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202B1 -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202B1
KR100830202B1 KR1020070136180A KR20070136180A KR100830202B1 KR 100830202 B1 KR100830202 B1 KR 100830202B1 KR 1020070136180 A KR1020070136180 A KR 1020070136180A KR 20070136180 A KR20070136180 A KR 20070136180A KR 100830202 B1 KR100830202 B1 KR 10083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lated
proxidine
preventing
composition
frax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철
박현
강경화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락시딘은 콕시디움, 즉 톡소포자층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물푸레나무, 프락시딘, 톡소포자충, 톡소플라즈마증

Description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fraxidin isolated from Fraxinus rhynchophyll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toxoplasmosis}
본 발명은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박종희, 한약백과도감(하), p768, 2002
[문헌 2] 쓰카모토 et al., Chem . Pharm . Bull ., 33, pp.4069-4073, 1985
[문헌 3]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s herbs , CRC Press, pp.176-177, 1999
[문헌 4] Jiang JH et a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 21(1), pp82-85, 2007
[문헌 5] Kim HS et al., Parasitol Int . 48(3), pp.271-4, 2000
콕시디움증(coccidiosis)은 콕시디움(coccidium)에 의한 감염증으로, 현재 소, 양, 토끼, 가금에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충성 질병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콕시디움증의 예방 및 치료제로는 항생제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치료효과가 비교적 낮고 항생제 내성균이 있으며, 잔류독성 문제가 있다.
톡소플라스마증은 톡소플라스마 원충에 의한 감염증으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숙주영역도 넓다. 즉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에서 조류에 이르기까지 숙주특이성이 극히 낮다. 이 원충은 세포내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 종숙주인 고양이의 장벽 상피세포에서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영위하며 고양이 이외의 동물은 모두 중간숙주로서 이들 체내에서는 무성생식만을 영위하는데 영양형이 거의 모든 장기에 침입하여 증식하고 마침내 씨스트형이 되어 주로 중추신경계나 근육내에서 장기간 생존을 계속한다.
인체감염에는 후천성 감염과 선천성 감염의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전자는 식육(食肉) 중에 들어있는 씨스트나 외계에 분산하여 흙이나 식품 중에 섞여있는 오시스트의 경구섭취에 의해서 발생하며, 그 증상으로는 전신감염형, 뇌척수염형, 심근염형, 림프절염형, 망막맥락막염형 등이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이 림프절염이다. 특히 최근에 면역부전자(immunodeficient patient)에 대한 발생이 주목되는데 그 중 호지킨스병(Hodgkin’s disease), 백혈병, 암, 장기 이식자 및 AIDS환자에서 상기 증상의 발생이 주목을 끌고 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전신권태가 초기 1~2주 사이에 있고 비장종대와 짧은 기간동안 발진이 있다. 장티프스 모양의 발진에서 심근염, 뇌염 그리고 폐염으로 발전하여 때때로 죽게 된다. 또 드물지만 처음부터 중추신경을 침범하여 죽는 수도 있다. 그 외에 망막에서 맥락막으로 파급되어 망막 맥락막염을 일으키는데 심한 경우에는 안구적출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성인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국소 혹은 전신적인 림프절염인데 경부에 흔히 발생한다. 후자의 경우는 톡소플라스마 원충에 감염된 임신부에서 태반을 통하여 태아에 감염된다. 임신중의 산모가 톡소플라스마 원충의 초감염을 받으면 모체는 무증상으로 경과하나 영양형의 충체가 태반을 통하여 태아에 이행하는 수가 있다. 이것이 임신 초기라면 감염율은 비교적 낮으나 중증아인 경우가 많고 임신 중기나 후기라면 감염율은 높으나 경증이거나 무증상의 감염아가 많다고 한다. 그 전신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황달, 빈혈, 간장과 비장의 종대 등이 있는데 감염아의 약 12%가 4년 내에 사망한다고 하며 생존자 중에도 정신박약, 소두증(microecphaly) 및 운동장애 등의 후유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현재 개발된 톡소플라즈마증의 치료제로는 설파(sulfa)제 또는 피리메타민(pyrimethamine) 등이 있지만, 이들에 대한 내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브라디조이트(bradyzoite) 단계의 톡소플라즈마 원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사람과 동물의 모든 세포에 부작용이 없고 내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살충효과가 탁월한 신종 항톡소포자충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세계적으로 부작용, 내성 및 독성은 줄이고 살충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대체품으로 천연물 치료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로 한국, 중국에 분포하며, 원통상으로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며 두께는 1~3cm이다. 바깥면은 회백색~회갈색~흑갈색으로 서로 혼합된 반점이 있으며, 약간 엉성하고, 안쪽면은 회백색~갈색으로 매끈하다.
