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348A -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348A
KR20100055348A KR20090110822A KR20090110822A KR20100055348A KR 20100055348 A KR20100055348 A KR 20100055348A KR 20090110822 A KR20090110822 A KR 20090110822A KR 20090110822 A KR20090110822 A KR 20090110822A KR 20100055348 A KR20100055348 A KR 2010005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optical semiconductor
light
semiconductor element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1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히사 이와사키
류이치 고토
쇼고 사쿠마
Original Assignee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탠리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5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31/02327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optical elements being integrated or being directly associated to the device, e.g. back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4/97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the device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substrate, e.g. interposer, said common substrate being separable into individual assemblies after conn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2Transfer moulding, i.e. transferr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by a plunger from a "shot" cavity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3Photo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5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고 광학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위에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을 하부금형(1)에 세팅하고, 하부금형(1)과 1차 상부금형(10)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 위에 광반도체 소자(31)를 감싸도록 틀부재(32)를 형성하며, 그 후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을 하부금형(1)에 세팅한 채로 하부금형(1)과 2차 상부금형(20)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 위의 광반도체 소자(31) 및 틀부재(32)를 덮도록 투광부(52)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차 트랜스퍼 몰드 후, 하부금형(1)으로부터 다수 캐비티 성형품(반도체 장치)을 꺼내어 다이서 커팅에 의해 개개의 반도체 장치로 개별화하도록 하였다.
광반도체 소자, 금형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소자를 트랜스퍼 몰드로 수지밀봉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판 위에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틀부재가 설치되고, 틀부재 안의 상기 기판 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동시에 틀부재 안에 투광성(透光性) 수지가 충전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수지밀봉된 구성의 반도체 발광장치는, 종래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그것은, 도 11의 (a)공정에서, 기판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반도체 발광소자(100)를 실장하여 다수 캐비티(multi-cavity) 반도체 발광소자 실장기판(101)을 제작한다. 이어서, 도 11의 (b)공정에서, 투광성 수지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다수 캐비티 반도체 발광소자 실장기판(101) 위에 소정의 두께로 투광부(102)를 형성한다(반도체 발광소자의 수지밀봉). 이어서, 도 11의 (c)공정에서, 투광부(102)에 다이서 커팅(dicer cutting)에 의해 가로세로 각각의 간격으로 상기 투광부 두께의 깊이로 소정 폭의 홈(103)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의 (d)공정에서,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수지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홈 안 에 틀부재(104)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11의 (e)공정에서, 다이서 커팅에 의해 틀부재(104)를 따라 상기 틀부재(104)와 다수 캐비티 반도체 발광소자 실장기판(101)을 동시에 커팅하여 개별화(個片化)한다. 그러면, 도 11의 (f)에 나타내는 외관을 가진 반도체 발광소자(105)가 복수개 완성된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344030호,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31854호 참조).
또한, 기판 위에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틀부재를 형성하고, 일단 금형으로부터 꺼내어 틀부재 안에 발광체를 배치한 후, 다시 금형에 세팅하고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틀부재 안에 투광성 수지를 충전하여 발광체를 수지밀봉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공보 2006-324623호 참조).
그런데,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344030호 및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31854호에 의한 반도체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2번의 다이서 커팅 즉, 투광부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다이서 커팅과 개별화를 위한 다이서 커팅이 필요하여, 제조공정수가 많아져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투광성 수지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각 반도체 발광소자 위를 볼록형상 렌즈로 하는 투광부를 형성하면,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수지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있어서 투광부의 볼록렌즈면과 성형용 금형의 오목면을 맞추기가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투광부는 평탄면밖에 형성할 수 없게 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6-324623호에 의한 반도체 발광장치의 제조방법은, 금형세팅이 2번 즉, 틀부재를 성형할 때와 투광성 수지를 충전할 때에 필요하여, 상기 일본특허공개공보 2002-344030호 및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31854호와 마찬가지로 제조공정수가 많아져서 생산성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틀부재가 형성된 기판 위의 상기 틀부재 안에 발광체를 배치하기 위하여 틀부재 안에 배선용 본딩 와이어의 본딩 툴(예를 들어, 캐필러리(capillary))의 작업영역이 필요하게 되어, 반도체 발광장치의 소형화가 저해된다.
