증 관련 질환의 병인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이러한 염증 반응은 다양한 신호전달 예를들어, 사이클로옥시게네이즈, NO 신테이즈, 사이토카인 등의 순차적인 활성화와 관련된다.
NO, IL-6 및 IL-1β와 같은 인터루킨, TNF-α를 포함한 염증성 매개물의 과도한 생성은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건선, 내독소혈증, 독성쇼크증후군과 같은 염증질환을 매개한다.
또한, 이러한 염증성 매개물은 장기 이식,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관련 질환을 매개한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은 크게 급성 염증 반응(Acute inflammation)과 만성 염증 반응(Chronic inflammation)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 염증 반응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항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급속하게 발생하는 반응이다.
급성 염증 과정의 시작은 인터루킨-1β(interleukin-1 beta), 인터루킨-6(interleukin-6),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orsis factor-alpha;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유도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 등과 같은 염증 매개 물질 합성 유전자들의 증가를 동반하게 된다.
이처럼 분비된 염증 조절 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 세포들이 유입된 항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항원이 모두 제거되면 더 이상의 진행은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급성 염증 반응이 인체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나, 백일해(pertussis) 등 일부 만성염증질환으로 발전하는 경우에는 IL-23의 발현이 증가하여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Infect. Immun., 73: 1590-1597, 2005).
급성과 달리 만성 염증 반응은 외부 항원보다는 인체 내부적 요인에 의해 장기간 동안 진행되는 염증 반응으로 대식 세포에 의한 단순 염증 반응이 아닌 대식 세포, 호중구와 T 림프구가 포함된 염증 반응으로 IL-17 및 IL-23의 발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한 TNF-α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이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일어난다(Trends in Immunol, 27: 17-23, 2006).
이와 같은 만성염증질환의 치료는 고전적으로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스테로이드에 의한 염증 억제제, 나프록센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치료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및 사이클로스포린이나 FK506과 같이 칼슘 및 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인산화 효소인 칼시뉴린(calcineurin)에 결합하여 그 작용을 억제하는 면역억제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왔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로이드를 비롯한 면역억제제들은 신독성, 감염, 임파종, 당뇨병, 진전(tremor), 두통, 설사, 고혈압, 오심,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현재 사용되는 염증질환 치료제 및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염증 매개물의 과잉발현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약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세포에서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성 질환 및 면역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76906-PAT00002
R1은 OCH3, OH, NHCH(CH3)2 또는 NHC2H4OH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R2는 수소, CN, COOCH3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4와 C-5 및 C-9와 C-10 사이의 결합은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낸다.
상기 유도체는 메틸 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2), 메틸 5-시아 노-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3), 메틸 5-메톡시카르보닐-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4), 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5), 메틸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7),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자스몬산(화합물 8), 메틸 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9), 메틸 5-아이오도-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10), 메틸 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11), 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몬산(화합물 12), 메틸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13),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몬산(화합물 14), 메틸 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15), 메틸 5-아이오도-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화합물 16), N-이소프로필-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화합물 17), N-하이드록시에틸-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화합물 18), N-이소프로필-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화합물 19) 및 N-하이드록시에틸-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화합물 20)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도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이 OCH3이고, R2가 할로겐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및 메틸-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새로 합성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가 LPS로 활성화된 RAW 264.7세포에서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 2는 종래 알려진 메틸 자스모네이트인 화합물 1보다 유의성 있게 향상된 염증성 매개물 억제활성을 나타내므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생활성에서 에논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논기의 α-위치에서의 할로겐 치환으로 인해 보다 뛰어난 염증성 매개물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억제활성은 천연 항염증제인 프로스타글란딘보다 탁월하였다.
본 발명의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유도체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소량으로 함유되면 약효 발생의 저 하가 야기될 수 있는 반면, 다량으로 함유되면 복통, 설사, 오심, 구토와 같은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 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 내지 1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는 마우스에서 복강투여하여 급성독성 실험한 결과, ID50가 20 mg/kg 이상인 안전한 화합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은 본 발명의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는 LPS로 활성화된 RAW 264.7세포에서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 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건선, 내독소혈증, 독성쇼크증후군과 같이 염증성 매개물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질환의 치료제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장기 이식, 류마티스성 관절염, 중증 근무력증, 다발성 경화증, 쉐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아토피 및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관련 질환의 치료제로써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하기에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 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4,5-didehydrojasmonate; 2)
DMSO(5mL)에 용해된 메틸 자스모네이트(50mg; 1)의 교반된 용액에 IBX(o-iodoxybenzoic acid, 2.0 당량) 및 트리플루로아세트산(0.3 당량)을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으로 희석하고 EtOAc(3회)로 추출하였다.
