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216B1 -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216B1
KR101181216B1 KR1020090069469A KR20090069469A KR101181216B1 KR 101181216 B1 KR101181216 B1 KR 101181216B1 KR 1020090069469 A KR1020090069469 A KR 1020090069469A KR 20090069469 A KR20090069469 A KR 20090069469A KR 101181216 B1 KR101181216 B1 KR 10118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compound
extract
delete delete
nephr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968A (ko
Inventor
노문철
이우송
이승웅
장종선
박수진
김민수
류영배
임주환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69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216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8The ring being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o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4Evod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유(Evodia fructus) 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식료품 및 개인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오수유, 세포간 접착인자-1(ICAM-1), 백혈구 기능 관련 항원-1(LFA-1), 세포접착, 리노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타입-1(HIV-1),말라리아, 감기

Description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from Evodia fructus or quinolone alkaloid compounds}
본 발명은 오수유(Evodia fructus) 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식료품 및 개인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세포간 접착인자-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CD54)은 면역글로불린 상과(Ig-superfamily)에 속하는 접착 수용체(adhesion receptor)로서, 혈관내피세포, 일부 임파구(lymphocyte) 및 단핵구(monocyte)에서 저밀도로 발현되며 (Springer, Nature , 346:425-434, 1990; Rothlein et al., J. Immunol ., 137:1270-1274, 1986) IL-1, TNF-α 또는 IFN-γ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또는 지질다당질(lipopolysaccharide, LPS)을 처리했을 때, 다양한 세포(multiple cell type)에서 ICAM-1의 발현은 증가된다 (Hubbard and Rothlein, Free Radic . Biol . Med., 28:1379-1386, 2000).
백혈구 기능 관련 항원-1 (Leukocyte function associated antigen-1, LFA-1; CD11a/CD18)은 ICAM-1의 리간드로서 정지기의 백혈구(resting leukocyte)에서는 불활성이지만, T 세포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 또는 포볼에스테르(phorbolester)와 같은 다양한 자극인자에 의해 활성화 된다 (Dustin and Springer, Nature , 341: 619-624, 1989; Rothlein and Springer, J. Exp . Med ., 163: 1132-1149, 1986).
한편, 백혈구가 염증부위에 침윤하기 위해서는 백혈구가 혈관내피세포 표면에서 혈관내피세포에 접착하는 과정을 통해야만 한다. ICAM-1은 특히 염증반응이 일어난 혈관내피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며 단핵구, 호중구 및 임파구와 같은 혈구세포가 혈관벽에 접착하고 침투하는 것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혈소판과 혈관내피세포 간의 접착에도 ICAM-1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omas and DeGraba, Neurology , 49: 15-19, 1997).
세포접착은 동맥경화, 관절염, 골다공증, 세균감염, 암 전이, 및 혈관신생, 건선, 천식, 알레르기, 루푸스 또는 크론씨 병 등의 난치성 만성질환들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있다 (Poston et al., Am . J. Pathol ., 140:665-673, 1992; Macchioni et al., J. Reumatol ., 21(10):1860-1864, 1994; Mason et al., Arthritis Rheum ., 36:519-527, 1993; Kling et al., Clin . Invest ., 71:299-304, 1993). ICAM-1이 염증반응에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ICAM-1의 단일클론항체 및 여러 종류의 질환모델 동물실험을 통해서 밝혀지고 있다. ICAM-1 또는 LFA-1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ICAM-1 및 LFA-1 간의 결합 저해가 동맥경화, 천식, 사구체 신염 또는 관절염 등의 자기면역질환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응답반응에 있어서 T 세포의 활성화에는 T 세포 수용체를 통한 항원 특이적인 신호 이외에도 ICAM-1 및 LFA-1 등의 항원 비특이적인 신호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Cornejo et al., Adv . pharmacol ., 39:99-141, 1997; Patel et al., Circulation , 97:75-78, 1998; Nishikawa et al., J. Exp . Med., 177:667-77, 1993; Kobayashi et al., Cell Immunol ., 164:295-305, 1995; Nagase et al. Am . J. Respir . Crit . Care Med ., 152:81-86, 1995).
