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936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936A
KR20160138936A KR1020160158419A KR20160158419A KR20160138936A KR 20160138936 A KR20160138936 A KR 20160138936A KR 1020160158419 A KR1020160158419 A KR 1020160158419A KR 20160158419 A KR20160158419 A KR 20160158419A KR 20160138936 A KR20160138936 A KR 20160138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ndom access
terminal
base st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865B1 (ko
Inventor
천성덕
이승준
박성준
이영대
Original Assignee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3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LTE 시스템 (Long Term Evolution System)상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RACH (Random Access Channel)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자신의 무선단말식별자를 통해서 무선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 적절하게 무선 자원을 선택하도록 하여 무선 자원의 낭비 및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EFFECTIVE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LTE 시스템 (Long Term Evolution System) 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이 기지국으로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청함에 있어서, RACH 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자신의 무선단말식별자를 통해서 무선 자원을 할당 받는 경우, 적절하게 무선 자원을 선택하도록 하여, 무선 자원의 낭비 및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E-UMTS시스템은 기존 UMTS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E-UMTS망은 크게 E-UTRAN과 CN으로 구분 할 수 있다. E-UTRAN은 단말 (User Equipment; 이하 UE로 약칭)과 기지국 (이하 eNode B로 약칭), 망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망과 연결되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이하 S-GW로 약칭) 그리고 단말의 이동성을 관장하는 이동관리개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하 MME로 약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eNode B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도 2의 무선프로토콜 제어평면과 도3의 무선프로토콜 사용자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로 약칭)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로 약칭)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제2계층의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DCP 계층은, C-plane데이터, 예를 들어 RRC 메시지의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DCP는 U-plane의 데이터의 암호화도 수행한다.
제3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 (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E-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하는 RACH (Random Access Channel)에 대해 상술한다. RACH채널은 상향으로 짧은 길이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전용 무선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한 단말이 상향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시그널링 메시지 혹은 사용자 데이터가 있을 때 사용된다. 혹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RACH과정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은 LTE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랜덤 접속 과정 (Random Access Procedure)에 대한 설명이다. LTE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과정은 경쟁기반 랜덤 접속 과정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과 비경쟁기반 랜덤 접속 과정 (Non-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으로 구분되어 있다. 경쟁기반 랜덤 접속 과정과 비경쟁기반 랜덤 접속 과정의 구분은, 랜덤 접속 과정에서 사용되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 (Random access preamble)을 단말이 직접 선택했는지 혹은 기지국이 선택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정해진다.
비경쟁 기반 랜덤 접속 과정에서는, 단말은 기지국이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할당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특정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단말에게만 할당하였을 경우,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은 상기 단말만 사용하게 되고, 다른 단말들은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과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사용한 단말간에 1:1의 관계가 성립하므로, 충돌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자 마자,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한 단말을 알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경쟁 기반 랜덤 접속 과정에서는,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전송하므로, 항상 복수개의 단말들이 동일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사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어떤 특정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어떤 단말이 전송하였는지 알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단말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1) 단말이 기지국과의 연결 (RRC Connection)이 없어, 초기 접속 (initial access)을 하는 경우 2) 단말이 핸드오버과정에서, target 셀로 처음 접속하는 경우 3)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4) 상향링크의 시간 동기가 맞지 않거나, 무선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정된 무선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향링크로의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5) 무선 연결 실패 (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 (handover failure)시 복구 과정의 경우.
상기의 설명을 바탕으로, 도4에서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의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에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 (Handover Command)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집합에서 임의로(randomly) 하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PRACH 자원을 선택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1 단계) 이 때의 프리앰블을 RACH MSG 1이라고 부른다.
