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574B1 -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574B1
KR102225574B1 KR1020190020183A KR20190020183A KR102225574B1 KR 102225574 B1 KR102225574 B1 KR 102225574B1 KR 1020190020183 A KR1020190020183 A KR 1020190020183A KR 20190020183 A KR20190020183 A KR 20190020183A KR 102225574 B1 KR102225574 B1 KR 102225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besity
increase
plasma
die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880A (ko
Inventor
최명숙
류리
권은영
도은정
최지영
조수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9010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6Ligusticum (licorice-roo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본추출물은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공복혈당의 증가를 억제시키며,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 및 이상지질혈증 개선, 지방간 개선 효과와 간독성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본추출물은 비만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or obesity-related disease comprising extracts of Angelica tenuissima}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비만은 유전적인 요인,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운동부족 또는 패스트푸드의 과다섭취 등에 의한 환경적 요인, 우울감, 지루감, 과다한 스트레스 등에 의한 심리적 요인, 갑상선이나 부신피질 호르몬 변화에 의한 병적인 요인 등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생겨 바쁜 현대인들은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체중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은 그 자체의 위험성보다 비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때문에 그 심각성이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된다. 또한, 비만에 의해 사회적 고립감이나 소외, 자신감 결여,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 질환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비만은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행동요법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 및 식욕 억제제와 지방 흡수 억제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비만은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시도하는 경우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하며, 현재 국내에서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제품으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지방분해효소 억제제인 올리스타트(orlistat)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 약물들은 대부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향정신성의약품들이므로 두통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남용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판중인 항비만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고본(Angelica tenuissima)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깊은 산골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고본의 높이는 30~80cm이며,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에는 잎집이 있다. 3회 깃꼴겹잎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 꽃은 8~9월에 흰색 꽃이 겹산형꽃차례로 피는데 큰꽃자루는 10개 정도이며 작은꽃자루는 20~22개이다.
고본의 맛은 맵고 따뜻하며, 매운맛은 발산작용이 강하여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발열, 해수, 가래, 콧물에 사용하고,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 사지 마비관절동통에 강활, 방풍, 위령선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머리가 아픈 두정통을 멈추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고본은 휘발성 정유를 함유하고 있는데, 정유성분은 진정, 진통, 해열, 항염증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장관과 자궁평활근을 억제시키고 백선균에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며, 신경성 피부염, 가려움증, 피부의 발진 소실효과를 가지는 약용식물 중 하나이다. 고본의 뿌리는 한약재로 사용되는데 뿌리에는 정유가 1.5% 함유되어 있으며, 그 주요성분은 3-butyl phthalide 및 cndilide 등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 고본은 화장료 조성물 등의 개발에 이용되어 왔으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의 이용은 아직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본추출물이 체중 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되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480696호
본 발명자들은 종래 항비만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체중 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고본추출물의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담낭질환; 수면 무호흡증; 통풍; 허리디스크; 골관절염; 월경 이상; 대장암; 유방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담낭질환; 수면 무호흡증; 통풍; 허리디스크; 골관절염; 월경 이상; 대장암; 유방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혈당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인슐린 농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콜레스테놀 농도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간독성지표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아디포넥틴(adiponectin) 함량을 증가시키고, 혈장 레지스틴(resistin) 함량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고본추출물은 고본에 추출용매를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구현예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본추출물은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한 체중 및 공복혈당의 증가를 억제시키며,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 및 이상지질혈증 개선 효과 뿐만 아니라 지방간, 간독성 및 염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본추출물은 항비만 관련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고본추출물은 체중 증가에 따라 유발될 수 있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도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고본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실험 디자인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마우스들의 체중을 4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비만이 잘 유도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4주차에 고지방식이군(HFD)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나누어 13주 동안 마우스들의 체중을 측정하여 사육기간에 따른 체중감소 및 체중증가 억제 효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을 17주 동안 사육한 후 간(liver), 신장(kidney), 및 근육(muscle)을 적출하고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 g 당 중량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동물대사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의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에너지 대사율을 낮과 밤으로 구분하여 정량적인 값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마우스들의 공복혈당을 4주 동안 측정하여 고지방식이에 따른 공복혈당 증가를 관찰한 후, 4주차에 고지방식이군(HFD)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MA)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4주일 간격으로 마우스들의 공복 혈당을 측정하여 사육기간에 따른 공복혈당 증가 억제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의 혈장 인슐린 농도 및 HOMA-IR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마우스들의 혈장 콜레스테롤을 4주 동안 측정하여 고지방식이에 따른 콜레스테롤 증가를 관찰한 후, 4주차에 고지방식이군(HFD)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나누어 13주 동안 4주일 간격으로 마우스들의 혈장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여 사육기간에 따른 혈장 콜레스테롤 증가 억제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의 혈장 지질농도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의 간조직 콜레스테롤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의 혈중 간독성 지표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마우스들의 혈중 아디포넥틴 및 레지스틴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담낭질환; 수면 무호흡증; 통풍; 허리디스크; 골관절염; 월경 이상; 대장암; 유방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비만(obesity)"은, 대사 장애로 인하여 체내에 지방세포가 증식 분화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고혈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을 포함하는 관련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에너지 흡수량이 소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부피가 증가되는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질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 따르면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또는 지방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고본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본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고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본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고본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고본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수컷 C57BL/6J 마우스를 정상식이군(ND) 및 고지방식이군(HFD)으로 분류하여 4주 동안 사육하면서 체중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군(HFD)이 정상식이군(ND)에 비해 체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비만이 유도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 후, 4주차 시점에서 고지방식이군(HFD)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분류하여 13주 동안 사육하여 체중을 측정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체중을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체중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고본추출물이 체중 감량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및 도 2 참조).