결합 유기상을 물 및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MgSO4로 건조한 후, 유기층을 농축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잔사를 65%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15 mg, 30%)를 얻었다.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후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에 관한 1H 및 13C 스펙트럼은 Varian Inova 400 분광분석기에서 기록되었고, 화학적 이동은 관련 잔류 용매 또는 중수소 용매 피크(δH 7.24 및 δC 77.0 for CDCl3)와 관련하여 기록되었다. 또, FABMS 데이터는 JEOLJMS SX-102A 분광분석기에서 얻어졌으며, HRFABMS 데이터는 JEOLJMS SX-101A 분광분석기에서 얻어졌다. 그리고, HPLC는 Shodex RI-71 검출기를 이용하여 YMC ODS-H80 컬럼(250 X 10 mm, 4㎛, 80Å) 및 C18-5E Shodex packed column(250 X 10 mm, 5㎛, 100Å)로 수행하였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1 (1H, dd, J = 6.0, 2.8 Hz, H-4), 6.17 (1H, dd, J = 6.0, 2.4 Hz, H-5), 5.46 (1H, m, H-10), 5.24 (1H, m, H-9), 3.70(3H, s, OCH3), 2.99 (1H, m, H-3), 2.57 (1H, dd, J = 15.6, 6.8 Hz, H-2b), 2.532.49 (1H, m, H-8b), 2.45 (1H, dd, J = 15.6, 8.4 Hz, H-2a), 2.29 (1H, m, H-8a), 2.06 (3H, m, H-7 and H-11), 0.94 (3H, t, J = 8.0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0.2 (C-6), 171.8 (C-1), 165.4 (C-4), 134.5 (C-10), 133.7 (C-5), 124.4 (C-9), 51.8 (OCH3), 50.9 (C-7), 43.2 (C-3), 38.1 (C-2), 27.6 (C-8), 20.5 (C-11), 14.1 (C-12) FABMS m/z 223 [M + H]+ HRFABMS m/z 223.1345 [M + H] +.
<실시예 2> 메틸 5-하이드록시메틸렌-자스모네이트(Methyl 5-hydroxymethylene-jasmonate; 1a)
0℃에서 무수 톨루엔(50mL)에 용해된 NaH(3.0 당량) 및 촉매량의 MeOH의 교반 현탁액에 메틸 자스모네이트(50mg; 1)를 몇방울 가하였다.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포르메이트(7.0 당량)를 몇방울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토록 교반하였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찬물로 추출한 수용성 용액을 에테르로 다시한번 추출하고 미반응 출발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러한 수용성 용액을 10% HCl로 산성화하고, 오렌지색 오일층을 에테르로 추출하여 제거하였다. 이러한 에테르 용액을 희석 NaHCO3로 세정하여 과량의 산을 제거하였고, MgSO4로 건조하였다.
에테르 용액의 증발 후, 얻어진 잔사(48 mg, 86%)를 정제없이 다음 반응을 위해 사용하였다.
노란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17 (1H, s), 5.47 (1H, m), 5.30 (1H, m), 3.68 (3H, s), 2.75 (1H, m), 2.62 (1H, m), 2.442.14 (6H, m), 2.03 (2H, m), 0.95 (3H, t, J = 7.6 Hz).
<실시예 3> O,N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틸)-하이드록시아민[ O,N -Bis-(trifluoroacetyl)-hydroxylamine]
O,N-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틸)-하이드록시아민은 3.2몰의 무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1몰의 염산 하이드록시아민으로 1.5시간 동안 환류하여 제조하였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진공 하에서 제거한 후, 잔사를 CH2Cl2으로 재결정하였다. 얻어진 산물은 습기를 흡습하며 휘발성 봉침의 O,N-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틸)-하이드록시아민이었다(80%).
<실시예 4> 메틸 5-시아노-자스모네이트(1b)
앞서 준비된 O,N-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틸)-하이드록시아민(3.0 당량)에 톨루엔에 용해된 화합물 1a(20mg) 및 피리딘(6.0 당량)의 용액을 가하였고, 얻어진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 하에서 가열하였다. 냉각 후, 유기물을 EtOAc로 희석하고 H2O로 세정한 후, 식염수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하며,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조산물을 50% 수용성 MeOH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b(6.0 mg, 30%)를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5.51 (1H, m), 5.21 (1H, m), 3.70 (3H, s), 3.40 (1H, dd, J = 8.4, 5.6 Hz, minor isomer), 3.10 (1H, dd, J = 12.8, 8.4 Hz, major isomer), 2.73 (1H, m), 2.562.29 (6H, m), 2.13 (1H, m), 2.03 (2H, m), 0.95 (3H, t, J = 7.2 Hz, minor isomer), 0.93 (3H, t, J = 7.2 Hz, major isomer).
<실시예 5> 메틸 5-시아노-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cyano-4,5-didehydrojasmonate; 3)
무수 톨루엔에 용해된 화합물 1b(5mg) 및 2,3-디클로로-5,6-디시아노벤조퀴논(DDQ, 2.0 당량)의 혼합물을 10분 동안 환류 하에서 가열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면봉을 막힌 피펫을 통해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잔사를 얻고 이를 70% 수용성 MeOH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3(1.4 mg, 28%)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8.23 (1H, d, J = 2.4 Hz, H-4), 5.52 (1H, m, H-10), 5.19 (1H, m, H-9), 3.71 (3H, s, OCH3), 3.13 (1H, m, H-3), 2.68 (1H, dd, J = 16.0, 6.0 Hz, H-2b), 2.54 (2H, m, H-2a and H-8b), 2.38 (1H, m, H-8a), 2.26 (1H, m, H-7), 2.02 (2H, m, H-11), 0.95 (3H, t, J = 7.6 Hz, H-12) FABMS m/z 248 [M + H]+ HRFABMS m/z 248.1314 [M + H] +.
