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974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56974A KR20100056974A KR1020090110895A KR20090110895A KR20100056974A KR 20100056974 A KR20100056974 A KR 20100056974A KR 1020090110895 A KR1020090110895 A KR 1020090110895A KR 20090110895 A KR20090110895 A KR 20090110895A KR 20100056974 A KR20100056974 A KR 201000569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upper case
- instruction
- case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한 한 줄여, 전파의 수신 감도가 양호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테나와, 안테나의 인출을 지시하는 인출 지시에 따라, 그 안테나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기구와, 통신 기능에 관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 인출 기구에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지시부를 포함한다. 통신 기능에 관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행해지면, 인출 기구에 인출이 지시되어 케이스로부터 안테나가 자동적으로 인출된다. 이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안테나를 인출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전파의 수신 감도가 양호한 무선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테나를 포함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에는, 표준적인 통화 기능이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 등에 더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기능이나, 웹사이트를 열람하기 위한 브라우저 기능이나, TV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원세그(1seg)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는 단순히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에 머물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PC 및 TV를 대신하는 개인 전용의 다기능 단말로서 폭넓은 연령대가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통상의 TV나 PC는 표시 화면이 가로로 긴 형상인 데 비해, 휴대 전화기는 한 손에서의 그립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 전체가 세로로 긴 형상을 갖고 있고, 표시 화면도 세로로 긴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TV를 시청하는 경우 등에는, 표시 화면이 설치된 상부 케이스를 키 등이 배치된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다시 표시 화면에 대하여 화상을 가로 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눕힘으로써, 표시 화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화상을 크게 표시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기를 세로 방향으로 손에 쥔 채 TV를 시청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1에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위치 관계를 검출하여, 그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기술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것을 검출하여, 휴대 전화기의 동작 모드를 원세그 모드로 자동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키 등을 조작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2003-532351호 공보
그러나, 휴대 전화기는, 주위가 빌딩 등으로 둘러싸인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아, 고정 안테나를 이용하고 있는 통상의 TV와 비교하여 전파 상황이 불안정하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로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에는, 휴대 전화기의 동작 모드를 원세그 모드로 설정한 후, 케이스 내에 수용된 안테나를 인출해야 하여,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휴대 전화기로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포터블 휴대 단말 장치로 안테나를 사용한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딪히는 문제이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건에 개시된 휴대 단말 장치의 과제는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전파의 수신 감도가 양호한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는,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와,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테나와,
안테나의 인출을 지시하는 인출 지시에 따라, 안테나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기구와,
통신 기능에 관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 인출 기구에 인출 지시를 부 여하는 지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원세그 모드가 설정되는 등, 통신 기능에 관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가 행해지면, 인출 기구에 인출 지시가 주어져 케이스로부터 안테나가 자동적으로 인출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안테나를 인출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어, 전파의 수신 감도가 양호한 무선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건에 개시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한 한 줄임으로써, 전파의 수신 감도가 양호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휴대 전화기(100)에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성이나 전자 메일 등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에 더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기능이나, TV 프로그램을 열람하기 위한 원세그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00)는, 액정 패널(101)이 설치된 상부 케이스(100A)와,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하부 케이스(100B)와, 하부 케이스(100B)에 힌지 접속된 연결 부재(100C)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0A)는, 연결 부재(100C)를 통해,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화살표 B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0A)와 하부 케이스(100B)를 맞춘 것은 전술한 케이스의 일례에 해당한다.
하부 케이스(100B)의 상면에는, 각종 기능을 선택하거나 촬영할 때 셔터 버튼으로서 사용되는 선택 버튼(104),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누름 버튼(105) 및 소리를 내장된 마이크로폰에 전달하기 위한 수화구(106) 등이 포함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00B)의 일 측면에는,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안테나(300)가 장착되어 있다. 안테나(300)는 전술한 안테나의 일례에 해당한다.
연결 부재(100C)에는, 상부 케이스(100A)의 가장자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 센서(211)가 내장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00A)에는, 전화번호나 TV 프로그램이나 촬영 화상 등이 표시되는 액정 패널(101)이 설치되어 있고,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을 보내기 위한 송화구(102)가 포함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100A)에는, 상부 케이스(100A)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인 상태에서, 연결 부재(100C)의 자기 센서(211)와 대향하는 2곳에 자석(212, 213)이 내장되어 있다.
도 2는 상부 케이스(100A)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하부 케이스(100B)와 연결 부재(100C)의 표면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상부 케이스(100A)의 이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B)와 연결 부재(100C)는, 힌지 부(200)에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200)에는 상부 케이스(100A)가 맞닿는 맞닿음부(201)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 부재(100C)의 표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A)의 이면측에는 돌기(3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상부 케이스(100A)의 돌기(310)가, 도 2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100C)의 상하 홈(210)에 끼워짐으로써, 상부 케이스(100A)가 연결 부재(100C)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어서,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에는, 도 1에도 나타내는 안테나(300)나 자기 센서(211)에 더하여, CPU(110), ROM(111), 비휘발 메모리(112), RAM(113), 마이크 디바이스(121), 표시 디바이스(122), 스피커 디바이스(123), 키 디바이스(124), 카메라 디바이스(125), 시계(126), 근거리 통신 디바이스(131), 원거리 통신 디바이스(132), TV 디바이스(133), 매체 컨트롤러(140), 충전지(150) 및 안테나 인출부(310)가 나타나 있고, 이들 사이는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110)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휴대 전화기(100) 전체를 제어한다.
