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476A -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476A
KR20100056476A KR1020107003752A KR20107003752A KR20100056476A KR 20100056476 A KR20100056476 A KR 20100056476A KR 1020107003752 A KR1020107003752 A KR 1020107003752A KR 20107003752 A KR20107003752 A KR 20107003752A KR 20100056476 A KR20100056476 A KR 2010005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radio base
radio resourc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272B1 (ko
Inventor
아닐 우메쉬
미나미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5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는, 'RRC_CONNECTED 상태'라고 불린다.
또한, 'RRC_CONNECTED 상태'가 아닌 상태는, 'RRC_IDLE 상태'라고 불리며, 상기 'RRC_IDLE 상태'일 때에는, 무선기지국(eNB)이, 이동국(UE)의 존재를 의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무선링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LTE에서는, 이동국(UE)의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RRC_CONNECTED 상태'의 이동국(UE)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DRX)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1 (a) 내지 (c)에, LTE에서 합의되어 있는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서의 DRX 제어에 대해서 나타낸다.
간헐수신은, 'DRX 주기(DRX cycle)' 및 'On duration 길이(간헐수신 타이밍 길이)'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이동국(UE)은, 'DRX 주기' 내에서 한번 'On duration(간헐수신 타이밍)' 동안만,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On duration' 이외의 동안에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의 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므로, 이동국(UE)은, 무선신호의 수신처리에 이용하는 프로세서와 DSP와 칩 등의 전원을 OFF로 하여,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DRX 주기' 및 'On duration 길이'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이동국(UE)에 통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기지국(eNB)이 'DRX 주기' 및 'On duration 길이'를 이동국(UE)에 통지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면, 'RRC_IDLE 상태'로부터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타이밍이나, 신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설정되는 타이밍이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개방되는 타이밍이나, 핸드오버(handover)의 타이밍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UE)은,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On dura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에 의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검출한 경우,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은, L1/L2 control channel을 복호한 결과, 해당 이동국(UE)에 대해서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를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한다(도 1(b)에 있어서의 T1).
한편,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UE)은,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어느 연속하는 일정기간(즉, 인액티비티 타이머(inactive timer) 1이 만료하기까지의 기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의 L1/L2 control channel에 의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한다(도 1(c)에 있어서의 T2).
LTE에서는,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DRX 주기로서, 적어도 2종류의 DRX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국(UE)은, 또한 연속하는 일정기간(즉, 인액티비티 타이머 2가 만료하기까지의 기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L1/L2 control channel에 의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1단계째의 DRX 주기(DRX cycle(short))로부터, 보다 긴 2단계째의 DRX 주기(DRX cycle(long))로, DRX 주기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c)에 있어서의 T3).
또한, 'DRX cycle(short)' 및 'DRX cycle(long)'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이동국(UE)에 통지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어느 쪽의 DRX 주기('DRX cycle(short)' 또는 'DRX cycle(long)')를 무효로 설정하면, 간헐수신에 있어서의 DRX 주기를 1단계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인액티비티 타이머 1 및 2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에 대해서도,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이동국(UE)에 통지된다.
무선기지국(eNB)이 인액티비티 타이머 1 및 2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을 이동국(UE)에 통지하는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면, 'RRC_IDLE 상태'로부터 'RRC_CONNECTED 상태'로 천이하는 타이밍이나, 신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설정되는 타이밍이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가 개방되는 타이밍이나, 핸드오버의 타이밍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LTE의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서의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열거한다.
1. DRX cycle(short), DRX cycle(long)
2. On duration 길이
3. 인액티비티 타이머 1 및 2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
이들의 파라미터의 최적값은,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음성 패킷이나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 등)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적은 데이터량의 음성 패킷이 일정간격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 음선 패킷이 발생하는 간격은, 20ms이며, 상기 음성 패킷은, 1서브프레임(subframe, TTI라고도 불린다)으로 송신가능한 데이터량인 것이 일반적이다.
또, 서브프레임이란, 무선리소스가 할당가능한 시간의 최소단위이며, LTE에서는, 1ms이다.
또한,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QoS의 성질상, 음성 패킷의 전송지연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고, 무선기지국(eNB)은, 음성 패킷이 발생하면, 바로 이동국(UE)을 향해 송신하는 것이 통례이다.