<실시예 6> 메틸 5-메톡시카르보닐-자스모네이트(Methyl 5-methoxycarbonyl-jasmonate; 1c)
메틸 자스모네이트(20 mg; 1)를 실온에서 톨루엔에 용해된 NaH(2.5 당량) 및 촉매량의 MeOH의 교반 현탁액에 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디메틸 카르보네이트(0.5mL)를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 하에서 가열하였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밤새도록 교반하고, 10% HCl로 산성화하고, EtOAc(3회)로 추출하였다. 복합 추출물을 물 및 식염수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조산물을 70%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1c(12.5 mg, 50%)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5.45 (1H, m), 5.21 (1H, m), 3.74 (3H, s), 3.70 (3H, s), 3.34 (1H, dd, J = 9.6, 4.0 Hz, minor isomer), 3.13 (1H, dd, J = 12.4, 8.4 Hz, major isomer), 2.70 (1H, m), 2.592.18 (6H, m), 2.132.00 (3H, m), 0.94 (3H, t, J = 7.6 Hz).
<실시예 7> 메틸 5-메톡시카르보닐-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methoxycarbonyl-4,5-didehydrojasmonate; 4)
무수 톨루엔에 용해된 화합물 1c(5 mg) 및 2,3-디클로로-5,6-디시아노벤조퀴논(DDQ, 2.0 당량)을 5시간 동안 환류 하에서 가열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면봉을 막힌 피펫을 통해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잔사를 얻고 이를 50%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4(1.5 mg, 30%)를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8.31 (1H, d, J = 2.4 Hz, H-4), 5.48 (1H, m, H-10), 5.22 (1H, m, H-9), 3.82 (3H, s, OCH3), 3.71(3H, s, OCH3), 3.13 (1H, m, H-3), 2.64(1H, dd, J = 16.0, 6.0 Hz, H-2b), 2.582.51 (1H, m, H-8b), 2.49 (1H, dd, J = 16.0, 8.4 Hz, H-2a), 2.35 (1H, m, H-8a), 2.25 (1H, m, H-7), 2.04 (2H, m, H-11), 0.94 (3H, t, J = 7.6 Hz, H-12) FABMS m/z 281 [M + H]+ HRFABMS m/z 281.1400 [M + H]+.
<실시예 8> 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4,5-Didehydrojasmonic acid; 5)
아세톤(0.1mL)에 용해된 화합물 2(8mg) 용액에 인산 완충액(pH 8.0, 0.9 mL) 및 돼지 간 에스테레이즈(12L)를 주위 온도에서 가하고, 혼합물을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그후, 상기 용액을 희석 HCl 용액으로 pH 4가 되도록 산성화하고,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며 증발하여 잔사를 얻었고, 이 잔사를 65%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5(6 mg, 80%)를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3 (1H, dd, J = 6.0, 2.4 Hz, H-4), 6.20 (1H, dd, J = 6.0, 2.0 Hz, H-5), 5.45 (1H, m, H-10), 5.23 (1H, m, H-9), 2.99 (1H, m, H-3), 2.63 (1H, dd, J = 15.6, 6.8 Hz, H-2b), 2.552.50 (1H, m, H-8b), 2.49 (1H, dd, J = 15.6, 8.4 Hz, H-2a), 2.30 (1H, m, H-8a), 2.09 (1H, m, H-7), 2.03 (2H, m, H-11), 0.93 (3H, t, J = 7.2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0.3 (C-6), 177.0 (C-1), 165. 2 (C-4), 134.6(C-10), 133.9 (C-5), 124.2 (C-9), 50.9 (C-7), 42.9 (C-3), 37.9 (C-2), 27.6 (C-8), 20.5 (C-11), 14.1 (C-12) FABMS m/z 209 [M + H]+ HRFABMS m/z 209.1174 [M + H]+.
<실시예 9> 메틸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chloro-4,5-didehydrojasmonate; 7)
10℃에서 교반된 메탄올성 용액에 30% 과산화수소 용액(50L)을 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10% KOH(12L) 몇방울을 가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HCl로 중화시키고 메탄올로 증발시켜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EtOAc에 용해하고, 물로 세정하며, MgSO4로 건조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에폭사이드 화합물 2a(20mg)을 얻었다. 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다음 반응을 위해 정제없이 사용되었다. 1M HCl 및 CHCl3을 포함한 아세트산에 용해된 화합물 2a(5mg) 용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물로 3회 세정하였다. 표준법에 따라 작업한 후, 잔사를 65%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7(2.0 mg, 38%)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52 (1H, d, J = 2.4 Hz, H-4), 5.48 (1H, m, H-10), 5.21 (1H, m, H-9), 3.70 (3H, s, OCH3), 2.96 (1H, m, H-3), 2.60 (1H, dd, J = 16.0, 6.4 Hz, H-2b), 2.562.51 (1H, m, H-8b), 2.45 (1H, dd, J = 16.0, 7.6 Hz, H-2a), 2.35 (1H, m, H-8a), 2.22 (1H, m, H-7), 2.04 (2H, m, H-11), 0.94 (3H, t, J = 7.6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1.4 (C-6), 171.4 (C-1), 158.1 (C-4), 135.7 (C-5), 135.2 (C-10), 123.6 (C-9), 52.0 (OCH3), 50.2 (C-7), 40.4 (C-3), 37.9 (C-2), 27.8 (C-8), 20.6 (C-11), 14.1 (C-12) FABMS m/z 257 [M + H]+ HRFABMS m/z 257.0937 [M + H]+.