단말이 상기와 같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 후에, 상기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 윈도우 내에서 자신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수신을 시도한다 (2 단계). 보다 자세하게,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는 MAC PDU의 형식으로 전송되며, 상기 MAC PDU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DSCH로 전달되는 정보를 단말이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도 함께 전달된다. 즉, 상기 PDCCH는 상기 PDSCH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의 정보와, 상기 PDSCH의 무선자원의 주파수 그리고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PDSCH의 전송 형식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단말이 자신에게 오는 상기 PDCCH의 수신에 성공하면, 상기 PDCCH의 정보들에 따라 상기 PDSCH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적절히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ID), UL Grant (상향링크 무선자원), Temporary C-RNTI (임시 셀 식별자) 그리고 Time Alignment Command (시간 동기 보정 값)들이 포함된다.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분자가 필요한 이유는,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UL Grant, Temporary C-RNTI 그리고 Time Alignment Command 정보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는 1단계에서 자신이 선택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일치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이 자신에게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들을 각각 처리한다. 즉, 상기 단말은 Time Alignment Command을 적용시키고, Temporary C-RNTI를 저장한다. 또한, UL Grant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3단계). 이때, 상기 UL Grant에 포함되는 데이터 (이하 메시지3라고도 칭함) 중에, 필수적으로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는 기지국에서 어떠한 단말들이 상기 랜덤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없는데, 차후에 충돌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단말을 식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첫 번째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 이전에 이미 해당 셀에서 할당 받은 유효한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었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UL Grant를 통해 자신의 셀 식별자 전송한다. 반면에, 만약 랜덤 액세스 과정 이전에 유효한 셀 식별자를 할당 받지 못하였다면, 상기 단말은 자신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면, S-TMSI 또는 Random 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고유 식별자는 상기 셀 식별자 보다 길다. 상기 3단계에서 만약 상기 단말이 상기 UL Grant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였다면, 상기 단말은 충돌 해결을 위한 타이머 (contention resolution timer)를 개시 한다.
상기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상기 UL Grant를 통해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 한 이후, 상기 단말은 충돌 해결을 위해 기지국의 지시를 기다린다. 즉,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PDCCH의 수신을 시도한다 (4단계). 여기서,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UL Grant를 통해 전송된 자신의 식별자가 셀 식별자인 경우, 자신의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하고, 상기 식별자가 고유 식별자인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Temporary C-RNTI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한다. 그 후, 전자의 경우, 만약 상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자신의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 (이하 메시지4로 칭함)를 수신한 경우에,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 과정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 과정을 종료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Temporary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PDCCH가 지시하는 PDSCH이 전달하는 데이터 (이하 메시지4라고 칭함)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의 내용에 자신의 고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 과정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 과정을 종료한다. 여기서, 이 4번째 단계에서 수신되는 메시지 또는 MAC PDU를 흔히 RACH MSG 4라 부른다.
다음은 LTE 시스템에서 단말이 하향 방향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하향 방향에 있어서, 물리 채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지며, 이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다. PDCCH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과는 직접 관련이 없고, 물리채널을 운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PDCCH는 다른 물리채널들의 제어에 사용된다고도 할 수 있다. 특히, PDCCH는 단말이 PDSCH를 수신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의 전송에 이용된다. 어느 특정 시점에, 어떤 특정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어떤 단말을 위한 것인지, 어떤 크기의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등등의 정보가 PDCCH를 통해서 전송된다. 