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200A -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200A
KR20100056200A KR1020080115260A KR20080115260A KR20100056200A KR 20100056200 A KR20100056200 A KR 20100056200A KR 1020080115260 A KR1020080115260 A KR 1020080115260A KR 20080115260 A KR20080115260 A KR 20080115260A KR 20100056200 A KR20100056200 A KR 2010005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comparative example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696B1 (ko
Inventor
박준성
김동현
박녹현
박혜윤
이재경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08011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696B1/ko
Priority to PCT/KR2009/006839 priority patent/WO2010058986A2/en
Priority to US13/129,932 priority patent/US9480638B2/en
Priority to JP2011536265A priority patent/JP5577347B2/ja
Priority to CN200980145095.3A priority patent/CN102209526B/zh
Publication of KR2010005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밀자사삼과 밀자고본 추출물 및 한방 약재인 지골피와 목단피 등의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제, 밀자, 사삼, 고본, 지골피, 목단피, 항산화, 보습, 화장료

Description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Angelica tenuissima and crude drugs}
본 발명은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사삼 및 고본 추출물의 혼합물과 지골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제법은 한방의 전통제약기술로서 합화(合和), 합약(合藥), 수치(修治), 포자(匍炙), 법제(法製) 및 수사(修事) 등으로 일컬어지며 이것은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처리 함으로서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製藥技術)이라 할 수 있다.
한약재를 포제하는 목적은 약물을 청결하게 하고, 저장을 용이하게 하며,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약성을 변화시켜 약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며,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고, 약재의 나쁜 냄새와 맛을 없애 복용 하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화장품 제조시 미백, 주름개선, 피부보호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원료들이 스크리닝되어 화장품 제조시에 첨가가 된다. 그 중에서도 항산화 효과는 피부노화의 원인물질인 활성유해산소를 제거하여 피부노화를 지연시켜줌으로써 상대적으로 피부노화를 예방하며, 칙칙하고 탄력 없는 피부를 싱싱하고 맑으며 투명한 피부로 만들어 주고 외관상 돋보이는 건강한 피부로 만들어 준다. 그러나 항산화 효능을 가진 물질은 제한적일 뿐 아니라 효능을 가진 물질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재 사용되는 소수의 물질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Marcelo C. L. et al, J. Invest. Dermatol., 80, pp37-44, 1983).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 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있다. 피부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과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awlings A. V. et al, J. Invest. Dermatol., 5, pp731-741, 1994).
그러나, 최근 피부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각질층의 생성, 탈락 속도가 늦어지며, 각질형성세포의 기능 저하로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각질층이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하 지 못하는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피부 장벽 기능의 와해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기존의 통상적인 수분보유기능을 갖는 보습제만으로도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 보습 원료를 찾고자 연구한 결과, 밀자사삼과 밀자고본 및 지골피와 목단피 등의 생약 추출물과의 복방 혼합물이 항산화 및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제 가공된 한방 약재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자사삼 및 밀자고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골피 및 목단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밀자사삼과 밀자고본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또는 이에 지골피 또는 목단피 추출물을 더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밀자사삼 및 밀자고본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물에 지골피 및 목단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삼(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Adenophora polyantha Naka,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a Naka, Adenophora lilifolia Ledeb., Adenophora stricta Miq., Adenophora taquetii Lev., Adenophora palustris Kom.)은 방추형 내지 긴원추형이며, 구부러졌고 드물게는 가지뿌리가 있다. 위쪽에 윤상의 가로주름이 있는 뿌리줄기가 있고 길이 5~20cm, 뿌리 위쪽의 지름은 1~3cm 이다. 