때문에,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는,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에 대해서,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최적이라고 생각된다.
1. DRX cycle:20ms(short만 유효로 한다)
2. On duration 길이:1서브프레임
3. 인액티비티 타이머 1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1서브프레임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넷의 열람이나 FTP에 의한 파일의 송수신 등, 버스트적으로 트래픽 데이터(패킷)가 발생하는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도 존재한다.
상기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할 때는 대량의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하나, 트래픽 데이터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시간도 길다는 특징이 있다.
또, 이들의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패킷의 전송지연은, 그렇게 엄격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무선기지국(eNB)은,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해도, 바로 이동국(UE)을 향해 송신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무선링크의 품질이 좋은 시간을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무선기지국(eNB)에 트래픽 데이터가 존재할 때에는, 가능한 한 이동국(UE)에 연속수신을 수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이하와 같이 설정하는 것이 최적이라 생각된다.
1. DRX cycle:수백ms(short), 초 오더(second order)(long)
2. On duration 길이:수 서브프레임
3. 인액티비티 타이머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수백ms(1), 수초∼수십초(2)
비 특허문헌 1:3GPP TS 36.300 V8.1.0 2007년 6월
상술한 예로부터 알수있듯이,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의 최적값은,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
따라서, LTE에서 합의되어 있는 DRX 제어에서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 및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의 양방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경우에, 최적의 DRX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경우, 예를 들면,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를,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한 값으로 설정하면,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하는 그 밖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최적으로 다룰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최적화된 인액티비티 타이머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무선기지국(eNB)이,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일순이라도 정지시켜버리면, 이동국(UE)이 간헐수신을 개시해버리기 때문에,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를 이동국(UE)을 향해 송신할 수 있는 타이밍에 유연성이 없어져버려, 최적의 무선리소스의 활용을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인액티비티 타이머에 의해 관리되는 기간을 보다 길게 설정해버리면, 음성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 L1/L2 control channel이 이용될때마다, 이동국(UE)이, 연속수신을 수행하는 상태로 전환되어버려, 간헐수신을 수행하는 상태(DRX 상태)로 되돌아가는 타이밍이 늦어져버리기 때문에,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충분히 저감할 수 없게 된다.
또, LTE에서는, 음성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persistent scheduling(퍼시스턴트·스케줄링, 고정적 할당 스케줄링)' 혹은 'semi-persistent scheduling(세미·퍼시스턴트·스케줄링)'이라 불리는 무선리소스의 할당방법을 서포트하는 것이 정해져 있다.
이에 대해서, LTE에서 통상 적용되는 무선리소스의 할당방법은 'dynamic scheduling(다이나믹·스케줄링, 동적 할당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dynamic scheduling을 이용하여, 이동국(UE)에 대해서,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 무선기지국(eNB)은, 무선기지국(eNB) 및 이동국(UE)의 물리 레이어 및 MAC 레이어에서 종단되는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을, 이동국(UE)에 대해서 송신하고, 이동국(UE)은, 해당 L1/L2 control channel을 수신함으로써, 무선리소소가 해당 이동국(UE)에 대해서 할당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며, 수신한 L1/L2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서, 해당 이동국(UE)에 대해서 할당되어 있는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호한다.
구체적으로, 이동국(UE)은,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에는, On duration 중에, L1/L2 control channel에 대한 복호처리를 시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에는, 서브프레임마다, L1/L2 control channel에 대한 복호처리를 시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하향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통지하기 위한 L1/L2 control channel에는, 데이터 블록 사이즈(TB size)나, 변조방식(modulation)이나, 할당 물리 리소스(PRB)나, HARQ 관련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CRC 비트 계열이 계산된다.
계산된 CRC 비트 계열은,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이동국(UE)에 대해서, 사전에 할당되어 있는 해당 이동국(UE)에 고유한 이동국 식별자에 의해, 더 소정연산(masking)이 수행되고나서, L1/L2 control channel의 정보 비트 계열에 대해서 부여된다.
그리고, CRC 비트 계열을 포함하는 L1/L2 control channel의 정보 비트 계열은, 오류정정부호화 처리가 수행되고나서, 무선신호로서 이동국(UE)으로 송신된다.