따라서 각 단말은 특정 TTI에서 PDCCH를 수신하고, 상기 PDCCH를 통해서, 자신 수신해야 할 데이터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자신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가 전송됨을 알려올 경우, 상기 PDCCH에서 지시하는 주파수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PDSCH를 추가로 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떠한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데이터를 수신하고 복호화(decoding)를 해야 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은 물리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포함되어 전송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A라는 무선자원정보(예를 들면, 주파수 위치)와 B라는 전송형식정보(예를 들면, 전송 블록 사이즈, 모듈레이션과 코딩 정보 등)가 C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masking되어서 PDCCH를 통해서 전송된다고 가정하자. 해당 셀에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PDCCH를 모니터링 하게 되는데, 상기의 가정에서는, C라는 RNTI를 가지고 단말에서는, 상기 PDCCH를 디코딩 하였을 때 CRC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상기 B라는 전송형식정보와 A라는 무선자원정보를 이용하여, PDSCH를 디코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의 가정에서는, C라는 RNTI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단말에서는, 상기 PDCCH를 디코딩 하였을 때 CRC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PDSCH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과정에서 각 PDCCH를 통하여, 어떤 단말들에게 무선 자원이 할당되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서,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가 전송되는데, 이 RNTI에는 전용(Dedicated) RNTI와 공용(Common) RNTI가 있다. 전용 RNTI는 하나의 단말에게 할당되며, 상기 단말에 해당되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된다. 상기 전용 RNTI는 기지국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단말에게만 할당된다. 이와는 반대로 공용 RNTI는, 기지국에 정보가 등록되지 않아서 전용 RNTI를 할당 받지 못한 단말들이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 혹은 시스템정보같이 복수의 단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보의 전송에 사용된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E-UTRAN을 구성하는 두 축은 바로 기지국과 단말이다. 한 셀에서의 무선 자원은 상향 무선자원과 하향 무선자원으로 구성된다. 기지국은 셀의 상향 무선자원과 하향 무선자원의 할당 및 제어를 담당한다. 즉 기지국은 어느 순간에 어떤 단말이 어떤 무선자원을 사용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3.2초 후에 주파수 100Mhz 부터 101Mhz를 사용자 1번에게 0.2초 동안 하향측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런 결정을 내린 후에, 상기 해당 하는 단말에게 이 사실을 알려서 상기 단말이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언제 어떤 단말이 얼만큼의 어떤 무선자원을 사용하여 상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지를 결정하며, 기지국은 이 결정을 단말에게 알려서, 상기 단말이 상기 시간 동안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종래와 달리 이렇게 기지국이 무선 자원을 동적(dynamic)으로 관리하는 것은 효율적인 무선 자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단말이 하나의 무선 자원을 호가 연결된 동안 계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특히 최근 많은 서비스들이 IP 패킷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고려하면 비합리적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패킷 서비스들은 호의 연결 시간 동안 꾸준하게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호의 도중에 아무것도 전송하지 않는 구간이 많기 때문이다. 이럼에도 하나의 단말에게 계속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E-UTRAN시스템은 단말이 필요한 경우에만, 서비스 데이터가 있는 동안에만 단말에게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LTE시스템에서는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기지국은 각 사용자 별로 어떤 데이터를 얼마만큼 전송하고 싶어 하는지 알아야 한다. 하향 링크의 데이터의 경우, 이 하향 링크의 데이터는 접속게이트웨이로부터 기지국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각 사용자에게 얼마만큼의 데이터가 하향 링크로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안다. 이와는 반대로 상향 링크로의 데이터의 경우, 단말이 직접 자신이 상향 링크로 전달하려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알려주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각 단말이 얼마만큼의 상향 무선 자원이 필요한지 알 수 없다. 따라서, 기지국이 적절하게 상향 무선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기 위해서, 각 단말이 기지국으로 기지국이 무선 자원을 스케쥴링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자신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를 기지국에 알리고, 기지국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에게 무선자원할당메시지 (Resource Allocation Message)를 전달한다.
상기 과정, 즉, 단말이 자신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때, 이를 기지국에 알리는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에게 자신의 버퍼에 쌓여 있는 데이터의 양을 알려준다. 이를 버퍼 상태 정보 (Buffer Status Report: BSR) 라고 부른다.
그런데,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MAC Control Element (MAC CE)의 형태로 생성되어 MAC PDU(Protocol Data Unit)에 포함되어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즉, 버퍼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도 상향 방향의 무선 자원이 필요하다. 이는 버퍼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 방향 무선 자원 할당 요청정보를 보내야 함을 의미한다. 버퍼 상태 정보가 생성되었을 때, 할당 받은 상향 방향 무선 자원이 있다면, 단말은 즉시 상기 상향 방향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버퍼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버퍼 상태 정보가 생성되었을 때, 할당 받은 상향 방향 무선 자원이 없다면, 단말은 자원할당요청 (SR과정: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과정을 수행한다.