물푸레나무의 줄기 껍질인 진피는 그 유효성분으로 에스큐린, 이스크레틴 및 타닌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약리작용으로는 건위제, 소염제 및 수렴제등이 알려져 있다(박종희, 한약백과도감(하), p768, 2002).
하지만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되는 프락시딘의 톡소플라즈마증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상기 문헌 중 어디에서도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항톡소포자층 효과를 갖는 물질을 조사하던 중 본 발명의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프락시딘이 톡소포자충 억제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로 표기되는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로 표기되는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항원충보조제를 제공한다.
Figure 112007092485953-pat00001
본원에서 정의되는 화합물은 물푸레나무의 줄기 껍질인 진피(秦皮, Fraxini Cortex)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톡소포자충의 대상동물은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류; 잉어, 금붕어 등의 어류; 및 꿩, 닭, 오리, 칠면조 등의 가금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건조된 물푸레나무 바람직하게는 물푸레나무의 줄기 껍질을 세절하여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5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메탄올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부탄올로 각각 추출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에서 수득한 디클로로메탄 용매 추출물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16 : 1(v/v))을 용출용매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분획으로 나누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의 분획물 중 첫 번째 분획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프락시딘을 수득하는 제 4단계의 제조 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톡소포자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증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 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은 톡소포자충에 대한 탁월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푸레나무로부터 프락시딘의 분리
본 실험에 사용된 건조된 물푸레나무의 줄기 껍질인 진피는 대학한약국(익산)에서 구입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30메시(mesh)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후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한 물푸레나무의 줄기 껍질 분말의 질량(1kg)에 3배의 100% 에탄올 용액을 가한 다음 100℃에서 3시간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였고 이 추출액을 여과 및 동결 건조하여 물푸레나무 조추출물(109g)을 수득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한 물푸레나무 조추출물(109g)을 증류수(1ℓ)에 현탁하여 분액깔대기에 넣은 후, 여기에 헥산(800 ㎖), 디클로로메탄(800 ㎖) 및 부탄올(800 ㎖)을 각각 순차적으로 가한 다음 진탕하여 각각의 가용부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물푸레나무의 헥산가용 추출물(20 g), 디클로로메탄 가용추출물(10 g), 부탄올 가용추출물(44 g) 및 물 가용추출물(30 g)을 수득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한 물푸레나무 디클로로메탄 가용추출물(10 g)을 실리카겔 컬럼에 걸고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16 : 1(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함에 따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들은 합하고 농축하여 4개의 분획(A~D)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분획물인 A(2.0g)를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20 : 1(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분리하여 화합물 1(259 mg)을 수득하였으며, 기기분석결과 하기 물성치를 갖는 프락시딘(fraxidin ; 6,7-dimethoxy-8-hydroxy coumarin)임을 확인하였다(쓰카모토 et al., Chem . Pharm . Bull ., 33, pp.4069-4073, 1985).