이동국(UE)은, L1/L2 control channel이 송신되는 물리 리소스를 수신하고, 오류정정복호화 처리를 수행하고나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사전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를 이용하여, CRC 비트 계열에 대해서 소정연산을 수행한다(masking을 해제한다).
그리고, 이동국(UE)은, 소정연산 후의 CRC 비트 계열을 이용한 CRC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L1/L2 control channel을 올바르게 복호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한다.
여기서, 다른 이동국(UE)을 향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L1/L2 control channel이 송신되고 있는 경우, 이동국(UE)에 의해 오류정정복호 후에 수행되는 CRC 비트 계열에 대한 소정연산(masking의 해제)에 이용되는 이동국 식별자와, 무선기지국(eNB)에 의해 오류정정부호화 전에 수행되는 CRC 비트 계열에 대한 소정연산(masking)에 이용되는 이동국 식별자가 다르기 때문에, 이동국(UE)은, masking 해제 후의 CRC 비트 계열을 이용한 CRC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L1/L2 control channel을 올바르게 복호할 수 없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UE)은, 상기 CRC 판정결과에 의해, 하향 무선리소스 할당을 통지하는 L1/L2 control channel를 올바르게 복호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 동시에, 해당 이동국(UE)에 대해서 하향 무선리소스가 할당된 것을 검출하게 된다.
dynamic scheduling에 의해 할당되는 하향 무선리소스는, 1서브프레임 내에서만 유효하며, 다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해서,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때마다, 하향 무선리소스 할당용의 L1/L2 control channel을, 이동국(UE)에 대해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즉, dynamic scheduling을 이용하면, 서브프레임마다 할당하는 하향 무선리소스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시시각각으로 변동하는 무선링크의 품질 및 데이터량에 따라서 최적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반면, L1/L2 control channel 자체, 하향 무선리소스를 소비해버리기 때문에,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정기적으로 일정의 적은 데이터량의 패킷이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dynamic scheduling을 적용하면, 하향 무선리소스의 오버헤드가 커져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LTE에서는, 이와 같은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서포트하기 위해, 앞서 서술한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한 무선리소스의 할당방법이 검토되고, 서포트되게 되었다.
persistent scheduling을 이용하여, 이동국(UE)에 대해서, 하향링크의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경우, 무선기지국(eNB)은, 무선기지국(eNB) 및 이동국(UE)의 물리 레이어 및 MAC 레이어에서 종단되는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혹은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의 RRC 레이어에서 종단되는 RRC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해서, 데이터 블록 사이즈(TB size)와, 변조방식(modulation)과, 할당 무선리소스(PRB)와, HARQ 관련정보 등의 정보를 통지한다.
여기서, 통지되는 이들의 정보의 값은,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후보값이 통지되고 있어도 좋다.
이동국(UE)은, 이들의 정보에 따라서, 소정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L1/L2 control channel에 의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이 없어도, 하향 무선리소스의 복호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한 무선리소스의 할당은, 새로운 persistent scheduling command, 혹은, persistent scheduling을 정지하는 지령(command)이 발생할때까지 유효하다.
여기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이동국(UE)에 대해서, L1/L2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한 하향 무선리소스를 통지하는 경우, 이동국(UE)은, 상기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한 하향 무선리소스의 통지에 이용되는 L1/L2 control channel과,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하향 무선리소스의 통지에 이용되는 L1/L2 control channel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또, LTE에서는,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한 하향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HARQ 제어의 재송에 대해서는, 그때마다, L1/L2 control channel에 의해, HARQ 제어의 재송에 이용되는 하향 무선리소스를 통지하는 것이 정해져 있다.
상기 경우, 역시, 이동국(UE)은, persistent scheduling에 있어서의 HARQ 제어의 재송용으로 이용되는 하향 무선리소스를 통지하는 L1/L2 control channel과,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하향 무선리소스의 통지에 이용되는 L1/L2 control channel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LTE에서는,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 및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의 양방의 데이터를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에,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서의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의 최적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서의 DRX 제어에 있어서,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 및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의 양방의 데이터를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라도,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최대한 저감하면서,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러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무선리소스의 유효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은,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RRC_CONNECTED 상태'에 있어서의 DRX 제어에 있어서,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 및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의 양방의 데이터를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고 있는 경우라도, DRX 제어에 관한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동국(UE)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최대한 저감하면서,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러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무선리소스의 유효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국에 의해 설정되는 무선 베어러 및 논리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통신시스템으로서,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을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LTE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이외의 이동통신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B)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어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이동국 고유의 이동국 식별자 xxx를 이미 할당하고 있으며,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는, 언제든지 무선링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RRC_CONNECTED 상태')이다.