SR과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자원에 설정되는 D-SR(Dedicated Scheduling Request)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과, RACH(Random Access Channel)과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SR과정이 트리거(trigger) 되면, 단말은 D-SR채널이 할당되어 있으면, D-SR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자원할당 요청을 보내고, 만약 D-SR채널이 할당되어 있지 않으면, RACH과정을 시작한다. D-SR채널을 이용하는 경우, D-SR채널을 통해서 상향 방향으로 자원 요청 할당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SR과정은, 단말이 UL-SCH자원을 할당 받을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
상기 과정에서, 단말이 전송 하는 버퍼 상태 정보는, 각 논리채널 별로 버퍼의 양에 관한 정보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논리채널그룹(LCG: Logical Channel Group) 별로 버퍼의 양을 알려준다. 즉, 기지국이 지정한 그룹 별로, 버퍼의 양을 계산한다. 한 단말에게는 최대 4개의 LCG가 정의된다. 상기 과정에서, 버퍼 상태 정보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Long Buffer Status Report(Long BSR)이고 다른 하나는 Short Buffer Status Report (Short BSR)이다. Long BSR은 4개의 LCG 모두에 대해서 버퍼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Short BSR은 단 하나의 LCG에 대한 버퍼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앞에서 전술한 종래의 무선 자원 할당 요청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 셀에는 복 수개의 단말이 존재하며, 기지국은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 그리고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부터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이 어느 특정 단말로부터 무선 자원요청 메시지 혹은 버퍼 상태 정보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말에게 무선 자원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계속 적으로 무선 자원 할당 요청을 보낸다면, 이는 상향 무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며, 무선 자원의 간섭만 일으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단말이 RACH과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직접적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CH과정의 두 번째 단계를 마친 상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의 전용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그런데 RACH과정의 두 번 째 메시지도 RACH과정을 수행한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단말이 계속적으로 RACH과정을 수행한다면, 상기 전용식별자를 이용해서 할당된 무선 자원은 낭비되게 된다. 또한, D-SR채널은 단말이 상향방향으로 동기가 맞을 때 (Synchronized)에만 효과가 있다. 즉, 단말이 상향 방향으로 동기가 맞지 않는다면, 단말이 아무리 D-SR채널을 이용하여도,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무선자원할당요청을 제대로 받을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이 이와 같은 상황 고려 없이 계속해서 무선자원할당요청 송신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자원의 간섭만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자원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기지국으로 효율적으로 무선자원을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스케줄링 요청 (Scheduling Request; SR)을 처리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이 트리거(trigger)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향 제어 채널(uplink control channel)이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상향 제어 채널상으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향 제어 채널(uplink control channel)이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해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을 개시하는 단계와; 하향 제어 채널 (downlink control channel)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서 단말의 식별자가 수신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수신되었다고 판단 되였다면 상기 스케줄링 요청 트리거링 (triggering)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은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제어 채널은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제어 채널상으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을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요청이 트리거(trigger) 되였다고 판단될 때에 수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는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 되였다면 상기 스케줄링 요청 트리거링 (triggering)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을 수행 하는 방법으로서,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RACH preamble)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RACH 프리앰블이 전송된 후에 하향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상향 할당 자원을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은 다음 스케줄링 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며; 그리고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제어 채널은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은 UL-GRAN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는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RACH 과정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된 RACH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 (response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또 다른 상항 할당 자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이 수신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또 다른 상향 할당 자원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정보 혹은 스케줄링 요청 (SR)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 받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인 E-UMTS의 망 구조이다.
도 2는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평면 구조이다.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사용자평면 구조이다.