ICAM-1은 염증성 질환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는 ICAM-1을 수용체로서 사용하여 감염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Greve et al., Cell, 56: 839-847, 1989; Staunton et al., Cell, 56:849-853, 1989; Tomassin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6:4907-4911, 1989). 또한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타입-1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1, HIV-1) 역시 ICAM-1과 LFA-1 간의 결합을 이용하여 감염되며 ICAM-1과 LFA-1의 결합 저해제로 알려진 스타틴(statin)계 화합물이 HIV-1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Giguere and Tremblay, J. Virology 78: 12062-12065, 2004). 아울러 말라리아의 PfEMP-1 단백질과 ICAM-1간 의 상호작용이 세포부착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말라리아가 ICAM-1을 매개로 감염된다는 점도 입증되어 있다 (Bertonati et al., Proteins 69: 215-222, 2007; Jenkins et al., J Infect Dis. 196(2): 321-327, 2007; Baruch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Vol. 93, pp. 3497-3502, 1996; Chakravorty et al., European Journal of Cell Biology 84: 15-27, 2005). 따라서 ICAM-1이나 LFA-1의 활성 저해제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뿐만이 아니라 리노바이러스, HIV-1 및 말라리아의 항바이러스제로의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 ICAM-1 및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제의 개발은 그들의 중화항체가 대상이었으며 천연물로부터는 수종의 저해제만이 보고되어 있는 실정이다. 애보트 (Abbott) 사에서 합성품으로서 ICAM-1 발현 저해물질을 보고하였으며 (Stewart et al., J. Med . Chem ., 44:988-1002, 2001) ICAM-1의 에피톱을 모체로 한 합성물질인 LFA-1의 안타고니스트가 노바티스(Novartis) 사 및 로슈(Roche) 사로부터 개발되었으나 (Welzenbach et al., J. Biol . Chem ., 277:10590-10598, 2002, Gadek et al., Science, 295:1086-1089, 2002), 아직 질환동물모델을 이용한 생체 내 (in vivo) 활성에 대한 보고는 없다. 한편, 천연물로부터는 세코-리모니드 (seco-limonids)계 물질 (Trichilia rubra, IC50; 10?25 nM), 큐커바이타신 (cucurbitacins, Conobea scoparioides, IC50; 0.18?1.36 mM) 및 아드잔스로마이신 (adxanthromycins, Streptomyces sp. Na-148, IC50; 1.5?6.5 mM) 등이 ICAM-1 및 LFA-1 매개성 세포접착을 저해하는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Musza et al., Tetrahedron , 50:11369- 11378, 1994; Musza et al., J. Net . Prod ., 57:1498-1502, 1994; Nakano et al., J. Antibiotics , 53:12-18, 2000).
본 발명자들은 천연자원으로부터 ICAM-1 및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제를 탐색한 결과, 오수유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퀴놀론계 화합물들이 ICAM-1 및 LFA-1 매개성 세포접착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식료품 및 개인위생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유(Evodia fructus) 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오수유(Evodia fructus)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그리고 이로부터 유래된 화학식 1 내지 4의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들을 포함한다.
Figure 112009046572861-pat00001
상기 화학식 14의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들은 오수유로부터 추출,분리 및 정제하여 사용하였으며, 통상적인 모든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유로부터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들의 추출, 분리 및 정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오수유 분쇄물을 건조 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12시간 내지 4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로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오수유 조추출물을 수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이 약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비극성용매 가용 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6-7, 1998).
상기 오수유 조 추출물은 물에 현탁한 후, n-헥산, 클로로포름으로 등량의 용매를 이용하여 연속 추출로 오수유 각 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수유 조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등량의 n-헥산을 혼합한 후 분획하여 n-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다. 이때,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은 100 ~ 0 : 0 ~ 100 (v/v)인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된 활성분획의 ICAM-1과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그 중에서 가장 저해활 성이 높은 분획들을 모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5~1 : 1~6 (v/v)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활성분획의 ICAM-1과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그 중에서 가장 저해활성이 높은 분획들을 모아 70%, 80%, 90%, 100% 아세토나이트릴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다.
상기 얻어진 최종 분획 중 ICAM-1과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활성이 높은 분획들을 모아 85~90% 메탄올을 사용하여 5 ㎖/분으로 흘려주면서 HPLC로 최종 화합물을 분리한다.