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는, 물리(PHY) 레이어와 MAC 서브레이어와 RLC 서브레이어와 PDCP 서브레이어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용(U-plane) 무선통신의 프로토콜 스택을 갖고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마다, 복수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및 논리채널(Loginal Channel)이 설정가능하며, 음성 패킷용 애플리케이션이 맵핑되는 무선 베어러 및/논리채널과,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용 애플리케이션이 맵핑되는 무선 베어러 및/논리채널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는, dynamic scheduling에 의해 할당된 무선리소스에 의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이동국(UE)으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무선기지국(eNB)은,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할 때는, 그때마다, 이동국(UE)에 대해서, dynamic scheduling용의 하향 무선리소스 할당에 사용하는 L1/L2 control channel(L1/L2 control channel-dynamic이라 부른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성 패킷(음성 트래픽)은,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해 할당된 무선리소스에 의해,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이동국(UE)에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무선기지국(eNB)은, 음성 패킷을 송신할 때, 필요에 따라서, 이동국(UE)에 대해서, persistent scheduling용 하향 무선리소스 할당에 사용하는 L1/L2 control channel을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ersistent scheduling용 하향 무선리소스 할당에 사용하는 L1/L2 control channel에는, 이하의 2종류의 L1/L2 control channel이 상정된다.
첫번째 L1/L2 control channel은,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한 HARQ 제어의 초회 송신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TTI 또는 서브프레임)보다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L1/L2 control channel(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initial HARQ transmission이라 부른다)이다.
두번째 L1/L2 control channel은, 특정의 이동국(UE)에 대해서 할당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TTI 또는 서브프레임)보다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된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를 할당하는 L1/L2 control channel(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retransmission이라 부른다)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DRX 상태의 이동국)(UE)이,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해당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이, 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해당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액티브 타이머(소정 타이머)는, 상술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상술한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이동국(UE)은, 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해당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해당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정지 및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TTI 혹은 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즉,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persistent scheduling용 하향 무선리소스 할당에 사용하는 L1/L2 control channel인 경우에, 상술한 특정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특정조건이 만족되는 예로서, 이하의 2개의 케이스가 상정된다.
첫번째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이동국(UE)에 대한 HARQ 제어의 초회 송신용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TTI 혹은 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채널인 경우에, 즉, '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initial HARQ transmission'인 경우에, 상술한 특정조건을 만족한단고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두번째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retransmission'인 경우에, 상술한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 '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retransmiss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를 수행하고 있는 무선기지국(eNB)은,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transmission')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TTI 혹은 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기지국(eNB)은,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retransmission')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해서 할당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TTI 또는 1서브프레임)보다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송신된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해당 하향데이터를 재송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해 할당되는 무선리소스에 의해 음성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음성 패킷을(도 포함하여) 송수신해도,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음성 패킷)에 대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연속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음성 패킷을(도 포함하여) 송수신해도, 인액티비티 타이머는, 정지·재기동하지 않으므로,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의 송수신용으로 최적화한 비교적 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동국(UE)에 있어서, 상술한 L1/L2 control channel을 식별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상기 L1/L2 control channel에는, 정보요소로서, persistent scheduling용인지, 혹은, dynamic scheduling용인지에 대해서 나타내는 비트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동국(UE)에 있어서, 상술한 L1/L2 control channel을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L1/L2 control channel의 정보요소(예를 들면, TB size나 HARQ 관련정보 등)이, 소정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persistent scheduling용인 것을 나타내고, 그 이외의 경우는, dynamic scheduling용인 것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동국(UE)에 있어서, 상술한 L1/L2 control channel을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L1/L2 control channel의 송신에 이용되는 물리 리소스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동국(UE)에 있어서, 상술한 L1/L2 control channel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L1/L2 control channel에 포함되는 정보 데이터량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RX 주기를 음성 패킷의 송수신용으로 최적화함으로써, 음성 패킷밖에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동국(UE)의 전력소비를 최대한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가 발생했을 때에는, L1/L2 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dynamic scheduling에 의한 무선리소스 할당을 수행함으로써, 이동국(UE)이, 연속수신을 개시하고, 인액티비티 타이머를,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를 의식하여, 충분한 