ROM(111)에는, CPU(110)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 등, 재기록 불가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비휘발 메모리(112)에는, 주소록이나 수신한 전자 메일 등, 재기록 가능하 며, 전력 공급이 정지되더라도 유지되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RAM(113)은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동안에만 정보가 유지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CPU(110)는 ROM(111)이나 비휘발 메모리(11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13) 상에 전개하여, RAM(113)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면서 실행한다.
마이크 디바이스(121)는 사용자의 소리를 픽업하는 마이크로폰 및 그 마이크로폰으로 픽업된 소리를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다.
스피커 디바이스(123)는 사용자를 향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그 스피커를 구동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블록이다.
근거리 통신 디바이스(131)는 근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에 화상이나 전화번호 등을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등이 채택된다.
원거리 통신 디바이스(132)는 안테나(300)를 사용한 음성 데이터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등을 담당한다. 원거리 통신 디바이스(132)에서는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카메라 디바이스(125)는 사진 촬영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수집을 담당하는 블록이고, 표시 디바이스(122)는 LCD(101)(도 1 참조)에의 화상 표시를 담당하는 블록이며, 키 디바이스(124)는 사용자에 의한 각종 조작 키(104, 105)(도 1 참조)의 키 조작을 검출하는 블록이고, 시계(126)는 현재 시각을 취득하기 위한 블록이다.
TV 디바이스(133)는 안테나(300)에서 수신한 전파를 튜너로 디지털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그램 데이터가 나타내는 TV 프로그램을 액정 패널(101)(도 1 참조)에 표시하는 블록이다.
안테나 인출부(310)는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원세그 모드의 설정에 따라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안테나(300)를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 인출부(31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안테나 인출부(310)는 전술한 인출 기구의 일례에 해당한다.
매체 컨트롤러(140)는 기록 매체(141)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카메라 디바이스(125)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등을 기록 매체(141)에 기록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100)에 있어서, 외관 및 하드웨어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휴대 전화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세그 모드가 설정되면, TV 디바이스(133)가 기동하여 LCD(101)에 TV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원세그 기능이 실행되고,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자동적으로 안테나(300)가 인출된다.
도 5는 원세그 모드가 설정되고 나서 안테나(300)가 인출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100)를 조작하여 원세그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면, CPU(110)에서 휴대 전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된다(도 5의 단계 S1).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100)의 상부 케이스(100A)를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 하여 기울임으로써, 휴대 전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된다.
도 6은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부 케이스(100A)가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여지지 않은 기립 상태에서는(도 6의 단계 S11), 상부 케이스(100A)에 설치된 2개의 자석(212, 213)은 연결 부재(100C)에 설치된 자기 센서(211)와 대향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기립 상태에서는, 자기 센서(211)에서 자장이 검지되지 않는다.
상부 케이스(100A)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우선 돌기(310)가 상하 홈(210)으로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도 6의 단계 S12). 상부 케이스(100A)를 회전시키면, 좌하측 모퉁이가 연결 부재(100C)의 맞닿음부(201)에 의해 안내되고, 돌기(310)가 상하 홈(210)으로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 케이스(100A)가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좌측으로 눕혀진다(도 6의 단계 S14). 단계 S14에 나타낸 좌측으로 눕혀진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00A)의 좌측에 설치된 자석(212)이 자기 센서(211)와 대향하여, 자기 센서(211)에서 자석(212)의 자장이 검지된다.
또, 상부 케이스(100A)를 우측으로 기울인 경우, 돌기(310)가 상하 홈(210)으로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고(도 6의 단계 S13), 상부 케이스(100A)를 회전시키면, 이번에는 돌기(310)가 상하 홈(210)으로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 케이스(100A)가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우측으로 눕혀진다(도 6의 단계 S15). 단계 S15에 나타낸 우측으로 눕혀진 상태에서는, 상부 케이 스(100A)의 우측에 설치된 자석(213)이 자기 센서(211)와 대향하여, 자기 센서(211)에서 자석(213)의 자장이 검지된다.