상기 화학식 14의 화합물들은 상기한 바대로 오수유로부터 추출 분리하거나 유기합성법으로 합성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란, 감기의 예방 및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치료를 포함한다. 이는 또한 감기 증상의 감소, 감기 증상의 개선, 감기 또는 그 증상의 고통 경감, 감기 발생율 감소 또는 치료결과를 증가시키는 환자의 어떠한 다른 변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감기의 증상은 재채기, 콧물, 비강폐색(nasal obstruction), 코막힘, 후두염 또는 목의 통증, 기침, 목이쉼, 천식악화 및 두통, 열, 한기 및 컨디션이 좋지 않은 것과 같은 일반적인 증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침, 재채기, 콧물, 근육통, 인후염, 비강폐색, 후두염, 목의 통증, 쉰소리, 천식악화, 두통, 부비강에 대한 통증, 비염, 점막 종기, 인두염, 기관지염 오한, 한기 및 권태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특히 후 두염(sore throat)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의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는바, 화학식 4의 화합물을 바이러스와 섞어 1시간 반응 후 세포에 접종한 경우와, 바이러스를 먼저 세포에 접종하고 1시간 후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첨가한 경우에 모두 리노바이러스(HRV2) 저해활성이 우수하였으므로, 화학식 4의 화합물이 리노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여 항바이러스 효능 및 바이러스 감염 예방 효과도 함께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기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용 식료품, 제약학상 제품, 수의학용 제품, 화장품, 개인 위생 제품 및 가정 용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의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식료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아가린, 지방 지속성(fat continuous) 또는 물 지속성(water continuous) 또는 양쪽 지속성(bicontinuous) 스프레드, 지방 감소된 스프레드, 초콜렛, 또는 초콜렛 코팅 또는 초콜렛 속(fillings) 또는 베이커리 속과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코팅, 아이스크림 함유물, 드레싱, 마요네즈, 치즈, 크림 대체물, 건조 스프, 드링크, 시리얼 바, 소스, 스낵바, 유제품, 임상 영양식품 또는 소아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개인위생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은 오슈유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은 화학식 3 또는 4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이 포함된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콜(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 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은 특이적으로 세포간접착인자-1(ICAM-1)과 백혈구 관련 항원-1(LFA-1; CD11a/CD18)간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단핵구, 호중구 및 임파구와 같은 혈구세포가 혈관내피세포에 접착하고 침투하는 것을 저해하여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염증성 질환 및 감염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염증성 질환이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및 경피증과 같은 다기 관에 관련하는 자가면역질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등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운동뉴런질환, 파킨슨병, 만성피로증후군과 같은 중추신경계 염증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아나필랙시스 및 피부염 같은 IgE 매개성(타입Ⅰ) 과민증을 포함하는 염증;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염, 황반 병성, 포도막염, 결막염과 같은 안 질환; 뇌졸증,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맥관염, 동맥경화증, 혈관협착, 베그너스(Wegener's) 육아종증, 처그-스트라우스(Churg-Strauss) 증후근 맥관염, 헤노크-숀레인(Henoch-Schonlein) 자반병, 가와사키병, 거대세포 동맥염과 같은 혈관질환;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알레르기, 당뇨, 당뇨성 신장병, 급성 소아당뇨병, 애디슨씨병, 굿파스튜어 증후군, IgA 신장병, 신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자가 면역 췌장염, 치주질환, 만성폐쇄성 폐질환, 급성 백혈병 매개 폐손상, 천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골반 염증 질환, 자궁내막염, 비염, 종양전이, 이식 거부, 중풍, 뇌염, 수막염, 에이즈 치매, 섬유증, 유착형성, 만성 간염 및 결핵같은 만성적 염증질환, 다중경화 및 만성 전립선염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감염성 질환이란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말라리아 또는 HIV-1 에 의한 감염성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수유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또는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제인 오수유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므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0.0001 내지 10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수유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수유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은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과의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유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수유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 