도 4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정보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의 단말이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정보를 보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3GPP 통신기술, 특히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스케줄링 요청 (Scheduling Request; SR)을 처리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이 트리거(trigger)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만약 상향 제어 채널(uplink control channel)이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해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상향 제어 채널상으로 상기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만약 상향 제어 채널(uplink control channel)이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해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을 개시하는 단계와; 하향 제어 채널 (downlink control channel)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서 단말의 식별자가 수신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가 수신되었다고 판단 되였다면 상기 스케줄링 요청 트리거링 (triggering)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스케줄링 요청(SR)을 처리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을 수행 하는 방법으로서, 랜덤 액세스 채널 프리앰블 (RACH preamble)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RACH 프리앰블이 전송된 후에 하향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상기 하향 제어 채널을 통해 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상향 할당 자원을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은 다음 스케줄링 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며; 그리고 만약 상기 단말의 식별자와 함께 상기 상향 할당 자원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과정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을 수행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자원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도 기지국으로 효율적으로 무선자원을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단말은 D-SR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무선 자원을 요청할 경우, 미리 지정한 횟수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D-SR채널을 이용하여 무선 자원의 요청을 기지국으로 보낼 때까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무선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한 경우, 더 이상 상기 D-SR채널 이용한 무선 자원 요청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이 과정에서, 단말은 RACH과정을 이용한 무선 자원 요청 과정으로 천이한다. 상기 과정에서, 미리 지정한 횟수만큼 D-SR채널을 이용하지 않은 도중에, 기지국으로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단말은 즉시 무선 자원의 요청과정을 중지한다. 그리고 이 경우, D-SR채널의 설정을 해제하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이 효율적으로 버퍼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내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단말은 어떤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와 다른 논리채널들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버퍼 상태 정보를 전송할지 말지를 결정할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1 동작 방법(Approach 1)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한다. 그리고 단말은 버퍼에 데이터가 있던 그 외의 모든 논리 채널들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들이 속한 논리채널그룹을 확인한다. 상기 확인된 논리 채널그룹에 속한 각각의 논리 채널들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들의 버퍼에 데이터가 있던지 없든지에 상관없이, 논리채널들 각각의 우선 순위(B)를 검사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A)와 우선 순위(B)들과 비교해서, 우선 순위(A)가 그 어떤 우선 순위(B)보다 높을 경우,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trigger) 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이 과정에서, 상기 논리채널그룹들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논리채널들의 우선순위만 고려해서 비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동작 방법(Approach 2)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한다. 그리고 단말은 버퍼에 데이터가 있던 그 외의 모든 논리 채널들에 대해서, 상기 논리채널들 각각의 우선 순위(B)를 검사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A)와 우선 순위(B)들과 비교해서, 우선 순위(A)가 그 어떤 우선 순위(B)보다 높을 경우,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trigger) 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1동작방법과 제 2동작 방법에 의한 결과 차이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동작 방법에 따라 만약 제 1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가 그 어떤 다른 논리 채널(제 4 논리채널)의 우선 순위보다 높지 않으므로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제 2 동작 방법에 따라 만약 제 1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가 버퍼에 데이터가 있던 그 외의 모는 논리 채널(제 3 논리채널)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므로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3 동작 방법(Approach 3)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하고 또한 상기 논리 채널이 속한 논리채널 그룹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한 논리 채널들 중에서, 버퍼에 데이터를 가지고 있던 논리 채널들을 확인한다.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그룹 또는 논리채널들에 대해서 버퍼 정보가 이미 기지국에 전달 된 경우, 새로운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4 동작 방법(Approach 4)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하고 또한 상기 논리 채널이 속한 논리채널 그룹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한 논리 채널들 중에서, 버퍼에 데이터를 가지고 있던 논리 채널들을 확인한다.