그래서, 상기 이외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개의 반도체 발광소자(100)를 실장한 다수 캐비티 반도체 발광소자 실장기판(101)에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홈(103)을 가지는 투광부(102)를 형성하고(도 12의 (a), (b) 참조),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해 홈 안에 틀부재(104)를 형성하는(도 12의 (c) 참조) 방법이 생각되었는데, 1차 트랜스퍼 몰드에서 이형(離型; demoulding) 기울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완성된 제품(도 12의 (d) 참조)이 그 틀부재(104)의 내측면(106)이 위쪽을 향하여 안쪽으로 경사진 추(錐)의 측면형상이 된다. 그 때문에, 반도체 발광소자(100)로부터 출사하여 틀부재(104)의 내측면(106)에서 반사된 광이 위쪽으로 향하지 않아 광의 이용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품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광학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하부금형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세팅하는 공정;
상기 하부금형과 복수개의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1차 상부금형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에 상기 광반도체 소자를 감싸도록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틀부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세팅한 채로 상기 1차 상부금형을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2차 상부금형으로 교환한 후, 상기 하부금 형과 상기 2차 상부금형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의 상기 광반도체 소자 및 상기 틀부재를 덮도록 상기 광반도체 소자가 발광 또는 수광하는 광의 파장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투광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2차 상부금형으로부터,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에 상기 틀부재 및 상기 투광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다면취(多面取) 반도체 장치를 꺼내는 공정; 및
상기 다면취 반도체 장치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반도체 장치로 개별화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상부금형의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2차 상부금형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있어서 상기 광반도체 소자의 위쪽이 되는 위치에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의 오목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이 세팅되는 쪽의 면, 상기 1차 상부금형의 상기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쪽의 면, 및 상기 2차 상부금형의 상기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쪽의 면은 모두, 전면에 걸쳐서 이형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 상부금형의 적어도 상기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의 내면 및 상기 2차 상부금형의 적 어도 상기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의 내면에 트리아진티올에 의한 이형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1종류 이상의 형광체, 1종류 이상의 염료, 1종류 이상의 안료, 및 1종류 이상의 염료와 1종류 이상의 안료에 의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하부금형에 세팅하고, 그 하부금형과 1차 상부금형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에 광반도체 소자를 감싸도록 틀부재를 형성하며, 그 후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하부금형에 세팅한 채로, 그 하부금형과 2차 상부금형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의 광반도체 소자 및 틀부재를 덮도록 투광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차 트랜스퍼 몰드 후에 상하금형으로부터 다수 캐비티 성형품(반도체 장치)을 꺼내어 다이서 커팅에 의해 개개의 반도체 장치로 개별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다이서 커팅이 1회로 끝나기 때문에 제조공정수의 저감이 도모되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틀부재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형 기울기를 만들 수 있게 되고, 틀부재의 내측면(반사면)을 대접모양으로 함으로써 광의 추출효율이 개선되어 광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광반도체 소자를 기판 위에 실장한 후에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한 틀부재 및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한 투광부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틀부재 안에 배선용 본딩 와이어의 본딩 툴(예를 들어, 캐필러리) 등의 작업영역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반도체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아래에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하게 여러가지 한정이 되어 있지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한다는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근거하여 제작되는 반도체 장치의 설명도이다.
반도체 장치(62)는, 광반도체 소자(31)가 실장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 위에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틀부재(32)가 형성되고, 틀부재(32)로 둘러싸인 내부 및 틀부재(32)의 상면 위에 열경화성의 투광성 수지에 의한 투광부(52)가 배치되어 있다. 투광성 수지는 광반도체 소자(31)가 발광 또는 수광하는 광의 파장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투광부(52)는 광반도체 소자(31)를 덮도록 그 광반도체 소자(31)를 수지밀봉하고 있는 동시에, 광반도체 소자(31)의 위쪽에 구면 또는 비구면의 볼록한 형상의 렌즈면(63)을 형성하고 있어서, 광반도체 소자(31)가 LED 등의 발광소자인 경우, 광반도체 소자(31)로부터 출사하여 투광부(52) 안을 통과하여 외부에 대한 광출사면이 되는 렌즈면(63)에 이른 광선은, 렌즈면(63)에서 광반도체 소자(31)의 광축 X방향으로 굴절되어 투광부(52) 밖으로 출사된다.