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수유 추출물,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오수유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으며, 퀴놀론 알칼로 이드계 화합은 1일 0.0001 내지 1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은, 특이적으로 세포간접착인자-1(ICAM-1)과 백혈구 관련 항원-1(LFA-1; CD11a/CD18)간의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단핵구, 호중구 및 임파구와 같은 혈구세포가 혈관내피세포에 접착하고 침투하는 것을 저해하여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염증성 질환 및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은 리노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기 증상의 개선 또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외용제, 식료품, 화장품 및 개인위생용품 등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 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오수유로부터 화학식 1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분리
1. 오수유로부터 추출
오수유는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그늘에서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말화 시켰다. 분말화된 오수유 1.2 kg에 3배의 메탄올(건조된 오수유 중량에 대해)을 가하여 7일간 실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조추출물에서 활성물질을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분획물로 분리하여 다음 실험예 1의 방법으로 ICAM-1과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가장 우수한 ICAM-1과 LFA-1 매개성 세포접착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2. 클로로포름층의 분리 및 정제
OSU seed 1.2 kg 은 분말화한 후 MeOH을 추출용매로 하여 실온에서 7일간 냉침 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감압 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은 진공회전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210 g의 MeOH 추출물을 얻었다. 이 MeOH 추출물은 1 L H2O 로 현탁한 후 동량의 EtOAc를 가하여 혼합하여 분획하고,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여 수가용성 분획 물 1 L 및 EtOAc 분획 물 4 L를 얻은 후, 이 EtOAc 분획 물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 57.4 g 을 얻었다. EtOAc 추출물은 SiO2에 흡착한 후, CH2Cl2:MeOH = (100/0 ~ 1/1, v/v)로 구성된 step gradient 용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1차 SiO2 (500 g)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였으며, TLC profile을 행하여 10개 소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소 분획 물들은 세포간 접착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중 활성분획인 fr. 3번 분획 (6 g)은 SiO2에 흡착한 후, hexane:EtOAc = (5/1 ~ 1/6, v/v)로 구성된 step gradient 용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 SiO2 (60 g)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였으며, 10개의 소 분획을 얻었다. 10개의 소 분획 중 세포간 접착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fr. 3-6번 분획 (737 mg)은 용출 용매로 70%, 80%, 90%, 100% CH3CN을 사용하여 reversed-phase column chromatography (ODS gel)로 활성분획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획 중 저해활성이 가장 높은 fr. 3-6-3번 분획 (112.3 mg)은 70%, 80%, 90%, 100% MeOH을 사용하여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였으며, 상기활성 분획 중 8분획은 85% 메탄올을 사용하여 5 ml/분으로 흘려주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YMC J‘sphere ODS H-80, 150 ×20 mm, 4 mm)를 실시하여 34분과 42분에서 용출되는 활성물질 1 (5 mg), 2 (32 mg)를 얻었다. Fr. 3-7번 분획 (1.4 g)은 60%, 70%, 80%, 90%, 100% CH3CN을 사용하여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였으며, 상기활성 분획 중 8분 획은 90% 메탄올을 사용하여 5 ml/분으로 흘려주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YMC J‘sphere ODS H-80, 150 ×20 mm, 4 mm)를 실시하여 28분과 32분에서 용출되는 활성물질 3 (97.4 mg), 4 (25.3 mg)를 얻었다.
3. 활성 물질의 구조 분석