무색 분말(Colorless powder); (-)-ESI-MS m/z 221 [M-H]-
1H-NMR (DMSO-d6, 500 MHz) : 7.93 (1H, d, J = 9.6 Hz, H-4), 6.83 (1H, s, H-5), 6.36 (1H, d, J = 9.6 Hz, H-3), 3.81 (3H, s, 6-OCH3), 3.77 (3H, s, 7-OCH3)
13C-NMR (DMSO-d6, 125 MHz) : 160.6 (C-2), 115.1 (C-3), 145.2 (C-4), 100.8 (C-5), 149.6 (C-6), 140.6 (C-7), 138.8 (C-8), 139.0 (C-9), 114.9 (C-10), 56.5 (6-OCH3), 60.4 (7-OCH3).
참고예 1. 톡소포자충의 준비
톡소포자충(RH strain of Toxoplasma gondii , ATCC, No.50174)의 영양형(tachyzoite)은 KP100 CD-1 암컷 마우스(female mouse)에서 얻었다. 1× 106개의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을 4주령 KP100 CD-1 암컷 마우스 복강에 주입한 뒤, 4일 후 마우스를 경추 탈골하여 사망시켰다. 이후 2%의 FBS(GIBCO, Lot No. 1315128)를 함유한 RPMI 1640 배지(GIBCO, Lot No. 1346255) 5㎖을 복강에 주입하고 1분 30초 동안 가볍게 마사지 해줬다. 다시 복수액을 10㎖짜리 주사기로 전부 뽑아내고 5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은 버리고 상등액은 새로운 50㎖ 튜브에 옮겨서 500rpm에서 5분 동안 다시 원심분리 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다시 새로운 50㎖ 튜브에 옮겨 24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법으로 얻은 비교적 순수한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은 10%의 FBS를 함유한 RPMI 1640배지에 재부유시켰고 4℃에서 5 내지 6일 동안 보관할 수 있었다. 이중 일부는 생체 내(in vivo) 및 실험관 내(in vitro) 실험에 사용하였고 일부는 또 다시 새로운 KP100 CD-1 마우스에 주입하여 유지하였다(Young-ha Lee et al.,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42(4), pp185-193, 2004).
참고예 2. MDBK 세포 배양
MDBK 세포는 ATCC(CCL-22™)에서 구매하였으며 10% FBS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실험관 내( in vitro )에서 프락시딘의 항톡소포자충 활성 시험
실험관 내(in vitro)에서 프락시딘에 의한 항톡소포자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Jiang JH et a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1(1), pp.82-85, 2007).
상기 참고예 2의 MDBK 세포에 10% FBS가 함유된 RPMI 1640 배지를 첨가하여 8x103/㎖의 농도로 만든 후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37℃, 5%, CO2배양기에 배양하였다. 6시간 후, 배양액을 2% FBS가 함유된 새로운 RPMI 1640 배지로 교환하여 1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다음 MDBK세포를 톡소포자충으로 감염시키기 위해서 참고예 1의 방법으로 획득한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을 MDBK 세포수의 5배가 되게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상기 실시예 1의 프락시딘과 대조군인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SIGMA, China)을 톡소포자충으로 감염된 MDBK세포에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증식분석(PROMEGA, Lot No.: 22257902)을 실시하였다. 1시간 30분 후, 흡광광도계로 490㎚에서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여 시그모이달 커브(sigmoidal curve)를 작성한 다음 톡소포자충의 증식을 억제하는 농도(EC50; 50% 세포증식억제농도)를 산출하였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약효판정계수 선택성(selectivity)을 구하였으며(Hyun Park et al.,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 26(11), pp.1623-1624, 2003),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선택성(selectivity)
= MDBK 세포에 대한 각 시료의 EC50값/ T.gondii에 대한 각 시료의 EC50
EC50 in MDBK cell(μg/ml) EC50 in T. gondii (μg/ml) 선택성
프락시딘 1394 125 11.15
스피라마이신 2345 1819 1.29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락시딘은 MDBK 세포에서 대조군인 스피라마이신보다 8.64배의 선택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프락시딘이 실험관 내에서 탁월한 항톡소포자충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생체 내( in vivo )에서 프락시딘의 항톡소포자충 활성 시험
생체 내(in vivo)에서 프락시딘에 의한 항톡소포자충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Kim HS et al., Parasitol Int . 48(3), pp.271-4, 2000).