광반도체 소자(31)가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수광소자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투광부(52)의 렌즈면(63)에 도달한 광선이 투광부(52)의 광입사면이 되는 렌즈면(63)에서 광반도체 소자(31)의 광축 X방향으로 굴절되어 투광부(52) 안으로 입사하고, 투광부(52) 안을 통과하여 광반도체 소자(31) 위에 집속(收束)된다.
틀부재(32)는, 광반도체 소자(31)가 발광소자인 경우, 광반도체 소자(31)로부터 출사하여 투광부(52) 안을 통과하고 틀부재(32)의 내측면(64)을 향하는 광선이 상기 내측면(64)에서 차광되어 외부로의 출사가 저지되는 동시에, 내측면(64)에서 반사되어 투광부(52) 안을 통과하여 렌즈면(63) 방향으로 향하고, 렌즈면(63)에 도달한 광선은 렌즈면(63)에서 광반도체 소자(31)의 광축 X방향으로 굴절되어 투광부(52) 밖으로 출사된다.
광반도체 소자(31)가 수광소자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투광부(52)의 렌즈면(63)에 도달하고 렌즈면(63)으로부터 투광부(52) 안으로 입사하여, 그 투광부(52) 안을 통과하여 틀부재(32)의 내측면(64)으로 향하는 광선은, 그 틀부재(32)의 내측면(64)에서 반사되어 광반도체 소자(31) 위에 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반도체 장치는 도 2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조공정을 거 쳐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은, 하부금형 1면과 상부금형(1차 상부금형과 2차 상부금형) 2면을 이용한다.
먼저, 도 2의 금형준비공정에서, 하부금형(1)과 1차 상부금형(10)과 2차 상부금형(20)을 준비한다. 그 중, 하부금형(1)은, 후술하는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을 세팅하기 위한 기판세팅용 오목부(2)가 형성되는 동시에, 플런저 포트(plunger pot: 3)와 이 플런저 포트(3) 안을 진퇴할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플런저(4)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런저 포트(3)의 상단 개구부에는 플런저 포트(3)보다 직경이 큰 컬집합부(cull reservoir; 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지집합부(6) 및 상기 수지집합부(6)와 하부금형(1) 밖을 연결하는 에어벤트(air vent; 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부금형 중 1차 상부금형(10)에는,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11)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11)에 연결된 런너(runner; 12)가 설치된다. 더욱이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이 세팅된 하부금형(1)과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11)가 형성된 1차 상부금형(10)을 형체결(mold clamping)했을 때 후술하는 광반도체 소자(31)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 수용용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금형 중 2차 상부금형(20)에는,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에 연결된 런너(22)가 설치되고, 런너(22)는, 플런저 포트(23)의 하단 개구부에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포트(23)보다 직경이 큰 컬집합부(24)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에 연결된 수지집합부(25)와, 상기 수지집합부(25)와 2차 상부금형(20) 밖을 연결하는 에어벤트(26)가 설치되어 있다.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는,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이 세팅된 하부금형(1)과 2차 상부금형(20)을 형체결했을 때 후술하는 광반도체 소자(31)의 위쪽이 되는 위치에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의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금형(1)의 기판 세팅용 오목부(2)가 형성된 쪽의 면, 1차 상부금형(10)의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11)가 형성된 쪽의 면, 및 2차 상부금형(20)의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가 형성된 쪽의 면은 모두 플런저 포트(3, 23)의 내주면을 포함한 전면에 걸쳐서 이형막(70)이 형성되어 있다.