<실시예 10>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자스몬산(5-Chloro-4,5-didehydrojasmonic acid; 8)
화합물 8(0.8 mg, 16%)은 화합물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54 (1H, d, J = 2.8 Hz, H-4), 5.50(1H, m, H-10), 5.23 (1H, m, H-9), 2.98 (1H, m, H-3), 2.68 (1H, dd, J = 16.0, 6.4 Hz, H-2b), 2.592.52 (1H, m, H-8b), 2.50 (1H, dd, J = 16.0, 7.6 Hz, H-2a), 2.37 (1H, m, H-8a), 2.25 (1H, m, H-7), 2.06 (2H, m, H-11), 0.94 (3H, t, J = 7.6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1.5 (C-6), 176.6 (C-1), 157.9 (C-4), 135.9 (C-5), 135.3 (C-10), 123.2 (C-9), 50.2 (C-7), 40.1 (C-3), 37.7(C-2), 27.8 (C-8), 20.6 (C-11), 14.1 (C-12) FABMS m/z 243 [M + H]+ HRFABMS m/z 243.0765 [M + H]+.
<실시예 11> 메틸 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bromo-4,5-didehydrojasmonate; 9)
CH2Cl2에 용해된 화합물 2a(5 mg) 및 LiBr (3 당량)의 혼합물에 실리카겔(200 mg/mmol)을 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실온에서 잠시 흔들고, 증발하여 건조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여과에 의해 실리카겔을 제거하고 조산물을 65%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9(1.0 mg, 16%)를 얻었다.
노란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72 (1H, d, J = 2.8 Hz, H-4), 5.45 (1H, m, H-10), 5.23 (1H, m, H-9), 3.70 (3H, s, OCH3), 2.99 (1H, m, H-3), 2.60 (1H, dd, J = 16.0, 6.0 Hz, H-2b), 2.562.51 (1H, m, H-8b), 2.45 (1H, dd, J = 16.0, 8.4 Hz, H-2a), 2.36 (1H, m, H-8a), 2.22 (1H, m, H-7), 2.03 (2H, m, H-11), 0.94 (3H, t, J = 7.6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2.0 (C-6), 171.4 (C-1), 162.6 (C-4), 135.2 (C-10), 125.8 (C-5), 123.6 (C-9), 51.9 (OCH3), 49.8 (C-7), 42.4 (C-3), 37.8 (C-2), 27.9 (C-8), 20.6 (C-11), 14.1 (C-12) FABMS m/z 301/303 [M + H]+.
<실시예 12> 메틸 5-아이오도-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iodo-4,5-didehydrojasmonate; 10)
CH2Cl2에 용해된 화합물 2a(5 mg), LiI(3 당량) 및 실리카겔(200 mg/mmol)을 상기 화합물 9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10(1.5 mg, 21%)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96 (1H, d, J = 2.4 Hz, H-4), 5.48 (1H, m, H-10), 5.20 (1H, m, H-9), 3.70 (3H, s, OCH3), 3.03 (1H, m, H-3), 2.58 (1H, dd, J = 16.0, 6.4 Hz, H-2b), 2.542.50 (1H, m, H-8b), 2.45 (1H, dd, J = 16.0, 8.8 Hz, H-2a), 2.34 (1H, m, H-8a), 2.19 (1H, m, H-7), 2.04 (2H, m, H-11), 0.94 (3H, t, J = 7.6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4.0 (C-6), 171.4 (C-1), 170.3 (C-4), 135.1 (C-10), 123.7 (C-9), 102.6 (C-5), 51.9 (OCH3), 48.5 (C-7), 45.3 (C-3), 37.8 (C-2), 27.9 (C-8), 20.6 (C-11), 14.1 (C-12) FABMS m/z 349 [M + H]+ HRFABMS m/z 349.0314 [M + H]+.