이상과 같이, 상부 케이스(100A)가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어지면, 자석(212, 213)이 자기 센서(211)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자기 센서(211)에서 자장이 검지된다. 즉, 자기 센서(211)에서 자장이 검지됨으로써, 상부 케이스(100A)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자기 센서(211)는 자석(212, 213)의 자장을 검지하면, CPU(110)에 검지 결과를 보낸다. CPU(110)에서는, 자기 센서(211)로부터 검지 결과가 취득됨으로써 상부 케이스(100A)의 회전이 검출되고, 휴대 전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된다. CPU(110)는 전술한 지시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기동 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시부는, 기동 검지부에 의한 통신 기능의 기동 검지에 따라,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이 휴대 단말 장치의 응용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통신 기능의 기동을 조작함으로써 안테나의 인출 지시도 자동적으로 줄 수 있어, 안테나를 인출하기 위한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자기 센서(211)와 자석(212, 213)을 맞춘 것은 전술한 기동 검지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는, 표시 화면을 포함한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개폐 가 능 및 표시 화면의 면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기동 검지부는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 검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회전 검지 센서에서 검지함으로써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것인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종래부터, TV를 시청하는 원세그 모드에서는,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하여 표시 화면이 가로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이 많다. 이 바람직한 휴대 단말 장치의 응용 형태에 의하면, 상부 케이스의 회전이 검지됨으로써 원세그 모드의 기동이 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 화면의 방향을 맞추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원세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0A)는 전술한 상부 케이스의 일례에 해당하고, 하부 케이스(100B)는 전술한 하부 케이스의 일례에 해당하며, 자기 센서(211)는 전술한 회전 검지 센서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 상기 회전 검지 센서가 자기 센서인 응용 형태도 바람직하다.
회전 검지 센서로서 자기 센서가 사용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검지할 수 있다. 자기 센서(211)는 전술한 자기 센서의 일례에 해당한다.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눕힘으로써, 휴대 전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되면, CPU(110)로부터 TV 디바이스(133) 및 안테나 인출부(310)에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가 주어진다(도 5의 단계 S1).
TV 디바이스(133)는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에 따라 LCD(101) 상에 TV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안테나 인출부(310)는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에 따라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안테나(300)를 인출한다.
도 7은 안테나(300) 및 안테나 인출부(310)의 구성도이다.
도 7의 (A)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7의 (B)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는 선단부(301), 중앙부(302) 및 후단부(303)로 구성되어 있고, 후단부(303)가 안테나 인출부(310)에 유지되어 있다. 또, 안테나 인출부(310)는 안테나(300)에 인출 방향 A를 향해 힘을 가하는 스프링(314)과, 안테나(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형 부재(313)와, 안테나(300)의 이동을 제지하는 고정 기구(312)와, 고정 기구(312)를 해제하는 해제부(311)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안테나(300)의 후단부(303)는 안테나 인출부(310)의 통형 부재(313) 내에 삽입되어 있고, 스프링(314)에 의해 후단에 힘이 가해진다. 또, 안테나(300)의 중앙부(302)는 후단부(303)에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또한, 선단부(301)는 중앙부(302)에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의 후단부(303)가 스프링(31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통형 부재(313) 안쪽으로 들어가 있고, 안테나 인출부(310)의 고정 기구(312)에 의해 후단부(303) 및 중앙부(302)가 잠겨져 이동이 제지된다.
안테나 인출부(310)에서는, CPU(110)로부터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가 주어지면, 해제부(311)에 의해 고정 기구(312)가 움직여 잠금이 해제된다. 그 결과,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의 후단부(303)가 스프링(314)의 스프링력에 의해 통형 부재(313)를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힘에 의해 안테나(300)의 중앙부(302)가 후단부(303)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안테나(300)의 선단부(301)가 중앙부(302)로부터 돌출된다. 이렇게 하여,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의 외부로 인출된다(도 5의 단계 S4).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대하여,
상기 인출 기구가, 안테나에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부재와, 안테나의 인출을 제지하는 제지 부재와, 인출 지시에 따라 제지 부재에 의한 안테나의 인출 제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포함한 것인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고, 또한
가압 부재는, 일단측이 케이스에 고정되고, 일단측에 대한 타단측에서 안테나에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인 응용 형태도 바람직하다.
스프링 등에 의해 안테나에 힘을 가하고,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에 따라서, 안테나의 인출을 제지하는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용이하게 안테나를 인출할 수 있다. 스프링(314)은 전술한 가압 부재 및 스프링 각각의 일례에 해당하고, 고정 기구(312)는 전술한 제지 부재의 일례에 해당하고, 해제부(311)는 전술한 해제 수단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 사용자가 안테나(300)의 선단부(301)에, 스프링(31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힘을 가하면, 선단부(301)가 중앙부(302)에 수용되고, 중앙부(302)가 후단부(303)에 수용된다. 또한, 안테나 인출부(310)의 고정 기구(312)에 의해 후단부(303) 및 중앙부(302)가 잠김으로써,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이면, 원세그 기능이 기동되고,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자동적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안테나(300)를 인출하는 수고를 줄임으로써, 전파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제1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자기 센서(211) 대신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가 포함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_2)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휴대 전화기(100_2)의 연결 부재(100C)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의 자기 센서(211) 대신 포토 인터럽터(211_2)가 내장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100A)에는 2개의 자석(212, 213) 대신 적외선 다이오드(212_2, 213_2)가 내장되어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A)가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여지지 않은 기립 상태에서는, 2개의 적외선 다이오드(212_2, 213_2)가 모두 포토 인터럽터(211_2)와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포토 인터럽터(211_2)에서는 적외선이 수광되지 않는다.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눕히면,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선 다이오드(212_2, 213_2) 중 눕히는 방향에 따른 적외선 다이오드가 포토 인터럽터(211_2)와 대향한다. 이 도 8의 (B)에서는, 상부 케이스(100A)가 좌측으로 눕혀짐으로써, 좌측의 적외선 다이오드(212_2)가 포토 인터럽터(211_2)와 대향하여, 포토 인터럽터(211_2)에서 적외선이 수광된다.