또한, 상기 각 군의 마우스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17주 동안 사육시킨 후 희생시켜 간, 신장, 및 근육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간 중량이 증가하였고 신장과 근육 중량이 감소한 반면, 고본추출물 섭취군에서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간중량이 감소하였고, 신장과 근육 중량은 증가하였다 (실험예 1-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여 낮과 밤의 에너지 대사율을 각각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낮과 밤의 에너지 대사율이 모두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에서는 낮시간대에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에너지 대사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및 도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마우스들의 공복혈당을 4주 동안 측정하여 고지방식이에 따른 공복혈당증가를 관찰한 후, 4주차에 고지방식이군(HFD)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4주일 간격으로 마우스들의 공복 혈당을 측정하여 사육기간에 따른 공복혈당 증가 억제 변화를 비교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공복혈당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및 도 5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상기 각 마우스 군들을 희생시키고 복부하대정맥으로부터 채취한 혈액에서 혈장 인슐린 농도를 분석하고 인슐린 저항성 지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인슐린 농도와 HOMA-IR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및 도 6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정상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마우스들의 혈장 콜레스테롤을 4주 동안 측정하여 고지방식이에 따른 콜레스테롤 증가를 관찰한 후, 4주차에 고지방식이군(HFD)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나누어 13주 동안 4주일 간격으로 마우스들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총콜레스테롤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5 및 도 7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각 군의 마우스들의 희생 시점에 동일한 방법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 지질농도 분석을 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nonHDL-cholesterol 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6 및 도 8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각 군의 마우스들의 간조직을 적출하여 간조직 콜레스테롤 농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간조직 총 콜레스테롤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7 및 도 9 참조).
또한, 각 군의 마우스들의 동일한 방법으로 채취한 혈액에서 간독성 지표인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를 분석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에서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혈중 GOT 및 GPT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8 및 도 10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집한 혈액에서 혈장 아디포넥틴 및 레지스틴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혈중 아디포넥틴 함량이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혈중 레지스틴 함량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9 및 도 1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예 결과를 통하여 고본추출물이 체중 및 공복혈당의 증가를 억제시키고,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더불어, 본 발명의 고본추출물은 인슐린저항성 및 이상지질혈증 개선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방간, 간독성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쥐(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본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비만 관련 합병증은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내당능장애; 내장지방 증후군; 이상지질혈증; 약물성 간 손상, 바이러스성 간 손상, 간염, 간경화, 간암 또는 간성혼수를 포함하는 간독성 질환; 고혈압; 뇌졸중;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지방간; 담낭질환; 수면 무호흡증; 통풍; 허리디스크; 골관절염; 월경 이상; 대장암; 유방암; 및 난소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첨가 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오스,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본추출물의 제조
고본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105℃에서 5시간 가압추출하였으며, 추출횟수는 2회로 하였다.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시켜 고본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고본추출물의 수율은 51.68%로 산출되었다.