길이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버스트 트래픽 데이터의 발생이 안정될때까지는, 스케줄러의 유연성도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무선리소스의 이용효율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이,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동국(UE)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며, 무선기지국(eNB)은,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이동국(UE)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은,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이동국(UE)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retransmission)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이,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동국(UE)은,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과 이동국(UE)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며, 무선기지국(eNB)은,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이동국(UE)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은,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1서브프레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고,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이동국(UE)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L1/L2 control channel-persistent HARQ retransmission)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이,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국(UE)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간헐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ON duration)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며,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무선기지국(eNB)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해서 송신된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UE)이,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국(UE)에 있어서,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 안에 이동국(UE)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 xxx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소정 타이머(인액티비티 타이머)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에 있어서, 무선기지국(eNB)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L1/L2 control channel)은, 무선기지국(eNB)에 의해 이동국(UE)에 대해서 송신된 하향데이터에 대한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UE) 및 무선기지국(eNB)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래쉬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디스크나, CD-ROM과 같은 임의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UE) 및 무선기지국(eNB)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discrete component)로서 이동국(UE) 및 무선기지국(eNB)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은,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이동국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에 의해, 상기 이동국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이동국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상기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에 의해, 상기 이동국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이동국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상기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국은,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이동국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며,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에 의해, 상기 이동국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이동국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상기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은,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에 의해, 상기 이동국에 대한 하향 무선리소스로서, 무선리소스를 할당가능한 최소의 시간단위보다도 오랫동안 유효한 무선리소스를 할당하고, 상기 하향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하향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이동국에 대한 상기 하향데이터에 대한 상기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9.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간헐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개시하지 않고,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가 수행되고 있으며,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송신된 하향데이터에 대한 상기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1.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연속수신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고,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에는,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간헐수신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 안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라도,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타이머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과의 사이에서 HARQ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리소스 할당채널은, 상기 무선기지국에 의해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송신된 하향데이터에 대한 상기 HARQ 제어의 재송용의 하향 무선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특정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107003752A 2007-08-15 2008-08-15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 KR101150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11993 2007-08-15
JP2007211993 2007-08-15
PCT/JP2008/064656 WO2009022744A1 (ja) 2007-08-15 2008-08-15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476A true KR20100056476A (ko) 2010-05-27
KR101150272B1 KR101150272B1 (ko) 2012-06-12

Family

ID=4035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52A KR101150272B1 (ko) 2007-08-15 2008-08-15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144651B2 (ko)
EP (2) EP2190253B1 (ko)
JP (2) JP4571707B2 (ko)
KR (1) KR101150272B1 (ko)
CN (1) CN101785347B (ko)
AU (1) AU2008287763B2 (ko)
BR (1) BRPI0816243A2 (ko)
CA (1) CA2696470A1 (ko)
MX (1) MX2010001735A (ko)
RU (1) RU2473183C2 (ko)
WO (1) WO2009022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3857A1 (en) * 2008-09-19 2010-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tection time of semi-persistent scheduling activation/reconfiguration signaling
US8385241B2 (en) 2008-12-15 2013-0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mi-persistent scheduling and discontinuous reception alignment