포토 인터럽터(211_2)에서는, 적외선이 수광되면 상부 케이스(100A)가 회전되었다는 정보가 CPU(110)에 전달되고, CPU(110)에서는 휴대 전화기(100)의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된다.
여기서, 회전 검지 센서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의 응용 형태에 있어서, 회전 검지 센서는 포토 인터럽터인 것도 바람직하다.
포토 인터럽터(211_2)는 전술한 포토 인터럽터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포토 인터럽터(211_2)와 적외선 다이오드(212_2)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부 케이스(100A)의 회전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2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3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는, 자기 센서(211) 대신 기울기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 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_3)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휴대 전화기(100_3)의 연결 부재(100C) 및 상부 케이스(100A)에는, 기울기를 검지하는 기울기 센서(214, 215)가 내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100C)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214)에서는 휴대 전화기(100_3) 전체의 기울기가 검지되고, 상부 케이스(100A)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215)에서는 휴대 전화기(100_3) 전체가 기울여진 경우에 더하여, 상부 케이스(100A)가 회전되는 것에 의한 기울기도 검지된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A)가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은 기립 상태에서는, 2개의 기울기 센서(214, 215)에서 기울기가 검지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9의 (A)에 나타내는 기립 상태의 휴대 전화기(100_3)를 떨어뜨린 경우, 상부 케이스(100A), 하부 케이스(100B) 및 연결 부재(100C)가 일체적으로 기울기 때문에, 2개의 기울기 센서(214, 215) 각각에서 기울기가 검지된다. 기울기 센서(214, 215)의 검지 결과는 CPU(110)에 전달된다. CPU(110)에서는, 2개의 기울기 센서(214, 215) 양쪽으로부터 검지 결과가 전달된 경우는 원세그 모드가 설정되지 않는다.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눕히면,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00B)와 연결 부재(100C)는 기울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연결 부재(100C)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214)에서는 기울기가 검지되지 않고, 상부 케이스(100A)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215)에서만 기울기가 검지된다. CPU(110) 에서는, 상부 케이스(100A)의 기울기 센서(215)에서만 기울기가 검지된 경우에, 상부 케이스(100A)의 회전이 검출되고, 휴대 전화기(100_3)의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된다.
여기서, 회전 검지 센서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의 응용 형태에 있어서, 회전 검지 센서는 하부 케이스에 포함된 하부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제1 기울기 센서와, 상부 케이스에 포함된 상부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제2 기울기 센서로 이루어지고, 제1 기울기 센서에서 기울기가 검지되지 않고 제2 센서에서 기울기가 검지된 경우에,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검지하는 것인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연결 부재(100C)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214)는 전술한 제1 기울기 센서의 일례에 해당하고, 상부 케이스(100A)에 내장된 기울기 센서(215)는 전술한 제2 센서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A)에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하부 케이스(100B)나 연결 부재(100C)에도 기울기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00A)의 회전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3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4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4 실시형태는, 자기 센서(211) 대신 기계 스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_4)에서의 상부 케이스(100A_4)와 연결 부재(100C_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_4)에서는, 상부 케이스(100A_4)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구멍(100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 부재(100C_4)의, 도 6의 단계 S11에 나타내는 기립 상태에서 구멍(1001)과 대응하는 위치에 기계 스위치(1002)가 장착되어 있다.
도 11은 상부 케이스(100A_4)를 하부 케이스(100B_4)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기립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100C_4)에 장착된 기계 스위치(1002)가 상부 케이스(100A_4)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1001)에 삽입되어 있고, 기계 스위치(1002)는 눌러지지 않았다.
상부 케이스(100A_4)를 하부 케이스(100B_4)에 대하여 기울이면,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스위치(1002)가 상부 케이스(100A_4)에 의해 눌러진다.
여기서, 회전 검지 센서를 갖는 휴대 단말 장치의 응용 형태에 있어서, 회전 검지 센서는 기계 스위치인 것도 바람직하다.
기계 스위치(1002)는 전술한 기계 스위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기계 스위치(1002)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부 케이스(100A_4)의 회전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4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5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5 실시형태는 선택 버튼(104)이 조작됨으로써 안테나(300)의 인출이 지시되는 점 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1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100A)를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동작 모드가 원세그 모드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10)로부터 TV 디바이스(133)와 표시 디바이스(122)에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가 주어지지만, 안테나 인출부(310)에는 기동 지시가 전달되지 않는다.