실시예 2. 통계적 분석
통계적 분석은 t-test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모든 실험 결과는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HFD vs. ND: *p<0.05, **p<0.01, ***p<0.001; HFD vs. AT: #p<0.05, ##p<0.01, ###p<0.001)
실험예 1. 고본추출물에 의한 체중 변화 및 장기 중량 변화 분석
1-1. 체중 변화 분석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본추출물 섭취가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실험을 디자인하여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4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n=32)를 미국 잭슨사로부터 구입하여 일주일 동안 Lab chow로 적응사육시키고, 정상식이군(ND, n=10) 및 고지방식이군(HFD, n=22)으로 분류하여 4주동안 사육하며 일주일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비만이 잘 유도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이후 사육 4주차 시점에 고지방식이군(HFD, n=22)을 다시 고지방식이군 (n=12)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 1%의 고본추출물+고지방식이, n=10)으로 각각 분류하여 13주 동안 사육하며 일주일 간격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과 비교하여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에 반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급여 2주차부터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된 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로부터 고본추출물은 체중 증가를 직접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 장기 중량 분석
상기 실험예 1-1의 체중 변화 분석에 더하여 식이성 비만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본추출물 섭취가 장기 중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17주간 사육한 각 군의 마우스들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이소플루란(isoflurane)(Baxter, USA) 흡입을 통해 마취한 후 희생시키고 장기들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각 마우스의 간, 신장, 및 근육 조직을 인산완충액(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여러 번 헹구고 물기를 제거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체중 100 g 당 중량으로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 간조직 중량이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은 간 중량이 고지방식이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단위 체중당 신장과 근육중량은 고지방식이군이 정상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고본추출물 급여군의 경우 신장과 근육 중량이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고본추출물이 간 중량을 감소시키고, 신장과 근육의 중량은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본추출물이 에너지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본추출물의 섭취가 체중과 혈당강하 효과와 더불어 에너지 대사율(energy expenditure, EE)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동물대사율 측정장치(Oxylet; Panlab, Cornella, Spain)를 이용하여 마우스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소와 탄소로 측정기기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한 후 케이지 내 유량 속도를 3 L/min로 조절하였다. 이후 각 마우스를 분리된 대사 케이지에 넣고 24시간 동안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고 계산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도출하였다.
[수학식 1]
EE(kcal/day/body weight0.75) = Vo2 ×1.44×[3.815+(1.232×Vo2/Vco2)]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낮과 밤의 에너지 대사율을 각각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에너지 대사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낮 시간대에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에너지 대사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고본추출물이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고본추출물이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험예 1-1 및 1-2의 결과를 통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본추출물 섭취가 체중 및 간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더하여 혈당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4주 사육기간 동안 마우스를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꼬리에서 채혈하여 공복혈당을 측정함으로써 고지방식이에 의한 혈당상승을 관찰한 후, 사육 4주차 시점에 고지방식이군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분류하여 12주 사육기간 동안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복혈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혈당 수치를 유지한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에는 12주 동안의 사육기간 전반에 걸쳐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낮은 혈당수치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고본추출물이 탁월한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고본추출물이 혈중 당뇨관련마커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험예 3의 결과를 통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본추출물의 섭취가 혈당강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더하여 당뇨 관련 호르몬인 혈장 insulin 농도와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 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1-2의 방법으로 사육 종료 시점에서 각 군의 마우스들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희생시키고 복부하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heparin으로 처리한 후, 1,000×g,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혈장을 수집하였고 시료 분석 시까지 70℃에 보관하였다. 이 때, 수집한 혈장을 이용하여 혈중 인슐린 농도를 MILLIPLEX detection kit (Merck Millipor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인슐린 감수성 지표인 HOMA-IR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은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고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수학식 2]
HOMA-IR = [fasting glucose (mmol/L) × fasting insulin (㎕U/mL)]22.5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하여 혈장 insulin 함량 및 HOMA-IR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에서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insulin 함량 및 HOMA-IR 수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고본추출물이 인슐린저항성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고본추출물이 혈장 총 콜레스테롤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4주 사육기간 동안 마우스를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채취한 혈액에서 고지방식이에 의한 콜레스테롤 상승을 관찰한 후, 사육 4주차 시점에 고지방식이군을 다시 고지방식이군(HFD) 및 고본추출물 급여군(AT)으로 분류하여 13주 사육기간 동안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혈장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이 때, 혈장 총 콜레스테롤의 정량은 효소법을 응용한 측정용 시액 (Asan kit,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과 비교하여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사육기간 전반에 걸쳐 증가한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에는 사육 12주차 시점부터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낮은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고본추출물이 혈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험예 5의 결과에 더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본추출물 섭취가 혈장 지질농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4의 방법으로 수집한 혈장에서 혈장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인지질(phospholipids, PL) 및 nonHDL-cholesterol 함량을 비교하였다. 