뿌리의 바깥면은 엷은 황백색 내지 엷은 회갈색을 띠며, 위쪽은 뚜렷한 윤상의 가로주름이 있고 아랫부분은 세로 및 가로주름이 있다. 뿌리는 가볍고 꺾어지기 쉬우며 꺾은 면은 유백색을 띠고 빈틈이 많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본(Angelica tenuissima Nakai, Ligusticum sinense Oliv, Ligusticum jeholense Nakai et Kitagaw)은 고르지 않게 갈라진 긴 원주형이고 길이 5~9cm, 지름 7~20mm,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다. 바깥면은 회갈색 내지 갈색이고 질은 단단하다. 꺾은면은 황백색이며 꺼칠꺼칠하고, 중심부가 비어 있는 것도 있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맵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s, Paeonia suffruticosa var. spontanea Rehd, Paeonia szechuanica Fang.)는 관상 내지 반관상의 껍질조각으로 길이 5~8cm, 지름 10~15 mm, 두께 2~6 m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 내지 자색을 띤 갈색이며 가로로 길고 작은 타원형의 곁뿌리 자국과 세로주름이 있으며 안쪽면은 엷은 회갈색 내지 어두운 자색을 띠고 편평하며 꺾은 면은 거칠다. 안쪽면 및 꺾은 면에는 때때로 흰색의 결정이 붙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골피(Lycium chinense Mill., Lycium barbarum L.)는 관상 내지 반관상 또는 조각으로서 두께 1~3mm이다. 바깥면은 황색 내지 회갈색이며 내면은 회색 내지 회갈색이고 주피는 비늘 모양으로 벗겨지기 쉽다. 꺾은 면은 회백색-회갈색을 나타내고 섬유성은 아니며 질은 가볍고 거칠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a) 포제를 통한 한약재의 가공 단계
본원발명에서 사용하는 사삼과 고본은 포제법 중에서도 밀자법을 이용하여 가공한다. 밀자법은 먼저 연밀(煉蜜)한 꿀을 적당량의 더운물에 희석한 다음 약재에 꿀물을 뿌리거나 담갔다가(30분 내지 3시간), 문화로 규정된 정도(100~180℃의 온도에서 10분~1시간 정도)가 될 때까지 볶아서 건조한다. 보통 100kg의 약재에 꿀 25~30kg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사삼 또는 고본에 꿀을 약재 사용량의 20~30중량%의 양으로 하여 30분~1시간 정도 흡수시키고, 100~180℃의 온도에서 10분~1시간 정도 볶아서 가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와 시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이하게 선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b) 추출물의 수득 단계
상기 a) 단계를 거친 사삼과 고본, 건조한 목단피 또는 지골피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밀자사삼과 밀자고본 추출물 및 목단피 또는 지골피의 생약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이 사용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건조 또는 동결 건조함으로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밀자사삼 및 밀자고본의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이에 지골피 및 목단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한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추출물에 의한 기대하는 효과 등을 얻을 수 없고, 30중량% 초과이면 함량 증 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밀자사삼 추출물을 30~70중량%, 밀자고본 추출물을 30~70중량%, 지골피 추출물을 10~20중량% 및 목단피 추출물을 10~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밀자사삼, 밀자고본, 지골피 및 목단피 추출물을 2~4 : 2~4 : 1 : 1의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사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사삼 1kg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을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사삼 추출물 300g을 얻었다.
[비교예 2] 고본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고본 1kg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을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본 추출물 250g을 얻었다.
[비교예 3] 지골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지골피 1kg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을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지골피 추출물 215g을 얻었다.
[비교예 4] 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목단피 1kg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을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목단피 추출물 215g을 얻었다.
[비교예 5] 밀자(蜜炙)사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사삼 1kg에 꿀 300g (약재 사용량의 20~30%)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50℃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밀자사삼 추출물 400g을 얻었다.
[비교예 6] 밀자(蜜炙)고본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고본 1kg에 꿀 300g(약재 사용량의 20~30%)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50℃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밀자고본 추출물 350g을 얻었다.
[비교예 7] 밀자(蜜炙)지골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지골피 1kg에 꿀 300g(약재 사용량의 20~30%)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50℃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밀자지골피 추출물 270g을 얻었다.