TV 디바이스(133)는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에 따라서 LCD(101) 상에 TV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표시 디바이스(122)는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에 따라서 LCD(101) 상에 안테나 인출 버튼을 표시한다.
도 12는 TV 프로그램이 표시된 LCD(101)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CD(101) 상의 TV 영역(101A)에는 TV 프로그램이 표시되어 있고, TV 영역(101A)의 바깥에 안테나 인출 버튼(101_B)도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도 1에 나타내는 선택 버튼(104)을 사용하여 안테나 인출 버튼(101_B)을 선택하면, 선택 내용이 키 디바이스(124)를 통해 CPU(110)에 전달된다.
CPU(110)는 안테나 인출 버튼(101_B)의 선택에 따라, 안테나 인출부(310)에 안테나(300)의 인출을 지시한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조작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한 것이며,
기동 검지부가 복수의 키 중 미리 정해진 키의 조작에 따라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선택 버튼(104)은 전술한 키의 일례에 해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세그 모드 설정시가 아니라,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서 안테나를 자동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5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6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6 실시형태는, 안테나(300)의 수신 상태에 따라 안테나(300)의 인출이 지시되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원세그 모드 설정시가 아니라, 휴대 전화기로 TV 시청, 전자 메일의 송수신, 웹사이트의 열람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사용하는 중에 안테나(300)의 수신 레벨이 저하되었을 때에 안테나(300)의 인출이 지시된다.
도 13은 안테나(300)가 인출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300)에 수신 강도를 검지하는 수신 강도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수신 강도 센서에서는, 휴대 전화기로 통신 기능을 사용하는 중에, 미리 정해진 타이밍마다 수신 강도가 검지되어 검지 결과가 CPU(110)에 전달된다. 이 수신 강도 센서는, 종래부터 휴대 전화기에 일반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PU(110)에서는, 미리 정해진 타이밍마다 송신되는 검지 결과가 취득되고(도 13의 단계 S21), 검지 결과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이 비교된다.
안테나(300)의 수신 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상인 경우는(도 13의 단계 S22 : No), 다음 검지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 대기된다(도 13의 단계 S25).
또, 안테나(300)의 수신 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안테나(300)에서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도 13의 단계 S22 : Yes), 그 상태가 계속되면(도 13의 단계 S23), CPU(110)로부터 안테나 인출부(310)에 안테나(300)의 인출이 지시된다(도 13의 단계 S24).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레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레벨 이하인 것을 검지하는 레벨 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시부가 레벨 검지부에 의한 검지에 따라 인출 기구에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안테나(300)의 수신 강도를 검지하는 수신 강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전술한 레벨 검지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전파의 수신 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 안테나(300)의 인출이 지시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로 통신하는 중에 전파 상태가 나쁜 장소로 이동한 경우 등에, 자동적으로 안테나(300)를 인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6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7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7 실시형태는, 안테나(300)를 인출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는,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스프링(314)의 스트링력을 사용한 안테나 인출부(310) 대신 압축 기체에 의한 압박력을 사용한 안테나 인출부(310_7)(도 14 참조)가 포함되어 있다.
도 14는 안테나(300) 및 안테나 인출부(310_7)의 구성도이다.
도 14의 (A)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4의 (B)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인출부(310_7)는, 도 7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안테나 인출부(310)와 마찬가지로, 통형 부재(313)와 고정 기구(312)와 해제부(311)가 포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인출부(310_7)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스프링(314)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통형 부재(313) 및 압축 펌프(315) 내에 공기가 밀폐되어 있다.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의 후단부(303)가 통형 부재(313) 안쪽으로 들어감으로써, 통형 부재(313) 내의 공간(P)에 밀폐된 공기가 압축된다. 그 결과, 공간(P) 내의 공기에 의해 안테나(300)에 인출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 고, 안테나 인출부(310_7)의 고정 기구(312)에 의해 안테나(300)의 후단부(303)와 중앙부(302)가 잠긴다.
또, CPU(110)로부터 안테나 인출부(310_7)에 원세그 기능의 기동 지시가 주어지면, 도 7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안테나 인출부(310)와 마찬가지로, 해제부(311)에 의해 고정 기구(312)가 움직여 잠금이 해제된다. 그 결과,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P) 내의 압축 공기에 의해 안테나(300)의 후단부(303)에 힘이 가해지고,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의 외부로 인출된다.
안테나(300)를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안테나(300)의 선단부(301)를 인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누르면, 안테나(300)의 선단부(301)가 중앙부(302)에 수용되고, 중앙부(302)가 후단부(303)에 수용되며, 안테나 인출부(310_7)의 고정 기구(312)에 의해 후단부(303)와 중앙부(302)가 잠긴다.