화합물 1은 무색의 분말상 형태로 얻어졌으며, EI-MS spectrum에서는 m/z 313에서 분자 이온 피크(molecular ion peak)를 나타내었고, McLafferty rearrangement에 의한 ion peak이 m/z 173에서 관찰되었으며, m/z 186 및 m/z 144등의 퀴놀론 알칼로이드의 특징적인 fragment가 관찰되었다. 1H-NMR 스펙트럼에서는 δ 3.74에서의 N-methyl 기, δ 6.24 (1H, s, H-3)의 conjugated olefinic proton, 그리고 δ 7.37-7.66 (3H, m, 6-, 7-, 8-H) 및 δ 8.45 (1H, dd, J= 6, 2.1 Hz, 5-H) 의 aromatic proton 등 quinolone skeleton에 기인한 signal이 관찰되었다. 또한, δ 2.72 (2H, t, J= 7.5Hz, H-1'), δ 1.69 (2H, m, H-2'), δ 1.43 (2H, m, H-3'), δ 1.26 (14H, m, H-4'~10') 및 δ 0.88 (3H, t, J= 7.1Hz, H-11')에서 side chain에 기인하는 signal이 관찰되었다. 13C-NMR spectrum에서는 21개의 carbon signal이 관찰되었으며, 이 상의 기기분석 data와 문헌치를 비교하여 화합물1은 1-메틸-2-운데실-4(1H)-퀴놀론 (1-methyl-2-undecyl-4(1H)-quinolone)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는 무색의 오일상 형태로 얻어졌으며, 화합물 1과 같이 EI-MS spectrum에서는 m/z 339에서 분자 이온 피크(molecular ion peak)를 나타내었고, 화합물 1과 같이 m/z 173 의McLafferty rearrangement에 의한 ion peak와 m/z 186, m/z 144등 fragment가 관찰되어 퀴놀론 알칼로이드 계통의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1H-NMR spectrum에서는 δ 5.34 (2H, m, H-8', -9')의 olefinic proton이 관찰되어 side chain에 double bond가 하나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δ 2.01 (4H, m, H-7', -10')의 methylene proton signal이 관찰되었다. 또한, 13C-NMR spectrum에서는 23개의 carbon signal이 관찰되었으며, 이 상의 기기분석 data와 문헌치를 비교하여 화합물 2는 에보카르핀(evocarpine)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3은 무색의 분말상 형태로 얻어졌으며, 화합물 2와 같은 EI-MS spectrum이 관찰되어 퀴놀론 알칼로이드 계통의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13C-NMR spectrum에서는 23개의 carbon signal이 관찰되었으며, 이 상의 기기분석 data와 문헌치를 비교하여 화합물 2는 디하이드로에보카르핀(dihydroevocarpine)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4는 무색의 오일상 형태로 얻어졌으며, 다른 화합물들과 같이 퀴놀론 알칼로이드 계통의 화합물임을 알 수 있는 EI-MS spectrum이 관찰되었다. 1H-NMR spectrum에서는 δ 5.34 (2H, m, H-10', -11' or -H-6',-7')의 olefinic proton이 관찰되어 side chain에 double bond가 하나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3C-NMR spectrum에서는 25개의 carbon signal이 관찰되었으며, 이 상의 기기분석 data와 문헌치를 비교하여 화합물 4는 [1-methyl-2-[(Z)-10-pentadecenyl]-4(1H)-quinolone과 1-methyl-2-[(Z)-6- pentadecenyl]-4(1H)-quinolone]의 mixture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1 (1-methyl-2-undecyl-4(1H)-quinolone)
(1) 물질의 성상: 무색의 분말
(2) 물질의 분자식과 분자량: C21H31NO, 313
(3) 수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300 MHz, CDCl3-d1, δ (ppm)]: 8.45 (1H, dd, J= 6, 2.1 Hz, 5-H), 7.37-7.66 (3H, m, 6-, 7-, 8-H), 6.24 (1H, s, H-3), 3.74 (3H, s, N-CH 3), 2.72 (2H, t, J= 7.5Hz, H-1'), 1.69 (2H, m, H-2'), 1.43 (2H, m, H-3'), 1.26 (14H, m, H-4'~10'), 0.88 (3H, t, J= 7.1Hz, H-11')
(4)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75 MHz, CDCl3-d1, δ(ppm)]: 177.9 (C-4), 154.7 (C-2), 142.0 (C-8a), 132.0 (C-7), 126.7 (C-5), 123.3 (C-6), 115.3 (C-8), 111.2 (C-3), 34.8 (C-1'), 34.1 (N-CH3), 31.9 (C-9'), 29.6 (C-7', 8'), 29.5 (C-6'), 29.3 (C-4', 5'), 29.3 (C-3'), 28.6 (C-2'), 22.7 (C-10'), 14.1 (C-11')
화합물 2 (evocarpine)
(1) 물질의 성상: 무색의 오일
(2) 물질의 분자식과 분자량: C23H33NO, 339
(3) 수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300 MHz, CDCl3-d1, δ (ppm)]: 8.44 (1H, dd, J= 8.1, 1.5 Hz, 5-H), 7.3-7.7 (3H, m, 6-, 7-, 8-H), 6.23 (1H, s, H-3), 5.34 (2H, m, H-8', -9'), 3.73 (3H, s, N-CH 3), 2.71 (2H, t, J= 7.7Hz, H-1'), 2.01 (4H, m, H-7', -10'), 1.68 (2H, m, H-2'), 1.44 (2H, m, H-3'), 1.32 (10H, m, H-4'~10'), 0.89 (3H, br t, J= 6.3Hz, H-13')
(4)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75 MHz, CDCl3-d1, δ(ppm)]: 177.8 (C-4), 154.6 (C-2), 142.0 (C-8a), 132.0 (C-7), 130.0 (C-9'), 129.6 (C-8'), 126.7 (C-5), 123.3 (C-6), 115.3 (C-8), 111.2 (C-3), 34.8 (C-1'), 34.1 (N-CH3), 32.0 (C-11'), 29.6 (C-6'), 29.2 (C-5'), 29.2 (C-4'), 29.1 (C-3'), 28.5 (C-2'), 27.1 (C-10'), 26.9 (C-7'), 22.3 (C-12'), 14.0 (C-13')
화합물 3 (Dihydroevocarpine)
(1) 물질의 성상: 무색의 분말
(2) 물질의 분자식과 분자량: C23H35NO, 341
(3) 수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300 MHz, CDCl3-d1, δ (ppm)]: 8.45 (1H, dd, J=8.1,1.5Hz,5-H), 7.35-7.69 (3H, m, 6-, 7-, 8-H), 6.25 (1H, s, H-3), 3.74 (3H, s, N-CH 3), 2.72 (2H, br t, J=7.8Hz,H-1'), 1.68 (2H, m, H-2'), 1.26-1.46 (20H, m, H-2'~10'), 0.88 (3H, br t, J=6.6Hz,H-13')
(4)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75 MHz, CDCl3-d1, δ(ppm)]: 178.1 (C-4), 154.7 (C-2), 142.0 (C-8a), 132.0 (C-7), 126.7 (C-5), 123.3 (C-6), 115.3 (C-8), 111.2 (C-3), 34.8 (C-1'), 34.1 (N-CH3), 31.9(C-11'), 29.6(C-7',8',9',10'), 29.5(C-6'), 29.3(C-3',4',5'), 28.6(C-2'), 22.8(C-12'), 14.1(C-13').