<실시예 13> 메틸 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4,5-didehydro-dihydrojasmonate; 11)
DMSO에서 용해된 IBX(2 당량) 및 TFA (0.3 당량)을 팔라듐-목탄(10% Pd-C) 촉매 하에서 수소화하여 얻어진 메틸 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50mg)를 화합물 2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화합물 11(16 mg, 32%)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0 (1H, dd, J = 5.6, 2.4 Hz, H-4), 6.14 (1H, dd, J = 5.6, 2.4 Hz, H-5), 3.70 (3H, s, OCH3), 3.00 (1H, m, H-3), 2.56 (1H, dd, J = 16.0, 7.2 Hz, H-2b), 2.44 (1H, dd, J = 16.0, 8.4 Hz, H-2a), 1.98 (1H, m, H-7), 1.70 (1H, m, H-8b), 1.45 (1H, m, H-8a), 1.29 (6H, m, H-9, H-10, and H-11), 0.85 (3H, t, J = 6.4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1.0 (C-6), 171.9 (C-1), 165.1 (C-4), 133.7 (C-5), 51.8 (OCH3), 51.2 (C-7), 43.9 (C-3), 38.4 (C-2), 31.9 (C-10), 30.7 (C-9), 26.5 (C-8), 22.4 (C-11), 14.0 (C-12) FABMS m/z 225 [M + H]+ HRFABMS m/z 225.1500 [M + H]+.
<실시예 14> 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몬산(4,5-Didehydro-dihydrojasmonic acid; 12)
아세톤(0.1mL) 및 인산 완충액(pH 8.0, 0.9 mL)의 혼합액에서 화합물 11(8 mg) 및 돼지 간 에스테레이즈(12 L)를 화합물 5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12(6 mg, 80%)를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4 (1H, dd, J = 5.2, 2.4 Hz, H-4), 6.18 (1H, dd, J = 5.2, 2.4 Hz, H-5), 3.02 (1H, m, H-3), 2.63 (1H, dd, J = 16.0, 6.4 Hz, H-2b), 2.49 (1H, dd, J = 16.0, 8.8 Hz, H-2a), 2.03 (1H, m, H-7), 1.73 (1H, m, H-8b), 1.47 (1H, m, H-8a), 1.30 (6H, m, H-9, H-10, and H-11), 0.85 (3H, t, J = 6.8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1.1 (C-6), 177.1 (C-1), 165.0 (C-4), 133.9(C-5), 51.2 (C-7), 43.6 (C-3), 38.2 (C-2), 31.9 (C-10), 30.7 (C-9), 26.5 (C-8), 22.4 (C-11), 14.0 (C-12) FABMS m/z 211 [M + H]+ HRFABMS m/z 211.1349 [M + H]+.
<실시예 15> 메틸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chloro-4,5-didehydro-dihydrojasmonate; 13)
1M HCl 및 CHCl3를 포함한 아세트산에서 화합물 11을 에폭시화 하여 얻어진 화합물 11a(5mg)를 화합물 7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화합물 13(2.1 mg, 40%)을 제조하였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53 (1H, d, J = 2.4 Hz, H-4), 3.71 (3H, s, OCH3), 2.99 (1H, m, H-3), 2.60 (1H, dd, J = 16.0, 6.0 Hz, H-2b), 2.46 (1H, dd, J = 16.0, 8.8 Hz, H-2a), 2.14 (1H, m, H-7), 1.75 (1H, m, H-8b), 1.53 (1H, m, H-8a), 1.29 (6H, m, H-9, H-10, and H-11), 0.86 (3H, t, J = 6.8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2.0 (C-6), 171.5 (C-1), 157.9 (C-4), 135.7 (C-5), 52.0 (OCH3), 50.4 (C-7), 41.2 (C-3), 38.2 (C-2), 31.8 (C-10), 30.7 (C-9), 26.3 (C-8), 22.4 (C-11), 14.0 (C-12) FABMS m/z 259 [M + H]+ HRFABMS m/z 259.1103 [M + H]+.
<실시예 16> 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몬산(5-Chloro-4,5-didehydro-dihydrojasmonic acid; 14)
화합물 14(0.7 mg, 14%)를 화합물 13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55 (1H, d, J = 2.4 Hz, H-4), 2.99 (1H, m, H-3), 2.68 (1H, dd, J = 16.4, 6.0 Hz, H-2b), 2.51 (1H, dd, J = 16.4, 9.6 Hz, H-2a), 2.17 (1H, m, H-7), 1.76 (1H, m, H-8b), 1.55 (1H, m, H-8a), 1.31 (6H, m, H-9, H-10, and H-11), 0.87 (3H, t, J = 6.8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2.1 (C-6), 176.7 (C-1), 157.7 (C-4), 135.5 (C-5), 50.4 (C-7), 40.9 (C-3), 38.0 (C-2), 31.8 (C-10), 30.7 (C-9), 26.3 (C-8), 22.4 (C-11), 14.0 (C-12); FABMS m/z 245 [M + H]+ HRFABMS m/z 245.0961 [M + H]+.
<실시예 17> 메틸 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 트(Methyl 5-bromo-4,5-didehydro-dihydrojasmonate; 15)
CH2Cl2에서 화합물 11a(5 mg), LiI(3 당량) 및 실리카겔(200 mg/mmol)을 상기 화합물 9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15(1.1 mg, 18%)를 얻었다.