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그룹 또는 논리채널들에 대해서 버퍼 정보가 이미 기지국에 전달 된 경우, 상기 버퍼 상태 정보가 기지국으로 전달된 이후에 새로이 상기 논리 채널 그룹에 쌓이게 된 버퍼의 양이 기준 값을 초과했는지 검사하고, 기준 값을 초과했을 때에만, 새로운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5 동작 방법(Approach 5)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하고 또한 상기 논리 채널이 속한 논리채널 그룹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한 논리 채널들 중에서, 버퍼에 데이터를 가지고 있던 논리 채널들의 우선 순위(B)를 확인한다. 단말은 우선 순위(A)가 우선 순위(B)보다 높을 경우, 새로운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6 동작 방법(Approach 6)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하고 또한 상기 논리 채널이 속한 논리채널 그룹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 그룹에 속한 모든 논리 채널들 중에서, 버퍼에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의 유무에 관계없이 각 논리 채널들의 우선 순위(B)를 확인한다. 단말은 우선 순위(A)가 우선 순위(B)보다 높을 경우, 새로운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7 동작 방법(Approach 7)은 다음과 같다. 이전에 버퍼에 데이터가 없던 어떤 논리 채널에 대해서, 상기 논리 채널에 데이터가 새로이 도착한 경우, 단말은 상기 논리 채널이 속한 논리채널 그룹에 속한 논리채널들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A)를 검사한다. 설정된 다른 논리 채널 그룹들 각각에 대해서, 각 논리 채널 그룹들에 속한 논리 채널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논리채널의 우선 순위(B)를 검사한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우선 순위(A)와 우선 순위(B)들과 비교해서, 우선 순위(A)가 그 어떤 우선 순위(B)보다 높을 경우, 버퍼 상태 정보를 트리거 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없는 논리 채널은 비교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다른 논리채널그룹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는 같고, 오직 특정 논리채널 그룹에 대한 버퍼 상태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단말은 Short BSR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효율적으로 버퍼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내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SR과정이 시작되면,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D-SR채널이 없을 경우, RACH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RACH과정의 두 번째 단계에서, 단말은 세 번째 단계에서 사용할 UL-SCH자원을 할당 받게 된다. 그러나, 경쟁방식의 RACH과정의 경우, 네 번째 단계에서 Contention Resolution이 성공적으로 끝날 때까지, 단말은 세 번째 단계에서 자신이 전송한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를 알 수 없다. 따라서, SR과정을 시작한 단말은 RACH과정의 세 번째 단계를 통해서 상향 방향으로의 무선자원을 할당 받더라도 상기 SR과정을 중지하지 않을 것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의 단말이 기지국으로 버퍼 상태 정보를 보내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즉, 도 7에 도시 되어있듯이, 단말은 RACH의 4번째 단계 에서 자신의 C-RNTI를 이용한 GRANT를 수신할 경우에만, 성공적으로 SR과정이 끝났다고 간주한다. 즉 자산의 C-RNTI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서 수신되었을 경우에만, 성공적으로 SR과정이 끝났다고 간주하고 SR과정을 중지한다. 만약, 상기 단말이 RACH의 4번째 단계에서 자신의 C-RNTI를 이용한 GRANT를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SR 과정은 중지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실행된다.
하나의 셀 내에 존재하는 사용 가능한 무선자원의 양, 또는 eNB (e-NodeB)가 사용하는 스케쥴링 알고리즘에 따라서, 기지국이 어느 특정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게 무선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말은 성급하게 또 다른 버퍼 상태 정보를 보내거나, 또는 SR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무선 자원의 낭비를 가져온다. 또는 비록, SR과정 혹은 버퍼 상태 정보의 전송과정을 수행하고 있더라도 적절하게 중단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은 버퍼 상태 정보 전송 또는 SR과정으로 인하여 RACH과정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무선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즉 C-RNTI를 통하여 상향 방향으로의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단말은 즉시 RACH과정을 중지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R과정이 시작된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전용 무선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즉 C-RNTI를 통하여 상향 방향으로의 무선 자원을 할당 받기 전까지, 단말은 계속 SR과정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단말은 RACH 의 두 번째 단계에서 RACH의 세 번째 단계에서 사용할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이와 동시에 자신의 C-RNTI를 통해서 PDCCH를 통해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C-RNTI를 통해서 할당 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BSR은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바람직하게, 단말은 RACH 의 두 번째 단계에서 RACH의 세 번째 단계에서 사용할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이와 동시에 자신의 C-RNTI를 통해서 PDCCH를 통해 무선 자원을 할당 받은 경우, RACH과정의 두 번째 단계에서 할당 받은 무선 자원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 때, 필요한 경우 BSR은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상에서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단말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UE), 휴대폰, 셀룰라폰, DMB폰, DVB-H폰, PDA 폰, 그리고 PTT폰 등등)와, 노트북, 랩탑 컴퓨터, 디지털 TV와, GPS 네비게이션와, 휴대용 게임기와, MP3와 그 외 가전 제품 등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본 발명에서 예시하고 있는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자원 사용을 위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송수신부, 처리부 또는 제어부, 저장부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의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또는 기지국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항의 단말기.