그 중, 1차 상부금형(10)의 적어도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11)의 내면은 성형품에서 틀부재(32)의 광반사면 등의 광학기능면을 형성하는 면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균일한 박막형성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높은 이형성을 가지는 트리아진티올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차 상부금형(20)의 적어도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의 내면은 성형품에서의 렌즈 혹은 프리즘 등의 광학기능면을 형성하는 면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균일한 박막형성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높은 이형성을 가지는 트리아진티올 피막(7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형체결 공정에서, 미리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31)가 실장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을 하부금형(1)의 기판 세팅용 오목부(2) 안에 세팅하는 동시에,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 지는 타블렛(tablet; 40)을 가열상태에서 플런저 포트(3) 안에 공급하고, 그 후 하부금형(1)과 1차 상부금형(10)을 형체결한다.
다음으로 도 4의 1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플런저 포트(3) 안으로 공급된 가열상태의 타블렛(40)을 플런저(4)로 가압용융하고, 용융수지(50)를 1차 상부금형(10)의 런너(12)를 통하여 마찬가지로 1차 상부금형(10)에 형성된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11) 안으로 주입한다. 이 때, 상하금형(10, 1) 안의 공기나 용융수지(50)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는 에어벤트(7)로부터 상하금형(10, 1) 밖으로 배기된다.
이 1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 위에 광반도체 소자(31)를 감싸도록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틀부재(3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의 금형교환공정에서, 하부금형(1)과 1차 상부금형(10)을 형개방하고, 하부금형(1) 위에 광반도체 소자(31)가 실장되는 동시에 그 광반도체 소자(31)를 감싸도록 형성된 틀부재(32)를 가지는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을 보유한 채로 하부금형(1)을 회전 또는 슬라이드시켜서, 미리 준비된 2차 상부금형(20)에 서로의 금형(1, 20)이 소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마주보게 한다.
한편, 이 시점에서는 2차 상부금형(20)의 플런저 포트(23) 안에 플런저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플런저 포트(23) 안이 빈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형체결 공정에서, 하부금형(1)과 2차 상부금형(20)을 형체결하고, 열경화성의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타블렛(41)을 가열상태에서 플런저 포트(23) 안으로 공급한다. 플런저 포트(23) 안으로 공급된 타블렛(41)은 1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형성된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컬(8) 위에 위치한다.
이 경우, 하부금형(1)의 플런저 포트(3)와 2차 상부금형(20)의 플런저 포트(23)는 서로의 중심축(CL)이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7의 2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플런저 포트(23) 안에 그 플런저 포트(23) 안에서 진퇴할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플런저(28)를 배치하고, 플런저 포트(23) 안으로 공급된 가열상태의 타블렛(41)을 플런저(28)로 가압용융하며, 용융수지(51)를 2차 상부금형(20)의 런너(22)를 통하여 마찬가지로 2차 상부금형(20)에 형성된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 안으로 주입한다. 이 때, 용융수지(51)는 1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형성된 컬(8)의 윗면 및 런너(12)의 윗면에 접하도록 유동하여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 안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하금형(20, 1) 안의 공기나 용융수지(51)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는 에어벤트(26)로부터 상하금형(20, 1) 밖으로 배기된다.
이 2차 트랜스퍼 몰드는, 광반도체 소자(31) 및 1차 트랜스퍼 몰드로 형성된 틀부재(32)를 덮도록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 위에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광부(52)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투광부(52) 안의 광반도체 소자(31) 및 틀부재(32)가 매설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형개방 공정에서, 하부금형(1)과 2차 상부금형(20)을 형개 방하고 상하금형(20, 1)으로부터 성형품(60)을 꺼낸다. 성형품(60)과 동시에 컬집합부(5, 24)의 컬(8, 29) 및 런너(12, 22), 수지집합부(6, 25), 에어벤트(7, 26) 등의 용융수지 통로 안의 경화수지도 꺼내어진다.
다음으로 도 9의 절단공정에서, 성형품(60)으로부터 컬(8, 29) 등의 용융수지 통로 안의 경화수지를 절단제거한 후, 다수 캐비티 반도체 장치(61)를 다이서로 잘라서 개개의 반도체 장치(도 10 및 도 1 참조)로 개별화함으로써 반도체 장치(62)가 완성된다.