화합물 4 (1-methyl-2-[(Z)-10-pentadecenyl]-4(1H)-quinolone and 1-methyl-2-[(Z)-6-pentadecenyl]-4(1H)-quinolone)
(1) 물질의 성상: 무색의 오일
(2) 물질의 분자식과 분자량: C25H37NO, 367
(3) 수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300 MHz, CDCl3-d1, δ (ppm)]: 8.44 (1H, dd, J=8.1,1.5Hz,5-H), 7.34-7.69 (3H, m, 6-, 7-, 8-H), 6.24 (1H, s, H-3), 5.34 (2H, m, H-10', -11' or H-6', -7'), 3.74 (3H, s, N-CH 3), 2.71 (2H, br t, J=7.7Hz,H-1'), 2.01 (4H, m, H-7', -10'), 1.67 (2H, m, H-2'), 1.43 (2H, m, H-3'), 1.32 (13H, m, H-4'~14'), 0.89 (3H, m, H-15')
(4)탄소 핵자기 공명스펙트럼 [75 MHz, CDCl3-d1, δ(ppm)]: 177.9 (C-4), 154.7 (C-2), 142.0 (C-8a), 132.0 (C-7), 130.5 (C-11'), 129.9 (C-10'), 129.7 (C-7'), 129.1( C-6'), 126.7 (C-5), 123.3 (C-6), 115.3 (C-8), 111.2 (C-3), 34.8 (C- 1'), 34.1 (N-CH3), 32.0(C-13'), 29.7(C-8'), 29.4(C-6',7' or C-10',11'), 29.2(C-4',5'), 28.9(C-3'), 28.6(C-2'), 27.2(C-12'), 27.0(C-9'), 22.7 and 22.3(C-14'), 14.0 and 13.9(C-15').
실험예 1. sICAM -1과 THP - 1세포와의 결합저해 활성
재조합 sICAM-1 (R&D Systems, Abingdon, UK)을 10 μg/㎖ (in PBS)로 희석한 후, 96-well plate에 100 μl씩 넣고 4 ℃ 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PBS로 1회 washing하고, 10 mg/㎖ BSA를 100 μl 씩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blocking 하였다. THP-1 cells (1x107 cells/㎖)는 BCECF-AM (5 μM) 첨가 후 30~60분간 37℃에서 반응 시켰다. THP-1 cells을 PBS로 세척하고 LFA-1/2 항체 (500 ng/㎖)처리하여 37℃에서 10~20분간 반응시킨 후 THP-1 세포와 시료를 재조합 sICAM-1이 코팅되어 있는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μl 씩 넣고 37°C에서 30~6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결합 하지 않은 THP-1 세포들을 제거하고, PBS로 3회 세척하였다. PBS (1% Triton X-100)로 Cell을 가용화 시킨 뒤 형광 (ex. 485, em. 592)을 측정하였다.
오수유의 메탄올 추출물은 50 μg/㎖ 농도에서 sICAM-1과 THP-1세포와의 접착을 각각 40 % 저해하였다 (도 1). 또한, 그 분획물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50 및 25 μg/㎖의 농도에서 sICAM-1과 THP-1 세포와의 접착을 약 70 %, 2 5% 이상 저해하였다 (도 1). 오수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유래된 퀴놀론 알카로이드계 화합물들은 IC50 값이 각 각 37.6 μg/㎖ (화학식 2), 67.1 μg/㎖ (화학식 3) 및 15.0 μg/㎖ (화학식 4)로 측정되었으며, 화합물 1은 50 μg/㎖ 농도에서 sICAM-1과 THP-1 세포와의 접착을 각각 25.6 % 저해하였다 (도 2).