KR1020160158419A 2008-01-28 2016-11-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67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19308P 2008-01-28 2008-01-28
US61/024,193 2008-01-28
US2531108P 2008-02-01 2008-02-01
US61/025,311 2008-02-01
US2611908P 2008-02-04 2008-02-04
US61/026,119 2008-02-04
US3730908P 2008-03-17 2008-03-17
US61/037,309 2008-03-17
US3909508P 2008-03-24 2008-03-24
US61/039,095 2008-03-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235A Division KR101719072B1 (ko) 2008-01-28 2015-11-12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936A true KR20160138936A (ko) 2016-12-06
KR102067865B1 KR102067865B1 (ko) 2020-01-20

Family

ID=4129410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355A KR101603332B1 (ko) 2008-01-28 2009-01-23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150159235A KR101719072B1 (ko) 2008-01-28 2015-11-12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160158419A KR102067865B1 (ko) 2008-01-28 2016-11-25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355A KR101603332B1 (ko) 2008-01-28 2009-01-23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150159235A KR101719072B1 (ko) 2008-01-28 2015-11-12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603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1765B2 (ja) 2008-09-30 2013-03-27 創新音▲速▼股▲ふん▼有限公司 スケジューリングリクエストプロシージャとランダムアクセスプロシージャーの間の相互作用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US8478258B2 (en) 2010-03-05 2013-07-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reduce false detection of control channel messages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267948A1 (en)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7128104A1 (zh) * 2016-01-27 2017-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资源的获取方法及用户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2021A1 (en) * 2004-12-29 2006-06-29 Lucent Technologies, Inc. Load balancing on shared wireless channels
KR101211807B1 (ko) * 2006-01-05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의 동기상태 관리방법
JP4812535B2 (ja) * 2006-06-19 2011-11-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方法
KR101133746B1 (ko) * 2006-06-21 2012-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기반 셀룰라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로의 제어 정보전송 방법 및 이의 수신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ffer Status Report and Scheduling Request triggers", NTT DoCoMo, Inc., NEC, 3GPP TSG RAN WG2 #59bis R2-0741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332B1 (ko) 2016-03-14
KR102067865B1 (ko) 2020-01-20
KR20150135166A (ko) 2015-12-02
KR101719072B1 (ko) 2017-03-23
KR20090082867A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814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824366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effective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5355B1 (ko) Mac pdu을 전송하는 방법
US8483146B2 (en) Method for performing efficient BSR procedure using SPS resource
KR101548748B1 (ko)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KR101429294B1 (ko)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 요청을 제한하는 방법
KR101365757B1 (ko)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분리하여 전송하는 방법
US866580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resource information
JP200825288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ランダムアクセスプロセス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06786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을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143568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효과적으로 무선자원할당요청을 보내는 방법
KR101494907B1 (ko) 기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한 효율적인 Buffer Status Report(BSR) 과정 수행 방법
KR100992780B1 (ko)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JP2023543071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の方法
WO2024032800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1552725B1 (ko) 복수개의 CR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 유닛을 암호화(encoding)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8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30

Effective date: 201910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