한편, 광반도체 소자(31)가 발광소자인 경우, 2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열경화성의 투광성 수지에 1종류 이상의 형광체를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타블렛(41)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광반도체 소자(31)가 형광체가 분산된 투광성 수지로 수지밀봉됨으로써, 반도체 장치로부터 반도체 소자(31)의 광원색과 다른 색조의 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경화성의 투광성 수지에 1종류 이상의 염료, 1종류 이상의 안료, 및 1종류 이상의 염료와 1종류 이상의 안료에 의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특정 파장영역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물질을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타블렛(41)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광반도체 소자(31)가 1종류 이상의 염료, 1종류 이상의 안료, 및 1종류 이상의 염료와 1종류 이상의 안료에 의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분산된 투광성 수지로 수지밀봉되게 되어, 광반도체 소자(31)의 비점등시에 착색수지가 보여짐으로써 컬러풀한 반도체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광반도체 소자(31)가 수광소자인 경우, 2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에서 열경화성의 투광성 수지에 1종류 이상의 염료, 1종류 이상의 안료, 및 1종류 이상 의 염료와 1종류 이상의 안료에 의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특정 파장영역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물질을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타블렛(41)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광반도체 소자(31)가 1종류 이상의 염료, 1종류 이상의 안료, 및 1종류 이상의 염료와 1종류 이상의 안료에 의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분산된 투광성 수지로 수지밀봉되게 되어, 원하는 파장영역 이외에는 차단된 광을 광반도체 소자(31)로 수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란 노이즈에 강한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금형교환공정에서, 1차 트랜스퍼 몰드 종료후의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30)을 보유한 하부금형(1)을 고정하고, 1차 상부금형(10) 및 2차 상부금형(20)을 회전 혹은 슬라이드시켜서 상부금형(10, 20)끼리 금형교환을 할 수도 있다. 즉, 하부금형(1)과 1차 상부금형(10)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 및 하부금형(1)과 2차 상부금형(20)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가 가능하다면,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 모두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투광부(52)에 구면 또는 비구면의 볼록한 형상의 렌즈면(63)이 형성되어 있는데, 2차 상부금형(10)의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21)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가 실장된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하부금형에 세팅하고, 하부금형과 1차 상부금형(10)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에 광반도체 소자를 감싸도록 틀부재를 형성하며, 그 후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하 부금형에 세팅한 채로 하부금형과 2차 상부금형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의 광반도체 소자 및 틀부재를 덮도록 투광부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2차 트랜스퍼 몰드 후에, 상하금형으로부터 다수 캐비티 성형품(반도체 장치)을 꺼내어 다이서 커팅에 의해 개개의 반도체 장치로 개별화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1차 상부금형과 2차 상부금형의 금형교환시에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꺼낼 필요가 없고 다이서 커팅이 1회로 끝나기 때문에, 제조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틀부재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형 기울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틀부재의 내측면을 위쪽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경사진 절구모양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광반도체 소자(발광소자)로부터 출사하여 틀부재의 내측면에서 반사된 광이 효율적으로 위쪽을 향하여, 광의 추출효율이 개선되고 광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부금형, 1차 상부금형 및 2차 상부금형 각각에 이형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스퍼 몰드마다 이형제를 도포할 필요가 없어서 이형제 도포공정을 없앨 수 있다. 더욱이, 적어도 광반사면이 되는 틀부재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1차 상부금형의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의 내면, 및 광출사면 또는 광입사면이 되는 투광부의 렌즈면을 형성하는 2차 상부금형의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의 내면에 균일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내구성이 양호하며 높은 이형성을 가지는 트리아진티올의 피막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 광학계를 구성하는 틀부재의 내측면 및 투광부의 렌즈면이 매끄러운 면이 되어서 광학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광반도체 소자를 기판 위에 실장한 후에, 1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한 틀부재 및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의한 투광부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틀부재 안에 배선용 본딩 와이어의 본딩 툴(예를 들어, 캐필러리) 등의 작업영역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서 반도체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되는 반도체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금형준비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형체결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1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금형교체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형체결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2차 트랜스퍼 몰드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형개방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절단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완성도이다.