실험예 2. 화학식 4의 화합물의 리노바이러스에 대한 저해 효과 측정
화학식 4의 화합물의 리노바이러스 (HRV-14)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폐포 섬유아세포주(human lung fibroblast)인 WI-38 (ATCC: CCL-75)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WI-38 세포를 각 웰 당 1 X 105/ well 이 되도록 넣고 배지 EMEM (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μg, 10% FBS)로 배양하였다. WI-38 세포가 monolayer가 되면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HRV-14주를 각각 100 TCID50이 되도록 희석하여 EP 튜브에 담아 두었다. 여기에 DMSO (dimethylsulfoxide)로 희석한 화학식 4의 화합물이 최종 농도가 10 μM이 되도록 각 튜브에 넣은 후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1시간 후 미리 세척한 WI-38 세포에 한 농도 당 3 웰에 각각 접종하여 33℃에서 배양하였다. 감염대조군에서 완전히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가 나올 때 까지 3-4일간 배양하였다. 도립현미경으로 매일 세포 상태를 배율 50X 관찰하여 사진을 찍었다. 배양 3-4일 후 세포 생존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Cell Counting kit-8 (Dojin, Japan, tetrazolium salt WST-8)을 각 웰당 10 μl 씩 넣은 후 33℃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DMSO만 처리한 세포와 DMSO 및 HRV-14를 처리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나타내는 리노바이러스 저해 효과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학식 4의 화합물은 10 μM에서 98.8%의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표 1, virucidal assay).
시료 농도 (μM) Virucidal effect(%) CPE inhibition effect(%)
화합물 4 10 98.88±4.17 81.11±0.33
또한, 감염 후 화학식 4의 화합물의 바이러스 저해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생제만 포함된 EMEM 배지로 2회 세척한 WI-38 세포 리노바이러스(HRV-14)를 접종하여 1시간 동안 33℃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접종한 바이러스액을 모두 제거하고, 화학식 4의 화합물이 최종 농도가 10 μM 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여 바이러스가 접종된 WI-38 세포에 넣어주었다. 이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이 나타내는 리노바이러스 저해 효과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바이러스를 먼저 감염시키고 1시간 후에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투여한 경우 10 μM 에서 81.1% 억제 활성을 보였다. (표 1, CPE inhibition assay).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감기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 (HRV-14)에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예방효과도 함께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실험용 생쥐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독성 시험
6 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rat)를 군당 5 마리씩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0.5% 메틸셀룰로오즈 용액에 현탁하여 10 mg/kg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투여 하였다.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시료를 투여한 동물에서는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한 상기 화합물은 랫트에서 10 mg/k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 mg/kg 이상인 물질로 판단되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화학식 1-4의 화합물 0.1 g
유당 1.5 g
탈크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화학식 1-4의 화합물 0.1 g
락토스 7.9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g
총량 10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에 의해 정제를 제조한다. 각 정제의 총량은 500 ㎎이고, 그 중 유효성분의 함량은 50 ㎎이다.
제제예 3. 분말제의 제조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화학식 1-4의 화합물 0.1 g
옥수수전분 5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9 g
총량 10 g
상기에 나열된 성분들을 잘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한다. 경질 캡슐에 분말 500 ㎎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화학식 1-4의 화합물 0.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오수유 추출물 및 그 분획물 또는 화학식 1-4의 화합물 0.1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행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도 1은 오수유의 메탄올 추출물(MeOH)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EtOAc)이 가용성 ICAM-1 (sICAM-1) 및 THP-1 세포 간의 접착을 저해하는 저해활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오수유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 과 2의 화합물이 가용성 ICAM-1 (sICAM-1) 및 THP-1 세포 간의 접착을 저해하는 저해활성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아나필랙시스, 피부염,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염, 황반 변성, 포도막염, 결막염, 뇌졸증,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맥관염, 혈관협착, 가와사키병, 거대세포 동맥염,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알레르기, 당뇨, 당뇨성 신장병, 신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크론씨 병, 자가 면역 췌장염, 치주질환, 천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골반 염증 질환, 자궁내막염, 비염, 종양전이, 이식 거부 및 만성 전립선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리노바이러스, 말라리아 또는 HIV-1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11056934889-pat00005
  10. 삭제
  11.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아나필랙시스, 피부염,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염, 황반 변성, 포도막염, 결막염, 뇌졸증,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맥관염, 혈관협착, 가와사키병, 거대세포 동맥염,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알레르기, 당뇨, 당뇨성 신장병, 신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크론씨 병, 자가 면역 췌장염, 치주질환, 천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골반 염증 질환, 자궁내막염, 비염, 종양전이, 이식 거부 및 만성 전립선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리노바이러스, 말라리아 또는 HIV-1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Figure 112011056934889-pat00006
  12. 하기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 아나필랙시스, 피부염,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염, 황반 변성, 포도막염, 결막염, 뇌졸증,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맥관염, 혈관협착, 가와사키병, 거대세포 동맥염,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알레르기, 당뇨, 당뇨성 신장병, 신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크론씨 병, 자가 면역 췌장염, 치주질환, 천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골반 염증 질환, 자궁내막염, 비염, 종양전이, 이식 거부 및 만성 전립선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리노바이러스, 말라리아 또는 HIV-1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개인위생용품.