참고예 1의 방법으로 획득한 톡소포자충의 영양형(1×105개)을 4주령 KP100 CD-1 암컷 마우스의 복강에 주입하고 2시간 후부터 프락시딘을 150㎎/㎏/day로 연속 4일간 하루에 한 번씩 경구 투입하였다. 경구투여 4일째에 마우스를 경추탈골시켜 사망시킨 다음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강 내에 존재하는 비교적 순수한 톡소포자충의 영양형을 얻어 계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프락시딘은 생체 내에서 99.48%의 억제율을 보였다(도 1 참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프락시딘이 실험관 내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도 탁월한 항톡소포자충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프락시딘 (실시예 1)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프락시딘 (실시예 1)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프락시딘(실시예 1)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프락시딘 (실시예 1)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프락시딘 (실시예 1)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도 1은 생체 내(in vivo)에서 프락시딘에 의한 항톡소포자충 활성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4)

  1.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로부터 분리된 하기 구조식 (1)의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Figure 112007092485953-pat0000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물푸레나무의 줄기 껍질인 진피(秦皮, Fraxini Cortex)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4.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로부터 분리된 제 1항의 구조식 (1)로 표기되는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톡소포자충의 예방 및 치료용 항원충 보조제.
KR1020070136180A 2007-12-24 2007-12-24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3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80A KR100830202B1 (ko) 2007-12-24 2007-12-24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80A KR100830202B1 (ko) 2007-12-24 2007-12-24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294A Division KR100818361B1 (ko) 2006-11-25 2006-11-25 물푸레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증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0202B1 true KR100830202B1 (ko) 2008-05-19

Family

ID=3966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180A KR100830202B1 (ko) 2007-12-24 2007-12-24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69B1 (ko) 2016-07-12 2018-03-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461A (ja) * 2000-07-10 2002-01-23 Sumitomo Bakelite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461A (ja) * 2000-07-10 2002-01-23 Sumitomo Bakelite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板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J.Microbiol.Biotechnol. Vol.32, No.3, pp.277~281(2004), 배지현, "물푸레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농림부 연구보고서, (국회도서관 입고일: 2002.02.04), 강원대학교, 물푸레나무를 인용한 고기능성 약제 및 목질재료 개발에 관한 연구, p.6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69B1 (ko) 2016-07-12 2018-03-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4361A (ko) 올레아놀린산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060121132A1 (en) TNF-alpha production inhibitor comprising kavalactone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331784B1 (ko) 화학식 1 내지 8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485705B1 (ko) 향부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2335B1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파필로마바이러스(hpv) 감염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87951B1 (ko) 녹각 영지버섯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양성 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84633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3604B1 (ko) 칸디다 유틸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0202B1 (ko)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톡소플라즈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4760B1 (ko) 포볼 타입의 디테르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40184B1 (ko) 텍토리딘 또는 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818361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프락시딘을포함하는 톡소플라즈마증 치료용 조성물
KR101747696B1 (ko) 식용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7173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0048A (ko) 체불라닌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27643B1 (ko)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06124296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感染症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
KR100834444B1 (ko)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올레우로페인 화합물을 포함하는톡소플라즈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432749B1 (ko) 사철쑥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기부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106599A (ko) 헤디치움 코로나리움 유래 랍단 디터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3121321A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아사로이독사진 b의 용도
WO2022173247A2 (ko) 클로렐라(Chlorella sp.)추출물 및 이의 페오피틴화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수득한 폴피린계 또는 카로테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125376B (zh) 一种防治旋毛虫病的药物
CN108605932B (zh) 两种化合物在制备杀线虫药物中的应用
KR100839099B1 (ko)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바이러스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