여기서, 가압 부재와 제지 부재와 해제 수단을 갖는 인출 기구가 포함된 휴대 단말 장치의 응용 형태에 대하여, 상기 가압 부재는, 안테나의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부재와, 통부재 내에 밀폐되어 안테나의 수용에 의해 압축된 기체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 부재(313)는 전술한 통부재의 일례에 해당하고, 공간(P) 내에 밀폐된 공기는 전술한 기체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 대신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장치의 복잡화를 억제하여 안테나(3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7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8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8 실시형태도,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만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는, 스프링(314)의 스프링력을 사용한 제1 실시형태의 안테나 인출부(310) 대신, 전자석을 사용한 안테나 인출부(310_8)(도 15 참조)가 포함되어 있다.
도 15는 안테나(300) 및 안테나 인출부(310_8)의 구성도이다.
도 15의 (A)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5의 (B)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인출부(310_8)는 통형상을 갖는 통형 부재(313)의 후단에 전자석(316)이 장착되어 있고, 안테나(300)는 후단부(303)의 후단에 자석(317)이 장착되어 있다.
안테나 인출부(310_8)에서 안테나(300)를 인출하는 지시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는,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가 통형 부재(313) 내에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100A)를 회전시켜 원세그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거나, 안테나(300)에서의 전파의 수신 강도가 저하된 경우 등에는, CPU(110)로부터 안테나 인출부(310_8)를 향해 안테나(300)를 인출하는 지시가 주어진다. 안 테나 인출부(310_8)에서는, 전자석(316)과 자석(317)이 서로 반발하도록, 전자석(316)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제어되어 전자석(316)의 극성이 조정된다. 그 결과,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316)과 자석(317)이 반발하여 안테나(300)가 인출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밀려나와,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의 외부로 인출된다.
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100A)를 원래로 되돌려 하부 케이스(100B)에 대하여 기립시키면, CPU(110)로부터 안테나 인출부(310_8)를 향해 안테나(300)를 수용하는 지시가 주어진다.
안테나(300)를 수용하는 지시가 취득되면, 안테나 인출부(310_8)에서는, 전자석(316)과 자석(317)이 서로 끌어당기도록, 전자석(316)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제어되어 전자석(316)의 극성이 반전된다. 그 결과,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석(316)과 자석(317)이 서로 끌어당겨 안테나(300)가 수용 방향(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인장되어,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기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인출 기구가 통전되어 통전 방향을 따라 안테나를 인출 방향 및 수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인출 기구가, 안테나에 고정된 자석과, 케이스에 고정된, 통전 방향을 따라 자기를 반전시킴으로써 자석과 서로 끌어당기거나 또는 서로 반발하는 전자석을 포함한 것은 바람직하다.
자석(317)은 전술한 자석의 일례에 해당하고, 전자석(316)은 전술한 전자석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안테나(300)에 자석(317)을 장착하고, 안테나 인출부(310_8)에 전자석(316)을 장착하여, 안테나(300)의 수용 지시 및 인출 지시에 따라서 전자석(316)의 자극을 조정함으로써, 안테나(300)를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고, 안테나(300)를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자동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제8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고, 제9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제9 실시형태도,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만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는, 스프링(314)의 스프링력을 사용한 제1 실시형태의 안테나 인출부(310) 대신, 롤러를 사용한 안테나 인출부(310_9)(도 16 참조)가 포함되어 있다.
도 16은 안테나(300') 및 안테나 인출부(310_9)의 구성도이다.
도 16의 (A)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16의 (B)에는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 인출부(310_9)에는, 통전 방향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318)와, 롤러(318)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형 부재(319)가 포함되어 있다. 안테나 인출부(310_9)의 통형 부재(319)와 안테나(300')의 후단부(303')와의 사이에는 캠 기구가 설치되고 있고, 통형 부재(319)가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면, 안테나(300')는 그 반대인 화살표 B' 방향 또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CPU(110)로부터 안테나 인출부(310_9)를 향해 안테나(300')를 인출하는 지시가 주어지면, 안테나 인출부(310_9)에서는, 롤러(31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통형 부재(319)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가 통형 부재(319)와는 반대인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의 외부로 인출된다.
또, CPU(110)로부터 안테나 인출부(310_9)를 향해 안테나(300')를 수용하는 지시가 주어지면, 안테나 인출부(310_9)에서는, 롤러(31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통형 부재(319)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테나(300')가 통형 부재(319)와는 반대인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테나(300')가 하부 케이스(100B)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통전되어 안테나를 인출 방향과 수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인출 기구가 포함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상기 인출 기구가, 통전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롤러와 안테나의 쌍방에 연결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른 방향으로 안테나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응용 형태는 바람직하다.
롤러(318)는 전술한 롤러의 일례에 해당하고, 통형 부재(319)는 전술한 이동 수단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롤러(318)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안테나(30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안테나(300')를 자동으로 인출 및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에서는, 전술한 휴대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기가 제시되었지만, 이 휴대 단말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휴대형 게임기 등이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 관해 부기한다.