도 11은 반도체 발광장치의 종래 제조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반도체 발광장치의 다른 종래 제조방법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하부금형 2: 기판세팅용 오목부
3: 플런저 포트 4: 플런저
5: 컬집합부 6: 수지집합부
7: 에어벤트 8: 컬
10: 1차 상부금형 11: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
12: 런너 13: 광반도체 소자 수용용 오목부
20: 2차 상부금형 21: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
22: 런너 23: 플런저 포트
24: 컬집합부 25: 수지집합부
26: 에어벤트 27: 오목부
28: 플런저 29: 컬
30: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31: 광반도체 소자
32: 틀부재 40, 41: 타블렛
42: 컬 50, 51: 용융수지
52: 투광부 60: 성형품
61: 다수 캐비티 반도체 장치
62: 반도체 장치 63: 렌즈면
64: 내측면 70: 이형막
71: 피막

Claims (6)

  1. 하부금형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광반도체 소자가 실장되어 이루어지는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세팅하는 공정;
    상기 하부금형과 복수개의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1차 상부금형에 의한 1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에 상기 광반도체 소자를 감싸도록 차광성 및 반사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틀부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을 세팅한 채로 상기 1차 상부금형을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2차 상부금형으로 교환한 후,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2차 상부금형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로,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의 상기 광반도체 소자 및 상기 틀부재를 덮도록 상기 광반도체 소자가 발광 또는 수광하는 광의 파장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투광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광부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부금형 및 상기 2차 상부금형으로부터,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 위에 상기 틀부재 및 상기 투광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다면취 반도체 장치를 꺼내는 공정; 및
    상기 다면취 반도체 장치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반도체 장치로 개별화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2차 상부금형에 의한 2차 트랜스퍼 몰드에 있어서 상기 광반도체 소자의 위쪽이 되는 위치에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의 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상기 광반도체 소자 실장기판이 세팅되는 쪽의 면, 상기 1차 상부금형의 상기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쪽의 면, 및 상기 2차 상부금형의 상기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가 형성된 쪽의 면은 모두, 전면에 걸쳐서 이형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상부금형의 적어도 상기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의 내면 및 상기 2차 상부금형의 적어도 상기 투광부 형성용 캐비티의 내면에 트리아진티올에 의한 이형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1종류 이상의 형광체, 1종류 이상의 염료, 1종류 이상의 안료, 및 1종류 이상의 염료와 1종류 이상의 안료에 의한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부재 형성용 캐비티는 상기 틀부재의 내측면이 위쪽을 향하여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이형 기울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90110822A 2008-11-17 2009-11-17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00055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3469A JP2010123620A (ja) 2008-11-17 2008-11-17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JP-P-2008-293469 2008-1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348A true KR20100055348A (ko) 2010-05-26

Family

ID=4217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10822A KR20100055348A (ko) 2008-11-17 2009-11-17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98763B2 (ko)
JP (1) JP2010123620A (ko)
KR (1) KR201000553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189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형광체 도포 방법 및 형광체 도포 장치
WO2013005940A2 (ko) * 2011-07-01 2013-01-10 한국광기술원 프리폼 형광체 시트가 사용된 백색 엘이디 소자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3446B2 (ja) * 2011-06-17 2015-07-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8610159B2 (en) * 2011-07-21 2013-12-17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Optical device with through-hole cavity
JP2013149771A (ja) * 2012-01-19 2013-08-01 Stanley Electric Co Ltd 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063005B2 (en) * 2012-04-05 2015-06-23 Heptagon Micro Optics Pte. Ltd. Reflowable opto-electronic module
JP2014036119A (ja) * 2012-08-09 2014-02-24 Apic Yamada Corp 樹脂モールド装置
US9041019B2 (en) * 2012-10-25 2015-05-26 Flextronics Ap, Llc Method of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LED assembly using liquid molding technologies
JP2014099468A (ja) * 2012-11-13 2014-05-29 Pioneer Electronic Corp 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