[비교예 8] 밀자(蜜炙)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지골피 1kg에 꿀 300g(약재 사용량의 20~30%)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50℃에서 15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밀자목단피 추출물 320g을 얻었다.
[비교예 9] 복방 혼합 추출물 1의 제조
건조된 사삼, 고본, 지골피 및 목단피 추출물의 비율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200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0] 복방 혼합 추출물 2의 제조
건조된 사삼, 고본, 지골피 및 목단피 추출물의 비율을 3:3: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230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1] 복방 혼합 추출물 3의 제조
건조된 밀자사삼, 밀자고본, 밀자지골피 및 밀자목단피 추출물의 비율을 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26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복방 혼합 추출물 제조 4
건조된 밀자사삼 및 밀자고본 추출물의 비율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35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복방 혼합 추출물 제조 5
건조된 밀자사삼, 밀자고본 및 지골피 추출물의 비율을 3: 3: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33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복방 혼합 추출물 제조 6
건조된 밀자사삼, 밀자고본 및 목단피 추출물의 비율을 3: 3: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315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복방 혼합 추출물 제조 7
건조된 밀자사삼, 밀자고본, 지골피, 목단피의 비율을 3: 3: 1: 1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kg을 준비하고 80 %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복방 생약 추출물 248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DPPH 테스트)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를 사용하였다.
유기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11에서 수득한 추출물 및 혼합물과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혼합물에 대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에 상기에서 수득한 비교예 1~11 또는 실시예 1~4의 시료를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시료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DPPH 분석 결과(억제 %)
시료 IC50(ppm)
트롤록스 65
비교예 1 120
비교예 2 175
비교예 3 180
비교예 4 136
비교예 5 129
비교예 6 130
비교예 7 195
비교예 8 156
비교예 9 164
비교예 10 177
비교예 11 149
실시예 1 110
실시예 2 86
실시예 3 98
실시예 4 58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11의 항산화 효능 보다 이들을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하게 혼합한 실시예 1~4의 혼합물이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이며, 특히 밀자사삼, 밀자고본, 지골피 및 목단피 추출물을 적절하게 혼합한 실시예 4의 혼합물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보다 항산화능이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PPARs 활성화 확인
인체 각질형성 세포주(human keratinocyte)인 HaCaT을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계대 배양하고 페놀 레드의 에스트로겐에 의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페놀 레드-프리(phenol red-free) 배지를 사용하였다. 플라스미드는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도 발현되는 유니버설(universal) 프로모터 뒤에 PPARα, PPARβ/δ, PPARγ 유전자를 지닌 플라스미드와 리간드 결합형의 PPARs가 결합하여 활성화되는 PPARs 반응 요소((PPARs Response Element, “PPRE”)를 프로모터로 가지고 뒤에 리포터로써 역할을 하는 반디불(firefly) 루시퍼라제(luciferase) 유전자를 지닌 것, 그리고 참조(reference)로 사용될 유니버설 프로모터에 β-갈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유전자가 결합된 플라스미드가 사용되었다< Proc. Natl. Acad. Sci. USA, 91 (1994) 7355-7359.>.