(부기 1)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의 인출을 지시하는 인출 지시에 따라, 그 안테나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기구와,
상기 통신 기능에 관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지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 2)
미리 정해진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기동 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기동 검지부에 의한 그 통신 기능의 기동 검지에 따라, 상기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3)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레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레벨 이하인 것을 검지하는 레벨 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레벨 검지부에 의한 검지에 따라, 상기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4)
상기 인출 기구는, 상기 안테나에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부재와, 그 안테나의 인출을 제지하는 제지 부재와, 상기 인출 지시에 따라 그 제지 부재에 의한 상기 안테나의 인출 제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5)
상기 가압 부재는, 일단측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그 일단측에 대한 타단측에서 상기 안테나에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6)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안테나의 상기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부재와, 그 통부재 내에 밀폐되어 그 안테나의 수용에 의해 압축된 기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7)
상기 인출 기구는, 통전되어 그 통전 방향을 따라 상기 안테나를 인출 방향 및 수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휴대 단 말 장치.
(부기 8)
상기 인출 기구는, 상기 안테나에 고정된 자석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통전 방향을 따라 자기를 반전시킴으로써, 그 자석과 서로 끌어당기거나 또는 서로 반발하는 전자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9)
상기 인출 기구는, 통전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그 롤러와 상기 안테나의 쌍방에 고정되고, 그 롤러의 회전에 따른 방향으로 그 안테나를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0)
상기 케이스는, 표시 화면을 포함한 상부 케이스와, 그 상부 케이스를 개폐 가능하게 그리고 그 표시 화면의 면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기동 검지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검지하는 회전 검지 센서를 포함하고, 그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그 회전 검지 센서에서 검지함으로써 상기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1)
상기 회전 검지 센서는 자기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2)
상기 회전 검지 센서는 기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3)
상기 회전 검지 센서는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4)
상기 회전 검지 센서는, 상기 하부 케이스에 포함된 그 하부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제1 기울기 센서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포함된 그 상부 케이스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제2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고, 그 제1 기울기 센서에서 기울기가 검지되지 않고 그 제2 센서에서 기울기가 검지된 경우에, 그 상부 케이스의 회전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 15)
상기 케이스는 조작에 따른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기동 검지부는 상기 복수의 키 중의 미리 정해진 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도 1은 휴대 단말 장치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하부 케이스와 연결 부재의 표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부 케이스의 이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원세그 모드가 설정되고 나서 안테나가 인출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안테나 및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4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상부 케이스와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형태의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에서 TV 프로그램이 표시된 LCD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6 실시형태에서 안테나가 인출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 흐름을 나 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7 실시형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제8 실시형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제9 실시형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인출부의 구성도이다. .
(부호의 설명)
100 : 휴대 전화기 100A : 상부 케이스
100B : 하부 케이스 100C : 연결 부재
101 : 액정 패널 102 : 송화구
104 : 선택 버튼 105 : 누름 버튼
106 : 수화구 110 : CPU
111 : ROM 112 : 비휘발 메모리
113 : RAM 121 : 마이크 디바이스
122 : 표시 디바이스 123 : 스피커 디바이스
124 : 키 디바이스 125 : 카메라 디바이스
126 : 시계 131 : 근거리 통신 디바이스
132 : 원거리 통신 디바이스 133 : TV 디바이스
140 : 매체 컨트롤러 141 : 기록 매체
150 : 충전지 211 : 자기 센서
300 : 안테나 310 : 안테나 인출부
Claims (5)
-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케이스와,상기 케이스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테나와,상기 안테나의 인출을 지시하는 인출 지시에 따라, 그 안테나를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인출 기구와,상기 통신 기능에 관한 미리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지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조작에 따라 상기 통신 기능의 기동을 검지하는 기동 검지부를 가지며,상기 지시부는 상기 기동 검지부에 의한 그 통신 기능의 기동 검지에 따라, 상기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수신 레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레벨 이하인 것을 검지하는 레벨 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레벨 검지부에 의한 검지에 따라, 상기 인출 기구에 상기 인출 지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기구는, 상기 안테나에 인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 부재와, 그 안테나의 인출을 제지하는 제지 부재와, 상기 인출 지시에 따라 그 제지 부재에 의한 상기 안테나의 인출 제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기구는 통전되어 그 통전 방향을 따라 상기 안테나를 인출 방향 및 수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296204 | 2008-11-20 | ||