노란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73 (1H, d, J = 2.8 Hz, H-4), 3.72 (3H, s, OCH3), 2.99 (1H, m, H-3), 2.60 (1H, dd, J = 16.0, 6.4 Hz, H-2b), 2.46 (1H, dd, J = 16.0, 8.8 Hz, H-2a), 2.14 (1H, m, H-7), 1.76 (1H, m, H-8b), 1.50 (1H, m, H-8a), 1.29 (6H, m, H-9, H-10, and H-11), 0.86 (3H, t, J = 6.8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2.0 (C-6), 171.4 (C-1), 162.3 (C-4), 125.6 (C-5), 52.0 (OCH3), 50.0 (C-7), 43.2 (C-3), 38.0 (C-2), 31.8 (C-10), 30.9 (C-9), 26.3 (C-8), 22.4 (C-11), 14.0 (C-12) FABMS m/z 303/305 [M + H]+.
<실시예 18> 메틸 5-아이오도-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Methyl 5-iodo-4,5-didehydro-dihydrojasmonate; 16)
CH2Cl2에서 화합물 11a(5 mg), LiI(3 당량) 및 실리카겔(200 mg/mmol)을 상기 화합물 9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화합물 16(2.1 mg, 30%)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97 (1H, d, J = 2.4 Hz, H-4), 3.71 (3H, s, OCH3), 3.05 (1H, m, H-3), 2.58 (1H, dd, J = 15.6, 5.6 Hz, H-2b), 2.45 (1H, dd, J = 15.6, 8.8 Hz, H-2a), 2.14 (1H, m, H-7), 1.73 (1H, m, H-8b), 1.55 (1H, m, H-8a), 1.28 (6H, m, H-9, H-10, and H-11), 0.86(3H, t, J = 6.8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04.0 (C-6), 171.4 (C-1), 170.0 (C-4), 102.7 (C-5), 52.0 (OCH3), 48.7 (C-7), 46.1 (C-3), 38.0 (C-2), 31.8 (C-10), 30.9 (C-9), 26.3 (C-8), 22.4 (C-11), 14.0 (C-12) FABMS m/z 351 [M + H]+ HRFABMS m/z 351.0450 [M + H]+.
<실시예 19> N -이소프로필-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 N -Isopropyl-4,5-didehydrojasmonylamide; 17)
EtOAc 및 트리에틸아민(TEA, 2 당량)에 용해된 화합물 5(2mg)의 혼합물에 2-(1H-벤조트리아졸-1일)-1,2,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TU, 1 당량)를 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 후, 이소프로필아민(2 당량)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물로 세정하고, 건조하며 65% 수용성 CH3CN로 용출된 역상 HPLC(YMC ODS-H80)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화합물 17(1.5 mg, 63%)을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5 (1H, dd, J = 5.6, 2.8 Hz, H-4), 6.14 (1H, dd, J = 5.6, 2.4 Hz, H-5), 5.45 (1H, m, H-10), 5.26 (1H, m, H-9), 4.07(1H, septet, J = 6.4 Hz, -CH(CH3)2), 3.08 (1H, m, H-3), 2.50 (1H, m, H-8b), 2.35 (1H, dd, J = 14.4, 6.8 Hz, H-2b), 2.29 (1H, m, H-8a), 2.22 (1H, dd, J = 14.4, 8.4 Hz, H-2a), 2.05 (3H, m, H-7 and H-11), 1.14 (6H, d, J = 6.8 Hz, -(CH3)2), 0.94 (3H, t, J = 7.2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0.6 (C-6), 169.3 (C-1), 166.4 (C-4), 134.4(C-10), 133.4 (C-5), 124.5 (C-9), 51.1 (C-7), 43.9 (C-3), 41.5 (C-2), 40.9 (-CH(CH3)2), 27.8 (C-8), 22.8 (-(CH3)2), 20.6 (C-11), 14.2 (C-12) FABMS m/z 250 [M + H]+ HRFABMS m/z 250.1798 [M + H]+.
<실시예 20> N -하이드록시에틸-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 N -Hydroxyethyl-4,5-didehydrojasmonylamide; 18)
EtOAc에서 화합물 5(2 mg), TBTU(1 당량), TEA (2 당량) 및 에탄올아민(2 당량)을 화합물 17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화합물 18(1.3 mg, 54%)을 얻었다.
노란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6 (1H, dd, J = 5.6, 2.4 Hz, H-4), 6.15 (1H, dd, J = 5.6, 2.0 Hz, H-5), 5.89 (1H, brs, NH), 5.46 (1H, m, H-10), 5.26 (1H, m, H-9), 3.73 (2H, t, J = 5.6 Hz, -CH2CH2OH), 3.44 (2H, quint, J = 6.0 Hz, -CH2OH), 3.08 (1H, m, H-3), 2.50 (1H, m, H-8b), 2.46 (1H, dd, J = 14.8, 6.8 Hz, H-2b), 2.30 (2H, m, H-2a and H-8a), 2.06 (3H, m, H-7 and H-11), 0.94 (3H, t, J = 7.6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0.6 (C-6), 171.3 (C-1), 166.2 (C-4), 134.5 (C-10), 133.5(C-5), 124.5 (C-9), 62.2 (-CH2OH), 51.1 (C-7), 43.8 (C-3), 42.2(C-2), 40.5 (-CH2CH2OH), 27.8 (C-8), 20.6 (C-11), 14.2 (C-12) FABMS m/z 252 [M + H]+ HRFABMS m/z 252.1588 [M + H]+.