HaCaT 세포를 5x104의 농도로 24 웰(well)형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 시간 배양한 후, 상기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 트랜스펙션(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인산완충용약(PBS)으로 세척한 후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과 양성대조군으로 기존에 알려진 PPARs 리간드(PPARα 리간드인 Wy-14,643, PPARγ 리간드인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TGZ”))를 명시된 농도로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들을 녹일 때 사용한 에탄올을 처리한 군을 이용하였다. 24 시간 배양 후 PBS로 세척하고 세포를 수확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여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연구에 사용되는 HaCaT 세포주에 PPRE 프로모터 리포터 플라즈미드와 PPARα 발현 플라즈미드를 트랜스펙션 시킨 후, 약물을 처리하고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PPARγ 발현 플라즈미드와 PPRE 프로모터 리포터 플라즈미드를 동시에 트랜스펙션시킨 후 약물을 처리하고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각 그래프의 첫 번째 칼럼은 음성 대조군으로서 에탄올 처리한 군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며, 두 번째 칼럼은 양성대조군으로 PPARα 리간드인 Wy-14,643, PPARγ 리간드인 트로글라타존을 처리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비교예 1~11 보다 이들을 적절하게 혼합한 실시예 1~4가 유의한 정도의 PPARα 및 PPARγ의 활성을 유도하여 높은 루시퍼라제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밀자사삼, 밀자고본, 지골피 및 목단피 추출물을 적절하게 혼합한 실시예 4는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상기 샘플들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하기 표 2의 시험물질을 배양액에 1ppm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 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210
비교예 1 120
비교예 2 111
비교예 3 112
비교예 4 111
비교예 5 115
비교예 6 112
비교예 7 115
비교예 8 113
비교예 9 134
비교예 10 121
비교예 11 123
실시예 1 145
실시예 2 164
실시예 3 159
실시예 4 18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11의 효능 보다 이들을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하게 혼합한 실시예 1~4가 유의한 정도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실시예 4의 경우 가장 우수한 효능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무모생쥐 피부에서의 피부 장벽기능 회복 및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샘플들이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및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출생 후 8∼10 주 경과한 무모생쥐(Charles River, Japan)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 등 피부의 장벽 기능 손실을 유도한 다음 증발계(Evaporimeter)로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경피수분손실)을 측정하여 40g/m2/hr 이상의 경피수분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택한 실험동물에 대하여 시험물질로 프로필렌 글리콜과 에탄올을 7:3의 비율로 혼합한 비히클(Vehicle)(비히클 처리군)과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1를 각각 1% 함유한 샘플을 피부면적 5cm2 당 200μl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연속 도포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TEWL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코니오미터(Corneometer, 독일 Courage Khazaka 사)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동시에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무처리군의 피부 수분량도 함께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4의 처리군이 비히클 및 비교예 1~11의 처리군보다 더 빠르게 장벽 손상이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4의 경우에서 가장 우수한 장벽 손상 회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 수분량에 있어서도 실시예 1~4의 처리군이 비히클 및 비교예 1~11의 처리군 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상기 복방 생약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장벽 손상 회복과 더불어 피부 수분량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예 1~4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 형성을 촉진하여 각질층이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연구에 사용되는 HaCaT 세포주에 PPRE 프로모터 리포터 플라즈미드와 PPARα 발현 플라즈미드를 트랜스펙션 시킨 후, 약물을 처리하고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PPARγ 발현 플라즈미드와 PPRE 프로모터 리포터 플라즈미드를 동시에 트랜스펙션시킨 후 약물을 처리하고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방 생약 추출물이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방 생약 추출물이 피부 수분량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8)

  1. 밀자사삼 및 밀자고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지골피 및 목단피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자사삼 및 밀자고본 추출물은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30~7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골피 및 목단피 추출물은 추출물 총 함량에 대하여 각각 10~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진용임을 특징으 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의 형성을 촉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15260A 2008-11-19 2008-11-19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48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5260A KR101480696B1 (ko) 2008-11-19 2008-11-19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PCT/KR2009/006839 WO2010058986A2 (en) 2008-11-19 2009-11-19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angelica tenuissima and medicinal herbs