    Figure 112011056934889-pat00007
KR1020090069469A 2009-07-29 2009-07-29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18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69A KR101181216B1 (ko) 2009-07-29 2009-07-29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469A KR101181216B1 (ko) 2009-07-29 2009-07-29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68A KR20110011968A (ko) 2011-02-09
KR101181216B1 true KR101181216B1 (ko) 2012-09-07

Family

ID=4377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469A KR101181216B1 (ko) 2009-07-29 2009-07-29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745A (zh) * 2012-11-30 2013-03-20 邢强强 用于治疗中心性视网膜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2965A (zh) * 2011-10-24 2012-02-29 无锡济民可信山禾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响声作用的配方及制备方法
WO2014124209A1 (en) 2013-02-08 2014-08-14 General Mills, Inc. Reduced sodium food products
WO2014208799A1 (ko) * 2013-06-28 2014-12-3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오수유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알카로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751715A (zh) * 2014-01-11 2014-04-30 姜丽莎 一种治疗盆腔炎的中药组合物
CN103977258A (zh) * 2014-05-28 2014-08-13 李建萍 一种治疗症结痞块型盆腔炎的中药
KR101647489B1 (ko) * 2014-12-05 2016-08-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조성물
CN104491540A (zh) * 2014-12-19 2015-04-08 胡秀梅 一种治疗慢性盆腔炎的中药
CN104758767A (zh) * 2015-03-26 2015-07-08 王军红 一种治疗慢性前列腺炎的中药组合物
KR101725326B1 (ko) * 2015-04-23 2017-04-12 대한민국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슈덴 생산방법
CN104758859A (zh) * 2015-04-29 2015-07-08 王启先 一种治疗妇科炎症的中药
CN104800265B (zh) * 2015-05-11 2018-05-22 马常娥 治疗糖尿病足的药膏
KR101938711B1 (ko) * 2016-09-28 2019-01-17 대한민국 퀴놀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5356B1 (ko) * 2017-01-06 2018-06-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슈단-ⅶ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725329B1 (ko) * 2017-01-06 2017-04-12 대한민국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KR102188013B1 (ko) * 2018-07-25 2020-12-07 (주)옥천당 오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220918B1 (ko) * 2019-10-22 2021-0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오디아 파스퇴리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745A (zh) * 2012-11-30 2013-03-20 邢强强 用于治疗中心性视网膜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68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216B1 (ko) 오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퀴놀론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0954866B1 (ko) 호초로부터 분리된 세포접착저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염증성 질환 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095858A2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124361A (ko) 올레아놀린산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32066B1 (ko) 호장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79752B1 (ko)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41017B1 (ko) 세스퀴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stat3 매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54865B1 (ko) 필발로부터 분리된 세포접착저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염증성 질환 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8529637A (ja) ハマナスの花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il−6媒介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WO2001087869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saururus chinensis baill useful as and anticancer agent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673265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95613B1 (ko) 신규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초두구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1981517B1 (en) Herbal composition
KR101021244B1 (ko) 오수유로부터 분리된 세포접착저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하는 약학 조성물
KR101624640B1 (ko) 진세노사이드 f5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KR101009992B1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스틸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간접착인자-1로 매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33096B1 (ko) 데커신 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함유하는 혈관이완제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KR101056878B1 (ko) 신규 자스모네이트 유도체 및 이의 의약적 용도
CN115403545B (zh) 愈创木烷类倍半萜前药及其用途
KR20050006406A (ko) 홀아비꽃대로부터 추출한 시주카올 비를 함유하는동맥경화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US10329316B2 (en) Phenylpropanoid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1098952B1 (ko) 갈잎떨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0202B1 (ko)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54144B1 (ko) 신규한 디노익산 메틸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