<실시예 21> N -이소프로필-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 N -Isopropyl-4,5-didehydro-dihydrojasmonylamide; 19)
EtOAc에서 화합물 12(2 mg), TBTU(1 당량), TEA (2 당량) 및 이소프로필아민(2 당량)을 화합물 17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화합물 19(1.5 mg, 63%)를 얻었다.
무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3 (1H, dd, J = 5.2, 2.4 Hz, H-4), 6.12 (1H, dd, J = 5.2, 1.6 Hz, H-5), 5.29 (1H, brs, NH), 4.08 (1H, septet, J = 6.8 Hz, -CH(CH3)2), 3.11 (1H, m, H-3), 2.33 (1H, dd, J = 14.0, 6.8 Hz, H-2b), 2.22 (1H, dd, J = 14.0, 8.4 Hz, H-2a), 1.93 (1H, m, H-7), 1.68 (1H, m, H-8b), 1.47 (1H, m, H-8a), 1.30 (6H, m, H-9, H-10, and H-11), 1.15 (6H, d, J = 6.8 Hz, -(CH3)2), 0.85 (3H, t, J = 6.4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1.5 (C-6), 169.3 (C-1), 166.1 (C-4), 133.3 (C-5), 51.4 (C-7), 44.5 (C-3), 41.5 (C-2), 41.2 (-CH(CH3)2), 31.9 (C-10), 30.8 (C-9), 26.5 (C-8), 22.8 (-(CH3)2), 22.4 (C-11), 14.0 (C-12) FABMS m/z 252 [M + H]+ HRFABMS m/z 252.1945 [M + H]+.
<실시예 22> N -하이드록시에틸-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닐아미드( N -Hydroxyethyl-4,5-didehydro-dihydrojasmonylamide; 20)
EtOAc에서 화합물 12(2 mg), TBTU(1 당량), TEA (2 당량) 및 에탄올아민(2 당량)을 화합물 17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화합물 20(1.2 mg, 50%)을 얻었다.
노란색 오일; 1H NMR (CDCl3, 400 MHz): δ 7.65 (1H, dd, J = 6.0, 2.4 Hz, H-4), 6.13 (1H, dd, J = 6.0, 2.0 Hz, H-5), 5.94 (1H, brs, NH), 3.73 (2H, t, J = 5.2 Hz, -CH2CH2OH), 3.58 (2H, quint, J = 6.0 Hz, -CH2OH), 3.11 (1H, m, H-3), 2.44 (1H, dd, J = 14.8, 6.8 Hz, H-2b), 2.30 (1H, dd, J = 14.8, 8.4 Hz, H-2a), 1.96 (1H, m, H-7), 1.70 (1H, m, H-8b), 1.48 (1H, m, H-8a), 1.30 (6H, m, H-9, H-10, and H-11), 0.85 (3H, t, J = 6.8 Hz, H-12)
13C NMR (CDCl3, 100 MHz): δ 211.4 (C-6), 171.4 (C-1), 165.9 (C-4), 133.6 (C-5), 62.2 (-CH2OH), 51.4 (C-7), 44.4 (C-3), 42.2 (C-2), 40.9 (-CH2CH2OH), 31.9 (C-10), 30.8 (C-9), 26.5 (C-8), 22.5 (C-11), 14.0 (C-12) FABMS m/z 254 [M + H]+ HRFABMS m/z 254.1763 [M + H]+.