US13/129,932 US9480638B2 (en) 2008-11-19 2009-11-19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Angelica tenuissima and medicinal herbs
JP2011536265A JP5577347B2 (ja) 2008-11-19 2009-11-19 沙参、藁本および生薬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200980145095.3A CN102209526B (zh) 2008-11-19 2009-11-19 含有日本轮叶沙参、极细当归和药草的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5260A KR101480696B1 (ko) 2008-11-19 2008-11-19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00A true KR20100056200A (ko) 2010-05-27
KR101480696B1 KR101480696B1 (ko) 2015-01-09

Family

ID=4219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15260A KR101480696B1 (ko) 2008-11-19 2008-11-19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0638B2 (ko)
JP (1) JP5577347B2 (ko)
KR (1) KR101480696B1 (ko)
CN (1) CN102209526B (ko)
WO (1) WO20100589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30B1 (ko) * 2018-10-22 2019-06-18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645A (zh) * 2014-02-12 2014-06-18 兰赫(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和修复皮肤损伤的组合物
CN108113953A (zh) * 2018-01-08 2018-06-05 植然方适(杭州)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功效的铁皮石斛蜂蜜复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以及在护肤品中的应用
KR102225574B1 (ko) 2018-02-21 2021-03-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2208A (en) * 1979-12-27 1981-07-25 Sunstar Inc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whitening
JP3536111B2 (ja) * 1992-06-29 2004-06-0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および化粧料
CN1102091A (zh) * 1993-10-28 1995-05-03 贵州天然化妆品厂 一种美容保健品及其制备方法
JPH08283172A (ja) * 1995-04-14 1996-10-29 Kose Corp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11228436A (ja) * 1998-02-10 1999-08-24 Pola Chem Ind Inc 生体内物質分布不均一改善剤
JPH11279069A (ja) * 1998-03-27 1999-10-12 Ichimaru Pharcos Co Ltd 活性酸素消去剤
JP2000103718A (ja) * 1998-09-28 2000-04-11 Pola Chem Ind Inc 生体活動改善用の組成物
KR100375916B1 (ko) * 2000-01-11 2003-03-15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고본젤리 및 그 제조방법
TWI324933B (en) * 2001-06-27 2010-05-2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Sheet-type packs
JP2003026535A (ja) * 2001-07-17 2003-01-29 Tsumura & Co 表皮バリア機能障害抑制剤
JP2003113013A (ja) * 2001-09-28 2003-04-18 Lion Corp 植物性抗菌防腐剤
CN1211066C (zh) * 2001-11-16 2005-07-20 尚悦杰 一种中药面膜
JP2004244382A (ja) * 2003-02-14 2004-09-02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又は飲食品
KR20060093164A (ko)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100626398B1 (ko) * 2005-03-11 2006-09-20 박선호 흡연자 및 흡연경력자를 위한 항산화영양소 보충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CN101062002B (zh) * 2006-04-24 2010-06-16 王筑平 含植物提取物的护肤组合物
JP2008169196A (ja) * 2006-10-31 2008-07-24 Arura Tibetan Medical Center 皮膚外用剤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480695B1 (ko) * 2008-06-10 2015-01-12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7293B1 (ko) * 2008-11-19 2015-07-16 (주)아모레퍼시픽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830B1 (ko) * 2018-10-22 2019-06-18 주식회사 비바코리아 여성 가슴 확대, 피부 탄력 향상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9526B (zh) 2014-04-23
WO2010058986A2 (en) 2010-05-27
US9480638B2 (en) 2016-11-01
JP5577347B2 (ja) 2014-08-20
KR101480696B1 (ko) 2015-01-09
CN102209526A (zh) 2011-10-05
JP2012509256A (ja) 2012-04-19
WO2010058986A3 (en) 2010-09-30
US20110223268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27B1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40356468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KR20040068986A (ko) 줄기 세포 인자의 생산ㆍ방출의 억제에 의한 소양, 피부거칠어짐, 민감성 피부 개선용 및 미백용 약제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802A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6200A (ko)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9990086516A (ko)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57790B1 (ko) 황숙종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5141926A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03610634A (zh) 皮肤外用剂组合物
KR101924446B1 (ko)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30099610A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20749A (ko) 동충하초로 발효된 인삼과 그 추출물 및 그 용도
KR20140079571A (ko) 얌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1303294B1 (ko) 한련초 추출물, 지구자 추출물 및 밀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미, 검버섯, 주근깨 등의 잡티 제거 및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