이 때, 혈장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측정용 시액 (Asan kit, Korea)를 사용하였고, 인지질은 Wako enzymatic kit (Wako Chemical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nonHDL-cholesterol의 정량은 혈장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 (triglyceride), 총 콜레스테롤 (cholesterol), 인지질 및 nonHDL-cholesterol 함량이 모두 증가한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에는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모든 혈장 지질농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본추출물이 이상지질혈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고본추출물이 간조직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험예 1-2의 결과를 통하여 고본추출물 섭취가 간조직 중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더하여 간조직 지질농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17주간 사육시킨 후 적출한 간 조직을 잘게 자른 후 chloroform : methanol(1:1) 용매로 지질을 추출하고 37℃에서 질소 가스로 휘발시켜 isopropanol로 희석한 후 지질 정량을 위해 효소 시액에 유화제로 3 mM cholic acid (sodium salt)와 0.5% Triton X-100을 혼합하였다.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Asan enzymatic kits (Asan, Seou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해 간조직 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간조직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본추출물이 지방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8. 고본추출물이 간독성 마커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험예 1-2 및 7의 결과를 통하여 고본추출물 섭취가 간 조직 중량과 지질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더하여 간세포 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와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 4의 방법으로 수집한 혈액으로부터 혈장 GOT 및 GPT를 측정용 시액 (Asan kit,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혈장 GOT 및 GPT 함량을 나타낸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에는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GOT 및 GPT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본추출물이 간독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고본추출물이 혈장 adipok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에 따른 고본 추출물이 혈장 아디포카인 (adipoline)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상기 실험예 4의 방법으로 수집한 혈액으로부터 항염증마커인 혈장 아디포넥틴(adiponecitn) 및 염증마커인 레지스틴(resistin)의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이 때, 혈장 아디포넥틴의 함량은 Mouse adiponectin/Acrp30 ELISA kit (R&D systems, USA)를 사용하였고, 혈장 레지스틴의 함량은 MILLIPLEX detection kit (Merck Millipor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군(HFD)의 경우 정상식이군(ND)에 비해 유의적으로 혈장 아디포낵틴 함량을 감소시킨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의 경우에는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아디포넥틴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고지방식이군(HFD)은 정상식이군(ND)과 비교하여 증가한 혈장 레지스틴 함량을 가지는 반면, 고본추출물 급여군(AT)은 고지방식이군(HFD)에 비해 혈장 레지스틴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고본추출물이 항염증 효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0)

  1.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은 간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체중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당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장 인슐린 농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간조직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간독성지표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장 아디포넥틴(adiponectin) 함량을 증가시키고, 혈장 레지스틴(resistin) 함량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본추출물은 고본에 추출용매를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은 간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체중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에너지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당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장 인슐린 농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혈장 지질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간조직 콜레스테롤 농도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장 간독성지표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90020183A 2018-02-21 2019-02-21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25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598 2018-02-21
KR20180020598 2018-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880A KR20190100880A (ko) 2019-08-29
KR102225574B1 true KR102225574B1 (ko) 2021-03-10

Family

ID=6777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183A KR102225574B1 (ko) 2018-02-21 2019-02-21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7699A4 (en) * 2020-03-13 2024-02-14 Medihelpline Co Ltd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MBINED HERBAL EXTRACT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RELIEF OF SKIN ULCER AND USE THEREOF
WO2021201503A1 (en) * 2020-04-03 2021-10-07 Medihelpline Co., Ltd. A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combined herbs comprising longanae arillus for the treatment or alleviation of arthritis disease and the use thereof.
KR102374385B1 (ko) * 2020-04-03 2022-03-15 박옥남 용안육 포함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96B1 (ko) 2008-11-19 2015-01-09 (주)아모레퍼시픽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549185B1 (ko) * 2013-04-17 2015-09-03 일동후디스 주식회사 고본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질대사 조절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istry of Natural Compounds, 2014, Vol.50, No.3, pp.529-5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880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574B1 (ko) 고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0603332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1696B1 (ko) 목단피, 백지 및 시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0317B1 (ko) 택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85876B1 (ko) 길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CN108367039B (zh) 包含刺果瓜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肝疾病的治疗或预防用组合物
US2010028515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extract of 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
KR20140137289A (ko) 포공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22450B1 (ko) 흰점박이꽃무지의 사육 방법, 이로부터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KR101303541B1 (ko) 알코올성 간손상 내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232330B1 (ko) 생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31713B1 (ko) 박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108376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obesity using the same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35369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or mixed extra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broccoli
US2024006609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s including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KR101168595B1 (ko)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30090936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면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627108B1 (ko) 벌나무 추출물 및 버섯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