<실험예 1> 세포 배양 및 세포독성 분석
쥐 대식세포 RAW 264.7을 ATCC(Rockville, MD)로부터 구매하고, 10%(v/v) 열-활성 소태아혈청, 스트렙토마이신(100 g/mL) 및 페니실린(100 U/mL)으로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37℃의 온도 및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독성 분석을 위하여, 24시간 동안 배양된 세포에서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이용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MTT를 가하고 4시간 후 배양기에서 배양물을 제거하고 포마잔 결정을 DMSO를 가해 용해하였다. 대사활성은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예 2> 염증성 매개물에 대한 억제활성 검토
산화질소(NO)의 생성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Sigma, MO, USA)을 이용하여 이전에 알려진 방법(Planta Med. 66, 358360, 2000)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LPS (1 g/mL)로 RAW 264.7 세포를 자극하고 100 L의 상등액을 100L의 그리스 시약(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설파닐아미드, 2.5% H3PO4)과 혼합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빛을 차단하여 배양하였다. ELISA 리더(Amersham Pharmacia Biotech, UK,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소듐 나이트리트를 표준물질로 이용한 적정곡선과 비교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IL-6 및 TNF-α 생성에 관한 억제활성을 종래 알려진 방법(Eur. J. Pharmacol. 398, 399407, 2000)에 따라 검토하였다. 시료를 DMEM으로 희석된 EtOH로 용해하고, 이러한 용매의 최종 농도가 배양배지에서 0.1%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용해된 용매들에 의해 RAW 264.7 세포에서의 IL-6 및 TNF-α 생성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LPS(1 g/mL) 및 테스트 물질로 자극하기 전에, RAW 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후, LPS 및 테스트 물질을 배양된 세포에 가하고, 마우스 ELISA 키트(R & D Systems Inc., MN, USA)를 이용하여 IL-6 및 TNF-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는 종래 알려진 메틸 자스모네이트보다 탁월하게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는 천연 항염증제인 프로스타글란딘보다 탁월하게 NO, IL-6 및 TNF-α와 같은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실험예 3> 독성실험
150ㅁ 5g의 ICR계 마우스(중앙실험동물)를 각각 3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7을 각각 20 mg/㎏, 10 mg/㎏, 1 m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3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고,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하, 본 발명의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7 10 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및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이 되도록 제조한 후, 2㎖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7 10 ㎎, 유당 100 ㎎, 전분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7 1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 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 7 0.5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염증성 매개물의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NO 억제활성을 항염증제인 프로스타글란딘과 비교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스모네이트 유도체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76906-PAT00003
    R1은 OCH3, OH, NHCH(CH3)2 또는 NHC2H4OH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R2는 수소, CN, COOCH3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4와 C-5 및 C-9와 C-10 사이의 결합은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R1이 OCH3이고, R2가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메틸-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5-클로로-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및 메틸-5-브로모-4,5-디디하이드로-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76906-PAT00004
    R1은 OCH3, OH, NHCH(CH3)2 또는 NHC2H4OH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R2는 수소, CN, COOCH3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4와 C-5 및 C-9와 C-10 사이의 결합은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냄.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76906-PAT00005
    R1은 OCH3, OH, NHCH(CH3)2 또는 NHC2H4OH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R2는 수소, CN, COOCH3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4와 C-5 및 C-9와 C-10 사이의 결합은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냄.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스모네이트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8080476906-PAT00006
    R1은 OCH3, OH, NHCH(CH3)2 또는 NHC2H4OH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R2는 수소, CN, COOCH3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C-4와 C-5 및 C-9와 C-10 사이의 결합은 단일결합이거나, 점선과 함께 이중결합을 나타냄.
KR1020080116342A 2008-11-21 2008-11-21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KR101056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42A KR101056878B1 (ko) 2008-11-21 2008-11-21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342A KR101056878B1 (ko) 2008-11-21 2008-11-21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343A true KR20100057343A (ko) 2010-05-31
KR101056878B1 KR101056878B1 (ko) 2011-08-12

Family

ID=4228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342A KR101056878B1 (ko) 2008-11-21 2008-11-21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0532A (zh) * 2016-06-16 2021-01-22 国际香料和香精公司 制备不饱和化合物的循环经济方法
CN114532337A (zh) * 2022-03-23 2022-05-27 华中农业大学 一种促进杂交稻父母本颖花开放的复配剂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0532A (zh) * 2016-06-16 2021-01-22 国际香料和香精公司 制备不饱和化合物的循环经济方法
CN114532337A (zh) * 2022-03-23 2022-05-27 华中农业大学 一种促进杂交稻父母本颖花开放的复配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878B1 (ko) 201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216B1 (ko)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449796B1 (ko) 헤디치움 코로나리움 유래 랍단 디터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Zhang et al.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gentiopicroside derivatives
JP5140231B2 (ja) IκBキナーゼ阻害剤
KR101056878B1 (ko)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KR101103426B1 (ko) 몰루긴 또는 몰루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US20190077808A1 (en) 4-azapodophylotoxins compounds
KR20110088991A (ko) 신규 카나비노이드 유도체 및 이의 의학적 용도
JPH10287617A (ja) 新規ジテルペン類及びジテルペン類を有効成分とする抗ウイルス剤
JP4769726B2 (ja) コンセントリコリド及びその誘導体、それらを調製する工程、それを含む薬学的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
KR101478253B1 (ko) 아룸 팔래스티눔(Arum palaestinunBoiss) 유래 항암용 피페라지움 화합물
KR102074575B1 (ko) 세스퀴테르펜 계열 대사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WO2021023512A1 (en) Bifunctional compound and its use in immunotherapy
KR101970457B1 (ko) 목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07020631A2 (en) Tetracyclic benzofuran derivatives with therapeutic activities
KR20090117174A (ko) 담쟁이덩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50106276A (ko) 벼 뿌리 유래의 다이터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602799B1 (ko) 항염증 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94425B1 (ko) 백선피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글래브레탈-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577189B1 (ko) α-쿠베베노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02215B1 (ko) 해면동물 포바스 구쿨렌시스로부터 추출된 신규화합물인 구쿨레닌 a와 b,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암제
KR101512486B1 (ko) 피리피로펜 s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4011558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cytokine storm
KR101012313B1 (ko) 염증질환 치료제
US20030147973A1 (en) Use of extracts from aristolochia in the treatment of a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