JP6010455B2 (ja) * 2012-12-27 2016-10-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集光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137839B2 (ja) * 2013-01-15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光学系
JP5977686B2 (ja) * 2013-02-13 2016-08-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集光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集光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208967B2 (ja) * 2013-04-03 2017-10-04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Led装置の製造方法
JP6067475B2 (ja) * 2013-05-15 2017-01-25 アピックヤマダ株式会社 Led装置の製造方法、金型、及び、樹脂成形装置
JP6842234B2 (ja) * 2015-10-13 2021-03-17 ローム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光半導体装置
CN106024649A (zh) * 2016-07-12 2016-10-12 希睿(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超薄环境光与接近传感器的晶圆级封装及其封装方法
CN105977249A (zh) * 2016-07-12 2016-09-28 希睿(厦门)科技有限公司 实现超薄环境光与接近传感器的晶圆级封装的改进方法及其封装
CN106876534B (zh) * 2017-01-23 2019-07-02 陕西电子信息集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倒装芯片级led光源的封装方法
JP6983041B2 (ja) * 2017-11-16 2021-12-1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半導体受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619751B (zh) * 2018-12-29 2021-03-02 莆田市城厢区福瑞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鞋灯的封装方法
CN111682042B (zh) * 2020-06-11 2022-02-25 杭州百伴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窄带光源阵列及光学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139A (ja) * 2000-03-15 2001-09-25 Ricoh Opt Ind Co Ltd 成形用型及び成形装置及び光学素子成形方法及び光学素子
JP2002344030A (ja) 2001-05-18 2002-11-29 Stanley Electric Co Ltd 横方向発光型面実装led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5021B2 (ja) 2001-07-13 2011-10-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7セグメントled数字表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80537B2 (ja) * 2003-10-31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素子の封止構造体および光結合器ならびに光学素子の封止方法
JP5128047B2 (ja) * 2004-10-07 2013-01-23 Towa株式会社 光デバイス及び光デバイスの生産方法
TWI256737B (en) * 2005-05-19 2006-06-11 Pi-Fu Yang One-block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09853B2 (en) * 2007-02-12 2010-05-04 Cree, Inc. Packag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multiple optical elements
US7892869B2 (en) * 2009-07-23 2011-02-22 Edison Opt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189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형광체 도포 방법 및 형광체 도포 장치
WO2013005940A2 (ko) * 2011-07-01 2013-01-10 한국광기술원 프리폼 형광체 시트가 사용된 백색 엘이디 소자 제조 방법
WO2013005940A3 (ko) * 2011-07-01 2013-03-14 한국광기술원 프리폼 형광체 시트가 사용된 백색 엘이디 소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98763B2 (en) 2011-08-16
JP2010123620A (ja) 2010-06-03
US20100124794A1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5348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JP487805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の製造方法
EP18647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unit
CN101361201B (zh) 光元件的树脂密封成形方法
US8251538B2 (en) Lighting device
CN109155258A (zh) 具有孔径的薄光电模块及其制造
CN100431819C (zh) 多井孔板的制造
TW200900811A (en) Display device, cap, light emission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US20120168786A1 (en) Potted Optoelectronic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ompon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toelectronic Module
NZ529477A (en) Total reflection optic element
JP2010125647A (ja) 光学成形品の圧縮成形方法及び金型
CN104868040A (zh) 提供半导体光发射器的系统和方法
EP2100433B1 (en) Light guide key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937774B2 (en) Method for making paired lenses with an opaque barrier between, and product made
CN210136873U (zh) Led封装结构与led封装框架
KR100757825B1 (ko)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US10598843B2 (en) Method of producing wavelength converting member
KR102150827B1 (ko) 렌즈패키지 및 그 성형방법
KR20080106750A (ko) 칩 엘이디의 칩 보호용 수지몰드의 성형방법
EP1659641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s and device thereof
CN105845790A (zh) 一种倒装led芯片的封装方法及封装槽模具
US20090014913A1 (en) Method for fabricating lens of light emitting diode and device thereof
CN208076901U (zh) 含有晶圆透镜的光学投影装置
JP5236995B2 (ja) 光学成形品の成形方法
JP6821402B2 (ja) 光学部品、光学部品の射出成形金型、及び光学部品の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