EP2405691B1 (en) 2009-03-06 2019-12-18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EP2395797B8 (en) * 2010-06-11 2014-04-0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activity modes of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US8611825B2 (en) * 2010-11-15 2013-12-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ynamic inactivity tim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2749117A4 (en) * 2011-10-07 2015-06-24 Nokia Corp METHOD AND DEVICES FOR MANAGING DEVICES
EP2621234A1 (en) * 2012-01-30 2013-07-31 Alcatel Lucent Providing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to a radio resource management ent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3686955B (zh) * 2012-09-24 2018-10-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能优化方法及系统
RU2612609C2 (ru) * 2012-09-28 2017-03-09 Нокиа Текнолоджиз Ой Таймер индикации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го энергопотребления
US9565631B2 (en) * 2013-01-18 2017-0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by a user equipment
EP2782409A1 (en) * 2013-03-20 2014-09-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eterministic UE behaviour for CSI/SRS Reporting during DRX
CN105122933B (zh) * 2013-04-15 2019-01-0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实现非连续接收(drx)周期的应用的方法和设备
KR102615658B1 (ko) * 2015-06-22 202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중첩 전송 방법 및 장치
JP6946439B2 (ja) * 2017-01-05 2021-10-06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6418288B2 (ja) * 2017-07-05 2018-11-0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012936B2 (en) * 2019-10-16 2021-05-1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djustment of intermittent reception parameters in a radio access network
US20240064632A1 (en) * 2022-08-16 2024-02-22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ue) power sav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37B1 (ko) * 2002-08-16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71816B1 (ko) * 2004-04-02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패킷 스케쥴링 방법
JP4177836B2 (ja) * 2004-10-04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信装置、半導体集積回路、送受信装置、輸送装置、可搬型送受信装置、通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758547A (zh) * 2004-10-04 2006-04-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收信装置、半导体集成电路、收发信装置、以及收信方法
JP4671777B2 (ja) 2005-06-17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共有データチャネル割り当て装置および共有データ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CN100556182C (zh) * 2005-11-30 2009-10-2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移动用户终端采用不连续接收方式的周期更改方法
EP1841249B1 (en) * 2006-03-28 2009-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f connected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916675B2 (en) * 2006-06-20 2011-03-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im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BRPI0708790B1 (pt) * 2006-07-25 2019-11-26 Electronics And Telecomunications Res Institute método de comunicação e aparelhos para terminal
US7957360B2 (en) * 2007-01-09 2011-06-0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support of a long DRX in an LTE—active state in a wireless network
US8072963B2 (en) * 2007-02-14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from DRX timing de-synchronization in LTE—ACTIVE
US20080232310A1 (en) * 2007-03-19 2008-09-25 Shugong Xu Flexible user equipment-specified discontinuous rece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7013B1 (en) 2014-03-19
EP2190253B1 (en) 2012-12-12
CN101785347B (zh) 2013-12-25
BRPI0816243A2 (pt) 2015-04-07
CA2696470A1 (en) 2009-02-19
RU2473183C2 (ru) 2013-01-20
JP2010252401A (ja) 2010-11-04
CN101785347A (zh) 2010-07-21
JP4571707B2 (ja) 2010-10-27
RU2010107794A (ru) 2011-09-20
EP2427013A1 (en) 2012-03-07
AU2008287763A1 (en) 2009-02-19
KR101150272B1 (ko) 2012-06-12
US8144651B2 (en) 2012-03-27
AU2008287763B2 (en) 2013-08-22
WO2009022744A1 (ja) 2009-02-19
MX2010001735A (es) 2010-03-15
JPWO2009022744A1 (ja) 2010-11-18
EP2190253A4 (en) 2011-10-19
US20110199984A1 (en) 2011-08-18
EP2190253A1 (en)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272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국
EP38558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regarding sidelink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633219B2 (ja) 無線通信のための効率的かつ周期的なスケジューリング
KR1017267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sr)에 대한 금지 타이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29350B1 (ko) Lte-u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JP6364010B2 (ja) 装置内共存干渉シナリオにおけるスケジューリング機会の最大化
EP25235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request
US8483146B2 (en) Method for performing efficient BSR procedure using SPS resource
KR1011641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물리 하향 채널의 모니터링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JP6207837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I482523B (zh) 處理觸發暫存器狀態報告之計時器的方法及通訊裝置
US20180034736A1 (en) Differential scheduling for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s
JP2010515320A (ja) パケットベースの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時間および受信時間の適合方法
EP3162150B1 (en) Network node and method for supporting time-sensitive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2081093A1 (ja) 無線通信装置
US9320056B2 (en) Mobile station and radio base station for “always-on” method
KR1015782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니어 컴패니언 모드
EP3028529B1 (en) Methods,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e with discontinous reception
WO2018045095A1 (en) Ip flow management for capacity-limited wireless devices
KR2016013893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JP6113768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