JP2008296204A JP2010124253A (ja) | 2008-11-20 | 2008-11-20 | 携帯端末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6974A true KR20100056974A (ko) | 2010-05-28 |
KR101115208B1 KR101115208B1 (ko) | 2012-02-24 |
Family
ID=4217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0895A KR101115208B1 (ko) | 2008-11-20 | 2009-11-17 | 휴대 단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24952A1 (ko) |
JP (1) | JP2010124253A (ko) |
KR (1) | KR101115208B1 (ko) |
CN (1) | CN101741937A (ko) |
TW (1) | TW20102599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313A (ko) * | 2021-01-27 | 2022-08-03 | 에이피위성 주식회사 | 위성폰의 노출 방지형 안테나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40577B2 (en) * | 2009-09-24 | 2012-12-25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Communications device using electromagnet and activated communications circuit |
FR2955700B1 (fr) * | 2010-01-28 | 2012-08-17 | St Microelectronics Crolles 2 | Photodiode de capteur d'image |
CN106252817A (zh) * | 2016-07-28 | 2016-12-21 | 芜湖辉灿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调整式手机天线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3219A (ja) * | 1994-07-06 | 1996-01-23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コードレス電話機 |
JPH08222925A (ja) * | 1995-02-13 | 1996-08-30 | Nippon Denki Ido Tsushin Kk | 折畳み式携帯電話機 |
KR100288128B1 (ko) * | 1997-09-30 | 2001-05-02 | 윤종용 |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 자동 인출/인입 장치 및 방법 |
JPH11146047A (ja) * | 1997-11-13 | 1999-05-28 | Nec Saitama Ltd | 携帯電話機 |
JP2000184059A (ja) * | 1998-12-15 | 2000-06-30 | Nec Corp | 携帯電話機用アンテナの自動伸縮の方法とその携帯電話機 |
JP2000183619A (ja) * | 1998-12-17 | 2000-06-30 | Denso Corp | 携帯電話装置 |
KR20000060421A (ko) * | 1999-03-15 | 2000-10-16 | 구관영 | 통화상태 검출에 의한 단말기 안테나 자동 인출장치 |
JP2001102851A (ja) * | 1999-09-28 | 2001-04-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移動体端末装置 |
US6658272B1 (en) * | 2000-04-28 | 2003-12-02 | Motorola, Inc. |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
JP2001332915A (ja) * | 2000-05-24 | 2001-11-3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アンテナ伸縮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携帯電話装置 |
JP2002271462A (ja) * | 2001-03-12 | 2002-09-20 | Kyocera Corp | 携帯端末 |
JP2003008715A (ja) * | 2001-06-21 | 2003-01-10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携帯用通信機 |
JP2003283623A (ja) * | 2002-03-26 | 2003-10-03 | Nec Saitama Ltd | 携帯電話装置 |
JP2003298324A (ja) * | 2002-04-03 | 2003-10-17 | Pixen Inc | 無線機の自動アンテナ伸張装置 |
JP4061473B2 (ja) * | 2002-04-26 | 2008-03-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
US7542781B2 (en) * | 2003-06-30 | 2009-06-02 | Casio Computer Co., Ltd. |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
US7098855B2 (en) * | 2003-07-28 | 2006-08-29 | Motorola, Inc. | Emergency deployable GPS antenna |
US7046205B2 (en) * | 2004-10-19 | 2006-05-16 | Tamez Daniel C | Spring-loaded extendible antenna for a mobile phone |
JP4462011B2 (ja) * | 2004-11-01 | 2010-05-12 | 日本電気株式会社 | Tv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tvアンテナ兼入力ペン |
-
2008
- 2008-11-20 JP JP2008296204A patent/JP2010124253A/ja active Pending
-
2009
- 2009-10-27 US US12/606,635 patent/US201001249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10-28 TW TW098136470A patent/TW201025992A/zh unknown
- 2009-11-17 KR KR1020090110895A patent/KR1011152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1-20 CN CN200910226421A patent/CN101741937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313A (ko) * | 2021-01-27 | 2022-08-03 | 에이피위성 주식회사 | 위성폰의 노출 방지형 안테나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5208B1 (ko) | 2012-02-24 |
CN101741937A (zh) | 2010-06-16 |
JP2010124253A (ja) | 2010-06-03 |
US20100124952A1 (en) | 2010-05-20 |
TW201025992A (en) | 201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6859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0608726B1 (ko) |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 |
KR101463819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28387B1 (ko) | 휴대 단말기 | |
JP4442385B2 (ja) |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080076765A (ko) | 휴대 단말 장치 | |
KR20090118765A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13128A (ko) |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115208B1 (ko) | 휴대 단말 장치 | |
KR100796080B1 (ko) | 영상 포착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 장치, 작동 제어 방법 그리고 작동 제어 프로그램 저장용 기록 매체 | |
JP4406445B2 (ja) | 携帯端末 | |
JP2003298682A (ja) | 携帯電話装置 | |
KR20100007624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13472B1 (ko) |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0596916B1 (ko) |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알림장치 및 그 방법 | |
JP4079024B2 (ja) | 二つ折り型カメラ付携帯機器 | |
KR100930564B1 (ko) | 휴대 단말기 | |
JP4530157B2 (ja) | カメラ付き折り畳み型携帯無線端末機 | |
KR101427271B1 (ko) | 휴대 단말기 | |
JP2013175971A (ja) | 表示装置、情報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415767B1 (ko) |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JP4592810B2 (ja) | 電子機器 | |
KR20100103307A (ko) | 휴대 단말기 | |
JP2009022043A (ja) |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 |
KR20100035528A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